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 하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어 하키는 에어 테이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으로, 1972년 브런스윅에 의해 발명되었다. 얇은 디스크인 퍽과 말렛을 사용하여, 공기 구멍을 통해 공기 쿠션을 생성하는 테이블 위에서 두 명의 플레이어가 서로의 골대에 퍽을 넣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미국 에어하키 협회(USAA)와 에어 하키 선수 협회(AHPA)가 설립되어 토너먼트를 개최하며, USAA 에어 하키 월드 챔피언십과 AHPA 세계 선수권 대회가 주요 대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어 하키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전기 기계, 아케이드, 테이블 스포츠, 바 스포츠 |
| 플레이어 수 | 2 |
| 필요한 능력 | 재주, 민첩성, 손과 눈의 협응력, 반응 시간 |
| 시작 연도 | 1973년 |
2. 역사
에어 하키는 에어 테이블이라는 오래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이다. 에어 테이블은 판지 상자와 같이 무거운 물체가 테이블 표면 위를 쉽게 미끄러지도록 하는 컨베이어 기술로 시작되었다. 1940년대의 초기 에어 테이블에는 볼 베어링으로 막힌 비교적 큰 구멍이 있었다. 테이블 위에 놓인 물체는 공을 누르게 하여 공기가 빠져나가 물체를 테이블에서 약간 들어 올렸다.[4]
에어 하키는 테이블 양쪽 끝에 있는 골대에 퍽을 넣어 점수를 얻는 게임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1967년까지 이 기술은 정교해져서 초등학교 물리학을 가르치는 도구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테이블 상판은 섬유판 또는 플렉시글라스 시트 사이에 벌집 구조가 있는 샌드위치였다. 상단 표면에는 작은 구멍 그리드가 뚫려 있었고, 보드 사이의 공간에는 저압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에어 퍽"이 표면 위를 떠다닐 수 있었다.[5][6]
1968년, 세가는 에어 하키와 유사한 아케이드 전기 기계 게임인 ''모토폴로''를 출시했다. 폴로를 기반으로 한 이 게임은 두 명의 플레이어가 캐비닛 내부에서 소형 모터사이클을 움직이며 각 플레이어가 상대방의 골대에 공을 넣으려고 시도하는 게임이었다.[7][8]
에어 하키는 1969년부터 1972년까지 브런스윅 빌리어드 직원 그룹에 의해 만들어졌다.[9] 1969년, 브런스윅 엔지니어 3인조인 필 크로스만, 밥 켄릭, 브래드 볼드윈은 마찰이 적은 표면을 사용하는 게임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몇 년 동안 정체되었지만, 이후 밥 르뮤에 의해 부활했다. 그는 아이스 하키의 추상화된 버전을 구현하는 데 집중하여 얇은 디스크, 두 개의 스트라이커, 그리고 광 검출기가 장착된 슬릿 형태의 골대를 사용했다. 이후 이 게임이 더 많은 시장에 어필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에어 하키는 일반 대중에게 판매되었다. 원본 특허는 크로스만, 켄드릭, 르뮤[10][11]뿐만 아니라 에어 테이블에 대한 초기 연구를 언급한다.
이 게임은 즉각적인 재정적 성공을 거두었고, 1970년대 중반에는 토너먼트 경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1973년 초부터 휴스턴의 선수들은 휴스턴 에어 하키 협회를 결성했고, 곧이어 텍사스 에어 하키 선수 협회를 결성하여 규칙을 제정하고 휴스턴 펍 Carnabys와 Damians, 그리고 휴스턴 대학교에서 열리는 지역 토너먼트를 통해 이 스포츠를 홍보했다.
