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주의 건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사주의 건축은 과거의 건축 양식을 모방하거나 재해석하여 새로운 건축물을 짓는 경향을 말한다.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어, 이후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영국에서는 고딕 리바이벌, 조지 왕조 양식, 앤 여왕 양식, 에드워디안 바로크 등이 나타났으며, 프랑스에서는 네오 르네상스와 네오 바로크 양식이 유행했다. 독일에서는 네오 르네상스와 네오 바로크 양식이, 미국에서는 미국 보자르 양식과 빅토리아 고딕 양식이 나타났다. 일본은 메이지 시대에 서구화를 목표로 역사주의 건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 등 다양한 국가의 양식을 혼합한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
신고전주의 건축에서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을 이상으로 여겼지만, 19세기가 되면서 중세의 고딕과 근세의 르네상스 양식이 재평가되어 과거 건축 양식의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 건축가들은 교회를 지을 때는 고딕 양식, 공공 건축물을 지을 때는 르네상스 양식 등 용도에 맞춰 다양한 양식을 사용하기도 했다.
프랑스는 영국과 함께 역사주의 건축을 이끌었으며, 주로 르네상스 양식과 바로크 양식을 부활시켰다.
2. 영국
호레이스 월폴의 스트로베리 힐(1748-1777년)은 고딕 리바이벌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찰스 배리와 오거스터스 웰비 노스모어 퍼긴이 설계한 웨스트민스터 궁전(1836-1860년경)은 고딕 리바이벌의 대표작이다. 1819년부터 1829년까지 존 내시가 건설한 리전트 스트리트는 조지 1세부터 4세 시대(1714-1830년)에 유행한 고전주의적 양식인 조지 왕조 양식을 대표한다. 리처드 노먼 쇼는 윌리엄 모리스의 영향을 받아 중세풍을 선호했으며, 1707-1714년 앤 여왕 시대의 양식으로 여겨지는 앤 여왕 양식(빅토리아 고딕)을 주로 사용했다. 스코틀랜드 야드(런던경시청 초대 청사)는 1887-1888년에 건축된 대표적인 앤 여왕 양식 건축물이다. 리처드 노먼 쇼의 피카딜리 호텔은 20세기 초 에드워드 7세 시대(1901-1910년)에 유행한 과장된 바로크 양식인 에드워디안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졌다.
2. 1. 고딕 리바이벌
호레이스 월폴의 스트로베리 힐(1748-1777년)은 중세풍 작품으로, 고딕 리바이벌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찰스 배리와 오거스터스 웰비 노스모어 퍼긴이 설계한 웨스트민스터 궁전(1836-1860년경)은 고딕 리바이벌의 대표작이다.
2. 2. 조지 왕조 양식
1819년부터 1829년까지 존 내시가 건설한 리전트 스트리트는 조지 왕조 양식을 대표한다. 조지 왕조 양식은 조지 1세부터 4세 시대(1714-1830년)에 유행한 고전주의적 양식이다.
2. 3. 앤 여왕 양식 (빅토리아 고딕)
리처드 노먼 쇼는 윌리엄 모리스의 영향을 받아 중세풍을 선호했으며, 1707-1714년 앤 여왕 시대의 양식으로 여겨지는 앤 여왕 양식(빅토리아 고딕이라고도 함)을 잘 사용했다. 스코틀랜드 야드(런던경시청 초대 청사)는 1887-1888년에 건축된 대표적인 앤 여왕 양식 건축물이다.
2. 4. 에드워디안 바로크
피카딜리 호텔(리처드 노먼 쇼)은 20세기 초 에드워드 7세 시대(1901-1910년)에 유행한 과장된 바로크 양식인 에드워디안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졌다. 쇼는 윌리엄 모리스의 영향을 받아 중세풍 건축을 하였고, 앤 여왕 양식(빅토리아 고딕이라고도 함)을 잘 사용했다. 후에 과장된 에드워디안 바로크로 전환했다.
3. 프랑스
3. 1. 네오 르네상스
생트제느비에브 도서관은 1843~1850년에 지어진 네오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이다.
3. 2. 네오 바로크
바로크 양식을 부활시킨 건축 양식이다.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루브르 박물관 신관, 샤를 가르니에의 가르니에 궁전이 있다.
4. 독일
독일에서는 르네상스 양식과 바로크 양식을 중심으로 역사주의 건축이 발전했다.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드레스덴 젬퍼오퍼(1838-1841년)와 독일 연방의회 의사당(1884-1894년)이 있다.
4. 1. 네오 르네상스
- 1838-1841년 드레스덴 젬퍼오퍼
- 1884-1894년 독일 연방의회 의사당
4. 2. 네오 바로크
1884년-1894년 독일 연방의회 의사당5. 미국
미국은 '역사가 짧은 나라'라는 인식이 있어서 유럽보다 고전 양식을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건국 이후 영국의 조지 왕조 시대 양식(18세기-)이 공공 건축물과 주택에 주로 사용되었고, 프랑스 에콜 드 보자르에서 공부한 건축가들이 고전주의 계열의 역사주의 건축을 이어갔다. 빅토리아 고딕 양식의 영향을 받은 건축가들의 작품도 존재한다.
