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쿠노 암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쿠노 암라크는 1270년 자구에 왕조를 무너뜨리고 솔로몬 왕조를 "복원"한 에티오피아의 황제이다. 그는 암하라족 출신으로, 솔로몬 왕의 후손임을 주장하며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 게센과 암바셀 지역을 다스렸으며, 이스티파노스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는 자구에 왕조를 무너뜨리기 위해 암하라와 쇼아 지역의 기독교 세력뿐만 아니라 이슬람 세력과도 협력했다. 그는 다모트 왕국을 상대로 원정을 벌이고, 셰와 술탄국과의 관계를 유지했으며, 비잔틴 제국과 외교 관계를 맺기도 했다. 그는 겐네테 마리암 교회를 건설하는 등 에티오피아 기독교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의 사후에는 후계자 쟁탈전이 있었지만, 손자 암다 세욘 1세가 즉위하면서 안정을 찾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솔로몬 왕조 - 메넬리크 1세
메넬리크 1세는 고대 이스라엘 왕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 마케다의 아들로, 기원전 10세기경 에티오피아를 통치했으며, 솔로몬 성전의 언약궤를 에티오피아로 가져와 에티오피아 솔로몬 왕조를 건국했다고 전해진다. - 솔로몬 왕조 - 제라 셀라시에
제라 셀라시에는 이튼 칼리지, 옥스퍼드 대학교 등을 졸업하고 에티오피아 혁명으로 붕괴된 제정의 황위 계승권자이자 섭정 황태자였으며, 현재는 에티오피아 제실의 수장으로 활동한다. - 에티오피아 황제 - 메넬리크 2세
메넬리크 2세는 1889년부터 1913년까지 에티오피아 제국의 황제로 재위하며 아두와 전투에서 이탈리아를 격파하여 독립을 수호하고 아디스아바바를 수도로 건설하는 등 근대화를 추진했으나, 영토 확장 과정에서의 잔혹 행위와 대량 학살 논란으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에티오피아 황제 - 자그웨 왕조
자그웨 왕조는 10세기에서 13세기까지 에티오피아를 통치했으며, 구디트 여왕 이후 등장하여 솔로몬 왕조로 대체되기 전까지 이집트 및 예루살렘과 관계를 유지했다.
예쿠노 암라크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예쿠노 암라크 (게즈어: ይኵኖ አምላክ) |
즉위명 | 타스파 이야수스 |
통치 | |
국가 | 에티오피아 제국 |
칭호 | 에티오피아 황제 |
재위 기간 | 1270년 8월 10일 ~ 1285년 6월 19일 |
선임 | 해당사항 없음 |
후임 | 야그베우 세욘 |
개인 정보 | |
출생 | 1250년대, 베테 암하라 |
사망 | 1285년 6월 19일, 에티오피아 제국 |
아버지 | 타스파 이야수스 (예쿠노 암라크의 아버지) |
종교 | 에티오피아 정교회 |
왕가 | |
왕조 | 솔로몬 왕조 |
2. 기원과 권력 장악
예쿠노 암라크는 암하라족 출신으로, 그의 혈통과 솔로몬 왕조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다. 후기 중세 기록에는 그가 악숨 왕국의 후손이라고 주장하지만, 역사적 근거는 부족하다. 이러한 주장은 예쿠노 암라크가 자그웨 왕조를 무너뜨리고 솔로몬 왕조를 "복원"했다는 근거로 사용되었다.[8][9]
예쿠노 암라크는 암바 게센, 암바셀, 하이크 호 주변 지역을 통치했으며, 이스티파노스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다. 테클레 하이마노트 또는 이야수스 모아가 그를 도왔다는 기록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13] 그는 수탉 머리를 먹고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14]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예쿠노 암라크는 자그웨 왕에게 갇혔다가 탈출하여 암하라족 지방과 셰와에서 지지를 얻고, 셰와 술탄국의 지원을 받아 안사타 전투에서 자그웨 왕을 물리쳤다.[15] 이때 패배한 왕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예트바라크와 나쿠에토 라아브라는 주장이 엇갈린다.[16][17] 예쿠노 암라크는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자신을 "겸손한 신하"라고 칭하며, 이슬람교 세력과도 협력 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보인다.
