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의 주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등 영국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행정 구역 체계를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잉글랜드는 역사적인 옛 주, 전례주, 도시주와 비도시주, 단일 자치구 등 다양한 형태의 주를 가지고 있으며, 스코틀랜드는 지방정부 주, 의회 구역, 등록주, 주지사 구역 등으로 구분된다. 웨일스는 옛 주, 단일 자치구, 보호주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북아일랜드는 6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영국의 주 |
---|
2. 잉글랜드의 주
잉글랜드의 주(county)는 역사적 주historic countieseng에 기반한 지방 구분 체계이다.[14] 이 역사적 주는 1086년 둠즈데이 북에 기록된 주에서 기원하며,[5] '고대 주'ancient countieseng 또는 '전통적 주'traditional countieseng라고도 불린다.
지난 2세기 동안 여러 차례의 의회 입법을 통해 주의 경계와 기능은 크게 변화했다.[15] 1889년에는 지방 정부 운영을 위해 행정주administrative countyeng와 카운티 자치구county borougheng가 도입되었고,[16] 이는 기존의 역사적 주와는 별개의 행정 구역으로 운영되었다.[26][7]
현대적인 주 체계로 이어지는 주요 변화는 1963년 런던 정부법에 따라 1965년 그레이터런던이 창설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974년에는 행정주와 카운티 자치구가 폐지되고, 도시주metropolitan countyeng와 비도시주non-metropolitan countyeng로 대체되면서 주 경계가 대대적으로 조정되었다.[17][18] 또한, 국왕이 임명하는 지방 장관Lord-Lieutenanteng의 관할 구역으로서 전례주ceremonial countieseng가 정의되었는데, 이는 대부분 역사적 주에 기반하지만 일부는 1974년에 새로 설치되기도 했다.[24][25][6][7] 1990년대에는 단일 자치체unitary authorityeng가 도입되어, 일부 지역에서는 주와 구(district)의 기능을 통합하여 운영하기 시작했다.[11]
이러한 역사적 변화의 결과로, 현재 잉글랜드의 주 체계는 전례주, 도시주와 비도시주, 단일 자치체 등 여러 종류의 주가 공존하는 복잡한 형태를 띤다. 이는 스코틀랜드나 웨일스와 달리 잉글랜드의 주 수준 행정 기구가 통일되어 있지 않고 혼합된 형태를 보이는 이유이다.[11] 각 주 유형의 구체적인 역할과 특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전례주 (Ceremonial Counties)
잉글랜드는 총 48개의 전례주ceremonial counties영어로 나뉜다. 이는 지리적 환경에 따라 구분되기 때문에 '지리주'geographic counties영어라고도 불린다.[24][25][5] 전례주는 국왕이 임명하는 지방 장관Lord-Lieutenant영어이 관할하는 지역에 해당한다.[7]대부분의 전례주는 고대로부터 유래한 39개의 역사적 주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일부는 1974년에 새로 설치되기도 했다.[24][25][6]
전례주와는 별개로 잉글랜드의 행정 구역 단위에는 도시주metropolitan county영어와 비도시주shire county영어가 있다. 이들은 지방 정부 운영을 위한 행정 단위로서의 성격이 강하며, 그레이터런던과 실리 제도를 제외하고 총 84개(2023년 4월 기준)가 설치되어 있다. 1974년 도시주와 비도시주 제도가 도입될 당시에는 전례주와 그 경계가 일치했으나, 1996년부터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치면서 현재는 대부분의 전례주가 이름은 같지만 경계는 축소된 형태의 도시주 또는 비도시주에 해당하게 되었다.[7]
1974년 이전, 주의회가 설치된 행정 단위는 행정주administrative county영어라 불렸으며, 이는 전례주와는 별개로 정의되고 운영되었다.[26][7] 행정주는 1889년에 독립적인 자치구county borough영어와 함께 도입되었으며,[16] 1974년 개편으로 도시주와 비도시주로 대체되면서 폐지되었다.[17]
2. 2. 도시주와 비도시주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counties)
잉글랜드의 행정 구역 체계 중 하나로, 도시주(Metropolitan counties)와 비도시주(Non-metropolitan counties)가 있다. 이는 1974년에 도입된 제도로,[17] 지방 정부 운영 및 지역 의회 설치를 위한 행정상의 단위이다.[26][6]그레이터런던과 실리 제도를 제외한 잉글랜드 전역에 총 84개의 도시주 및 비도시주가 설치되어 있다.[6] 각 주는 하나의 구(district)로 구성되거나 여러 개의 구로 나뉠 수 있다.[6] 2023년 4월 기준으로 28개 주가 여러 개의 구로 나뉘어 있으며, 이 중 21개 주에는 주의회(county council)가 설치되어 있다.[6]