5. 1. 미국 보자르 양식 (American Beaux-Arts)
미국은 ‘역사가 짧은 나라’라는 자각이 있었던 만큼, 어떤 의미에서는 유럽보다 더 고전 양식을 이상으로 여기는 풍조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건국 이래로 영국의 조지 왕조 시대 양식(18세기-)이 공공 건축물과 주택에 선호되어 사용되었고, 파리의 에콜 드 보자르에서 수학한 건축가들이 고전주의 계열의 역사주의 건축을 계속 지어왔다. 매킴, 미드와 화이트 사무소(McKim, Mead & White)가 보자르 양식의 작품을 많이 남겼다. 또한, 빅토리아 고딕 양식(Victorian Gothic)의 영향을 받은 건축가의 작품도 있다.6. 일본
메이지 시대 일본은 근대화와 서구화를 추구하며 건축 분야에서 서구 역사주의 건축을 적극 수용했다. 외국인 고용인 조시아 콘더는 빅토리아 고딕 건축가였고, 그의 제자 다니노 킨고 역시 런던 유학으로 영국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 이로 인해 메이지 건축은 영국계가 주류를 이루었다.
1888년 홋카이도청 구 본청사는 미국풍 네오 바로크 양식으로, 1896년 일본은행은 다니노 킨고가 설계한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건립되었다. 1904년 오사카부립 나카노시마 도서관은 네오 바로크 양식, 1913년 오사카시 중앙공회당은 네오 르네상스 양식을 기조로 건설되었다. 1935년 구 요코하마 정금은행 고베지점(현 고베시립 박물관)은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졌다.
다이쇼 시대에는 유럽의 다양한 근대 건축 운동이 소개되며 빈 분리파, 독일 표현주의 등의 영향으로 역사주의에서 벗어난 다채로운 표현이 나타났다. 쇼와 시대 초기에는 르 코르뷔지에 등의 모더니즘 건축이 유행했으나, 아메리칸 보자르의 영향을 받은 대규모 역사주의 건축물도 여전히 건설되었다.
6. 1. 영국계
조시아 콘더와 그의 제자인 다니노 킨고 등 영국 유학파 건축가들이 주도했다. 다니노의 작품인 도쿄역에는 퀸 앤 스타일 건축(프리 클래식이라고도 한다)의 영향이 짙다. 게이오기주쿠 도서관 구관은 영국의 칼리지를 연상시키는 고딕 양식 건물이다.건축물 | 건축가 | 양식 |
---|---|---|
도쿄역 | 다니노 킨고 | 프리 클래식(빅토리아 고딕풍) |
게이오기주쿠 도서관 구관 | 소네 추죠 건축사무소 | 고딕 양식 |
6. 2. 독일계
1895년 헬만 엔데와 빌헬름 베크만이 설계한 법무성 구 본관은 독일계 네오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졌다. 1904년 쓰마키 요시아키가 설계한 구 요코하마 정금은행 본점 본관(현 가나가와현립 역사박물관)은 독일 바로크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1917년 카와이 코조가 설계한 오쿠히라노 정수장 구 급속여과장 창고는 독일계 르네상스 양식 건물이다.6. 3. 프랑스계
1902년 효고현 공관(야마구치 한로쿠(山口半六)): 프랑스계 르네상스 양식1904년 교토부청(마쓰무로 시게미쓰(松室重光)): 프랑스계 르네상스 양식
1909년 아카사카리큐(카타야마 토우쿠마(片山東熊)): 베르사유 궁전 등을 본보기로 하여 프랑스의 바로크 양식의 영향이 짙다.
6. 4. 미국계
쇼와 시대 초, 젊은 건축가들은 르 코르뷔지에 등의 모더니즘 건축에 심취했지만, 역사주의 건축에 대한 지지도 강하여 아메리칸 보자르의 영향을 받은 대규모 작품이 만들어져 도시를 장식했다. 미국의 설계 사무소가 설계한 신고전주의(아메리칸 보자르)의 대작인 미쓰이 본관(1929년)이 대표적인 예시이다.6. 5. 기타 양식
7. 한국
개화기 이후 서구 건축 양식이 유입되면서 역사주의 건축이 등장했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건축가들에 의해 다양한 역사주의 양식의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 일제강점기의 주요 건축물로는 구 서울역사(현 문화역서울 284), 한국은행 본관(현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구 경성부청(현 서울도서관), 덕수궁 석조전 등이 있다.
7. 1. 일제강점기 주요 건축물
일제강점기에 서양의 역사주의 건축 양식이 도입되어 다양한 건축물이 지어졌으며, 주요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건축물 | 준공 연도 | 양식 | 비고 |
---|---|---|---|
구 서울역사 (현 문화역서울 284) | 1925년 | 르네상스 양식 | |
한국은행 본관 (현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 1912년 | 르네상스 양식 | |
구 경성부청 (현 서울도서관) | 1926년 | 르네상스 양식 | |
덕수궁 석조전 | 1910년 | 신고전주의 양식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