맨위로가기

양화대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화대교는 서울특별시를 가로지르는 한강에 있는 다리이다. 1962년 제2한강교라는 이름으로 착공하여 1965년 개통되었으며, 1984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 이후 안전 문제로 구교가 철거 및 재시공되었고, 신교도 보강 공사를 거쳐 2002년에 재개통되었다. 2010년부터 교각 간격 확장 공사가 진행되어 2012년 완공되었다. 자이언티의 노래 '양화대교'는 이 다리를 배경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5년 완공된 교량 - 우정의 다리 (브라질-파라과이)
    브라질과 파라과이를 잇는 우정의 다리는 1965년 개통되어 두 도시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지만, 낮은 관세로 인해 밀수 통로로도 이용된다.
  • 1982년 완공된 교량 - 반포대교
    반포대교는 서초구 반포동과 용산구 이촌동을 잇는 한강 다리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2층 다리로, 교통량 해소와 함께 달빛 무지개 분수와 한강 공원 접근성으로 서울의 랜드마크이자 관광 명소 역할을 한다.
  • 1982년 완공된 교량 - 아프가니스탄-우즈베키스탄 우호의 다리
    아프가니스탄-우즈베키스탄 우호의 다리는 양국 국경의 아무다리야 강을 잇는 유일한 연결 지점으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중 건설, 폐쇄, 재개방을 거쳐 국제 원조 통로이자 중앙아시아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철도 연결 지점이다.
  • 서울 마포구의 건축물 - 광성고등학교 (서울)
    광성고등학교 (서울)는 1894년 평양에서 기독교 선교와 교육을 위해 설립된 사숙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변화를 겪었으며, 1961년 서울 마포구 신수동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서울 마포구의 건축물 - 가양대교
    가양대교는 1994년 착공하여 2002년 준공된 다리이며, 난지도와 가양동·등촌동을 잇는 다리 건설 계획으로 시작되어 지역 주민들의 명칭 변경 요구에 따라 가양대교로 명명되었다.
양화대교
지도 정보
교량 정보
이름양화대교
원어 이름양화대교
원어 이름 (언어)ko
로마자 표기Yanghwa Daegyo
한자 표기楊花大橋
다른 이름제2한강교
위치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횡단한강
관리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교통 시설왕복 8차선 도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77호선)
설계상부 : 플레이트 거더
하부 : 우물통 파일기초 / 직접기초
구조상부:아치교
하부:거더교
재료강판, 콘크리트
길이1,053m
너비 (구교)18m
너비 (신교)16.1m
교통량 (2008년)133,253대/일
설계자 (구교)대한설계공사
설계자 (신교)대한컨설턴트
시공사 (구교)현대건설
시공사 (신교)삼부건설
착공일 (구교)1962년 6월
착공일 (신교)1979년 1월
완공일 (구교)1965년 1월
완공일 (신교)1982년 2월
개통일 (구교)1965년 1월 25일
개통일 (신교)1982년 2월 2일
이미지
양화대교, 북쪽 방향. [[북한산]]이 배경에 있음
양화대교 전경(북단). 북한산이 배경에 있음
추가 정보
관련 항목자이언티 (양화대교 노래)
참조
참고 자료양화대교 (楊花大橋) - 한국학중앙연구원

2. 역사

1962년 '제2한강교'라는 이름으로 착공되어 1965년 1월 25일 개통되었다. 1964년 10월 14일에는 완공을 앞두고 양평동 쪽 구간 일부가 날림 공사로 주저앉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나, 인명 피해는 없었다. 1984년 11월 13일 현재의 이름인 양화대교로 개칭되었는데,[5][6] 이는 과거 이 다리 인근에 있었던 '''양화진'''이라는 나루터에서 유래되었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 이후 교량 안전 점검에서 구교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었고,[7] 서강대교의 개통에 따라 1997년 5월 1일 구교의 통행을 전면 금지[8]한 후 상판을 전부 철거하고 재공사를 하여 2000년 6월에 재개통하였다. 구교를 재개통하면서 같은 달 신교도 보강공사에 들어가 2002년 4월 1일 완전 재개통하였다.

2. 1. 건설 및 확장

1962년 6월 20일 '제2한강교'라는 이름으로 착공하여 1965년 1월 25일 폭 18m (차로 13.6m, 보도 4.4m) 왕복 4차로로 개통되었다.[4] 1964년 10월 14일에는 완공을 앞두고 양평동 쪽 구간 일부가 날림 공사로 주저앉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나, 인명 피해는 없었다.