2. 1. 혈통과 솔로몬 왕조의 기원
예쿠노 암라크는 고대 암하라 가문 출신이었다.[5][6][7] 후기 중세의 텍스트들은 그의 왕조를 옹호하며 그가 악숨 왕국의 왕가 혈통을 이은 전 왕조의 직계 남성 후손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스스로 솔로몬 왕의 후손이라고 주장한 것과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혈통에 대한 신뢰할 만한 역사적 증거는 없으며, 악숨 왕들이 솔로몬의 후손이라고 주장한 적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주장은 예쿠노 암라크가 1270년 자구에 왕조의 마지막 왕을 전복했을 때 에티오피아 왕좌에 솔로몬 왕조를 "복원"했다고 그의 왕조가 주장하는 근거가 되었다. 여러 세기 전에 악숨 왕가를 대체한 자구에 왕조는 "비 이스라엘" 찬탈자로 묘사되었다.[8][9] 예쿠노 암라크의 후손인 솔로몬 왕조의 에티오피아 황제들은 이 기원 신화를 20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전파했으며, 이 왕조가 솔로몬의 후손이라는 주장은 1955년 에티오피아 헌법에 명시되었다.[10]2. 2. 자그웨 왕조와의 관계
예쿠노 암라크는 자그웨 왕조의 마지막 왕을 몰아내고 솔로몬 왕조를 "복원"했다고 주장했다. 자그웨 왕조는 악숨 왕국을 대체한 왕조였는데, 솔로몬 왕의 후손이 아니었기 때문에 "비 이스라엘" 찬탈자로 여겨졌다.[8][9]예쿠노 암라크는 게센과 암바셀 지역, 하이크 호 주변을 다스렸으며, 하이크 호의 이스티파노스 수도원에서 교육받았다.[11][12] 테클레 하이마노트나 이야수스 모아가 그가 권력을 잡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들은 동시대 인물이 아니기 때문에 확실하지 않다.[13]
"이야수스 모아의 생애"와 "Be'ela nagastat"에는 예쿠노 암라크가 수탉 머리를 먹고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 전설은 카파 왕국의 전설이나 에티오피아의 ''Mashafa dorho''(수탉의 서)와 유사하다.[14]
전통적인 역사에 따르면, 예쿠노 암라크는 자그웨 왕 자-일마크눈에게 갇혔다가 탈출하여 암하라 지방과 셰와에서 지지를 얻고, 셰와 술탄국의 지원을 받아 안사타 전투에서 자그웨 왕을 물리쳤다.[15] 타데세 탐라트는 이 왕이 예트바라크였다고 주장했지만, 월로의 연대기 작가 게타체우 메코넨 하센은 나쿠에토 라아브였다고 주장한다.[16][17]
예쿠노 암라크가 자그웨 왕조를 무너뜨릴 힘을 갖기 위해서는 암하라와 쇼아 지역의 기독교 신자들뿐만 아니라 이슬람교 세력과도 손을 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보낸 편지에 "술탄의 겸손한 신하"라고 자칭하며, 자신의 책상 아래에 많은 이슬람 기병이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2. 3. 권력 장악 과정