미국 에어 테이블 하키 협회(USAA)는 1975년 J. 필립 "필" 아놀드에 의해 주로 공식적인 제재 기관으로 설립되었다.[12] USAA는 설립 이후 매년 최소 한 번의 전국 수준 또는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여 30년 동안 12명의 다른 챔피언을 배출했다. 2015년 3월, 에어 하키 선수 협회(AHPA)가 발표되었고, 에어 하키 선수들에게 에어 하키 스포츠를 감독하는 추가적인 조직을 제공하고 있다.[13] 이 두 조직은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비슷한 규칙을 따르고 많은 동일한 선수들을 공유한다. 2015년 7월, AHPA는 최초의 세계 챔피언을 배출했으며, 이 챔피언은 텍사스 주 보몬트 출신의 콜린 커밍스로, 이 스포츠 역사상 최연소 챔피언이었다.
오늘날, 프로 에어 하키는 전 세계의 끈끈한 커뮤니티에서 진지한 선수들에 의해 플레이되며, 휴스턴, 샌프란시스코, 새크라멘토, 로스앤젤레스, 노스캐롤라이나, 샌디에이고, 덴버, 시카고, 뉴욕, 보이시, 그리고 보스턴을 비롯한 미국, 스페인 바르셀로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노브고로드, 체코 모스트와 브르노에서 선수 기반이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다. 1980년대 후반, 베네수엘라 카라카스는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3회 세계 챔피언 호세 모라와 다른 결선 진출자들이 이곳 출신이었다. 1999년까지 베네수엘라의 활동은 대부분 사라졌다.
3. 구성 요소
3. 1. 에어하키 테이블
에어 하키 테이블은 보통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넓고 매끄러운 표면, 퍽과 말렛(막대)이 테이블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는 주변 레일, 그리고 테이블 양쪽 끝에 골대 역할을 하는 슬롯으로 구성된다. 골대 뒤와 아래에는 퍽 반환 장치가 있다. 또한, 대부분 테이블에는 작은 구멍들을 통해 공기를 뿜어내어 퍽과 테이블 표면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는 장치가 있다. 이로 인해 게임 속도가 빨라진다.[1] 일부 테이블은 제조 및 유지 보수 비용 절감을 위해 공기 뿜는 장치 대신 매끄러운 플라스틱 표면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테이블은 엄밀히 말해 '에어' 하키 테이블은 아니지만, 게임 방식의 유사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에어 하키 테이블로 간주된다.[1] 배터리와 팬을 이용해 자체적으로 공기 부양을 하는 퍽도 있지만, 쉽게 파손되어 주로 장난감으로 판매된다.[1]
미국 에어 하키 협회(USAA)와 에어 하키 선수 협회(AHPA)에서 토너먼트 경기로 공인한 테이블은 8피트(약 2.4m) 크기의 테이블뿐이다.[2] 공인된 테이블로는 모든 골드 스탠다드 게임 8피트 테이블, 다이나모 사의 일부 8피트 테이블, 그리고 오리지널 8피트 상업용 브런스윅 테이블이 있다.[2] 경기장에 깜박이는 조명이 있거나, 레일이 칠해져 있거나, 작은 퍽을 사용하는 풀 사이즈 테이블은 토너먼트 경기로 공인되지 않는다.[2] 1.5, 2, 2.5피트 크기의 소형 테이블은 '미니 에어 하키 테이블'이라고 불린다.[2]
에어 하키 테이블은 게임 센터나 볼링장 같은 유원지에 주로 설치된다.[4] 아케이드 게임 기기의 일종으로, 일정 금액의 동전을 넣으면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4] 퍽 배급이나 점수 계산은 (가정용을 제외하고) 대부분 자동으로 이루어진다.[4]
테이블 판 위의 수많은 작은 구멍에서 뿜어져 나오는 공기로 퍽을 띄우는 호버크라프트 방식이기 때문에 '에어 하키'라는 이름이 붙었다.[5] 테이블은 탁구대와 비슷하지만, 퍽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외곽이 둘러싸여 있고, 퍽이 외곽에 부딪히면 반사된다.[5]
최근에는 퍽이 반사될 때 효과음이 나거나, 여러 개의 퍽이 동시에 나오는 등의 기능을 가진 테이블도 등장하고 있다.[6]
3. 2. 말렛 (Mallet)
말렛(골리, 스트라이커 또는 패들이라고도 함)은 테이블 표면에 평평하게 놓이는 납작한 표면에 부착된 간단한 손잡이로 구성된다. 가장 일반적인 말렛인 "하이탑"은 작은 플라스틱 솜브레로와 비슷하지만, 다른 말렛인 "플랫탑"은 짧은 꼭지와 함께 사용된다.
