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토리아 호는 아프리카 중부에 위치한 거대한 호수로,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 3개국이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나일 강의 주요 수원지이다. '빅토리아'라는 이름은 빅토리아 여왕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으며, 현지 언어로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지질학적으로는 비교적 젊은 호수로,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형성과 관련이 있으며, 과거에는 여러 차례 건조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빅토리아 호는 어업, 수자원 공급, 교통 등 주변 지역의 사회경제적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나일 퍼치 도입, 부레옥잠 번식, 오염 등으로 인해 생태계와 환경에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고유 어종의 대량 멸종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며,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탄자니아 국경 - 남위 1도
남위 1도는 적도에서 남쪽으로 1도 떨어진 위선으로, 아프리카, 인도양, 오스트랄라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지나며 탄자니아-우간다-케냐 국경, 인도네시아의 여러 섬들을 포함한다. - 우간다-탄자니아 국경 - 남위 1도
남위 1도는 적도에서 남쪽으로 1도 떨어진 위선으로, 아프리카, 인도양, 오스트랄라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지나며 탄자니아-우간다-케냐 국경, 인도네시아의 여러 섬들을 포함한다. - 우간다-케냐 국경 - 미징고섬
미징고섬은 빅토리아 호수에 위치한 어업 중심의 작은 섬으로, 과거 케냐와 우간다 간 영유권 분쟁 대상이었으나 현재는 공동 측량 및 국경 재획정을 통해 합의되었으며, 다양한 상업 시설과 나일 퍼치 어업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우간다-케냐 국경 - 엘곤산
엘곤산은 우간다와 케냐 국경에 위치한 거대한 독립형 화산으로, 다양한 지형적 특징과 여러 강의 집수역을 포함하며, 엘곤산 국립공원으로 보호받고, 다양한 동식물과 여러 부족이 서식한다.
| 빅토리아호 | |
|---|---|
| 지리 정보 | |
![]() | |
| 위치 | 아프리카 대호수 |
| 유출 | 백나일강 |
| 유입 | 카게라 강 |
| 유역 면적 | 169,858 km² |
| 유역 | 229,815 km² |
| 위치한 국가 | 부룬디 케냐 르완다 탄자니아 우간다 |
| 길이 | 359 km |
| 폭 | 337 km |
| 면적 | 59,947 km² |
| 평균 깊이 | 40.4 m |
| 최대 깊이 | 81 m |
| 수량 | 2,424 km³ |
| 해안선 길이 | 7,142 km |
| 해발 고도 | 1,135 m |
| 섬 | 985개 (우케레웨 섬, 탄자니아; 세세 제도, 우간다; 마보코 섬, 케냐) |
| 호수 내 도시 | 부코바, 탄자니아 므완자, 탄자니아 무소마, 탄자니아 키수무, 케냐 켄두 베이, 케냐 호마 베이, 케냐 캄팔라, 우간다 엔테베, 우간다 진자, 우간다 |
| 일반 정보 | |
| 토착 이름 (스와힐리어) | Ukerewe 우케레웨 |
| 토착 이름 (간다어) | 'Nnalubaale 날루발레 |
| 토착 이름 (르완다어) | Nyanza 냔자 |
| 토착 이름 (루오어) | Nam Lolwe 남 롤웨 |
2. 이름
이 호수는 루오어로는 Nam Lolweluo, 루간다어로는 'Nnalubaalelg로 불린다.[137] 우케레웨(Ukerewe)라는 이름도 기록되어 있다.[138]
‘빅토리아’라는 이름은 영국의 탐험가 존 해닝 스피크가 빅토리아 여왕을 기리기 위해 붙인 것이다. 반투어로 ‘큰 물’, ‘호수’를 뜻하는 니안자(nyanza)와 결합해 '''빅토리아 니안자'''(Victoria Nyanza)라고도 불린다.
3. 지리

빅토리아호는 아프리카 중부에 있는 호수로, 한반도 면적의 1/3, 남한 면적의 약 70%에 달하는 거대한 호수이다.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 3국이 국경을 맞대고 있다.
지질학적으로 빅토리아호는 약 40만 년 전 형성되어 비교적 젊은 호수에 속한다. 원래 서쪽으로 흐르던 강이 융기된 지각 블록에 의해 막히면서 형성되었다.[20] 미오세 시대에는 현재 호수 유역이 대륙 분할선 역할을 하는 융기 지역의 서쪽에 위치했으며, 서쪽의 개울은 콩고강 유역으로, 동쪽의 개울은 인도양으로 흘러 들어갔다. 이후 동아프리카 열곡대가 형성되면서 알버틴 열곡(서부 열곡)의 동쪽 벽이 융기, 현재의 빅토리아호 방향으로 물길이 바뀌었다. 주요 동아프리카 열곡과 알버틴 열곡의 형성은 열곡 벽 융기로 그 사이 지역을 하강시켜 현재의 빅토리아호 구조 분지를 만들었다.[21]
빅토리아호는 지질학적 역사 동안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호수 바닥에서 채취한 코어 샘플에 따르면, 빅토리아호는 형성 이후 최소 세 번 완전히 말랐던 것으로 나타났다.[20] 이러한 건조 주기는 전 세계적으로 강수량이 감소했던 제4기 빙하기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20] 빅토리아호는 마지막으로 약 17,300년 전에 말랐다가, 아프리카 습윤기가 시작되면서 14,700년 전에 다시 채워졌다.[22][23]
3. 1. 수계
아프리카 중부에 있는 빅토리아 호는 한반도 면적의 1/3, 남한 면적의 약 70%에 달하는 거대한 호수이다. 평균 수심은 40m, 최고 수심은 83m 정도이며,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 3국이 국경을 맞대고 있다. 호수 서쪽의 카게라 강, 동쪽의 마라 강 등 많은 하천이 흘러들고, 백나일 강이 발원한다.
빅토리아 호는 직접적인 강수량의 80%를 물로 공급받는다.[14] 호수의 평균 증발량은 연간 2m에서 2.2m이며, 주변 지역 강수량의 거의 두 배에 달한다.[24] 빅토리아 호는 또한 강과 수천 개의 작은 하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카게라 강은 이 호수로 흘러드는 가장 큰 강으로, 호수 서쪽 해안에 하구가 있다. 빅토리아 호는 우간다 진자 근처, 호수 북쪽 해안에 있는 나일 강에 의해서만 배수된다.[25] 케냐 지역의 주요 유입 강은 시오, 은조이아, 얄라, 냔도, 손두 미리우, 모구시, 미고리이다.
빅토리아 호에서 유일하게 유출되는 곳은 우간다 진자 근처에서 호수를 빠져나가는 나일 강이다. 수량으로 볼 때, 빅토리아 호는 나일 강의 가장 긴 지류의 주요 수원지이다. 그러나 나일 분지의 가장 먼 수원지, 즉 궁극적인 나일 강의 기원은 카게라 강의 지류 중 하나(정확한 지류는 아직 결정되지 않음)로 여겨지며, 이는 르완다 또는 부룬디에서 발원한다. 나일 강의 최상류는 일반적으로 알버트 호에 도달할 때까지 빅토리아 나일 강으로 알려져 있다. 백나일 강이라고도 불리는 같은 강 시스템의 일부이지만, 엄밀히 말해 이 이름은 강이 우간다 국경을 넘어 북쪽의 남수단으로 들어간 후에 적용된다.
나일강의 주요 지류 중 하나인 백나일강의 수원이다. 면적은 68,800 km2로 세계 3위, 아프리카 1위의 호수 면적을 자랑하며, 호수 안에는 북부에 떠 있는 우간다령의 세세 제도와 남부에 떠 있는 탄자니아의 우케레웨 섬, 우카라 섬을 비롯한 약 3,000개의 섬이 있다. 남북 최대 337km, 동서 최대 250km이다. 유역 면적은 184,000 km2에 달하며, 호수 연안 3개국 외 부룬디, 르완다에 걸쳐 있다. 호수 연안선은 4,828 km에 달하며, 그중 3.7%는 호수에 떠 있는 섬들이다[114]。 호수는 케냐(표면적의 6%, 4100km2), 우간다(표면적의 45%, 31000km2), 탄자니아(표면적의 49%, 33700km2) 3개국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115]。 거의 사각형을 이루고 있지만, 북동부의 카빌론도 만, 남동부의 스페케 만, 남부의 무안자 만, 남서부의 에민 파샤 만 등 몇 개의 큰 만이 있다. 호수의 총 수량은 약 2,750 km3이다.
넓이는 넓지만 수심은 꽤 얕아서, 가장 깊은 곳도 84m밖에 되지 않는다. 호수 전체의 평균 수심도 40m에 불과하다[117]。이는 주변의 탕가니카 호나 말라위 호, 앨버트 호와 같은 리프트 밸리의 갈라진 틈에 직접 물이 고인 구조호와는 달리, 리프트 밸리의 융기에 따라 간접적으로 함몰된 중간 부분에 물이 고인 것이다. 주변의 강수량이 많아, 부룬디에서 흘러드는 루비론자 강을 합한 르완다에서 흘러오는 카게라 강 등 다수의 하천이 유입되지만, 유출 하천은 북부의 진자에서 흘러나오는 나일 강 뿐이다. 이 때문에, 빅토리아 호는 나일 강 수계로 나일 강의 길이에 포함되며, 빅토리아 호로 흘러드는 하천 중 최대이자 최장인 카게라 강, 그 최장의 지류인 루비론자 강의 수원지가 그대로 나일 강의 수원지로 여겨진다. 진자의 유출구에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으며, 오웬 폭포 댐(나르발레 댐)이 건설되어, 수력 발전을 하고 있다. 빅토리아 호에서 나일 강으로의 유출량은 매초 600t에 달한다.