예쿠노 암라크는 암바 게센, 암바셀, 하이크 호 주변 지역을 다스렸으며, 하이크 호의 이스티파노스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다.[11][12] 후대의 기록에는 테클레 하이마노트가 그를 가르치고 왕위에 오르도록 도왔다고 나오지만, 초기 기록에는 이야수스 모아가 그를 도왔다고 되어 있다.[13] G.W.B. 헌팅퍼드는 데브레 리바노스 수도원이 성장하면서 이스티파노스 수도원을 능가했고, 암다 시온 시대부터 데브레 리바노스 수도원장이 에티오피아 교회의 세속적 수장인 이체게로 임명되는 관습 때문에 생긴 차이라고 설명한다.[13]"이야수스 모아의 생애"와 "Be'ela nagastat"에는 예쿠노 암라크의 집 밖에서 수탉이 3개월 동안 그의 머리를 먹는 자가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왕이 수탉을 요리하게 했으나, 요리사가 머리를 버렸고 예쿠노 암라크가 그것을 먹어 에티오피아의 통치자가 되었다는 것이다. 학자들은 이 전설이 카파 왕국의 첫 왕에 대한 전설과 유사하며, 에티오피아의 ''Mashafa dorho''(수탉의 서)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고 지적한다.[14]
전통적인 역사에 따르면, 예쿠노 암라크는 자그웨 왕 자-일마크눈에게 갇혔다가 탈출하여 암하라족 지방과 셰와에서 지지를 얻고, 셰와 술탄국의 지원을 받아 군대를 이끌고 안사타 전투에서 자그웨 왕을 물리쳤다.[15] 타데세 탐라트는 이 왕이 예트바라크였지만, ''기억 말살''로 인해 이름이 삭제되었다고 주장한다.[16] 반면, 게타체우 메코넨 하센은 예쿠노 암라크에게 폐위된 마지막 자그웨 왕이 나쿠에토 라아브였다고 주장한다.[17]
3. 치세
예쿠노 암라크는 왕위명으로 아버지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에티오피아 황제가 되었다. 그는 무슬림의 지원을 받으면서도 열심한 기독교 신자였으며, 교회 건설을 장려하고, 기증한 토지는 영토의 1/3에 달한다고 전해진다. 사후, 그의 후손인 황제 바에다 마리암 1세는 예쿠노 암라크의 시신을 아트론사 마리암 교회에 재안치했다.[25]
예쿠노 암라크에 관한 기록은 대부분 구전 설화로 전해진다. 그의 어머니는 암하라족 추장에게 시중드는 여자 노예였고, 그는 하이크 호 근처 이스티파노스 수도원에서 성 테클레 하이마노트에게 교육받았다. 성 테클레 하이마노트는 예쿠노 암라크가 자구에 왕조를 무너뜨리는 데 협력했다고 전해지나, G.W.B. 헌팅퍼드는 예수스-모아에 의해 미화된 이야기라고 비판한다.
전설에 따르면 예쿠노 암라크는 자-일마크눈에 의해 감옥에 갇혔지만 탈출하여 1270년 자구에 왕조를 멸망시켰다고 한다. 당시 자구에 왕에 대해서는 타데세 탐라트는 얏바라크로, 게타추 메코넨 하센은 나쿠에토 라아브로 추측한다.
예쿠노 암라크는 암하라와 쇼아 지역의 기독교 신자들뿐만 아니라 이슬람교 세력과도 손을 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보낸 편지에 "술탄의 겸손한 신하"라고 자칭하며, 자신의 책상 아래에 많은 이슬람 기병이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암라크 사후, 솔로몬 1세가 즉위했지만, 그 치세는 불안정했다. 후계자 쟁탈전이 발발하여 국가는 혼란에 빠졌지만, 암라크의 손자인 암다 세욘 1세가 제위에 오르면서 정치적 혼란은 수습되었다.
