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몬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솔로몬 왕조는 1270년 예쿠노 암락이 자그웨 왕조를 몰아내고 에티오피아를 통치하면서 시작된 에티오피아 정교회 군주 계보이다. 솔로몬 왕조는 악숨 왕가의 후손이자 솔로몬의 후손임을 주장하며, 1974년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가 폐위될 때까지 에티오피아를 통치했다. 왕조의 영토는 에티오피아 고원을 중심으로 확장과 축소를 반복했으며, 1974년 에티오피아 혁명으로 황실 가족들이 투옥, 처형 또는 망명하면서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솔로몬 왕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작위 | |
작위 | 에티오피아의 군주 - Atse 왕중왕/여왕중왕 - Negusa Nagast/Negesta Nagastat 네구스 하느님의 선택 시온의 왕 아비시니아의 왕 공작 라스 레울 |
설립과 통치 | |
설립자 | 예쿠노 암라크 |
최종 통치자 | 하일레 셀라시에 |
설립 연도 | 1270년 |
폐위 | 1974년 9월 12일 |
현재 수장 | |
현재 수장 | 제라 야콥 암하 셀라시에 |
분가 | |
분가 | 곤다르 분가 셰와 분가 베테 암하라 - 월로 분가 티그레 분가 고잠 분가 |
기원 | |
기원 | 베테 암하라 |
2. 역사
솔로몬 왕조는 에티오피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솔로몬 왕조의 왕실 깃발에는 중세 시대부터 왕조의 상징이었던 유다의 사자가 그려져 있으며, 라스타파리 운동, 군주제 지지자, 에티오피아 민족주의자들에게 여전히 인기가 있다.[13]
하일레 셀라시에 1세가 채택한 황제 문장은 현재 그의 직계 남계 상속자인 제라 야곱 왕자와 에티오피아 왕위 평의회가 보유하고 있다. 문장은 두 천사가 옆에 있는 황제 옥좌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천사는 칼과 저울을, 다른 천사는 황제 홀을 들고 있다. 옥좌는 종종 ''십자가가 새겨진 지구본''과 다윗의 별을 가지고 있어 기독교와 유대교 전통을 나타낸다. 옥좌는 황제 왕관이 있는 붉은 망토로 덮여 있으며, 옥좌 앞에는 유다 지파의 사자가 있다. 유다의 사자는 군주제 시대 동안 에티오피아 삼색기의 중앙 문장이었으며, 현재 에티오피아 군주제 운동의 주요 상징이다. 또한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를 신으로 여기는 라스타파리 운동 (서구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종교 운동)의 주요 종교 상징으로 채택되었다.[11]
문장에는 "Moa Ambassa ze imnegede Yehuda" (''유다 지파의 정복하는 사자'')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으며, 항상 황제의 공식 칭호와 작위 앞에 왔다. 공식 황실 가계의 모토는 "Ityopia tabetsih edewiha habe Igziabiher" (''에티오피아는 하나님께 손을 뻗는다'')였다.
에티오피아 황제의 완전한 칭호는 ''Negusa Nagast''와 ''Seyoume Igziabeher'' (게에즈어: ሥዩመ እግዚአብሔር; "하나님의 선택받은 자")였다. ''Moa Anbessa Ze Imnegede Yehuda'' ("유다 지파의 정복하는 사자")라는 칭호는 항상 황제의 칭호 앞에 왔다. 이것은 개인적인 칭호가 아니라 예수를 가리키는 것이었으며, 황제는 그리스도의 직책을 자신의 이름 앞에 두어 복종을 나타냈다. 요하네스 4세의 통치 전까지 황제는 또한 ''Neguse Tsion'' (게에즈어: ንጉሠ ጽዮን, '''nəgusä tsiyon'''', "시온의 왕")이었으며, 그의 자리는 악숨에 있었고, 제국의 북부 대부분에 대한 패권을 부여했다.[14]
2. 1. 건국과 기원 신화
솔로몬 왕조는 현대 역사가들이 13세기 후반부터 1974년까지 에티오피아를 통치한 에티오피아 정교회 군주 계보에 붙인 이름이다.[1] 이 왕조는 셰와 출신 귀족인 예쿠노 암락이 1270년 에티오피아의 마지막 자그웨 왕조 통치자를 몰아내고 권력을 장악하면서 건국되었다.[2] [3]이후 이 왕조는 예쿠노 암락이 악숨 왕국 왕가의 직계 남계 후손이라고 주장했다.[1][4] 악숨 왕들은 기원후 1세기부터 10세기까지 에티오피아 대부분을 통치했으나 자그웨 왕조에 의해 대체되었다.[5] 악숨 왕가를 통해 예쿠노 암락은 성경의 왕인 솔로몬의 후손이라고도 주장되었다. 이 주장의 정식 형태는 14세기 문헌인 ''케브라 나가스트''에 기록된 전설에 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악숨 출신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시바 여왕이 예루살렘을 방문하여 솔로몬과 아들을 낳았다. 그녀는 고향 에티오피아로 돌아와 메넬리크 1세를 낳았다. 그와 그의 후손들(악숨 왕가 포함)은 자그웨 침략자들에게 쫓겨날 때까지 에티오피아를 통치했다. 따라서 메넬리크 1세의 직계 후손으로 여겨지는 예쿠노 암락은 솔로몬 계보를 "복원"했다고 주장되었다.[1]