빅토리아 호가 받는 물의 80%가 호수 표면에 직접 내리는 강수이다[114]。호수로부터의 증발은 연간 평균 2m에서 2.2m이며, 호반 지역의 강수량의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118]。호수의 체류 기간은 약 140년이다. 케냐 국내에서는, 시오 강, 은조이아 강, 야라 강, 냐도 강, 손두-밀리우 강, 모그시 강, 미고리 강 등이 빅토리아 호로 흘러든다. 이들 강을 합한 유입량은, 호수의 서쪽으로 흘러드는 빅토리아 호 수계 최대의 지류인 카게라 강보다 많아진다[119]。이 외에도, 탄자니아에서는 호수 동부에 마라 강, 구르메티 강, 뭄발라게티 강, 시미유 강, 호수 서부에는 최대 지류인 카게라 강, 우간다에서는 서부에 카통가 강 등이 흘러든다. 이들 하천은 영양염류가 풍부하여, 빅토리아 호를 풍요로운 호수로 만들고 있다.
3. 2. 수심 측량
빅토리아호는 넓은 면적에 비해 얕은 호수로, 최대 수심은 약 80m이고 평균 수심은 40m이다.[33] 2016년 프로젝트에서 1만 개의 지점을 디지털화하여 빅토리아호 최초의 수심측량 지도를 만들었다.[32] 호수의 가장 깊은 부분은 케냐 근처 호수 동쪽에 있으며, 우간다 해안선을 따라 서쪽과 탄자니아 해안선을 따라 남쪽은 일반적으로 얕다.[32]
넓이는 넓지만 수심은 얕아서, 가장 깊은 곳도 84m밖에 되지 않는다. 호수 전체의 평균 수심도 40m에 불과하다.[117]
4. 역사

빅토리아 호는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에 둘러싸여 있는데, 이 호수의 형성은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가 원인으로 여겨진다.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는 약 1000만~500만 년 전부터 지표가 융기하기 시작했으며, 빅토리아 호 양쪽에 융기가 발생하고 그 사이가 함몰되면서 호수가 생겼다는 설이 유력하다. 탄생 시기는 오랫동안 100만 년 전으로 여겨졌지만, 지질학 연구에서는 40만 년 전경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호수 바닥에서 채취한 보링 코어 샘플 해석에 따르면, 탄생 후 최소 3번 말랐으며 가장 최근에는 17,300년 전에 완전히 말랐다고 한다. 이로 인해 빅토리아 호는 고대 호의 정의(100만 년 이상)를 충족하지 않지만, 다양한 고유 생물군이 존재하여 완전히 마른 것이 아니라 작은 호수는 남아있었다는 설도 있다.
1만 4000년 전에는 현재보다 수위가 26m 낮았고, 주변에는 사바나가 펼쳐져 있었다. 1만 2500년 전에는 최종 빙기가 끝난 영향으로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여, 폐쇄호였던 빅토리아 호가 북쪽의 나일강 수계로 넘쳐 흘렀다.[116] 그 후에도 기후 변동에 의해 호수의 수위는 오르내림을 반복했다.
1858년 존 해닝 스피크는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과 함께 나일강의 수원지를 찾는 탐험을 하던 중 빅토리아 호를 발견하고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그러나 스피크와 버튼은 나일강의 수원지에 대해 의견이 달라 논쟁을 벌였다. 이후 스피크는 1862년 7월 28일 빅토리아 호 북쪽에서 나일강으로 흘러나가는 리폰 폭포를 확인함으로써 나일강 수원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고 생각했지만, 유로를 완전히 확인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논쟁은 얼마 동안 계속되었다. 1875년 헨리 모턴 스탠리가 리폰 폭포의 존재를 확인하고 호수를 일주함으로써 빅토리아 호가 나일강의 수원지라는 것이 최종적으로 확인되었다.
탐험이 거의 종료되자, 이 지역은 아프리카 분할의 대상이 되었다. 1890년 헬골란트-잔지바르 조약에 의해 빅토리아 호는 영국과 독일로 양분되었다. 영국은 1894년 우간다 보호령을 성립시켰고, 독일은 독일령 동아프리카를 성립시켰다.
식민지 시대에 영국과 독일은 빅토리아 호 주변 지역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특히 우간다에서는 면화 재배, 부코바에서는 커피 재배가 시작되었다. 1902년에는 키스무를 비롯한 빅토리아 호 북동안이 케냐령이 되면서 빅토리아 호는 우간다, 탕가니카, 케냐로 삼분할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빅토리아 호 전역이 영국령이 되었다. 영국은 호안의 3개 식민지를 통합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1922년 관세 동맹을 결성하여 동아프리카 실링을 공통 통화로 사용하면서 빅토리아 호 무역이 번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61년 탕가니카, 1962년 우간다, 1963년 케냐가 잇따라 독립하면서 빅토리아 호 주변은 모두 독립 국가가 되었다.
4. 1. 탐험 이전
빅토리아 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아랍 상인들이 금, 상아, 노예 등 귀중품을 찾아 내륙 항로를 오가면서 얻은 정보이다.[130] 1160년경의 지도에는 이미 빅토리아 호가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었고, 나일 강의 수원임도 나타나 있었다.
빅토리아 호는 1858년 영국인 탐험가 존 해닝 스피크가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과 함께 중앙 아프리카를 탐험하던 중 호수의 남쪽 해안에 도착했을 때 유럽인들에게 처음 발견되었다. 그 이전부터 호수 유역에 거주하는 많은 아프리카인들에게는 알려져 있었다. 스피크는 이 "광대한 열린 물"을 보고 나일 강의 발원지를 찾았다고 믿고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따서 호수의 이름을 지었다. 당시 병에서 회복되어 현재 타보라 근처인 카제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던 버튼은 스피크가 나일 강의 진정한 발원지를 발견했음을 증명했다고 주장한 것에 분노했다. 버튼은 이 문제를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여겼다. 이로 인해 과학계 내에서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을 뿐만 아니라, 스피크의 발견을 확인하거나 반박하려는 다른 탐험가들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1860년대 후반, 스코틀랜드 출신 탐험가이자 선교사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스피크의 발견을 확인하려다 실패하고, 대신 너무 서쪽으로 밀고 들어가 콩고 강 유역으로 들어갔다. 결국, ''뉴욕 헤럴드'' 신문이 자금을 지원한 탐험에 나선 웨일스계 미국인 탐험가 헨리 모턴 스탠리는 호수를 일주하며 호수 북쪽 해안의 리폰 폭포에서 큰 유출을 보고하면서 스피크의 발견이 사실임을 확인했다.
4. 2. 유럽인의 탐험
아랍 상인들이 금, 상아, 노예 등을 찾아 내륙 항로를 오가면서 빅토리아 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남겼다.1858년 영국 탐험가 존 해닝 스피크는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과 함께 중앙 아프리카를 탐험하던 중 빅토리아 호수의 남쪽 해안에 도착했다. 스피크는 이 호수가 나일 강의 발원지라고 믿고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따서 빅토리아 호라고 명명했다.[131] 당시 병에서 회복 중이던 버튼은 스피크의 주장에 분노했고, 이는 당시 과학계에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논쟁에 결착을 내기 위해 스피크는 제임스 오거스터스 그랜트와 함께 다시 빅토리아 호 탐험을 기획하여, 1862년 7월 28일 빅토리아 호 북쪽 해안의 진자에서 큰 강이 폭포가 되어 북쪽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확인하고 리폰 폭포라고 명명했다.[131]
1860년대 후반,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스피크의 발견을 확인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콩고 강 유역으로 들어갔다.[131] 결국 헨리 모턴 스탠리가 호수를 일주하며 리폰 폭포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스피크의 발견이 사실임을 증명했다.[131]
4. 3. 식민지 시대
1881년 무함마드 아흐마드가 일으킨 마흐디 전쟁은 1885년 하르툼을 함락시켰고, 이집트는 수단에서 철수해야 했다. 그러나 이집트 최남단 적도주의 주도 곤도로(현재의 주바)에는 에민 파샤 총독이 고립된 채 독립을 유지하고 있었다. 에민 파샤는 본명이 슈니처인 독일인으로, 영국과 독일은 그를 구출한다는 명분으로 군대를 파견했다. 북쪽에서는 마흐디 군에 의해 접근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이 구출 작전은 남쪽 빅토리아 호 방면에서 진행되었다. 헨리 모턴 스탠리가 이끄는 영국대가 구출 작전을 성공시켜 1889년 에민 파샤는 "구출"되었고 적도주 정부는 멸망했다. 독일군은 늦었지만, 부간다 왕국과 우호 조약을 체결하며 이 지역 진출을 꾀했다. 1890년 8월 10일, 헬골란트-잔지바르 조약에 의해 남위 1도 선을 기준으로 빅토리아 호 북부는 영국의 세력 범위, 그 이남은 독일의 세력 범위로 나뉘어 빅토리아 호는 남북으로 양분되었다. 영국은 부간다 왕국, 부뇨로 왕국, 토로 왕국, 안코레 왕국 등 빅토리아 호 주변 국가들과 조약을 체결하고, 1894년 우간다 보호령을 성립시켰다. 독일도 남안 공략을 진행하여 19세기 말 독일령 동아프리카를 성립시켰다.식민지 경영에 나선 양국은 적극적인 개발을 진행했고, 특히 북안의 우간다에서는 면화 재배가 중요한 산업이 되었다. 서쪽 부코바에서 커피 재배가 시작된 것도 이 무렵이다. 1902년에는 리프트 밸리의 고원 지역을 우간다에서 케냐로 옮기려는 의도로 우간다 보호령의 동부 주가 동아프리카 보호령(케냐)으로 이관되어, 키스무를 비롯한 빅토리아 호 북동안은 케냐령이 되었고, 빅토리아 호는 케냐를 더해 삼분할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아프리카 전선의 전장이 되었고, 독일군의 파울 폰 레토우-포르베크가 호수에 창설한 소함대는 영국군을 괴롭혔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독일령 탕가니카는 영국의 국제 연맹위임 통치령이 되어, 빅토리아 호 전역이 영국령이 되었다.