교통량이 늘어나자 1979년 1월 9일 기존 다리 동쪽에 새로운 다리를 착공하여 1981년 12월 15일 4차로를 추가 개통하였다.[4] 1984년 11월 13일 현재의 이름인 양화대교로 이름이 변경되었는데,[5][6] 이는 과거 이 다리 인근에 있었던 '양화진'이라는 나루터에서 유래한 것이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 이후 안전 점검에서 기존 다리에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었고, 서강대교 개통에 따라 1997년 5월 1일 기존 다리의 통행을 전면 금지한 후[8] 상판을 전부 철거하고 재공사를 하여 2000년 6월 재개통하였다. 같은 달 새로운 다리도 보강 공사에 들어가 2002년 4월 1일 완전히 재개통하였다.

2006년 7월 서울특별시장에 취임한 오세훈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2010년 2월부터 '교각 간격 확장 공사'(예상 공사비 415억)를 실시했다.[9] 이 공사는 2010년 지방 선거 이후 서울시장과 서울시의회의 대립으로 두 차례 중단되었고, 2011년 10월 26일 보궐선거를 통해 당선된 박원순도 선거 기간 중 공사 중지를 요구하였다.[10] 그러나 서울시는 보궐선거 기간 중에도 공사를 계속 진행하여 박원순 취임 당시 공정률이 85%에 이르렀다. 결국 총 490억이 투입되어[11] 2012년 10월 14일 완공되었다.[12]

2. 2. 안전 문제 및 보수 공사

1962년 6월 20일 '''제2한강교'''라는 이름으로 착공하여 1964년 10월 14일 오후 2시경, 완공을 앞두고 양평동 쪽 구간 일부가 날림 공사로 주저앉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집 두 채가 반파되었으나 인명 피해는 없었다.[4] 이후 계속 공사를 진행하여 1965년 1월 25일 폭 18m (차로 13.6m, 보도 4.4m) 왕복 4차로로 개통되었다.

교통량이 늘어나자 1979년 1월 9일 구교(舊橋)의 동쪽에 신교(新橋)를 착공하여 1981년 12월 15일 4차로를 추가 개통하였다.[4] 1984년 11월 13일 현재의 이름인 양화대교로 이름이 변경되었다.[5][6]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 이후 교량 안전 점검에서 구교에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었고,[7] 서강대교 개통에 따라 1997년 5월 1일 구교의 통행을 전면 금지한 후[8] 상판을 전부 철거하고 재공사를 하여 2000년 6월 재개통하였다. 구교 재개통과 함께 같은 달 신교도 보강공사에 들어가 2002년 4월 1일 완전히 재개통하였다.

2. 3. 교각 간격 확장 공사 논란

이 다리는 2006년 7월 서울특별시장에 취임한 오세훈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첫 번째 임기 말인 2010년 2월부터 '교각 간격 확장 공사'(예상 공사비 415억)를 실시해 7년 10개월 만에 다시 교각의 철거·확장 등 대형 공사를 맞이하였다.[9]

이 공사는 2010년 지방 선거 후 서울특별시장과 서울특별시의회의 대립으로 2차례 공사가 중단되었고, 2011년 10월 26일 보궐선거를 통해 후임 시장으로 당선된 박원순도 선거 기간 중에 공사의 중지를 요구하였다.[10] 그러나 서울시는 보궐선거 기간 중에도 공사를 계속 진행하여 박원순 취임 당시에 공정률이 85%에 이르렀다. 결국, 이 공사에는 총 490억이 투입되었고,[11] 2012년 10월 14일 완공되었다.[12]

3. 대중문화 속 양화대교

자이언티의 2014년 노래 〈양화대교〉는 이 다리를 건너는 부모와 자식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다.

참조

[1] 논문 양화대교 (楊花大橋)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14
[2] 뉴스 Renovations on Yanghwa Bridge starts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10-06-16
[3] 뉴스 한강 다리 중 한남대교 교통량 가장 많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10-14
[4] 뉴스 제2한강교 오늘 개통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1-12-15
[5] 뉴스 1·2·3한강교 이름 바꾸기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4-09-12
[6] 뉴스 249개 길 이름 공고…16개 한강다리 이름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11-13
[7] 뉴스 양화대교 붕괴 위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4-10-28
[8] 뉴스 양화대교 구교 통행금지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7-05-01
[9] 뉴스 양화대교, 직선화 한 달 만에 다시 휘어진다 https://news.v.daum.[...] 오마이뉴스 2011-05-25
[10] 뉴스 박원순 측 "서울시, 양화대교 공사 강행 땐 응분의 책임" https://news.v.daum.[...] 중앙일보 2011-10-03
[11] 뉴스 양화대교 415억 교각확장 공사비 날렸지만..'75억 추가투입' https://news.v.daum.[...] 뉴스엔 2012-01-10
[12] 뉴스 양화대교 490억짜리 공사가 남긴 교훈 https://news.v.daum.[...] 국민일보 2012-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