3. 3. 퍽 (Puck)
에어 하키 퍽은 렉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만들어진 디스크이다.[1] 표준 미국 에어 하키 협회(USAA) 및 에어 하키 선수 협회(AHPA) 승인 퍽은 노란색, 빨간색, 녹색이다.[1] 경쟁 경기에서는 얇은 흰색 테이프 층이 위쪽 면에 붙여진다.[1] 퍽은 원형 및 기타 모양(삼각형, 육각형, 팔각형, 사각형)으로도 제공된다.[1] 배터리와 팬을 사용하여 자체 에어 쿠션을 생성하는 퍽도 있지만 파손되기 쉬우므로 일반적으로 장난감으로만 판매된다.[1]
4. 경기 규칙
- 7점을 먼저 얻는 선수가 승리한다.
- 퍽의 첫 소유권은 동전 던지기로 결정된다.
- 선수는 망치의 어떤 부분으로든 퍽을 칠 수 있으며, 각 선수는 하나의 망치만 사용할 수 있다.
- 선수는 상대 골대에 슛을 하기 위해 7초의 시간을 갖는다.
- 득점 후, 선수는 10초 안에 퍽을 다시 플레이 상태로 돌려야 한다.
- 퍽이 센터라인의 어떤 부분과 접촉하면, 어느 선수든 퍽을 칠 수 있다.
- 선수는 센터라인 자신의 쪽에 있는 한, 테이블 주위 어디든 위치할 수 있다.
- 각 선수는 매 경기마다 10초의 타임아웃을 허용하며, 퍽을 소유하고 있거나 퍽이 플레이 상태가 아닐 때 선수가 타임아웃을 요청해야 한다.
- "손바닥 치기" 또는 퍽과 접촉하는 손의 사용은 허용되지 않는다.
- 선수의 어떤 부분에 의한 퍽과의 접촉도 금지된다.
- "골텐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골을 막는 행위는 금지된다.
- 선수는 퍽을 테이블 밖으로 칠 수 없다.
규칙을 위반하는 선수에게는 반칙이 주어지며, 반칙을 받은 선수는 퍽의 소유권을 상대에게 넘겨야 한다. 골텐딩과 같은 더 심각한 위반에 대해서는 기술 반칙이 주어지는데, 이 경우 상대 선수에게 반칙을 범한 선수의 골대에 자유 슛이 주어진다. 반칙을 범한 선수는 슛을 방어할 수 없지만, 슛이 빗나가 테이블의 반대편에서 튕겨져 나올 경우 플레이를 재개할 수 있다.
하키를 모티브로 하고 있으며, 판 위에서 퍽이 미끄러지는 모습은 아이스하키와 유사하다. 보통 1대 1, 또는 복식으로 하나의 퍽을 쳐서 겨룬다.
테이블은 긴 변의 중앙에서 자기 진영과 상대 진영으로 나뉜다. 테이블 양쪽 끝에는 골이 되는 구멍이 뚫려 있으며, 상대편 골에 퍽이 들어가면 득점이 된다. 자기 진영 안에 있는 퍽만 쳐야 하며, 매릿 이외의 맨손 등으로 퍽을 만져서는 안 된다.
어느 한쪽이 일정 점수를 획득하거나,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게임이 종료된다.