대전 후, 영국은 호안의 3개 식민지(우간다, 케냐, 탕가니카)의 합동을 추진하여 1922년 관세 동맹을 결성하고 공통 관세와 역내 장벽 철폐를 실시했다. 동아프리카 실링을 공통 통화로 사용하면서 빅토리아 호 무역은 번성했다. 그러나 3개 식민지의 정치 통합은 백인 정착민이 실권을 쥔 케냐에 대해 탕가니카와 우간다가 우려를 표명하여 실행되지 못했다.
4. 4. 독립 이후
1890년 8월 10일, 헬골란트-잔지바르 조약에 의해 남위 1도의 선에 영국과 독일의 경계선이 그어졌다. 이에 따라 부간다 등 빅토리아 호 북부는 영국의 세력 범위, 그 이남은 독일의 세력 범위가 되어, 빅토리아 호는 남북으로 거의 양분되었다. 영국은 부간다 왕국, 부뇨로 왕국, 토로 왕국, 안코레 왕국과 같은 빅토리아 호 주변의 국가들과 조약을 체결하고, 1894년에는 우간다 보호령이 성립되었다. 독일도 남안 공략을 진행하여, 19세기 말에는 독일령 동아프리카가 성립되었다.양국은 적극적인 개발을 진행했고, 특히 북안의 우간다에서는 면화 재배가 중요한 산업이 되었다. 서쪽의 부코바에서 커피 재배가 시작된 것도 이 무렵이다. 1902년에는 리프트 밸리의 냉량한 고원 지역을 케냐령으로 옮기려는 의도로, 우간다 보호령의 동부 주가 동아프리카 보호령(케냐)으로 이관되었다. 이로 인해 키스무를 비롯한 빅토리아 호 북동안은 케냐령이 되었고, 빅토리아 호는 우간다와 탕가니카, 케냐로 삼분할하게 되었다.[1]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아프리카 전선의 전장이 되었고, 독일군의 파울 폰 레토우-포르베크가 호상에 창설한 소함대는 영국군을 괴롭혔다. 그 후,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은 패배했고, 1919년의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독일령 탕가니카는 영국의 국제 연맹위임 통치령이 되어, 빅토리아 호 전역이 영국령이 되었다.
대전 후, 영국은 호안의 3개 식민지(우간다, 케냐, 탕가니카)의 합동을 추진하여, 1922년에는 관세 동맹을 결성하고 공통 관세와 역내 장벽 철폐를 실시했다. 또한 동아프리카 실링을 공통 통화로 했기 때문에, 빅토리아 호 무역은 이 시기에 번성해 갔다. 한편, 3개 식민지의 정치 통합은 백인 정착민이 실권을 잡고 있는 케냐에 대해, 탕가니카와 우간다가 우려를 나타냈기 때문에 실행되지 않고 끝났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61년에는 탕가니카, 1962년에는 우간다, 1963년에는 케냐가 잇따라 독립하여, 빅토리아 호 주변은 모두 독립 국가가 되었다.
5. 생태계
빅토리아호는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는 풍요로운 생태계를 가졌으나, 최근 여러 요인으로 인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 어류: 하프로크로미스 시클리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어종이 서식했으나, 나일 퍼치 도입과 부영양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많은 수가 감소하거나 멸종되었다. 특히 하플로크로미스 시클리드는 500종 이상이 서식하며, 이들의 급격한 적응 방산과 진화는 학계의 주요 연구 대상이었다. 그러나 나일 퍼치와 부영양화로 인해 최소 200종 이상이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나일 퍼치 도입의 영향: 1950년대 영국 식민지 정부에 의해 도입된 나일 퍼치는 1980년대 빅토리아호 북안에서 크게 번식하여 남쪽으로 확산되면서 토착 어종, 특히 시클리드 수백 종을 멸종 위기로 몰아넣었다.
- 부영양화와 수질 오염: 호수 주변 도시와 농경지에서 유입되는 오염 물질로 인해 호수가 부영양화되면서 부레옥잠과 같은 외래종 수초가 대량 번식하여 어업과 교통에 지장을 주고 있다. 1980년대 말부터는 적조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 기타 생물: 담수 달팽이 28종 (12종 고유종), 이매패류 17종 (6종 고유종)이 서식하며, 주혈흡충증의 매개체인 달팽이도 존재한다. 또한, 깡충거미의 일종인 ''Evarcha culicivora''는 암컷 모기를 주로 잡아먹는 특이한 습성을 가지고 있다. 호수 주변 습지에는 다양한 조류와 포유류가 서식하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습지도 5곳이나 된다.
- 환경 문제: 부영양화 외에도 산림 벌채와 환경 파괴로 인해 오염 물질 흡수가 감소하고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 2010년에서 2022년 사이에는 빅토리아 호의 표면적이 15% 증가하여 호반 지역 사회가 침수되기도 했다.[30][31]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세계 은행 주도로 빅토리아 호 환경 관리 프로젝트가 실시되기도 했다.
5. 1. 고유종과 생물 다양성
빅토리아호는 과거 어류가 매우 풍부했고, 특히 고유종이 많았지만 1940년대 이후 많은 종이 멸종되었다.[38] 주요 어종은 하프로크로미스 시클리드(''Haplochromis'' ''sensu lato'')로, 500종 이상이 서식하며 거의 모두 고유종이다.[22][39][40] 이 중 약 300종은 아직 미기재 종으로 추정된다.[41] 이는 말라위호를 제외하면 세계 어느 호수보다 많은 어종 수이다.[42]이러한 다양성은 지난 약 15,000년 동안의 급격한 적응 방산의 결과이다.[22][39][43] 이들의 다양성과 진화 속도는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 주제가 되었다.[39][44] 빅토리아 하프로크로미스는 700종 이상으로 구성된 더 오래된 그룹의 일부이며, 교가호, 에드워드호–조지호, 알버트호, 키부호 등 인근의 작은 호수 종들도 포함한다.[22][39]
이 호수들의 대부분은 비교적 얕고 현재 상부 나일강 유역에 속한다. 예외는 콩고강 유역의 키부호인데,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융기 이전에는 에드워드호 및 빅토리아호와 연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22] 이 깊은 호수는 약 15,000년 전 빅토리아호가 말랐을 때처럼, 얕은 호수가 말랐을 때 하프로크로미스 그룹의 "진화적 저장소" 역할을 했을 수 있다.[22] 최근 빅토리아 시클리드에 쉽게 접근할 수 있었던 호수는 교가호뿐이었는데, 빅토리아 나일강 하류 이동은 머치슨 폭포 등 폭포에 의해 방해받기 때문이다. 반면 빅토리아호와 교가호 사이의 오웬 폭포 (현재 댐에 침수)는 물고기 이동을 막지 못하는 급류였다.[45]
빅토리아 하프로크로미스는 뚜렷한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수컷은 밝은 색, 암컷은 칙칙한 색).[48] 생태는 매우 다양하여 부식식자, 플랑크톤 식자(동물플랑크톤), 곤충 식자, 새우를 먹는 종, 연체동물 식자, 어식자 등 최소 16개 그룹으로 나뉜다.[44]
나일 퍼치 도입, 부영양화 등으로 인해 빅토리아호 하프로크로미스 종의 최소 200종(약 40%)이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40][44][49] 100종 이상의 미기재 종을 포함한다.[41] 처음에는 더 많은 종이 멸종될 것으로 우려했지만,[50] 1990년대 나일 퍼치가 감소하면서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몇몇 종들이 재발견되었다.[44][51] 남아 있는 종 중 일부는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으며 추가 멸종 가능성이 있다.[52] 일부 종은 인근 위성 호수,[51] 바위나 파피루스 사이 피난처에서 살아남았으며(나일 퍼치로부터 보호),[53] 호수 변화에 적응했다.[44][49]
이러한 적응에는 더 큰 아가미 면적(산소 부족 물 적응), 먹이 장치 변화, 눈 변화(탁한 물에서 더 나은 시야),[37][44] 더 작은 머리/더 큰 미병부 (더 빠른 수영)가 포함된다.[54] 어식자(나일 퍼치 영향[55]), 연체동물 식자, 곤충 식자는 많은 멸종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44] 다른 종들은 순수 형태로는 멸종했지만, 가까운 친척과의 잡종으로 살아남았다(특히 부식식자).[40][44] 동물플랑크톤 식자는 가장 적은 영향을 받았으며 1990년대 후반 급감 이전과 유사하거나 그 이상 밀도에 도달했지만, 종 수가 적고 식단을 대형 무척추 동물로 전환했다.[37][44] 위협받는 시클리드 종 중 일부는 동물원, 공공 수족관, 개인 수족관에서 "보험" 개체군을 가지며, 몇몇 종은 야생에서 멸종되었다(사육 상태에서만 생존).[56][57][58][59][60]
지난 50년 동안 시클리드 대량 멸종 이전에는 호수 원산 어종의 약 90%가 하프로크로미스였다.[38] 하프로크로미스를 제외하면 빅토리아호의 유일한 토착 시클리드는 두 종의 심각한 위기에 처한 틸라피아, 싱기다 틸라피아 (''Oreochromis esculentus'')와 빅토리아 틸라피아 (''O. variabilis'')이다.[61][62]
1927–1928년 마이클 그레이엄은 빅토리아호 최초의 체계적인 어업 조사를 수행했다. 그레이엄은 "''Tilapia esculenta''는 원주민, 비원주민 모두에게 가장 중요한 식용 어류이다. 다른 어떤 물고기도 살 질에서 이 물고기에 비할 수 없다. 거래에 편리한 크기이며, 운송이 잘 된다"고 했다.[63] 또한 5인치 메쉬의 유럽식 삼중 자망 도입이 ngege 수를 감소시켰다고 언급했다.[63] 1927–28년 조사 어획량에는 현재 멸종된 것으로 여겨지는 ''Haplochromis flavipinnis'', ''Haplochromis gowersii'', ''Haplochromis longirostris'', ''Haplochromis macrognathus'', ''Haplochromis michaeli'', ''Haplochromis nigrescens'', ''Haplochromis prognathus''가 포함되었다.
