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치오 그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라치오 그라시는 제노바 공화국 출신의 예수회 사제이자 과학자, 건축가였다. 그는 로마 대학에서 수학을 가르쳤으며,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혜성에 관한 논쟁을 벌였다. 그라시는 혜성이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주장했지만, 갈릴레오는 이를 반박했다. 그는 또한 건축 분야에서 활동하며 여러 예수회 건물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과학 및 기술 저작물을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이탈리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변분법, 라그랑주 역학 등을 개발하고 미터법 제정에 참여하며 18~19세기 수학과 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에펠탑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예수회 과학자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예수회 과학자 - 조아킴 부베
조아킴 부베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 청나라에서 활동하며 강희제의 총애를 받은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수학과 천문학을 가르치고 외교 사절 역할을 수행하며 동서양 문화 교류에 기여했고, 라이프니츠에게 이진법 연구에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례 논쟁에 참여하고 『강희제전』을 저술했다. - 이탈리아의 조각가 - 안토니오 카노바
안토니오 카노바는 신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이탈리아 조각가로, 로마에서 미켈란젤로의 영향을 받아 활동하며 《키스로 깨어나는 프시케》,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르스》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나폴레옹의 후원을 받으며 유럽 예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조각가 -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아메데오 모딜리아니는 이탈리아 출신의 화가로, 파리에서 활동하며 가늘고 긴 목과 달걀형 얼굴의 인물화를 주로 그렸으며, 34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으나 사후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오라치오 그라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오라치오 그라시 |
출생 | 1583년 |
사망 | 1654년 |
직업 | 예수회 사제 건축가 과학자 수학자 |
학문 분야 | |
분야 | 천문학 수학 건축학 |
주요 저서 | |
저서 | Libra astronomica ac philosophica (천문학 및 철학 서적) De Tribus Cometis (세 개의 혜성에 관하여) |
소속 | |
소속 단체 | 예수회 |
2. 생애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오라치오 그라시는 제노바 공화국의 사보나에서 태어났다.[2] 1600년 로마의 산탄드레아 알 퀴리날레 성당에서 예수회 수련자가 되었다.[2] 1603년 첫 수도 서원을 한 후, 로마 대학에서 철학, 신학, 수학을 공부했으며,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 크리스토프 그리엔베르거, 오도 반 마엘코테 등의 가르침을 받았다.[2] 1610년까지 학업을 계속했다.[2]1614년 제노바의 예수회 대학에서 수련원장 보조로 임명되어 2년간 일했다.[2] 그 후, 로마 대학의 수학 교수가 되었으며, 광학과 건축 연구도 병행했다.[2] 1617년 눈에 대한 강연을 De iride disputatio opticala라는 제목으로 출판하고, Tractatus tres de sphera, de horologis ac de opticala도 출판했다.[2] 1618년 종신 서원을 하고 성직을 받아 사제가 된 후, 1628년까지 수학 교수직을 맡았다.[2]
2. 2. 예수회 활동과 학문 연구
3. 갈릴레오와의 논쟁
1619년 초, 그라시는 "De Tribus Cometis Anni MDCXVIII"(세 혜성에 관하여/De Tribus Cometis Anni MDCXVIIIla)라는 제목으로 1618년 가을에 나타난 세 개의 혜성에 관해 로마 대학에서 행한 강의를 출판했다. 그는 시차가 없다는 것은 혜성이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달 너머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3]
갈릴레오는 그라시의 강의 사본을 받고 매우 분노했다. 그의 사본 여백에 갈겨 쓴 메모는 "pezzo d'asinaccio"(멍청한 놈/pezzo d'asinaccioit), "bufolaccio"(광대/bufolaccioit), "villan poltrone"(사악한 바보/villan poltroneit), "balordone"(어리석은 바보/balordoneit)와 같은 욕설로 가득했다.[4] 갈릴레오는 그라시가 제시했지만 원래 티코 브라헤가 제기했던 많은 주장에 반박하는 내용의 ''혜성에 관한 담론''으로 응답했다. 이 논문은 혜성에 시차가 없는 이유는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 아니라 대기 현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갈릴레오는 또한 브라헤와 그라시가 믿었던 것처럼 혜성의 경로가 원형이 아닌 직선이라고 주장했다.[5] 이 ''담론''은 또 다른 예수회 신부인 크리스토프 샤이너와의 태양 흑점 논쟁을 이어갔다.[6]