1974년 제도 도입 당시에는 전례주(ceremonial counties)와 경계가 일치했지만,[25] 1996년부터 시작된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인해 현재는 대부분의 전례주와 도시주/비도시주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다.[7] 많은 경우, 하나의 전례주 안에 이름은 같지만 경계는 축소된 형태의 도시주 또는 비도시주가 존재한다.[7]
1974년 이전에는 행정주(Administrative Counties)가 지역 의회 설치를 위한 행정 단위로 사용되었다.[26][7] 도시주와 비도시주는 잉글랜드의 광역 및 비광역 자치구로 통칭되기도 한다.[6] 1990년대에는 단일 자치체가 도입되어, 일부 지역에서는 주(county)와 구(district)의 기능을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18]
2. 3. 단일 자치구 (Unitary Authorities)
1990년대에 도입된 단일 자치체는 주(카운티)와 구(디스트릭트)의 기능을 통합하여 겸하는 행정 구역이다.[11] 이는 1974년 행정 카운티와 카운티 자치구가 폐지되고 도시 카운티와 비도시 카운티로 대체된 이후의 변화 중 하나이다.[17][18] 이러한 단일 자치체의 존재로 인해, 스코틀랜드나 웨일스와 달리 잉글랜드의 주(카운티) 수준 행정 기구는 혼합된 형태를 띠게 되었다.[11]3. 스코틀랜드의 주
스코틀랜드는 중세 시대부터 시(City), 자치시(Burgh), 행정구(Parish)와 같은 행정구역을 사용해왔다. 1889년 스코틀랜드 지역정부법 제정을 통해 총 33개의 지방정부 주( local government countieseng)가 공식적으로 설치되었다.[27] 이 지방정부 주 체계는 1975년에 폐지되었고, 지방·구( Regions and Districtseng) 및 도서 의회구역( Islands council areaseng)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었다.[28][8][19] 이후 1996년부터는 32개의 통합 의회구역( Council areaseng) 체계로 다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과거의 주 체계와 유사한 형태를 띤다.[28][8][19]
이러한 행정구역 외에도, 주민등록 목적으로 현재까지 사용되는 등록주( Registration countyeng)와 국왕이 임명하는 주지사( Lord-Lieutenanteng)가 관할하는 주지사 구역( Lieutenancy areaeng)이라는 행정 단위도 존재한다.[27][9][20]
3. 1. 지방정부 주 (Local Government Counties)
스코틀랜드는 중세부터 시 (City), 자치시 (Burgh), 행정구 (Parish) 등의 행정구역을 사용해왔으나, 1889년 스코틀랜드 지역정부법 제정으로 총 33개의 '''지방정부 주''' (local government countieseng)가 설치되었다.[27] 이 법을 통해 주의회 (County Councileng)가 처음으로 설치되었으며, 기존 주들은 인접 주와 통합되거나 여러 주에 걸쳐 있던 지방 행정구 (civil parisheng)의 경계가 조정되었다. 대표적으로 로스주와 크로마티주는 로스크로마티라는 하나의 주로 통합되었다.[27][9][20]이 지방정부 주 제도는 1973년 스코틀랜드 지역정부법에 따라 1975년에 폐지되었다.[28][8][19] 폐지 이후 스코틀랜드의 행정구역은 지방·구 (Regions and Districtseng)와 도서 의회구역 (Islands council areaseng) 체계로 개편되었다. 이는 한 지방(Region) 아래 여러 구(District)를 두는 방식이었다.[28]
이후 1994년 스코틀랜드 지방정부법이 제정되어 1996년부터는 32개의 통합된 의회구역 (Council areaseng)으로 다시 개편되었다.[28][8][19] 이 의회구역 체계는 과거의 지방정부 주 체계와 유사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28] 특히 1994년 개편 당시 도서 지역은 이름만 바뀐 채 단일 의회구역으로 유지되었으며, 오크니와 셰틀랜드는 옛 지방정부 주와 동일한 경계를 유지하고 있다.[28]

3. 2. 의회 구역 (Council Areas)
1973년 스코틀랜드 지역정부법에 따라 기존의 주(county) 제도가 폐지되고 지방·구(Regions and Districts)와 도서 의회구역(Islands council areas) 체계로 개편되었다. 이후 1994년 스코틀랜드 지방정부법(Local Government etc. (Scotland) Act 1994)이 제정되면서[8][19], 1996년부터 지방·구 체계는 폐지되고 32개의 단일 의회구역(Council Area)으로 다시 개편되었다. 이 새로운 의회구역 체계는 과거 폐지되었던 주(county) 체계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28]1994년 개편 당시, 기존의 도서 의회구역들은 단일 의회구역으로 이름만 바뀌어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특히 오크니와 셰틀랜드 의회구역은 이전 주와 동일한 경계를 가지고 있다.