나일 퍼치 도입뿐 아니라, ''Haplochromis'' 시클리드 멸종은 호수 부영양화도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열대 수역 비옥도는 영양소 유입 속도에 달려 있다. 빅토리아호 유입 강은 호수 크기에 비해 영양소를 거의 공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빅토리아호 대부분의 영양소는 호수 바닥 침전물에 갇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4][64] 식물성 물질은 천천히 부패하지만, 동물 살은 더 빨리 부패하므로 호수 비옥도는 영양소가 흡수되는 속도에 달려 있다.[64] ''Haplochromis''는 detritus와 플랑크톤을 용액으로 되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5][66][67] ''Haplochromis'' 종의 약 80%가 detritus를 먹고 서로를 먹을 수 있어, 영양소와 생물량을 이동시키고 인간과 육상 동물 포식을 통해 호수 밖으로 이동시키는 촘촘한 내부 재활용 시스템을 나타냈다. ''Haplochromis'' 제거는 조류 번성 빈도 증가에 기여했을 수 있으며,[28][66][67] 이는 대량 어류 폐사를 유발할 수 있다.[28]
빅토리아 호에는 28종의 담수 달팽이 (''Bellamya'', ''Biomphalaria'', ''Bulinus'', ''Cleopatra'', ''Gabbiella'', ''Melanoides'' 등)가 서식하며, 이 중 12종이 고유종/아종이다.[73][74] 17종의 이매패류 (''Corbicula'', ''Coelatura'', ''Sphaerium'', ''Byssanodonta'')가 서식하며, 이 중 6종이 고유종/아종이다.[73][75] 아직 기술되지 않은 달팽이 종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형태적으로 뚜렷한 일부 개체군은 단일 종의 변종일 수 있다.[41] ''Biomphalaria''와 ''Bulinus''는 빌하르츠병 기생충의 중간 숙주이다. 이 기생충에 의한 인간 감염이 빅토리아 호에서 흔하다.[76] 이는 침입성 부레옥잠(달팽이 최적 서식지) 확산,[77] 호수에서 달팽이를 먹는 시클리드 감소로 인해 증가할 수 있다.[78]
''Evarcha culicivora''는 케냐와 우간다의 빅토리아호 주변에서만 발견되는 깡충거미 (Salticidae과)로, 주로 암컷 모기를 잡아먹는다.[79]
5. 2. 외래종 도입과 생태계 변화
빅토리아호는 과거에 많은 고유종을 포함하여 어류가 매우 풍부했지만, 1940년대 이후 이들 중 상당수가 멸종되었다.[38] 빅토리아호의 주요 어종 그룹은 500종 이상으로 거의 모두 고유종인 하프로크로미스 시클리드(''Haplochromis'' ''sensu lato'')이며,[22][39][40] 약 300종은 아직 미기재 종으로 추정된다.[41] 이는 말라위호를 제외하고 세계 어느 호수보다 많은 어종 수이다.[42] 이들은 지난 약 15,000년 동안의 급격한 적응 방산의 결과이다.[22][39][43] 이들의 다양성과 진화 속도는 생명체의 풍요로움을 이끄는 힘을 연구하는 많은 과학자들의 주제가 되어왔다.[39][44]
빅토리아 하프로크로미스는 뚜렷한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수컷은 비교적 밝은 색, 암컷은 칙칙한 색),[48] 생태는 매우 다양하여 부식식자, 플랑크톤 식자(동물플랑크톤), 곤충 식자, 새우를 먹는 종, 연체동물 식자 및 어식자를 포함한 최소 16개 그룹으로 나뉜다.[44] 도입된 나일 퍼치의 포식, 부영양화 및 생태계 변화로 인해 빅토리아호 하프로크로미스 종의 최소 200종(약 40%)이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40][44][49] 100종 이상의 미기재 종을 포함한다.[41] 처음에는 이 숫자가 더 높을 것으로, 일부 추정치는 전체 종의 65%까지 멸종될 것으로 우려했지만,[50] 나일 퍼치가 1990년대에 감소하기 시작한 후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몇몇 종들이 재발견되었다.[44][51] 남아 있는 종 중 일부는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으며 추가 멸종 가능성이 있다.[52]
일부 종은 인근의 작은 위성 호수에서 살아남았거나,[51] 바위나 파피루스 사이의 피난처에서 살아남았으며(나일 퍼치로부터 보호),[53] 호수 자체의 인위적인 변화에 적응했다.[44][49] 이러한 적응에는 더 큰 아가미 면적(산소 부족 물에 대한 적응), 먹이 장치의 변화, 눈의 변화(탁한 물에서 더 나은 시야 제공)[37][44] 및 더 작은 머리/더 큰 미병부 (더 빠른 수영 허용)가 포함된다.[54] 어식자(나일 퍼치의 포식과 경쟁 모두의 영향을 받음[55]), 연체동물 식자 및 곤충 식자 하프로크로미스는 특히 큰 타격을 입었다.[44] 다른 종들은 순수한 형태로 멸종되었지만, 가까운 친척들 사이의 잡종으로 살아남았다(특히 부식식자 사이에서).[40][44] 동물플랑크톤 식자는 가장 적은 영향을 받았으며 1990년대 후반에 급격한 감소 이전과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밀도에 도달했지만, 더 적은 종으로 구성되었으며 종종 식단을 대형 무척추 동물로 전환했다.[37][44] 빅토리아호의 위협받는 시클리드 종 중 일부는 동물원, 공공 수족관 및 개인 수족관 사육자들 사이에서 "보험" 개체군을 가지고 있으며, 몇몇 종은 야생에서 멸종되었다(사육 상태에서만 생존).[56][57][58][59][60]
지난 50년 동안 호수의 시클리드 사이에서 발생한 대량 멸종 이전에는 호수 원산 어종의 약 90%가 하프로크로미스였다.[38] 하프로크로미스를 제외하면 빅토리아호의 유일한 토착 시클리드는 두 종의 심각한 위기에 처한 틸라피아, 싱기다 틸라피아 (''Oreochromis esculentus'')와 빅토리아 틸라피아 (''O. variabilis'')이다.[61][62]

나일 퍼치 도입과 ''Haplochromis'' 속 시클리드 멸종은 호수 부영양화도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열대 수역의 비옥도는 영양소가 용액으로 유입되는 속도에 달려 있다. 빅토리아호로 유입되는 강은 호수 크기에 비해 영양소를 거의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빅토리아호 영양소의 대부분은 호수 바닥 침전물에 갇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4][64] 식물성 물질은 천천히 부패하지만, 동물의 살은 더 빨리 부패하므로 호수 비옥도는 영양소가 물고기 및 기타 유기체에 의해 흡수되는 속도에 달려 있다.[64] ''Haplochromis''는 detritus와 플랑크톤을 다시 용액으로 되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5][66][67] 약 80%의 ''Haplochromis'' 종이 detritus를 먹고 서로를 먹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들은 영양소와 생물량을 수직 및 수평으로 수주를 통해 이동시키고 심지어 인간과 육상 동물의 포식을 통해 호수 밖으로 이동시키는 촘촘한 내부 재활용 시스템을 나타냈다. ''Haplochromis''의 제거는 조류 번성 빈도 증가에 기여했을 수 있으며,[28][66][67] 이는 대량의 어류 폐사를 유발할 수 있다.[28]
1950년대부터 많은 종들이 빅토리아 호에 도입되었고, 침입성 종이 되어 많은 고유종 하플로크로미스 시클리드의 멸종에 주요 원인이 되었다.[38] 도입된 종 중에는 붉은가슴 (''Coptodon rendalli''), 붉은배 (''C. zillii''), 나일 (''Oreochromis niloticus''), 파랑점틸라피아 (''O. leucostictus'') 등 여러 틸라피아가 있다.[44][82][84] 이들은 생태계에 심각한 변화를 일으키고, 토착종을 몰아내고 (나일 틸라피아의 경우) 멸종 위기에 놓인 토착 틸라피아와 교배를 하여 토착 어류의 멸종에 기여했지만, 가장 악명 높은 도입종은 크고 매우 포식성인 나일 퍼치 (''Lates niloticus'')였다.[38][44][82]

1980년대 빅토리아 호 북안에서 나일 퍼치가 대번식하여 남쪽으로 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수백 종의 시클리드가 사라졌으며, 그 중 상당수는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 '응게게'(ngege)라고 불리는 고유종 틸라피아 (''Oreochromis esculentus'')도 멸종되었다.
최근 키수무, 무안자, 캄팔라 등 연안 도시의 생활 배수, 연안 농원과 목장의 물 유입, 연안 습지 개발로 인한 소실 등으로 호수가 부영양화되면서 부레옥잠, 골풀 등 외래종 수초가 대번식하여[125] 교통 및 어업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1980년대 말부터 적조도 발생하여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하다.