5. 경기 방식 (토너먼트)
토너먼트 경기 방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말렛은 손잡이 위가 아닌 손잡이 뒤를 손가락 끝으로 잡는다. 이렇게 하면 손목 움직임이 커져서 선수가 테이블 주위에서 말렛을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 기본적인 방어를 할 때에는 말렛을 골대에서 20cm 이상 떨어진 중앙에 둔다. 이 위치에서는 약간 좌우로 움직여서 사실상 모든 직선 샷을 막을 수 있다. 뱅크 샷을 막으려면 골대 구석으로 빠르게 뒤로 당긴다. 이를 "삼각 방어"라고 한다.
- 샷은 상대방의 예상과 타이밍을 흐트러뜨리도록 설계된, 정해진 패턴으로 퍽을 이동하는 "드리프트"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가장 많이 쓰이는 드리프트는 "센터", "다이아몬드", "대각선", "L"이다.
- 샷은 말렛의 약간 다른 위치에서 퍽을 쳐서 발생하며, 똑같이 보이는 전달 동작에서 반대 방향으로 쳐지는 샷 그룹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오른팔을 횡단하는 운동은 상대 골대 왼쪽 구석으로의 "컷 샷" 또는 "오른쪽 벽 아래"(오른쪽 벽에서 뱅크하여 상대 골대 오른쪽 구석으로)로 이어질 수 있다.
6. 관련 단체
1978년 설립된 미국 에어하키 협회(USAA), 2015년 설립된 에어 하키 선수 협회(AHPA), 2016년 설립된 노스캐롤라이나 에어하키 선수 협회(NCAHP)가 있다.[13]
7. 대회 역사
에어 하키는 1972년 밥 르뮤(Bob Lemieux)를 포함한 브런즈윅(Brunswick Corporation)사의 직원들에 의해 발명되었다.[13] 미국에서는 1978년 미국 에어하키 협회(USAA)가 설립되면서 스포츠로 자리 잡았고, 세계 선수권 대회도 열리고 있다.
USAA 월드 챔피언십은 1978년부터 시작된 월드 싱글 챔피언십과 1995년부터 시작된 월드 더블 챔피언십이 있다. 다음은 역대 월드 더블 챔피언십 결과이다.[13]
|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3위 |
|---|---|---|---|
| 1983 | -- 제시 도티 | -- 마크 로빈스 | -- 밥 뒤부아송 |
| 1984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마크 로빈스 |
| 1998 | -- 호세 모라 | -- 페드로 오테로 | -- 팀 와이즈먼 |
| 2004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쇼크리 | -- 돈 제임스 |
| 2007 | -- 윌 업처치 | -- 데이비스 리 | -- 키스 플레처 |
| 2009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쇼크리 | -- 호세 모라 |
7. 1. USAA 세계 선수권 대회
미국 에어 하키 협회(USAA)가 주최하는 USAA 에어 하키 월드 챔피언십은 1978년부터 시작된 월드 싱글 챔피언십과 1995년부터 시작된 월드 더블 챔피언십이 있다. 다음은 역대 월드 싱글 챔피언십의 결과이다.[13]|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3위 |
|---|---|---|---|
| 1978 | -- 필 아놀드 | -- 롤프 무어 | |
| 1979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조 캠벨 |
| 1980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조 캠벨 |
| 1981 | -- 밥 드뷔송 | -- 폴 버거 | -- 제시 도티 |
| 1981 | -- 제시 도티 | -- 밥 드뷔송 | -- 폴 마샬 |
| 1982 | -- 제시 도티 | -- 마크 로빈스 | -- 밥 드뷔송 |
| 1983 | |||
| 1984 | -- 마크 로빈스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밥 드뷔송 |
| 1985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빈스 셰펠 |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마크 로빈스 | |
| 1986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밥 드뷔송 | -- 마크 로빈스 |
| -- 마크 로빈스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1987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 제시 도티 | -- 마크 로빈스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1988 | -- 제시 도티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제시 도티 | -- 밥 드뷔송 | -- 조 캠벨 | |