그러나 전설이나 예쿠노 암락의 혈통을 뒷받침하는 역사적 증거는 없다. 악숨 왕가가 솔로몬의 후손이라는 주장(혹은 악숨의 어떤 왕이라도 그러한 혈통을 주장했다는 주장)이나 예쿠노 암락이 악숨 왕가의 후손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할 신뢰할 만한 근거는 없다. 솔로몬은 기원전 10세기 인물로, 악숨 건국 수백 년 전 인물이다.[1] 역사가 해롤드 G. 마커스는 ''케브라 나가스트''의 이야기를 예쿠노 암락의 권력 장악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설의 혼합체"라고 설명한다.[6] 데이비드 노스럽은 이 이야기가 중세 정치 신화로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에티오피아의 국가 정체성에 깊이 자리 잡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왕조의 신화는 지속적으로 전파되었고, 이는 황제가 "에티오피아 여왕인 시바 여왕과 예루살렘의 솔로몬 왕의 아들인 메넬리크 1세의 왕조에서 단절 없이 계승된다"고 선언한 1955년 에티오피아 헌법에 반영되었다.[8]
2. 2. 후기 역사
솔로몬 왕조는 1974년 마지막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가 폐위될 때까지 에티오피아를 거의 중단 없이 통치했다. 현재 황실은 비통치 상태이다. 1974년 에티오피아 혁명 당시 에티오피아에 있던 황실 가족들은 투옥되었고, 일부는 처형되고 다른 일부는 망명했다.[9] 1976년, 하일레 셀라시에의 증손자 10명이 에티오피아에서 탈출했다.[9] 왕조의 여성들은 1989년에 정권에 의해 감옥에서 석방되었고, 남성들은 1990년에 석방되었다.[9] 그 후 여러 구성원들이 1990년 중반에 출국 허가를 받았고, 나머지는 1991년 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 공산 정권이 붕괴되면서 출국했다.[9] 많은 황실 가족들이 그 후 에티오피아로 돌아와 살고 있다.
왕조가 존재했던 대부분의 기간 동안, 그 실질적인 영토는 현재 에티오피아의 북서부 지역인 에티오피아 고원이었다. 수세기 동안 제국은 확장과 축소를 반복했고, 때로는 현대 수단과 남수단의 일부 지역과 홍해 및 아덴만의 해안 지역을 포함하기도 했다. 남부와 동부 지역은 지난 2세기 동안 영구적으로 편입되었는데, 그중 일부는 셰와(Shewan) 왕들에 의해, 일부는 메넬리크 2세와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에 의해 편입되었다. 중앙 및 남부 지역의 대부분은 이전에 암다 세욘 1세와 자라 야콥 치하에서 제국에 편입되었지만,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의 침략 이후 주변 지역은 상실되었다.[10]
현대에 이르러 황실에는 여러 분가가 있다.
분가 | 설명 |
---|---|
곤다르 분가 | 수세뇨스 1세로 시작하는 곤다르 계보는 1855년 요하네스 3세의 몰락과 테우드로스 2세의 집권과 함께 통치를 끝냈다.[11] |
티그라이 분가 | 1872년 요하네스 4세의 즉위와 함께 잠시 권력을 잡았으나, 1889년 황제가 사망한 후 황제 자리에 남지 않았다.[11] 이 분가의 상속자들은 1974년 혁명까지 티그라이를 통치했다.[11] |
셰와 분가 | 1889년 메넬리크 2세의 대관식과 함께 황제 자리에 올랐다.[11] 직계 남성 계보는 메넬리크 2세에서 끝났고, 리야수, 즈우디투, 하일레 셀라시에에게 왕위가 계승되었다.[11] 하일레 셀라시에의 통치는 1974년 왕조가 축출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그의 손자인 제라 야콥 암하 셀라시에가 현재 황실의 수장이다.[11] |
고잠 분가 | 솔로몬 왕조의 가장 오래된 차자 분가로, 고잠의 테클레 하이마노트, 하일루 테클레 하이마노트 등의 인물이 있다.[12] |
[1]
서적
Ethiopia: History, Culture and Challenges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3. 갤러리
참조
[2]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The Rise and Decline of the Solomonic Dynasty and Muslim European Rivalry in the Reg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The Rise and Decline of the Solomonic Dynasty and Muslim European Rivalry in the Reg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Middle east and Africa
Routledge
[5]
서적
Ethiopia: The Land, Its People,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New Africa Press
[6]
서적
A Histo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서적
Seven Myths of Africa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8]
서적
The Figure of Solomon in Jewish, Christian, and Islamic Tradition
Brill
[9]
웹사이트
Solomonid Dynasty | Ethiopian history | Britannica.com
https://www.britanni[...]
2017-08-25
[10]
서적
Church and State in Ethiopia (1270–1527)
Clarendon Press
[11]
웹사이트
Marie-Laure Derat, L'Éthiopie à l'époque de la dynastie salomonienne
http://www.clio.fr/B[...]
[12]
웹사이트
Solomonid Dynasty - Ethiopian history
https://www.britanni[...]
[13]
학술지
Vlajky a znaky Etiopie
http://vexilologie.c[...]
2003
[14]
학술지
Elite Distinction and Regime Change: The Ethiopian C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