3. 1. 다모트 왕국과의 전쟁
예쿠노 암라크는 아바이 강 남쪽에 위치한 다못 왕국을 상대로 원정을 벌였다고 전해진다.[18] 그의 치세 동안 다모트 왕국과의 전쟁은 계속되었다.3. 2. 셰와 술탄국과의 관계
하라르에서 발견된 아랍어 문서에 따르면, 1279년 셰와 술탄국의 딜 마라가 폐위되자 예쿠노 암라크에게 복위를 요청하여 성공했다.[18] 예쿠노 암라크는 하라르의 아미르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그들의 영지 근처에 대체 수도인 안코베르를 건설했다.[19][20]3. 3. 대외 관계
E.A. 월리스 버지에 따르면, 예쿠노 암라크는 동로마 제국 황제 미하일 8세와 서신을 교환했을 뿐만 아니라, 기린 여러 마리를 선물로 보냈다.[21]예쿠노 암라크는 초기에는 무슬림 이웃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아부나를 임명받으려는 시도로 인해 관계가 악화되었다. 1273년 예쿠노 암라크가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보낸 서신이 남아 있는데, 이 서신에서 그는 에티오피아 교회의 최고 수장인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새로운 아부나를 임명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 서신은 그가 이전에 이미 요청을 했었음을 시사한다. 아부나가 도착하지 않자, 예쿠노 암라크는 예멘의 라술 왕조 술탄이 카이로로 가는 자신의 사절의 진로를 방해했기 때문이라고 비난했다.[22]
타데세 탐라트는 예쿠노 암라크의 아들이 왕실 궁정에 시리아 사제들을 언급한 것은 총대주교의 무관심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또한 이 무렵 알렉산드리아와 안티오크 총대주교가 예루살렘 주교 임명권을 놓고 경쟁을 벌였으며, 당시에는 안티오크 총대주교에게 그 특권이 있었다고 지적한다. 이 분쟁의 결과 중 하나로, 총대주교 이그나티우스 4세 예수가 에티오피아 순례자를 아부나로 임명했다. 이 순례자는 에티오피아에서 이 직책을 맡으려 하지 않았지만, 타데세 탐라트는 콥트 주교가 부족했기 때문에 예쿠노 암라크가 자신의 왕국에 도착한 시리아 지지자들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한다.[23]
3. 4. 종교 정책
예쿠노 암라크는 초기에는 무슬림 이웃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나,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아부나를 임명하는 문제로 인해 관계가 악화되었다. 그는 1273년 이집트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서신을 보내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아부나를 임명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아부나가 도착하지 않자, 예쿠노 암라크는 예멘의 라술 왕조 술탄이 자신의 사절을 방해했기 때문이라고 비난했다.[22]타데세 탐라트는 예쿠노 암라크의 아들이 왕실 궁정에 시리아 사제들을 언급한 것은 총대주교의 무관심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당시 알렉산드리아와 안티오크 총대주교는 예루살렘 주교 임명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안티오크 총대주교 이그나티우스 4세 예수가 에티오피아 순례자를 아부나로 임명하기도 했다. 타데세 탐라트는 콥트 주교가 부족했기 때문에 예쿠노 암라크가 시리아 지지자들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한다.[23]
예쿠노 암라크는 랄리벨라 근처에 겐네테 마리암 교회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교회에는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오래된 연대 측정이 가능한 벽화가 보존되어 있다.[24]

4. 유산
예쿠노 암라크의 통치는 에티오피아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다. 자구에 왕조를 무너뜨리고 솔로몬 왕조를 세운 것은 단순한 왕조 교체를 넘어, 암하라족 중심의 새로운 정치 세력을 규합하고 기독교 중심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예쿠노 암라크는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술탄의 겸손한 신하"라 칭하며 이슬람 기병을 언급할 정도로 이슬람 세력과의 관계를 중시했다.[1] 동로마 제국 황제 미하일 8세와 서신, 기린을 주고받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도 펼쳤다.[1]
에티오피아 정교회 주교 임명 문제로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와 갈등을 겪기도 했으나, 콥트 정교회와는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1] 라리벨라 부근에 게네테-미리암 교회를 건설하고 교회에 토지를 기증하는 등 기독교 신앙 장려 정책을 펼쳤다.[1]
4. 1. 정치적, 문화적 유산
예쿠노 암라크는 솔로몬 왕조의 기틀을 다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중앙 집권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기독교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예쿠노 암라크는 암하라족 추장의 노예였던 어머니 밑에서 태어났으며, 이스티파노스 수도원에서 성 테클레 하이마노트에게 교육을 받았다. 그는 암하라와 쇼아 지역의 지지자들을 모아 군대를 조직, 1270년 자구에 왕조를 무너뜨리고 솔로몬 왕조를 열었다.[1] 이 과정에서 기독교 세력뿐만 아니라 이슬람교 세력과도 협력한 것으로 보인다.[1]