5. 3. 기타 어종 및 생물
빅토리아호 지역에는 하마, 아프리카발톱없는수달, 점박이목수달, 늪몽구스, 시타퉁가, 보호리드벅, 데파사워터벅, 사탕수수쥐, 자이언트수달땃쥐 등 호수 및 습지와 관련된 포유류가 서식한다.[34] 나일악어와 아프리카 헬멧거북, 변이진흙거북, 윌리엄스진흙거북 등 파충류도 서식하며, 특히 윌리엄스진흙거북은 빅토리아호와 상부 나일 분지에서만 발견된다.[35]빅토리아호는 과거 어류가 매우 풍부했지만, 1940년대 이후 많은 고유종이 멸종되었다.[38] 특히 500종 이상(거의 모두 고유종)을 차지하는 하프로크로미스 시클리드(''Haplochromis'' ''sensu lato'')는[22][39][40] 약 300종이 아직 미기재 종으로 추정될 정도로 다양하다.[41] 이는 말라위호를 제외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어종 수이며,[42] 지난 15,000년 동안 급격한 적응 방산의 결과이다.[22][39][43] 이들의 다양성과 진화 속도는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 주제였다.[39][44] 빅토리아 하프로크로미스는 교가호, 에드워드호–조지호, 알버트호, 키부호 등 인근 호수 종을 포함하는 더 큰 그룹의 일부이다.[22][39]
빅토리아 하프로크로미스는 수컷이 밝고 암컷이 칙칙한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48] 생태도 다양하여 부식식자, 플랑크톤 식자(동물플랑크톤), 곤충 식자, 새우를 먹는 종, 연체동물 식자, 어식자 등 최소 16개 그룹으로 나뉜다.[44] 나일 퍼치의 포식, 부영양화 등으로 인해 최소 200종(약 40%)이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40][44][49] 100종 이상의 미기재 종도 포함된다.[41] 일부는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나일 퍼치가 감소하면서 재발견되기도 했다.[44][51] 그러나 여전히 많은 종이 위협받고 있으며, 일부는 인근 호수, 바위, 파피루스 등에서 피난처를 찾거나 호수 변화에 적응하며 생존하고 있다.[51][53][44][49] 적응에는 더 큰 아가미, 먹이 장치 변화, 눈 변화, 더 작은 머리와 큰 미병부 등이 있다.[37][44][54] 어식자, 연체동물 식자, 곤충 식자는 멸종으로 큰 타격을 입었고, 부식식자는 잡종으로 생존하기도 한다.[44] 동물플랑크톤 식자는 비교적 영향을 덜 받았으나 종 구성이 변했다.[37][44] 위협받는 시클리드 종 중 일부는 동물원, 공공 수족관 등에서 보존되고 있으며, 몇몇 종은 야생에서 멸종되었다.[56][57][58][59][60]
하프로크로미스를 제외한 토착 시클리드는 두 종의 심각한 위기에 처한 틸라피아, 싱기다 틸라피아 (''Oreochromis esculentus'')와 빅토리아 틸라피아 (''O. variabilis'')이다.[61][62] 1927–1928년 마이클 그레이엄의 어업 조사에 따르면, ''Tilapia esculenta''는 가장 중요한 식용 어류였다.[63] 조사 어획량에는 ''Haplochromis flavipinnis'', ''Haplochromis gowersii'', ''Haplochromis longirostris'', ''Haplochromis macrognathus'', ''Haplochromis michaeli'', ''Haplochromis nigrescens'', ''Haplochromis prognathus'' 등 현재 멸종된 것으로 여겨지는 Haplochromis 종이 포함되었다.
나일 퍼치 도입과 함께 Haplochromis 시클리드의 멸종 원인으로 호수의 부영양화도 지목된다. 빅토리아호의 영양소는 대부분 호수 바닥 침전물에 갇혀 있으며,[14][64] ''Haplochromis''는 이를 재활용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65][66][67] ''Haplochromis''의 제거는 조류 번성과 어류 폐사를 유발할 수 있다.[28][66][67]
토착 비(非) 시클리드 어류에는 아프리카 테트라(''브리시누스''), 잉어과(''엔테로미우스'', ''가라'', ''라베오'', ''라베오바르부스'', ''라스트리네오볼라'' 및 ''크세노바르부스''), 공기 호흡 메기(''클라리알라베스'', ''클라리아스'' 및 ''크세노클라리아스''), 백다랑어 메기(''바그루스''), 로치 메기(''암필리우스'' 및 ''자이레이크티스''), 실버 버터 메기 (''Schilbe intermedius''), ''시노돈티스'' 스퀴커 메기, ''노토브란키우스'' 킬리피쉬, 포에킬리과(''아플로케일리크티스'' 및 ''마이크로판탁스''), 가시 뱀장어 ''마스타셈벨루스 프레나투스'', 코끼리 물고기(''그나토네무스'', ''히포포타미루스'', ''마르세니우스'', ''모르미루스'', ''페트로케팔루스'' 및 ''폴리미루스''), 등반 구라미 ''크테노포마 무리에이'' 및 대리석 폐어 (''Protopterus aethiopicus'')가 있다.[68] 속 수준에서 대부분은 아프리카 전역에 분포하지만, ''Xenobarbus''와 ''Xenoclarias''는 호수 고유종이며, ''Rastrineobola''는 거의 고유종이다.[68]
빅토리아 호에는 4종의 담수게가 알려져 있다. 나일담수게는 널리 분포하며, 에미니담수게는 부코바 인근에서 기록되었다.[69][70] 엔테베담수게는 엔테베 근처, 부숭웨담수게는 부숭웨 섬에서만 발견된다.[71]

유일한 새우는 ''Caridina nilotica''(나일새우)이며, 흔하고 널리 분포한다.[72][44] 빅토리아 호에는 28종의 담수 달팽이 (예: ''Bellamya'', ''Biomphalaria'', ''Bulinus'', ''Cleopatra'', ''Gabbiella'', ''Melanoides'')가 서식하며, 12종이 고유종/아종이다.[73][74] 17종의 이매패류 (''Corbicula'', ''Coelatura'', ''Sphaerium'', ''Byssanodonta'')가 서식하며, 6종이 고유종/아종이다.[73][75] ''Biomphalaria''와 ''Bulinus''는 빌하르츠병 (주혈흡충증) 기생충의 중간 숙주이며, 인간 감염이 흔하다.[76] 이는 침입성 부레옥잠(달팽이의 최적 서식지) 확산,[77] 호수에서 달팽이를 먹는 시클리드의 감소로 인해 증가할 수 있다.[78]
''Evarcha culicivora''는 빅토리아호 주변에서만 발견되는 깡충거미로, 암컷 모기를 주로 잡아먹는다.[79] 우간다 측 수역 및 호반에는 삼림, 야자, 골풀 및 벌레잡이풀과의 식충식물이 자라는 습지가 많고, 제비갈매기, 황새, 유럽도요, 회색새매, 흰날개검은갈매기 등의 조류 및 코끼리, 물영양 등이 서식한다. 무삼부와 섬과 카게라강 하구의 습지[126], 마사카 부근의 카통가강 하구의 나바주지 습지[127], 나일 퍼치와 주혈흡충이 서식하지 않는 나브가보호[124] 및 캄팔라 교외에 있는 마반바만[128]와 루템베만[129]의 5곳은 람사르 협약 등록지이다.
5. 4. 환경 문제
빅토리아 호는 부영양화 현상을 겪고 있다. 1990~1991년에는 수면 혼합층의 산소 농도가 1960~1961년보다 높았고, 표층수에서는 거의 지속적으로 산소 과포화 상태가 나타났다. 수온약층 아래 깊은 곳의 산소 농도는 1990~1991년에 1960~1961년보다 더 오랫동안 낮았으며, 40m보다 얕은 물에서 1mg/L 미만의 값을 보였다.[26] 이러한 산소 농도 변화는 조류의 양과 생산성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6] 이러한 변화는 호수 분지 내 화재로 인한 그을음과 재의 퇴적,[27] 강을 통한 영양소 유입 증가,[28] 호수 주변 정착과 관련된 오염 증가[29]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했다. 2010년과 2022년 사이에는 빅토리아 호의 표면적이 15% 증가하여[30] 호반 지역 사회가 침수되기도 했다.[31]빅토리아 호는 과거에 많은 고유종을 포함하여 어류가 매우 풍부했지만, 1940년대 이후 이들의 높은 비율이 멸종되었다.[38] 빅토리아호의 주요 어종 그룹은 500종 이상으로 거의 모두 고유종인 하프로크로미스 시클리드(''Haplochromis'' ''sensu lato'')이며,[22][39][40] 약 300종이 아직 미기재 종으로 추정된다.[41] 이는 말라위호를 제외하고 세계 어느 호수보다 많은 어종 수이다.[42] 이들은 지난 약 15,000년 동안의 급격한 적응 방산의 결과이다.[22][39][43]
빅토리아 하프로크로미스는 뚜렷한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수컷은 비교적 밝은 색, 암컷은 칙칙한 색),[48] 생태는 매우 다양하여 부식식자, 플랑크톤 식자(동물플랑크톤), 곤충 식자, 새우를 먹는 종, 연체동물 식자 및 어식자를 포함한 최소 16개 그룹으로 나뉜다.[44] 도입된 나일 퍼치의 포식, 부영양화 및 생태계의 기타 변화로 인해 빅토리아호 하프로크로미스 종의 최소 200종(약 40%)이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40][44][49] 100종 이상의 미기재 종을 포함한다.[41]
나일 퍼치의 도입뿐만 아니라, ''Haplochromis'' 속 시클리드의 멸종은 호수의 부영양화도 그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Haplochromis''는 detritus와 플랑크톤을 다시 용액으로 되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5][66][67] 약 80%의 ''Haplochromis'' 종이 detritus를 먹고 서로를 먹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영양소와 생물량을 수직 및 수평으로 수주를 통해 이동시키고 심지어 인간과 육상 동물의 포식을 통해 호수 밖으로 이동시키는 촘촘한 내부 재활용 시스템을 나타냈다. 그러나 ''Haplochromis''의 제거는 조류 번성의 빈도 증가에 기여했을 수 있으며,[28][66][67] 이는 대량의 어류 폐사를 유발할 수 있다.[28]