그라시는 로타리오 사르시 시젠사노(Horatius Grassius Salonensis, 그의 라틴어 이름의 아나그램)라는 필명으로 출판된 논문 "Libra astronomica ac philosophica"(천문학적 및 철학적 천칭/Libra astronomica ac philosophicala)로 차례로 응답했다. 이 논문에서 그라시는 갈릴레오의 ''담론''에 담긴 아이디어가 제롤라모 카르다노와 베르나르디노 텔레시오가 제시한 아이디어와 얼마나 가까운지(교회가 위험하다고 여겼음) 지적하고, 혜성이 확실히 착시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과학적 논쟁과 실험 결과를 제시했다. 그라시의 저작은 갈릴레오가 1623년에 쓴 "Il Saggiatore"(시금사/Il Saggiatoreit)에서 격렬하게 그라시의 노력을 깎아내리면서 또 다른 격분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2]
그라시가 ''Il Saggiatore''가 출판된 직후, 물질의 원자론을 옹호하고, 이는 원자론이 성변화를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기 때문에 성체 교리와 충돌한다는 내용을 담은 익명의 종교 재판소에 대한 불만을 쓴 저자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라시가 이 저자라는 데 동의하지 않지만,[8] 그의 ''Il Saggiatore''에 대한 두 번째 응답인 "Ratio ponderum librae et simbellae"(천칭과 심벨라의 무게 비율/Ratio ponderum librae et simbellaela) (1626)가 익명의 불만과 동일한 주장을 많이 담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Libra''가 주로 천문학적 문제에 초점을 맞춘 반면, ''Ratio''는 교리적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 ''천칭 저울''이 풍자와 새로운 철학이라는 치명적인 논쟁의 무기를 사용했던 것과 달리, ''Ratio''는 종교적, 철학적 정통성을 바탕으로 한 교리적이고 변증법적인 반박이라는 그에 못지않은 치명적인 무기를 사용했다.[9]
이후 그라시와 갈릴레오 모두 이 문제에 대해 더 이상 논쟁을 출판하지 않았다.[2]
3. 1. 혜성 논쟁의 시작
1619년 초, 그라시는 "De Tribus Cometis Anni MDCXVIII"라는 제목으로 1618년 가을에 나타난 세 개의 혜성에 관해 로마 대학에서 행한 강의를 출판했다. 그는 시차가 없다는 것은 혜성이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달 너머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3]갈릴레오는 그라시의 강의 사본을 받고 매우 분노했다. 그의 사본 여백에 갈겨 쓴 메모는 욕설로 가득했다.[4] 갈릴레오는 그라시가 제시했지만 원래 티코 브라헤가 제기했던 많은 주장에 반박하는 내용의 ''혜성에 관한 담론''으로 응답했다. 이 논문은 혜성에 시차가 없는 이유는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 아니라 대기 현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갈릴레오는 또한 브라헤와 그라시가 믿었던 것처럼 혜성의 경로가 원형이 아닌 직선이라고 주장했다.[5]
그라시는 로타리오 사르시 시젠사노(Horatius Grassius Salonensis, 그의 라틴어 이름의 아나그램)라는 필명으로 출판된 논문 "Libra astronomica ac philosophica"로 차례로 응답했다.[2] 그라시의 저작은 갈릴레오가 1623년에 쓴 "Il Saggiatore"에서 격렬하게 그라시의 노력을 깎아내리면서 또 다른 격분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2]
그라시가 ''Il Saggiatore''가 출판된 직후, 물질의 원자론을 옹호하고, 이는 원자론이 성변화를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기 때문에 성체 교리와 충돌한다는 내용을 담은 익명의 종교 재판소에 대한 불만을 쓴 저자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라시가 이 저자라는 데 동의하지 않지만,[8] 그의 ''Il Saggiatore''에 대한 두 번째 응답인 "Ratio ponderum librae et simbellae"(1626)가 익명의 불만과 동일한 주장을 많이 담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9]
이후 그라시와 갈릴레오 모두 이 문제에 대해 더 이상 논쟁을 출판하지 않았다.[2]
3. 2. 갈릴레오의 반박과 논쟁의 격화