| 1989 | -- 팀 와이즈먼 | -- 밥 드뷔송 | -- 제시 도티 |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1990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팀 와이즈먼 | -- 필 아놀드 | -- 마크 로빈스 | |
| 1991 | -- 팀 와이즈먼 | -- 마크 로빈스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앨버트 오티즈 | |
| 1992 | -- 팀 와이즈먼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마크 로빈스 |
| -- 팀 와이즈먼 | -- 키스 플레처 | -- 빈스 셰펠 | |
| 1993 | -- 팀 와이즈먼 | -- 앤디 예비쉬 | -- 키스 플레처 |
| 1994 | -- 존 (오웬) 지랄도 | -- 마크 로빈스 | -- 팀 와이즈먼 |
| 1995 | -- 빌리 스터브스 | -- 윌 업처치 | -- 돈 제임스 |
| 1996 | -- 팀 와이즈먼 | -- 윌 업처치 | -- 앤디 예비쉬 |
| 1997 | -- 윌 업처치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1999 | -- 페드로 오테로 | -- 지미 헤일랜더 | |
| 2000 | -- 호세 모라 | -- 페드로 오테로 | -- 팀 와이즈먼 |
| 2001 | -- 대니 하인스 | -- 팀 와이즈먼 | -- 호세 모라 |
| 2002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빌리 스터브스 |
| 2003 | -- 에합 슈크리 | -- 호세 모라 | -- 앤디 예비쉬 |
| 2004 | -- 대니 하인스 | -- 앤디 예비쉬 | -- 앤서니 마리노 |
| 2005 | -- 대니 하인스 | -- 빌리 스터브스 | -- 앤서니 마리노 |
| 2006 | -- 대니 하인스 | -- 윌 업처치 | -- 데이비스 리 |
| 2007 | -- 데이비스 리 | -- 키스 플레처 | -- 에합 슈크리 |
| 2008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 2009 | -- 에합 슈크리 | -- 데이비스 리 | -- 키스 플레처 |
| 2010 | -- 데이비스 리 | -- 빌리 스터브스 | |
| 2011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빌리 스터브스 |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빌리 스터브스 | |
| 2012 | -- 빌리 스터브스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 빌리 스터브스 | -- 에합 슈크리 | -- 팀 와이즈먼 | |
| 2013 | -- 대니 하인스 | -- 데이비스 리 | -- 페드로 오테로 |
| 2014 | -- 빌리 스터브스 | -- 데이비스 리 | -- 대니 하인스 |
| 2015 | -- 콜린 커밍스 | -- 페드로 오테로 | -- 대니 하인스 |
| 2016 | -- 콜린 커밍스 | -- 대니 하인스 | -- 브라이언 아크로코 |
| 2017 | -- 제이콥 와이즈먼 | -- 콜린 커밍스 | |
| 2019 | -- 콜린 커밍스 | -- 빈센트 소세다 | -- 제이콥 와이즈먼 |
| 2021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와이즈먼 | -- 제이콥 무노즈 |
| 2022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와이즈먼 | -- 마르셀로 가르시아 |
| 2023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와이즈먼 | -- 피트 린코트 |
| 2024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무노즈 | -- 제이콥 와이즈먼 |
7. 2. AHPA 세계 선수권 대회
미국 에어 하키 협회(USAA)와 에어 하키 선수 협회(AHPA)에서 주최하는 세계 선수권 대회의 역대 우승자, 준우승자, 3위는 다음과 같다.[13]|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3위 |
|---|---|---|---|
| 1978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롤프 무어 |
| 1979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조 캠벨 |
| 1980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조 캠벨 |
| -- 제시 도티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마크 로빈스 | |
| 1981 | -- 밥 드뷔송 | -- 폴 버거 | -- 제시 도티 |
| 1981 | -- 제시 도티 | -- 밥 드뷔송 | -- 폴 마샬 |
| 1982 | -- 제시 도티 | -- 마크 로빈스 | -- 밥 드뷔송 |
| 1983 | -- 밥 드뷔송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1984 | -- 마크 로빈스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밥 드뷔송 |