물 히아신스는 빅토리아 호에서 주요한 침입 외래종이 되었다. 지난 30년 동안 대량의 미처리 폐수(하수)와 농업 및 산업 폐수가 빅토리아 호로 직접 유입되면서 호수의 질소와 인의 영양 수준이 크게 증가하여 1990년대 후반 호수를 뒤덮은 외래종 물 히아신스의 대규모 성장을 촉발했다.[88][89] 이 침입성 잡초는 호수에서 무산소 상태를 만들어 식물 물질의 분해를 억제하고, 물고기와 사람 모두에게 독성 및 질병 수준을 높인다. 동시에, 식물의 매트 또는 "웹"은 보트와 페리의 기동을 방해하고, 해안가 접근을 방해하며, 수력 발전의 지장을 주고, 산업용수 섭취를 막는다.[88][90][91][92][93]
빅토리아 호의 오염은 주로 호수로의 생 하수 방류, 가정 및 산업 폐기물 투기, 농장의 비료 및 화학 물질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빅토리아 호 유역은 일반적으로 농촌 지역이지만 키수무, 키시, 호마 베이, 캄팔라, 진자, 엔테베, 부코바, 므완자, 무소마 등 주요 도시와 마을이 호숫가에 산재해 있다. 이들 도시와 마을에는 일부 화학 물질을 호수나 유입 강으로 직접 배출하는 많은 공장도 있다. 호수 주변의 작은 해변과 지방 당국은 적절한 하수 처리 시설을 갖추지 못해 오염 물질이 물로 유입될 수 있다.[99][100] 벌목과 산림 벌채 행위의 증가는 이 지역 주변의 환경 파괴를 초래하여 오염 화학 물질의 흡수를 감소시키고 수질을 악화시켰다.[102]
6. 어업

빅토리아호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내륙 어업을 지원한다(1997년 기준).[80] 초기에는 틸라피아와 해프로크로미스 시클리드를 포함한 토착 어종이 어업의 중심이었지만, 메기(''Bagrus'', ''Clarias'', ''Synodontis'' 및 실버 버터 메기), 코끼리 물고기, 닝구(''Labeo victorianus'') 및 대리석 폐어(''Protopterus aethiopicus'')도 잡혔다.[81][82] 20세기 전반, 남획으로 인해 틸라피아와 닝구(''Labeo victorianus'')를 포함한 일부 토착 어종은 이미 감소했다.[44][83]
1950년대, 어획량 증가를 위해 여러 종의 외래 틸라피아와 나일 퍼치가 호수에 도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까지 토착 어종이 어업을 지배했지만, 이후 토착 어종의 감소와 함께 외래 나일 틸라피아(현재 어획량의 7%), 외래 나일 퍼치(60%), 토착 빅토리아 호 정어리(30%)로 어획 어종이 크게 변화했다.[44][82] 작은 크기의 빅토리아 호 정어리는 풍부했지만, 다른 토착 어종이 감소하기 전까지는 소규모 어업만 이루어졌다.[82] 1990년대 초, 빅토리아 호에서는 연간 500000ton의 나일 퍼치가 어획되었지만, 이후 몇 년 동안 어획량이 크게 감소했다.[44]
7. 사회경제적 중요성
빅토리아 호 주변은 비옥한 평원과 완만한 지형 덕분에 농경에 적합하여 동아프리카에서 인구가 가장 밀집된 지역 중 하나이다. 2010년 인구 밀도는 1km2당 200명을 돌파했으며, 5개국에 걸쳐 있는 집수역의 인구는 2500만 명에 달한다.[114][115] 호숫가에는 우간다의 수도 캄팔라를 비롯하여 엔테베, 진자, 케냐의 키수무, 탄자니아의 므완자와 부코바 등의 대도시들이 있다.[114][115]
주변 지역에서는 면화, 커피, 사탕수수, 차 등의 수출용 작물과 바나나, 옥수수, 수수 등의 자급용 작물이 재배된다. 주요 민족으로는 우간다 북서안의 안콜레족, 북안의 간다족, 동쪽의 소가족, 케냐 북동안의 루오족, 루히야족, 칼렌진족, 탄자니아 남안의 수쿠마족, 냐무에지족, 서안의 하야족 등이 있다.
진자에 있는 오웬 폭포 댐은 1952년에 건설된 이 지역 최대의 댐으로, 케냐에 전력을 수출한다. 이 댐 덕분에 진자는 오랫동안 우간다 최대의 공업 도시였으며, 섬유 산업과 제당업이 발달했다. 남안의 므완자는 면화 재배 지대의 중심지로 면직물 공업이 발달해 있다.
빅토리아 호는 국제 수역으로서 연안 3국(우간다, 탄자니아, 케냐) 교통의 요지이다. 키수무, 캄팔라, 므완자, 부코바 등을 기점으로 호반의 각 촌락이나 섬으로 가는 배편이 있으며, 이들 도시 간을 잇는 국제선도 운항한다. 1900년대부터 빅토리아호 페리는 이들 국가 간 중요한 교통 수단이었다. 그러나 과적과 노후화로 인한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1996년에는 페리 '부코바'호가 침몰하여 1,000명 이상이 사망했고, 2018년에는 우카라 섬에서 페리 니에레레(Sinking of MV Nyerere)호가 전복되어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대형 참사가 발생하기도 했다.[110][111]
1901년 영국이 건설한 우간다 철도가 서안의 키수무에 도달하면서 본격적인 교통 정비가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호수 주변 농작물의 저렴한 수출 길이 열리고 농업 개발이 가속화되었다. 키수무의 철도와 연결된 수상 교통이 번성하게 된 것도 이 시기부터이다. 철도는 1931년 북안의 캄팔라까지 연결되었고, 남안에서는 탕가니카 철도가 1928년 므완자까지 도달하여 호수에서 외부로 나가는 주요 경로 중 하나가 되었다.
7. 1. 수자원 이용
많은 읍, 면, 도시들이 식수 공급, 농업 및 기타 용도로 빅토리아 호수에 의존하고 있다.[107] 라마디 상수도 계획은 빅토리아 호반의 음와자, 그리고 라마디, 미숭위, 마구, 부코바, 무소마의 위성 도시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수도 및 위생 프로젝트이다. 유럽 투자 은행은 2013년, 호수의 환경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호수 오염의 일부인 도시들에 상수도 및 위생 시설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약 100만 명에게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고, 10만 명에게 개선된 위생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퇴적물과 부유 고형물은 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모래를 사용하여 걸러진다. 그런 다음 물은 염소 처리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처리될 준비가 된다. 모래 여과는 수인성 질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지역 환경의 사용을 기반으로 한다.
빅토리아호의 유일한 유출구는 우간다 진자에 있으며, 이곳에서 빅토리아 나일강을 형성한다. 최소 12,000년 동안 물은 자연 암석 보를 가로질러 흘러갔다. 1952년, 식민지 우간다 정부를 위해 일하는 엔지니어들은 호수 수위를 조절하고 암석 보의 점진적인 침식을 줄이기 위해 인공 댐으로 대체하기 위해 보를 폭파시켰다. "합의된 곡선"이라고 불리는 옛 유출 속도를 모방하는 표준이 설정되었으며, 호수의 수위에 따라 최대 유속을 초당 300~1,700 세제곱미터 (초당 392–2,224 세제곱 야드)로 설정했다.
2002년, 우간다는 세계 은행의 지원을 받아 이 지역에 두 번째 수력 발전 단지인 키이라 수력 발전소를 완공했다. 2006년까지 빅토리아 호수의 수위는 80년 만에 최저 수준에 도달했고, 케냐 나이로비에 거주하는 독립적인 수문학자인 다니엘 쿨은 우간다에서 합의에 따라 허용된 양의 약 두 배에 달하는 물을 방류하고 있으며,[109] 호수 수위의 최근 감소에 주로 책임이 있다고 계산했다.
빅토리아 호가 받는 물의 80%는 호수 표면에 직접 내리는 강수이다.[114] 호수로부터의 증발은 연간 평균 2m에서 2.2m이며, 호반 지역의 강수량의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118] 호수의 체류 기간은 약 140년이다. 케냐 국내에서는, 시오 강, 은조이아 강, 야라 강, 냐도 강, 손두-밀리우 강, 모그시 강, 미고리 강 등이 빅토리아 호로 흘러든다. 이들 강을 합한 유입량은, 호수의 서쪽으로 흘러드는 빅토리아 호 수계 최대의 지류인 카게라 강보다 많아진다.[119] 이 외에도, 탄자니아에서는 호수 동부에 마라 강, 구르메티 강, 뭄발라게티 강, 시미유 강, 호수 서부에는 최대 지류인 카게라 강, 우간다에서는 서부에 카통가 강 등이 흘러든다. 이들 하천은 영양염류가 풍부하여, 빅토리아 호를 풍요로운 호수로 만들고 있다.
빅토리아 호 주변은 특히 북부에 비옥한 평원이 넓게 펼쳐져 있고, 남부에도 평원이 있으며, 동부와 서부는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대체로 완만한 지형이다. 또한, 주변에는 산악 지대가 많고 강수량이 많은 지대인 데다, 빅토리아 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비를 가져오기 때문에 호수 주변은 연간 강수량이 1200mm를 넘어 농경에 적합하다. 따라서 빅토리아 호안 지역은 동아프리카 유수의 인구 밀집 지역이 되었으며, 인구 밀도는 2010년에는 1km2당 200명을 돌파하여 계속 증가하고 있다. 5개국에 걸쳐 있는 집수역의 인구는 2500만 명에 달한다. 호안에는 최대 도시인 북안 우간다 수도 캄팔라를 비롯하여, 북안 우간다의 엔테베 및 진자, 동안 케냐의 키수무, 남안 탄자니아의 므완자 및 부코바 등의 대도시가 산재해 있다. 주변에서는 특히 수출용 작물로 면화 및 커피, 사탕수수, 동안 케냐령의 차, 자급용 작물로는 특히 북안 및 서안에서 바나나, 전역에서 옥수수 및 수수 등이 재배되고 있다. 민족으로는 우간다에 속하는 북서안의 안콜레족, 북안의 간다족, 그 동쪽의 소가족, 케냐에 속하는 북동안의 루오족 및 루히야족, 칼렌진족, 탄자니아에 속하는 남안의 수쿠마족 및 냐무에지족, 서안의 하야족 등이 큰 민족 그룹이다. 진자에 있는 오웬 폭포 댐은 1952년에 건설된 것으로, 이 지역 최대의 댐이며, 케냐로 전력을 수출하고 있다. 또한, 이 댐의 전력으로 인해 진자는 오랫동안 우간다 최대의 공업 도시가 되었으며, 섬유 산업 및 제당업이 발달했다. 또한 남안의 므완자는 면화 재배 지대의 중심지이며, 면직물 공업 등이 입지해 있다.