그의 치세 동안 다모트 왕국과의 분쟁이 계속되었지만, 동로마 제국 황제 미하일 8세와 서신을 교환하고 기린을 선물하는 등 외교 관계에도 힘썼다.[1]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와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주교 임명을 요청하기도 했다.[1]
예쿠노 암라크는 라리벨라 근처에 게네테-미리암 교회를 건설하게 했는데, 이 교회 벽화는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오래된 벽화 중 하나로 꼽힌다.[1] 그는 무슬림의 지원을 받았음에도 열렬한 기독교 신자였으며, 교회 건설을 장려하고 많은 토지를 기증했다.[1]
예쿠노 암라크 사후, 그의 아들 솔로몬 1세가 즉위했으나, 후계자 쟁탈전으로 인해 혼란이 이어졌다.[1] 그러나 그의 손자 암다 세욘 1세가 즉위하면서 정치적 안정을 되찾게 되었다.[1]
4. 2. 후계 분쟁
예쿠노 암라크 사후, 그의 아들 솔로몬 1세가 즉위했지만, 그의 통치는 불안정했다. 이후 후계자 쟁탈전이 벌어져 에티오피아는 혼란에 빠졌으나, 예쿠노 암라크의 손자 암다 세욘 1세가 즉위하면서 정치적 혼란이 수습되었다.참조
[1]
서적
Ethiopia: The Unknown Land
I.B. Tauris
[2]
간행물
Review: The Different Collections of Nägś Hymns in Ethiopic Literature and Their Contributions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1985
[3]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The Rise and Decline of the Solomonic Dynasty and Muslim European Rivalry in the Reg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
서적
Ethnic Diversity and Federalism: Constitution Making in South Africa and Ethiop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5]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6]
서적
The Black History Book: Big Ideas Simply Explained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Ltd
2021
[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
[8]
서적
Ethiopia: History, Culture and Challenges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9]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Middle east and Africa
Routledge
[10]
서적
The Figure of Solomon in Jewish, Christian, and Islamic Tradition
Brill
[11]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2]
서적
The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From 3500 BC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1993
[13]
간행물
"'The Wealth of Kings' and the End of the Zāguē Dynasty"
https://www.jstor.or[...]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14]
문서
Huntingford, "'Wealth of Kings'", pp. 4–6
[15]
서적
Oromo of Ethiopia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Gibe region
https://eprints.soas[...]
[16]
서적
Church and State in Ethiopia
Clarendon Press
[17]
서적
Wollo, Yager Dibab
Nigd Matemiya Bet
[18]
서적
Ancient and Medieval Ethiopian History to 1270
https://books.google[...]
[19]
서적
The Dynamics of Tulama Oromo in the History of Continuity and Change, Ca. 1700–1880s
https://uir.unisa.ac[...]
University of South Africa
[20]
서적
Ankobar
https://en.sewasew.c[...]
Encyclopedia Aethiopica
[21]
서적
A History of Ethiopia: Nubia and Abyssinia
Anthropological Publications
[22]
서적
Church and State
[23]
서적
Church and State
[24]
서적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Palgrave
[25]
웹사이트
"Local History in Ethiopia"
http://130.238.24.99[...]
The Nordic Africa Institute website
2008-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