| 1985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빈스 셰펠 |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마크 로빈스 | |
| 1986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밥 드뷔송 | -- 마크 로빈스 |
| -- 마크 로빈스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1987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 제시 도티 | -- 마크 로빈스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1988 | -- 제시 도티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제시 도티 | -- 밥 드뷔송 | -- 조 캠벨 | |
| 1989 | -- 팀 와이즈먼 | -- 밥 드뷔송 | -- 제시 도티 |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1990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팀 와이즈먼 | -- 필 아놀드 | -- 마크 로빈스 | |
| 1991 | -- 팀 와이즈먼 | -- 마크 로빈스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앨버트 오티즈 | |
| 1992 | -- 팀 와이즈먼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마크 로빈스 |
| -- 팀 와이즈먼 | -- 키스 플레처 | -- 빈스 셰펠 | |
| 1993 | -- 팀 와이즈먼 | -- 앤디 예비쉬 | -- 키스 플레처 |
| 1994 | -- 존 (오웬) 지랄도 | -- 마크 로빈스 | -- 팀 와이즈먼 |
| 1995 | -- 빌리 스터브스 | -- 윌 업처치 | -- 돈 제임스 |
| 1996 | -- 팀 와이즈먼 | -- 윌 업처치 | -- 앤디 예비쉬 |
| 1997 | -- 윌 업처치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1999 | 호세 모라 | -- 페드로 오테로 | -- 지미 헤일랜더 |
| 2000 | -- 호세 모라 | -- 페드로 오테로 | -- 팀 와이즈먼 |
| 2001 | -- 대니 하인스 | -- 팀 와이즈먼 | -- 호세 모라 |
| 2002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빌리 스터브스 |
| 2003 | -- 에합 슈크리 | -- 호세 모라 | -- 앤디 예비쉬 |
| 2004 | -- 대니 하인스 | -- 앤디 예비쉬 | -- 앤서니 마리노 |
| 2005 | -- 대니 하인스 | -- 빌리 스터브스 | -- 앤서니 마리노 |
| 2006 | -- 대니 하인스 | -- 윌 업처치 | -- 데이비스 리 |
| 2007 | -- 데이비스 리 | -- 키스 플레처 | -- 에합 슈크리 |
| 2008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호세 모라 |
| 2009 | -- 에합 슈크리 | -- 데이비스 리 | -- 키스 플레처 |
| 2010 | -- 데이비스 리 | -- 빌리 스터브스 | 앤서니 마리노 |
| 2011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빌리 스터브스 |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빌리 스터브스 | |
| 2012 | -- 빌리 스터브스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 빌리 스터브스 | -- 에합 슈크리 | -- 팀 와이즈먼 | |
| 2013 | -- 대니 하인스 | -- 데이비스 리 | -- 페드로 오테로 |
| 2014 | -- 빌리 스터브스 | -- 데이비스 리 | -- 대니 하인스 |
| 2015 | -- 콜린 커밍스 | -- 페드로 오테로 | -- 대니 하인스 |
| 2016 | -- 콜린 커밍스 | -- 대니 하인스 | -- 브라이언 아크로코 |
| 2017 | -- 제이콥 와이즈먼 | 바딤 치제프스키 | -- 콜린 커밍스 |
| 2019 | -- 콜린 커밍스 | -- 빈센트 소세다 | -- 제이콥 와이즈먼 |
| 2021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와이즈먼 | -- 제이콥 무노즈 |
| 2022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와이즈먼 | -- 마르셀로 가르시아 |
| 2023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와이즈먼 | -- 피트 린코트 |
| 2024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무노즈 | -- 제이콥 와이즈먼 |
|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3위 |
|---|---|---|---|
| 2015 | -- 콜린 커밍스 | -- 빌리 스텁스 | -- 브라이언 아크로코 |
