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타블러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타블러처는 주범 양식에 따라 구조가 다르며, 아키트레이브, 프리즈, 코니스로 구성된다. 도리스, 이오니아, 코린토스 양식 등 다양한 주범 양식에 따라 세부적인 장식과 구성 요소가 달라진다. 고전 건축에서 기둥과 함께 사용되며, 기둥이 없는 벽이나 필라스터에도 적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전주의 건축 - 프리즈 (건축)
프리즈는 건축에서 건물의 외관을 장식하는 띠 형태를 지칭하며, 고대 그리스 건축의 에레크테이온 신전, 아케메네스 왕조, 고대 인도 예술 등에서 다양한 모티브로 활용되었다. - 고전주의 건축 - 주범 양식
주범 양식은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체계화된 건축 양식으로, 기둥과 엔타블레이쳐로 구성되며, 도리아식, 이오니아식, 코린트식 등 다섯 가지 주요 양식이 존재한다. - 기둥 - 모나스
모나스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독립 기념탑으로, 수카르노 대통령의 제안으로 건설되었으며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의 의지를 상징하는 금박 불꽃 조형물과 인도네시아 역사를 보여주는 국립역사박물관이 있다. - 기둥 - 카리아티드
카리아티드는 건축에서 기둥 역할을 하는 여성 조각상으로, 고대 그리스 카리아이 여인들을 묘사한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에레크테이온 등에서 사용되고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활용된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엔타블러처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악보 |
| 사용 악기 | 류트, 기타, 오르간 등의 현악기와 건반 악기 |
| 개요 | |
| 정의 | 악기의 지판이나 건반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음악 표기법의 한 형태 |
| 기원 | 14세기 후반 |
| 특징 | 특정 음표의 음높이를 나타내는 대신, 연주할 위치를 표시 |
| 역사 | |
| 초기 형태 | 14세기 후반에 오르간 음악에 처음 등장 |
| 발전 | 15세기에는 류트 음악에 사용되기 시작 |
| 지역별 특징 | 독일: 독일어 타블라투라는 음높이 대신 손가락 위치를 사용 스페인, 이탈리아: 숫자 시스템 사용 |
| 종류 | |
| 류트 타블라투라 | 류트 연주자를 위한 타블라투라 |
| 오르간 타블라투라 | 오르간 연주자를 위한 타블라투라 |
| 독일 오르간 타블라투라 | 독일에서 사용된 오르간 타블라투라 |
| 새로운 독일 타블라투라 | 독일에서 사용된 새로운 형태의 타블라투라 |
2. 구성 요소
엔타블러처의 구조는 주범 양식에 따라 다르다. 각각의 양식에서 아키트레이브, 프리즈, 코니스의 비율은 기둥의 비율에 따라 정의되었는데, 로마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기둥 높이의 약 1/4 정도였다. 이러한 모델에 맞지 않는 엔타블러처의 변형은 일반적으로 이 모델에서 파생된다.
2. 1. 아키트레이브
순수한 고전적 도리스식 엔타블러처는 단순하다. 엔타블러처의 가장 낮은 부분에 띠 형태로 있는 아키트레이브는 아래에서 위 순서로 구타에, 레귈라(regulae), 테니아로 구분된다.[2]2. 2. 프리즈
프리즈에는 수직으로 난 홈인 트리글리프가 배열되어 있으며, 트리글리프 사이의 직사각형 부분을 메토프라고 하는데, 메토프는 장식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장식이 없을 수도 있다. 트리글리프는 평평하고 얇고 수평으로 돌출된 부분인 테니아 위에 놓여 있으며, 하단은 아키트레이브 상단에 있는 '구타에'라고 불리는 방울 장식으로 마감된다. 트리글리프의 상단은 엔타블러처에서 튀어나온 처마 장식과 만난다. 이 돌출부의 아랫면은 일반적으로 구타에로 마감 처리된 직사각형의 처마 장식돌인 무튤(mutules)로 장식되어 있다.[2]에레크테이온의 카리아티드 주랑 현관에서 볼 수 있듯이 프리즈는 때때로 생략되기도 하는데, 에페소스의 디아나 신전에서는 프리즈가 구조물로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초기 이오니아 건축을 바탕으로 목재 구조물의 암석을 재현한 리키아 무덤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2]
2. 3. 코니스
처마를 장식하는 돌림띠인 코니스는 소피트, 코로나(처마끝에서 물을 끊어주는 채양 역할을 하는 돌출부), 시마티움으로 나뉜다. 소피트는 노출된 아랫면이며 코로나와 시마티움은 코니스의 주요 부분이다.[2]3. 주범 양식별 특징
엔타블러처의 구조는 주범 양식에 따라 다르다. 각 양식에서 아키트레이브, 프리즈, 코니스의 비율은 기둥의 비율에 따라 정의되었는데, 로마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기둥 높이의 약 1/4 정도였다. 이런 모델에 맞지 않는 엔타블러처의 변형은 일반적으로 이 모델에서 파생된다.