7. 2. 교통

1900년대부터 빅토리아호 페리는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 간의 중요한 교통 수단이었다. 호수의 주요 항구는 키수무, 므완자, 부코바, 엔테베, 포트 벨, 진자이다. 1963년까지 가장 빠르고 새로운 페리인 MV ''빅토리아''는 로열 메일 선박으로 지정되었다. 1966년, 케냐와 탄자니아 간의 기차 페리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1996년 5월 21일, 페리 MV ''부코바''가 호수에서 침몰하여 800명에서 1,000명의 사망자를 내면서 아프리카 최악의 해상 재난 중 하나가 되었다.[110] 2018년 9월 20일에는 탄자니아에서 여객 페리 MV 니에레레가 침몰하면서 200명 이상이 사망했다.[111]
빅토리아 호는 국제 수역이며, 연안 3국의 교통의 요지이다. 키수무, 캄팔라, 므완자, 부코바 등을 기점으로, 호반의 각 촌락이나 호수에 떠 있는 세세 제도, 우케레웨 섬으로의 선편이 발착하며, 또한 상기 네 도시 간 등을 잇는 국제선도 취항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과적재와 노후화로 인한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1996년에는 페리 '부코바'호가 정원의 3배 이상 과적재로 침몰, 1,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다. 그 후에도 상황은 개선되지 않아, 2010년에는 우간다 영해 내에서 페리 전복 사고가 발생했다. 2018년 9월 20일에도 우카라 섬에서 페리 니에레레(Sinking of MV Nyerere)가 전복 사고를 일으켜 161명이 사망했다.
빅토리아 호는 옛날부터 연안 여러 민족의 교역 루트였지만, 본격적인 교통 정비가 시작된 것은 1901년 영국에 의해 건설된 우간다 철도가 서안의 키수무에 도달한 이후이다. 이에 따라 호수 주변의 농작물의 저렴한 수출 루트가 열리고, 주변의 농업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었다. 키수무의 철도 교통에 접속한 수상 교통이 번성하게 된 것도 이때부터이다. 철도는 더욱 지선을 뻗어, 1931년에는 북안의 캄팔라에까지 도달했다. 한편, 남안에서도 탕가니카 철도가 1928년에 므완자까지 도달하여, 호수에서 외부로의 주요 루트 중 하나가 되었다.
8. 국제 관계
1858년 영국 탐험가 존 해닝 스피크가 유럽인으로는 처음으로 이 호수의 존재를 확인했다. 그는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과 함께 나일강의 수원지를 찾는 탐험을 하던 중 빅토리아호를 발견하고 당시 영국 여왕 빅토리아의 이름을 따서 "빅토리아호"라고 명명했다.[56] 그러나 스피크의 탐험으로는 빅토리아호가 나일강의 수원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증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탕가니카호를 나일강의 수원이라고 생각하는 버튼과 큰 논쟁이 벌어졌다.[32]
이 논쟁을 해결하기 위해 스피크는 다시 탐험을 기획했고, 1862년 7월 28일 빅토리아호 북쪽에서 큰 강이 북쪽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확인하고 리폰 폭포라고 이름 붙였다.[59] 1875년 미국 탐험가 헨리 모턴 스탠리가 리폰 폭포를 확인하고 호수를 일주함으로써 빅토리아호가 나일강의 수원지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했다.[131]
식민지 시대에는 호반 지역이 모두 영국령이었기 때문에 교역이 활발했다. 독립 후 연안 3국(케냐, 우간다, 탄자니아)은 동아프리카 공동체를 결성하여 경제 통합을 추진했으나, 3국의 노선 대립, 우간다의 정치 혼란, 경제 침체로 인해 1977년 공동체가 붕괴되었다. 특히 1978년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은 양국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후 3국 간 관계가 회복되고 2001년 동아프리카 공동체가 재결성되었으며, 2005년에는 관세 동맹도 체결되어 교류가 다시 활발해졌다.
1994년부터 세계 은행 주도로 빅토리아호 환경 관리 프로젝트가 실시되어 빈곤 감소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계획이 실행되었다.[132]
1999년에는 나일강 유역 국가들이 나일강 유역 이니셔티브(NBI)를 결성하여 나일강의 종합 개발 및 수자원 배분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수자원 배분이 하류의 이집트에 유리하게 되어 있어 상류 국가들의 불만이 컸고, 2010년 "나일 유역 협력 틀 협정"이 제안되었으나 이집트와 수단의 반대로 대립이 심화되었다.[133]
2009년에는 미긴고 섬의 영유권을 두고 케냐와 우간다 간의 분쟁이 격화되기도 했다.[134]
참조
[1]
간행물
Basin, Lake Victoria Watershed (inside), vector polygon, ~2015
Harvard Dataverse
[2]
간행물
Shoreline, Lake Victoria, vector polygon, ~2015
Harvard Dataverse
[3]
서적
Lake Victoria Statistics from this Dataverse
Harvard Dataverse
[4]
웹사이트
Database for Hydrological Time Series of Inland Waters (DAHITI) – Victoria, Lake'
http://dahiti.dgfi.t[...]
2017-04-20
[5]
문서
Ziwa Viktoria
[6]
간행물
Shoreline, Lake Victoria, vector polygon, ~2015
Harvard Dataverse
2016-10-05
[7]
서적
Lake Victoria Statistics from this Dataverse
Harvard Dataverse
2018-11-13
[8]
웹사이트
Lake Victoria
http://www.eoearth.o[...]
[9]
웹사이트
Lake Victoria
https://www.britanni[...]
[10]
간행물
Bathymetry TIFF, Lake Victoria Bathymetry, raster, 2017, V7
Harvard Dataverse
2018-05-17
[11]
문서
Development and Harmonisation of Environmental Laws Volume 1: Report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in the Lake Victoria Basin
United Nations
[12]
간행물
Basin, Lake Victoria Watershed (inside), vector polygon, ~2015
2017-11-12
[13]
서적
Shoreline, Lake Victoria, vector line – 2015 – LakeVicFish Dataverse
Harvard Dataverse
2016-10-11
[14]
서적
Tropical Inland Fisheries
https://archive.org/[...]
Longmans
[15]
문서
A catalogue of fishing methods and gear used in Lake Victoria
UNDP/FAO Regional Project for Inland Fisheries Development (IFIP), FAO RAF/87/099-TD/19/91 (En). Rom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16]
웹사이트
The Victoria. The Land, the Races and their Customs, with Specimens of Some of the Dialects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2-18
[17]
웹사이트
Lake Ukerewe
https://ntz.info/gen[...]
David Marsh
2020-10-17
[18]
뉴스
How feud wrecked the reputation of explorer who discovered Nile's source
https://www.theguard[...]
2013-12-29
[19]
서적
The White Nile
Harper & Row
[20]
서적
Africa
https://archive.org/[...]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1]
간행물
Fluvial Differentiation in the Basin of Lake Victoria
https://www.jstor.or[...]
1970
[22]
간행물
Origin of the Superflock of Cichlid Fishes from Lake Victoria, East Africa
http://nbn-resolving[...]
[23]
간행물
Abrupt onset and termination of the African Humid Period
2000-01
[24]
서적
Studies in East African Geography and Development
Heinemann Educational Books Ltd.
[25]
서적
Source Book for the Inland Fishery Resources of Africa, Issue 18, Volume 1
https://books.googl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United Nations
2016-01-04
[26]
간행물
Deoxygenation of the deep water of Lake Victoria, East Africa
https://www.research[...]
[27]
간행물
The eutrophication of Lake Victoria
[28]
간행물
Observations on blue-green algal blooms in the open waters of Lake Victoria, Kenya
[29]
뉴스
Environmental and Social Management Framework-ESMF
https://ewsdata.righ[...]
2018-03
[30]
웹사이트
Rising Water Levels in Kenya's Rift Valley Lakes, Turkwel Gorge Dam and Lake Victoria
http://www.environme[...]
2022-03-16
[31]
웹사이트
A drowning world: Kenya's quiet slide underwater
https://www.theguard[...]
2022-03-17
[32]
간행물
Bathymetry TIFF, Lake Victoria Bathymetry, raster, 2016 – LakeVicFish Dataverse
Harvard Dataverse
2018-05-17
[33]
웹사이트
LV_Bathy
http://faculty.salis[...]
2016-10-24
[34]
서적
The Kingdon Guide to African Mammals
Academic Press Limited, London
[35]
서적
A Field Guide to the Reptiles of East Africa
Academic Press, London
[36]
간행물
"''Haplochromis nyererei''"
2016
[37]
논문
Recovery of cichlid species in Lake Victoria: an examination of factors leading to differential extinction
https://boris.unibe.[...]
[38]
논문
Species extinction and concomitant ecological changes in Lake Victoria
[39]
논문
Ancient hybridization fuels rapid cichlid fish adaptive radiations
[40]
뉴스
Dark secret of the lake.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4-02-28
[41]
간행물
Freshwater biodiversity in the Lake Victoria Basin: Guidance for species conservation, site protection, [[climate resilience]] and sustainable livelihoods.
Cambridge, UK and Gland, Switzerland: IUCN
2018
[42]
논문
How many species of cichlid fishes are there in African lakes?
[43]
논문
The late Pleistocene desiccation of Lake Victoria and the origin of its endemic biota
[44]
논문
Fisheries and cichlid evolution in the African Great Lakes: progress and problems
[45]
서적
East African Ecosystems and Their Conservation
[46]
간행물
Haplochromis thereuterion
2010
[47]
웹사이트
"'Haplochromis' thereuterion"
http://www.cichlid-f[...]
[48]
논문
Prevalence of disruptive selection predicts extent of species differentiation in Lake Victoria cichlids
2018
[49]
논문
Adaptive responses in resurgent Lake Victoria cichlids over the past 30 years
[50]
논문
Cascading Effects of the Introduced Nile Perch on the Detritivorous/Phytoplanktivorous Species in the Sublittoral Areas of Lake Victoria
[51]
웹사이트
Geographic Patterns
http://www.iucnredli[...]