1619년 초, 그라시는 "De Tribus Cometis Anni MDCXVIII"라는 제목으로 1618년 가을에 나타난 세 개의 혜성에 관한 로마 대학 강의를 출판했다. 그는 시차가 없다는 것은 혜성이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달 너머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3]갈릴레오는 그라시의 강의 사본을 받고 매우 분노하여 여백에 욕설을 갈겨 썼다.[4] 갈릴레오는 ''혜성에 관한 담론''으로 응답하여 혜성에 시차가 없는 이유는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 아니라 대기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또한 혜성의 경로가 원형이 아닌 직선이라고 주장했다.[5] 이 ''담론''은 크리스토프 섀이너와의 태양 흑점 논쟁을 이어갔다.[6]
그라시는 로타리오 사르시 시젠사노(Horatius Grassius Salonensis, 그의 라틴어 이름의 아나그램)라는 필명으로 "Libra astronomica ac philosophica"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갈릴레오의 ''담론''에 담긴 아이디어가 제롤라모 카르다노와 베르나르디노 텔레시오의 아이디어와 가깝다고 지적하고, 혜성이 착시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과학적 논쟁과 실험 결과를 제시했다. 그라시의 저작은 갈릴레오가 1623년에 쓴 "Il Saggiatore"에서 격렬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2]
그라시가 ''Il Saggiatore''가 출판된 직후, 물질의 원자론을 옹호하여 성체 교리와 충돌한다는 내용을 담은 익명의 종교 재판소에 대한 불만을 쓴 저자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라시가 이 저자라는 데 동의하지 않지만,[8] 그의 ''Il Saggiatore''에 대한 두 번째 응답인 "Ratio ponderum librae et simbellae"(1626)가 익명의 불만과 동일한 주장을 많이 담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Libra''가 주로 천문학적 문제에 초점을 맞춘 반면, ''Ratio''는 교리적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 ''천칭 저울''이 풍자와 새로운 철학이라는 무기를 사용했던 것과 달리, ''Ratio''는 종교적, 철학적 정통성을 바탕으로 한 교리적이고 변증법적인 반박이라는 무기를 사용했다.[9]
이후 그라시와 갈릴레오 모두 이 문제에 대해 더 이상 논쟁을 출판하지 않았다.[2]
3. 3. 논쟁의 종결
1619년 초, 그라시는 "De Tribus Cometis Anni MDCXVIII"라는 제목으로 로마 대학에서 1618년 가을에 나타난 세 개의 혜성에 관한 강의를 출판했다. 그는 시차가 없다는 것은 혜성이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달 너머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3]갈릴레오는 그라시의 강의 사본을 받고 매우 분노했다. 그의 사본 여백에 갈겨 쓴 메모는 욕설로 가득했다.[4] 갈릴레오는 그라시가 제시했지만 원래 티코 브라헤가 제기했던 많은 주장에 반박하는 내용의 ''혜성에 관한 담론''으로 응답했다.[5] 이 ''담론''은 또 다른 예수회 신부인 크리스토프 섀이너와의 태양 흑점 논쟁을 이어갔다.[6]
그라시는 로타리오 사르시 시젠사노라는 필명으로 출판된 "Libra astronomica ac philosophica"로 응답했다.[2] 이 논문에서 그라시는 갈릴레오의 ''담론''에 담긴 아이디어가 제롤라모 카르다노와 베르나르디노 텔레시오가 제시한 아이디어와 얼마나 가까운지 지적하고, 혜성이 확실히 착시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과학적 논쟁과 실험 결과를 제시했다. 그라시의 저작은 갈릴레오가 1623년에 쓴 "Il Saggiatore"에서 격렬하게 그라시의 노력을 깎아내리면서 또 다른 격분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2]
그라시가 ''Il Saggiatore''가 출판된 직후, 물질의 원자론을 옹호하는 익명의 종교 재판소에 대한 불만을 쓴 저자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라시가 이 저자라는 데 동의하지 않지만,[8] 그의 ''Il Saggiatore''에 대한 두 번째 응답인 "Ratio ponderum librae et simbellae"(1626)가 익명의 불만과 동일한 주장을 많이 담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Libra''가 주로 천문학적 문제에 초점을 맞춘 반면, ''Ratio''는 교리적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9]
이후 그라시와 갈릴레오 모두 이 문제에 대해 더 이상 논쟁을 출판하지 않았다.[2]
4. 과학 및 건축 분야의 업적
4. 1. 기타 과학적 관심사
그라시는 그의 경력 동안 구, 시계 및 광학에 관한 작품(Tractatus tres de sphera, de horologis ac de opticala (1617)), 광학에 관한 또 다른 작품(De iride disputatio optica a Galeatio Mariscotto publice habita in Collegio Romano S.I.la (1617)) 및 비트루비우스의 저작에 나오는 해시계에 관한 작품(In primum librum de architectura M. Vitruvii et in nonum eiusdem De horologiorum solarium descriptione duo brevissimi tractatila (1624))을 포함하여 여러 다른 과학 및 기술 저작물을 저술했다.[2] 말년에는 제노바에 머물면서 빛의 물리학에 관한 논문과 미완성된 건축에 관한 논문을 포함하여 여러 다른 저작물을 제작했지만, 이후 유실되었다.