도리스식 엔타블러처에서 아키트레이브는 아래에서 위 순서로 구타에, 레귈라(regulae), 테니아로 구분된다. 프리즈에는 수직 홈인 트리글리프가 배열되어 있으며, 트리글리프 사이는 메토프라고 하는데, 장식이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트리글리프는 테니아 위에 놓여 있으며, 하단은 '구타에'로 마감된다. 트리글리프 상단은 엔타블러처에서 튀어나온 처마 장식과 만나는데, 이 돌출부 아랫면은 무튤(mutules)로 장식되어 있다. 코니스는 소피트, 코로나, 시마티움으로 나뉜다.
이오니아식 엔타블러처는 아키트레이브에 파시아와 덴틸을 추가한다.
코린토스식 엔타블러처는 사이마 레베르사, 덴틸, 오볼로, 모딜리온, 파시아, 사이마 렉타로 나뉘는 더 화려한 처마 장식을 추가했다. 모딜리온은 덴틸과 비슷하지만 아칸서스 잎 모양으로 장식된 브래킷(까치발)이다.[2]
3. 1. 도리스 양식
순수한 고전적 도리스식 엔타블러처는 단순하다. 엔타블러처의 가장 낮은 부분에 띠 형태로 있는 아키트레이브는 아래에서 위 순서로 구타에, 레귈라(regulae), 테니아로 구분된다.프리즈에는 수직으로 난 홈인 트리글리프가 배열되어 있으며, 그 트리글리프 사이의 직사각형 부분을 메토프라고 하는데, 메토프는 장식이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장식이 없을 수도 있다. 트리글리프는 평평하고 얇고 수평으로 돌출된 부분인 테니아 위에 놓여 있으며, 하단은 아키트레이브 상단에 있는 '구타에'라고 불리는 방울 장식으로 마감된다. 트리글리프의 상단은 엔타블러처에서 튀어나온 처마 장식과 만난다. 이 돌출부의 아랫면은 일반적으로 구타에로 마감 처리된 직사각형의 처마 장식돌인 무튤(mutules)로 장식되어 있다.
처마를 장식하는 돌림띠인 코니스는 소피트, 코로나(처마끝에서 물을 끊어주는 채양 역할을 하는 돌출부), 시마티움으로 나뉜다. 소피트는 노출된 아랫면이며 코로나와 시마티움은 코니스의 주요 부분이다.
3. 2. 이오니아 양식
이오니아식 엔타블러처는 아키트레이브에 평평한 수평 돌출부인 파시아와 처마 장식 아래에 치열(齒列) 모양의 직사각형 블록 몰딩인 덴틸을 추가한다.3. 3. 코린토스 양식
코린토스 양식은 아래에서 위로 사이마 레베르사, 덴틸, 오볼로, 모딜리온, 파시아, 사이마 렉타로 나뉘는, 훨씬 더 화려한 처마 장식을 추가했다. 모딜리온은 덴틸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일반적으로 아칸서스 잎 모양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브래킷(까치발)이다.[2]4. 비고전적 건축에서의 사용
엔타블러처는 고전 건축 양식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기둥이 없는 벽의 상부를 마감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필라스터(평평하게 펴진 기둥이나 벽에서 튀어나온 벽기둥)나 분리된 기둥, 또는 붙임 기둥의 경우 기둥 주변을 따라 모양을 내기도 한다.[3] 기둥의 종류와 관계없이 엔타블러처를 사용하는 방식은 르네상스 이후에 나타났다.
참조
[1]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2]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3]
가톨릭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