3. 3. 등록주 (Registration Counties)
주민등록을 위한 행정구역으로 등록주 (Registration county)가 있다. 이는 1855년 영국 전역에 도입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스코틀랜드에서만 사용되고 있다.3. 4. 주지사 구역 (Lieutenancy Areas)
주지사 구역(Lieutenancy areaeng)은 국왕의 명에 따라 주지사(Lord-Lieutenant)가 임명되는 지역을 의미한다.[27][9][20] 스코틀랜드에서는 이 지역을 부관 지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9][20]4. 웨일스의 주
웨일스의 주 체계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는 1138년에 설치된 펨브로크셔주이다.[1] 이후 1535년 제정된 법에 따라 옛 13주가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2] 이 옛 주는 1889년 웨일스 행정주(Administrative Counties of Wales)가 처음 설치되는 기반이 되었다.[1][2]
웨일스의 행정 구역 체계는 1974년에 큰 변화를 겪었으며,[1][2] 1996년에는 기존의 행정주 체계가 폐지되고 잉글랜드와 유사한 단일 자치구(Unitary Authorities) 시스템이 도입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2] 이 단일 자치구들은 법적으로 '주(County)' 또는 '주급 자치구(County Boroughs)'로 나뉘지만, 일상적으로는 모두 '주'로 통칭되기도 한다.[1]
한편, 행정 목적과는 별개로 영국 국왕을 대리하는 주지사(Lord-Lieutenant)가 임명되는 지역 단위인 보호주(Preserved Counties)가 존재한다. 이는 1974년에 정해진 행정 구역 체계를 기반으로 설정되었다.[1][2]
4. 1. 웨일스의 옛 주 (Historic Counties of Wales)

웨일스의 웨일스의 옛 주는 1535년 제정된 법률에 따라 공식적으로 확립된 옛 13주를 말한다. 일부 주의 역사는 더 오래되었는데, 예를 들어 펨브로크셔주는 1138년에 이미 설치되었다. 이 13개의 옛 주는 오랫동안 웨일스의 기본적인 지역 구분 단위로 사용되었으며, 1889년에는 이를 기반으로 웨일스 행정주(Administrative Counties of Wales)가 처음으로 설치되는 기초가 되었다.
비록 1974년과 1996년의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현재는 단일 자치구 체계가 운영되고 있지만, 웨일스의 옛 주는 역사적, 문화적으로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4. 2. 단일 자치구 (Unitary Authorities)
웨일스의 경우, 1535년 법령으로 역사적인 주(Historic Counties)가 확립되었으며, 일부 주는 1138년(펨브로크셔주)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를 기반으로 1889년 웨일스의 행정주(Administrative Counties of Wales)가 처음 설치되었고, 1974년에 행정 구역 체계가 대폭 개편되었다.그러나 1996년, 웨일스의 행정주 체계는 폐지되고 잉글랜드에서 사용되던 단일 자치구(Unitary Authorities) 시스템이 웨일스 전역에 도입되었다. 이 새로운 행정 구역들은 '주요 지역(Principal Areas)'이라고도 불린다.
총 22개의 단일 자치구가 설치되었는데, 법적으로는 이 중 11개가 '주(Counties)'로, 나머지 11개는 '주급 자치구(County Boroughs)'로 분류된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이들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주'라고 통칭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영국 국왕을 대신하여 주지사(Lord-Lieutenant)가 임명되는 지역 단위는 별도로 존재하는데, 이를 웨일스의 보호주(Preserved Counties of Wales)라고 부른다. 이 보호주는 1974년에 정해진 행정주 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의 주요 지역들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4. 3. 보호주 (Preserved Counties)
웨일스에도 주지사가 임명되는 지역이 있는데, 이를 보호주라고 부른다. 보호주는 1974년에 주급 자치구와 인접 주를 통합하여 정리된 8개의 주를 기반으로 한다. 현재 웨일스의 행정 구역은 1996년부터 단일 자치구 체계로 운영되지만, 주지사 임명을 위한 구역인 보호주는 1974년 당시의 행정 구역 경계와 유사하게 여러 단일 자치구를 묶어 유지되고 있다.5. 북아일랜드의 주
북아일랜드는 영국의 네 구성국 중에서 유일하게 '주'(County)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지역이다. 역사적으로 총 6개의 주가 존재했으나, 오늘날 이 주들은 공식적인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다만, 이 전통적인 주의 구분은 영국 정부 내 행정 조직 설치나 민간 기업, 스포츠 클럽 등에서 지역을 구분하는 용도로 여전히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분 시에는 벨파스트와 데리/런던데리 시의 자치구(Borough)가 별도로 취급되기도 한다. 북아일랜드의 6개 주는 역사적으로 아일랜드 공화국의 일부 주들과 함께 얼스터 지방을 구성하였다.