IUCN Red Lists
[52]
서적
Conservation Biology: For the Coming Decade
[53]
논문
Wetland ecotones as refugia for endangered fishes
[54]
논문
Two new species of zooplanktivorous haplochromine cichlids from Lake Victoria, Tanzania
[55]
논문
A pharyngeal jaw evolutionary innovation facilitated extinction in Lake Victoria cichlids
[56]
뉴스
Study shows evolution does not always mean more diversification.
https://phys.org/new[...]
Phys.org, press release
2015-11-27
[57]
서적
Biodiversity Dynamics and Conservation: The Freshwater Fish of Tropical Africa
[58]
웹사이트
"New to the hobby Haplochromines"
http://www.cichlid-f[...]
[59]
웹사이트
"Looking At Victoria Cichlids"
http://www.wetwebmed[...]
[60]
웹사이트
"Progress in breeding freshwater fish"
http://www.bostonaqu[...]
Boston Aquarium Society
2015-05-25
[61]
간행물
"''Oreochromis esculentus''"
2006
[62]
간행물
"''Oreochromis variabilis''"
2006
[63]
서적
The Victoria Nyanza and Its Fisheries: A Report on the Fish Survey of Lake Victoria 1927–1928 and Appendices
London: Crown Agents for the Colonies
[64]
논문
Fishery research in the lakes of East Africa
[65]
웹사이트
The lessons of Lake Victoria Uganda
http://www.gulgasht.[...]
[66]
논문
Evolutionary and conservation biology of cichlid fishes as revealed by faunal remnants in northern Lake Victoria
[67]
논문
Cascading effects of the introduced Nile perch on the detrivorous/phytoplantivorous species in sublittoral areas of Lake Victoria
[68]
웹사이트
Fish Species in Victoria
http://www.fishbase.[...]
FishBase
[69]
서적
"Freshwater Crabs and Shrimps (Crustacea: Decapoda) of the Nile Basin"
Springer, New York
[70]
간행물
"''Potamonautes emini''"
2016
[71]
논문
Description of three new species of Potamonautes MacLeay, 1838 from the Lake Victoria region in southern Uganda, East Africa (Brachyura: Potamoidea: Potamonautidae)
[72]
논문
The shrimp Caridina nilotica in Lake Victoria (East Africa), before and after the Nile perch increase
[73]
서적
Freshwater molluscs of Africa: diversity,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74]
서적
Freshwater snails of Africa and their medical importance.
[75]
논문
The diversity of benthic molluscs of Lake Victoria and Lake Burigi
[76]
뉴스
The snails spreading fever across Africa
https://edition.cnn.[...]
CNN
2016-02-09
[77]
웹사이트
Lake Victoria: A Sick Giant
http://faculty.fgcu.[...]
People & the Planet
2018-05-16
[78]
웹사이트
Haplochromine Cichlids of Lake Victoria
https://www.ecologyc[...]
ecologycenter.us
2018-05-16
[79]
논문
Use of Anopheles-Specific Prey-Capture Behavior by the Small Juveniles of Evarcha culicivora, a Mosquito-Eating Jumping Spider
https://www.biodiver[...]
2005
[80]
학위논문
The Regulators and the regulated: fisheries management, options and dynamics in Kenya's Lake Victoria Fishery
http://ethos.bl.uk/O[...]
University of Sussex
[81]
웹사이트
Lake Victoria Fisheries: An introduction
http://www.lvfo.org/[...]
2017-03-27
[82]
논문
Exotic introductions to the fishery of Lake Victoria: What are the management options?
http://karuspace.kar[...]
[83]
간행물
Labeo victorianus
2016
[84]
간행물
The Origins of the Nile Perch in Lake Victoria.
https://academic.oup[...]
[85]
간행물
[86]
논문
A Lake to Serve: The Exploration, Modification, and Degradation of Lake Victoria, 1920s to 1960s
https://www.tandfonl[...]
2022-07-22
[87]
웹사이트
Nile Perch and the Future of Lake Victoria
http://www.homehighl[...]
2015-01-11
[88]
간행물
Lake Victoria water resources management challenges and prospects: a need for equitable and sustainable institutional and regulatory frameworks
2008-08-01
[89]
논문
Micro-invertebrate fauna of water hyacinth in Kenyan waters of Lake Victoria
[90]
간행물
"Lake Victoria Fish Stocks and the Effects of Water Hyacinth"
2009-01-01
[91]
간행물
'Water Hyacinth: An Environmental Disaster in the Winam Gulf of Lake Victoria and its Control'
[92]
논문
Species inventory and the local uses of the plants and fishes of the Lower Sondu Miriu wetland of Lake Victoria, Kenya
[93]
간행물
"The Rise and Fall of Water Hyacinth in Lake Victoria and the Kagera River Basin, 1989-2001"
2004-01-01
[94]
서적
Our planet: How much more can earth take?
Haus
[95]
간행물
'Biological Control of Water Hyacinth on Lake Victoria, Kenya'
[96]
간행물
'Water hyacinth control in Tanzania'
[97]
간행물
Africa's lakes: Atlas of our changing environment
UNEP
[98]
서적
Conservation, ecology, and management of African fresh waters
University Press of Florida
[99]
웹사이트
Toxic dump: The poisons killing lake Victoria
https://www.nation.c[...]
2020-02-18
[100]
논문
Occurrence, distribution, and ecotoxicological risk assessment of selected pharmaceutical compounds in water from Lake Victoria, Uganda
http://urn.kb.se/res[...]
2020-01
[101]
뉴스
Water Hyacinth Re-invades Lake Victoria
http://earthobservat[...]
NASA
2007-02-21
[102]
웹사이트
Scientists raise concerns over pollution of Lake Victoria
https://www.standard[...]
2020-02-18
[103]
웹사이트
LakeVicFish Dataverse
https://dataverse.ha[...]
2020-05-27
[104]
서적
River of the Gods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105]
문서
[106]
웹사이트
Kenya, Africa – Lake Victoria in Kenya
https://archive.toda[...]
Jambo Kenya Network
2008-07-14
[107]
웹사이트
Lake Victoria
https://www.britanni[...]
2020-08-24
[108]
웹사이트
Development Solutions: Creative flow
https://www.eib.org/[...]
2020-08-24
[109]
간행물
Uganda pulls plug on Lake Victoria
https://web.archive.[...]
2006-02-09
[110]
뉴스
Diver's recover 180 bodies from Africa's worst ferry disaster
https://newspaperarc[...]
2018-04-06
[111]
웹사이트
Ferry tragedy: More than 200 feared dead in Tanzania
https://www.theeasta[...]
2020-02-18
[112]
뉴스
19 dead after commercial aircraft crashes into Lake Victoria in Tanzania
https://www.cnn.com/[...]
2022-11-06
[113]
뉴스
Passenger plane crashes into Lake Victoria in Tanzania, 19 dead
https://www.reuters.[...]
2022-11-06
[114]
서적
Tropical Inland Fisheries
Longmans
[115]
문서
A catalogue of fishing methods and gear used in Lake Victoria
UNDP/FAO Regional Project for Inland Fisheries Development (IFIP), FAO RAF/87/099-TD/19/91 (En). Rom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116]
서적
キリマンジャロの雪が消えていく―アフリカ環境報告
岩波書店
2009
[117]
문서
Development and Harmonisation of Environmental Laws Volume 1: Report on the Legal and Instituional Issues in the Lake Victoria Basin
United Nations
[118]
서적
Studies in East African Geography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Heinemann Educational Books Ltd.
[119]
간행물
The river fisheries of Kenya 1: Nyanza Province
[120]
뉴스
タンザニア大使が抗議!「ダーウィンの悪夢」アフリカのイメージ壊す
http://hochi.yomiuri[...]
2006-12-06
[121]
웹사이트
公開は悪夢!駐日大使が「ダーウィンの悪夢」配給会社に抗議
http://www.zakzak.co[...]
産経デジタル
2019-04-12
[122]
웹사이트
GUARDO 知るための映画 2007.01 森達也×綿井健陽『ダーウィンの悪夢』を語る vol.2 - VAGANCE update :07.01.22
http://www.extravaga[...]
[123]
웹사이트
「世界一危険」な湖? 毎年5000人が死亡 ビクトリア湖
https://www.cnn.co.j[...]
CNN
2013-02-17
[124]
웹사이트
Lake Nabugabo wetland system
https://rsis.ramsar.[...]
2004-02-11
[125]
뉴스
Water Hyacinth Re-invades Lake Victoria
http://earthobservat[...]
NASA
2007-02-21
[126]
웹사이트
Sango Bay-Musambwa Island-Kagera Wetland System (SAMUKA)
https://rsis.ramsar.[...]
2006-09-15
[127]
웹사이트
Nabajjuzi Wetland system
https://rsis.ramsar.[...]
2006-09-15
[128]
웹사이트
Mabamba Bay Wetland System
https://rsis.ramsar.[...]
2006-09-15
[129]
웹사이트
Lutembe Bay Wetland System
https://rsis.ramsar.[...]
2006-09-15
[130]
서적
ケニアを知るための55章
明石書店
2012-07-01
[131]
서적
アフリカを知る事典
平凡社
1989-02-06
[132]
웹사이트
国際水域の管理
http://web.worldbank[...]
世界銀行東京事務所
2019-04-12
[133]
웹사이트
ナイル川流域国間の水資源問題
https://www.jica.go.[...]
独立行政法人 国際協力機構
2019-04-12
[134]
웹사이트
島覆いつくすトタンの家々、漁場めぐり2国が対立 アフリカ・ビクトリア湖
https://www.afpbb.co[...]
AFP
2018-11-24
[135]
뉴스
アフリカ 縮む巨大湖、蚊の巣窟に マラリアが高地にも
http://www.asahi.com[...]
2008-03-09
[136]
OSM
https://www.openstre[...]
[137]
웹인용
The Victoria Nyanza. The Land, the Races and their Customs, with Specimens of Some of the Dialects
https://web.archive.[...]
World Digital Library
2013-02-18
[138]
웹인용
Lake Ukerewe
https://ntz.info/gen[...]
David Marsh
2020-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