| 2016 | -- 콜린 커밍스 | -- 브라이언 아크로코 | -- 더그 하워드 |
| 2017 | -- 콜린 커밍스 | -- 빈센트 소세다 | -- 브라이언 아크로코 |
| 2018 | -- 콜린 커밍스 | -- 빈센트 소세다 | -- 대니 하인스 |
| 2019 | -- 콜린 커밍스 | -- 빈센트 소세다 | -- 키스 플레처 |
|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3위 |
|---|---|---|---|
| 1983 | -- 제시 도티 | -- 마크 로빈스 | -- 밥 뒤부아송 |
| 1984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마크 로빈스 |
| 1998 | -- 호세 모라 | -- 페드로 오테로 | -- 팀 와이즈먼 |
| 2004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쇼크리 | -- 돈 제임스 |
| 2007 | -- 윌 업처치 | -- 데이비스 리 | -- 키스 플레처 |
| 2009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쇼크리 | -- 호세 모라 |
7. 3. 기타 대회
미국 에어 하키 협회(USAA)가 주최하는 USAA 에어 하키 월드 챔피언십은 1978년부터 시작된 월드 싱글 챔피언십과 1995년부터 시작된 월드 더블 챔피언십이 있다. 다음은 역대 월드 싱글 챔피언십 결과이다.|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3위 |
|---|---|---|---|
| 1978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롤프 무어 |
| 1979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조 캠벨 |
| 1980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조 캠벨 |
| -- 제시 도티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마크 로빈스 | |
| 1981 | -- 밥 드뷔송 | -- 폴 버거 | -- 제시 도티 |
| 1981 | -- 제시 도티 | -- 밥 드뷔송 | -- 폴 마샬 |
| 1982 | -- 제시 도티 | -- 마크 로빈스 | -- 밥 드뷔송 |
| 1983 | |||
| 1984 | -- 마크 로빈스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밥 드뷔송 |
| 1985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빈스 셰펠 |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마크 로빈스 | |
| 1986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밥 드뷔송 | -- 마크 로빈스 |
| -- 마크 로빈스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1987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 제시 도티 | -- 마크 로빈스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1988 | -- 제시 도티 | -- 밥 드뷔송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제시 도티 | -- 밥 드뷔송 | -- 조 캠벨 | |
| 1989 | -- 팀 와이즈먼 | -- 밥 드뷔송 | -- 제시 도티 |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1990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팀 와이즈먼 | -- 필 아놀드 | -- 마크 로빈스 | |
| 1991 | -- 팀 와이즈먼 | -- 마크 로빈스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앨버트 오티즈 | |
| 1992 | -- 팀 와이즈먼 | -- 로버트 에르난데스 | -- 마크 로빈스 |
| -- 팀 와이즈먼 | -- 키스 플레처 | -- 빈스 셰펠 | |
| 1993 | -- 팀 와이즈먼 | -- 앤디 예비쉬 | -- 키스 플레처 |
| 1994 | -- 존 (오웬) 지랄도 | -- 마크 로빈스 | -- 팀 와이즈먼 |
| 1995 | -- 빌리 스터브스 | -- 윌 업처치 | -- 돈 제임스 |
| 1996 | -- 팀 와이즈먼 | -- 윌 업처치 | -- 앤디 예비쉬 |
| 1997 | -- 윌 업처치 | -- 팀 와이즈먼 | -- 제시 도티 |
| 1999 | 호세 모라 | -- 페드로 오테로 | -- 지미 헤일랜더 |
| 2000 | -- 호세 모라 | -- 페드로 오테로 | -- 팀 와이즈먼 |
| 2001 | -- 대니 하인스 | -- 팀 와이즈먼 | -- 호세 모라 |
| 2002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빌리 스터브스 |
| 2003 | -- 에합 슈크리 | -- 호세 모라 | -- 앤디 예비쉬 |
| 2004 | -- 대니 하인스 | -- 앤디 예비쉬 | -- 앤서니 마리노 |