5. 1. 북아일랜드의 6개 주

북아일랜드는 영국의 네 구성국 중 유일하게 '주'(County)라는 행정 구역 단위를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지역이다. 북아일랜드에는 총 6개의 주가 있으며, 면적 순서대로 나열하면 티론주, 앤트림주, 다운주, 런던데리주, 퍼매나주, 아마주이다.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이 6개의 주는 오늘날 행정적인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영국 정부 내 행정 조직 구성이나, 민간 기업 및 스포츠 클럽 등에서 지역을 구분하는 용도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 구분 시에는 벨파스트와 데리/런던데리 시의 자치구(Borough)도 주와 별개로 함께 취급되기도 한다.
북아일랜드의 6개 주는 모두 역사적인 얼스터 지방에 속한다. 얼스터 지방에는 이 6개 주 외에도 현재 아일랜드 공화국 영토인 더니골주, 캐번주, 모너핸주 3개 주가 더 포함된다. 역사적으로 북아일랜드의 주 명칭이 변경된 사례는 콜레인주(County Coleraine)가 런던데리주로 바뀐 한 차례가 있다.
5. 2. 얼스터 지방 (Ulster)
북아일랜드의 역사적인 6개 주(티론주, 앤트림주, 다운주, 런던데리주, 퍼매나주, 아마주)는 면적 순서대로 나열하면 티론, 앤트림, 다운, 런던데리, 퍼매나, 아마 순이다. 이 주들은 현재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정부 내 조직이나 스포츠 클럽 등에서 지역 구분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때 벨파스트와 데리/런던데리의 자치구(버러)도 함께 구분되기도 한다.북아일랜드의 이 6개 주는 아일랜드 공화국의 더니골주, 캐번주, 모너핸주 3개 주와 함께 역사적인 아일랜드의 지방 중 하나인 얼스터 지방을 구성한다. 과거 콜레인주가 런던데리주로 명칭이 변경된 사례가 있다.
참조
[1]
서적
Local Government in Britain
[2]
서적
Politics UK
[3]
웹사이트
United Kingdom
http://www.britannic[...]
2014-06-09
[4]
간행물
Watsonian vice-counties of Great Britain
Ray Society, London
[5]
서적
Local Government and Urban Politics
[6]
서적
English Local Government Reformed
[7]
서적
Local Government and Politics in Britain
[8]
웹사이트
OPSI - Local Government etc. (Scotland) Act 1994
http://www.opsi.gov.[...]
[9]
문서
Boundaries of Counties and Parishes in Scotland
[10]
서적
Local Government in Britain
[11]
서적
Politics UK
[12]
웹사이트
countyの意味・使い方
https://eow.alc.co.j[...]
株式会社アルク
2023-12-20
[13]
웹사이트
名称未設定 1 - H7.3.10.pdf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12-20
[14]
서적
地方自治と都市政治
[15]
서적
Aspects of Britain: Local Government
[16]
서적
Local Government and Politics in Britain
[17]
서적
Local Government Act 1972
[18]
서적
English Local Government Reformed
[19]
웹사이트
OPSI - Local Government etc. (Scotland) Act 1994
http://www.opsi.gov.[...]
[20]
문서
Boundaries of Counties and Parishes in Scotland
[21]
서적
Local Government in Britain
[22]
서적
Politics UK
[23]
웹사이트
United Kingdom
http://www.britannic[...]
2014-06-09
[24]
서적
Local Government and Urban Politics
https://archive.org/[...]
[25]
서적
English Local Government Reformed
[26]
서적
Local Government and Politics in Britain
https://archive.org/[...]
[27]
문서
Boundaries of Counties and Parishes in Scotland
[28]
웹사이트
OPSI - Local Government etc. (Scotland) Act 1994
http://www.opsi.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