[2] 1644년에는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의 연구를 바탕으로 수은으로 채워진 튜브를 사용하여 대기압에 대한 실험도 수행했다.[2] 이 실험들은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의 부적절성을 입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그는 1633년까지 로마 대학교의 수학 교수이자 부총장으로 재직했으며, 그해에 수도회가 그를 고향인 제노바의 예수회 대학으로 전출시켰다.[2] 그는 가르치는 역할이 아닌 고해 신부로 봉사했지만, 더 이상 고위 학술직을 맡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도회의 여러 과학 프로젝트에 대한 검토 및 조언을 계속했다.[2] 제노바 공화국 또한 그에게 '침몰하지 않는' 배를 포함한 해군 공학에 대해 자문을 구했다.[2] 로마에서 두 번째 기간을 보낸 후, 그는 1651년과 1653년 사이에 제노바 대학에서 다시 고해 신부로, 그리고 부총장으로 봉사했다.[2]
4. 2. 건축 프로젝트
오라치오 그라시는 예수회 소속 건물 프로젝트 여러 건에 대한 자문 활동에 참여했다.[2] 그의 건축에 대한 관심은 1616년 수학을 가르치기 시작하면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동시에 예수회 모든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 consiliarius aedificiorumla(건축 컨설턴트)라는 직함을 얻었다.[2] 그는 1616년부터 1628년 사이에 이 책임을 간헐적으로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2] 이후 그는 건축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지만, 그의 많은 계획은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2]1624년 그는 세체로 여행을 가서 현지 대학과 1601년 아버지 조반니 데 로시스의 설계로 시작된 Ss. 피에트로 e 파올로 교회의 건설 진행 상황을 확인했다.[2] 그라시는 이 프로젝트에 여러 가지 변경 및 추가 사항을 추가했다.[2] 1626년 시에나 대학 학장은 그에게 산 비질리오 교회의 개조를 맡아 달라고 요청했다.[2] 이는 그의 유일하게 완전히 실현된 디자인이었으며, 훌륭한 공간의 기능적 사용과 절제된 장식을 결합하여 예수회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2]
1626년 말 그는 산 이냐시오 교회 건축 공사를 돕기 위해 로마로 불려갔고, 1627년에는 그 건설의 감독관이 되었다.[10] 1632년 그는 S. 루치아 교회의 건축을 돕기 위해 테르니로 불려갔고, 곧 이어 몬테풀치아노 대학과 비테르보의 교회에도 참여했다.[2]
그의 건축 활동은 1633년 제노아로 이주한 후 줄어들었지만, 1634년 그는 이 도시의 새로운 예수회 대학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이는 그들이 건축하려는 토지를 소유한 오르데와 발비 가문 사이에 많은 분쟁을 일으켰다.[2] 나중에 그는 대학 부학장이 되었고, 그동안 진척이 거의 없었던 이 프로젝트를 재개하여 결국 1664년에야 완공되었다.[2]
1645년 봄 그라시는 로마를 방문하여 산 이냐시오 공사의 검사를 수행하고 매우 비판적인 보고서를 작성하여 안토니오 사소의 지휘 아래 이미 완료된 건설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초래했다.[11] 그라시는 정면의 고도와 관련된 작업을 담당했으며, 원래 디자인에서 벗어난 이전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내부 돔 계획을 제안했다.[11] 그러나 이는 결국 건설되지 않았고, 대신 안드레아 포초가 그린 ''트롱프뢰유'' 돔을 설치했다.[11]
5. 저서
- Libra astronomica ac philosophicait, 페루자, 마르코 나카리니, 1619년.
- De irae et Simbellae ponderum proportionela, 나폴리, 마테오 누치, 1627년.
참조
[1]
서적
Galileo Heretic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2]
간행물
2002
[3]
서적
Galileo
OUP
2010
[4]
서적
The Crime of Galileo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서적
A History of Physical Theories of Comets, From Aristotle to Whippl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5-23
[6]
서적
On Sunspot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7]
논문
Galileo Heretic (review)
https://muse.jhu.edu[...]
1990
[8]
서적
Metaphysical Themes 1274-1671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02-07
[9]
서적
Galileo Heretic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10]
웹사이트
Uno schizzo inedito del Padre Grassi per la lanterna di Sant'Ignazio (Roma)
http://www.archiviop[...]
[11]
웹사이트
The fake dome
https://santignazio.[...]
2018-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