| 2005 | -- 대니 하인스 | -- 빌리 스터브스 | -- 앤서니 마리노 |
| 2006 | -- 대니 하인스 | -- 윌 업처치 | -- 데이비스 리 |
| 2007 | -- 데이비스 리 | -- 키스 플레처 | -- 에합 슈크리 |
| 2008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호세 모라 |
| 2009 | -- 에합 슈크리 | -- 데이비스 리 | -- 키스 플레처 |
| 2010 | -- 데이비스 리 | -- 빌리 스터브스 | 앤서니 마리노 |
| 2011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빌리 스터브스 |
| 2011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빌리 스터브스 |
| 2012 | -- 빌리 스터브스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슈크리 |
| -- 빌리 스터브스 | -- 에합 슈크리 | -- 팀 와이즈먼 | |
| 2013 | -- 대니 하인스 | -- 데이비스 리 | -- 페드로 오테로 |
| 2014 | -- 빌리 스터브스 | -- 데이비스 리 | -- 대니 하인스 |
| 2015 | -- 콜린 커밍스 | -- 페드로 오테로 | -- 대니 하인스 |
| 2016 | -- 콜린 커밍스 | -- 대니 하인스 | -- 브라이언 아크로코 |
| 2017 | -- 제이콥 와이즈먼 | 바딤 치제프스키 | -- 콜린 커밍스 |
| 2019 | -- 콜린 커밍스 | -- 빈센트 소세다 | -- 제이콥 와이즈먼 |
| 2021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와이즈먼 | -- 제이콥 무노즈 |
| 2022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와이즈먼 | -- 마르셀로 가르시아 |
| 2023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와이즈먼 | -- 피트 린코트 |
| 2024 | -- 콜린 커밍스 | -- 제이콥 무노즈 | -- 제이콥 와이즈먼 |
|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3위 |
|---|---|---|---|
| 1983 | -- 제시 도티 | -- 마크 로빈스 | -- 밥 뒤부아송 |
| 1984 | -- 제시 도티 | -- 필 아놀드 | -- 마크 로빈스 |
| 1998 | -- 호세 모라 | -- 페드로 오테로 | -- 팀 와이즈먼 |
| 2004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쇼크리 | -- 돈 제임스 |
| 2007 | -- 윌 업처치 | -- 데이비스 리 | -- 키스 플레처 |
| 2009 | -- 대니 하인스 | -- 에합 쇼크리 | -- 호세 모라 |
참조
[1]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Air Hockey
https://airhockeypla[...]
2021-04-09
[2]
웹사이트
Let’s Play AIR HOCKEY
https://www.olhausen[...]
[3]
웹사이트
OFFICIAL AIR HOCKEY RULES
https://www.bubbleai[...]
[4]
특허
Conveyor
1943-04-06
[5]
특허
Air Table
1968-12-10
[6]
특허
Air Table
1969-02-25
[7]
간행물
セガ60周年スペシャルインタビュー。伝説の筐体R360や『バーチャファイター』などアーケード開発者が開発秘話をたっぷり語る!
https://www.famitsu.[...]
2021-04-18
[8]
웹사이트
Arcade Developers Talk Sega's History of Taking On Challenges
http://www.onemillio[...]
2020-12-28
[9]
웹사이트
History of Brunswick Billiards
http://www.history.b[...]
2020-09-11
[10]
특허
Air cushion table game
1973-11-20
[11]
특허
Puck and bat for an air cushion table game
1975-12-23
[1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Air Hockey
https://airhockeytab[...]
2020-09-11
[13]
웹사이트
AirHockeyWorld.com tournament results
http://www.airhockey[...]
2009-12-29
[14]
웹사이트
Tournament history
http://www.airhockey[...]
[15]
문서
European champion
[16]
문서
Catalan champion
[17]
문서
Russian champion
[18]
웹인용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Air Hockey
https://airhockeypla[...]
2021-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