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 로버트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카 로버트슨은 1938년 테네시주에서 태어나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성장한 미국의 전 농구 선수이다. 그는 크리스퍼스 애턱스 고등학교에서 인디애나주 챔피언십을 두 번 우승했으며, 신시내티 대학교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NCAA 득점왕, 올 아메리칸,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신시내티 로열스에서 NBA 신인상, MVP, 올스타전 MVP를 수상하며 활약했다. 밀워키 벅스로 이적하여 NBA 챔피언십을 우승했으며, 선수 협회 회장으로서 선수들의 권익 향상에 기여했다. 은퇴 후에는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NBA 50주년 기념팀에 선정되었다. 그는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능력을 모두 갖춘 다재다능한 선수로 평가받고 있으며, 현재 NBA의 웨스턴 컨퍼런스 챔피언십 트로피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팬아메리칸 게임 농구 참가 선수 - 제리 웨스트
제리 웨스트는 NBA 로고 모델이자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서 선수, 감독, 임원으로 활약하며 챔피언십 우승과 왕조 구축에 기여한 미국의 전설적인 농구 선수, 감독, 프런트 오피스 임원이다. - 1960년 하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 - 제리 웨스트
제리 웨스트는 NBA 로고 모델이자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서 선수, 감독, 임원으로 활약하며 챔피언십 우승과 왕조 구축에 기여한 미국의 전설적인 농구 선수, 감독, 프런트 오피스 임원이다. - 1960년 하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 - 겐나디 볼노프
겐나디 볼노프는 CSKA 모스크바에서 선수 생활 대부분을 보내며 소련 리그와 유로리그 우승을 여러 차례 달성하고, 소련 농구 국가대표팀으로 올림픽, FIBA 월드컵, FIBA 유로바스켓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한 소련의 농구 선수이다. - FIBA 명예의 전당 헌액자 - 마이클 조던
마이클 조던은 1963년 뉴욕에서 태어나 시카고 불스에서 활약하며 NBA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로 평가받으며 6번의 NBA 챔피언십 우승, 5번의 MVP 수상, 10번의 득점왕을 차지했고, 은퇴 후 야구 선수로 활동하거나 샬럿 호네츠의 구단주로 활동하기도 했다. - FIBA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토니 쿠코치
토니 쿠코치는 유럽 농구 역사상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국가대표팀, 유럽 리그, NBA 시카고 불스에서 활약하며 올림픽 메달, FIBA 월드컵 우승, 유로리그 우승, NBA 챔피언십 우승, NBA 식스맨 상 등을 수상한 크로아티아의 은퇴한 농구 선수이다.
| 오스카 로버트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오스카 파머 로버트슨 |
| 출생일 | 1938년 11월 24일 |
| 출생지 | 미국 테네시주 샬럿 |
| 신장 | 196cm |
| 체중 | 93kg |
| 포지션 | 포인트 가드 |
| 학력 | |
| 고등학교 | 크리스퍼스 애턱스 고등학교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
| 대학교 | 신시내티 대학교 (1957–1960) |
| 선수 경력 | |
| 드래프트 | 1960년 |
| 드래프트 지명 방식 | 지역 지명 |
| 드래프트 팀 | 신시내티 로열스 |
| 선수 생활 시작 | 1960년 |
| 선수 생활 종료 | 1974년 |
| 등번호 | 14, 1 |
| 소속팀 | 신시내티 로열스 (1960–1969) 밀워키 벅스 (1970–1973) |
| 영구 결번 | No. 14 새크라멘토 킹스 No. 1 밀워키 벅스 |
| 수상 경력 | |
| NBA 우승 | 1971년 |
| NBA 시즌 MVP | 1963년 |
| NBA 올스타 선정 | 12회 (1961–1972) |
| NBA 올스타 게임 MVP | 3회 (1961, 1964, 1969) |
| 올 NBA 퍼스트팀 선정 | 9회 (1961–1968) |
| 올 NBA 세컨드팀 선정 | 2회 (1970, 1971) |
| NBA 신인왕 | 1960년 |
| NBA 어시스트왕 | 6회 (1961, 1962, 1964–1966, 1969) |
| NBA 기념팀 | 35주년 50주년 75주년 |
| 헬름스 칼리지 올해의 선수 | 2회 (1959, 1960) |
| UPI 칼리지 올해의 선수 | 3회 (1958–1960) |
| USBWA 올해의 선수 (오스카 로버트슨 트로피) | 2회 (1959, 1960) |
| 스포팅 뉴스 칼리지 올해의 선수 | 3회 (1958–1960) |
| NCAA 올-아메리카 퍼스트팀 선정 | 3회 (1958–1960) |
| NCAA 득점왕 | 3회 (1958–1960) |
| 미주리 밸리 컨퍼런스 (MVC) 올스타 퍼스트팀 선정 | 3회 (1958–1960) |
| 미스터 농구 USA | 1956년 |
| NBA 평생 공로상 | 2019년 |
| 국가대표 경력 | |
| 올림픽 금메달 | 1960 로마 |
| 팬 아메리칸 게임 금메달 | 1959 시카고 |
| 통계 | |
| NBA 득점 | 26,710 (25.7 ppg) |
| NBA 리바운드 | 7,804 (7.5 rpg) |
| NBA 어시스트 | 9,887 (9.5 apg) |
| 시즌 평균 트리플 더블 | 1962년 |
| 명예의 전당 | |
| 농구 명예의 전당 입성 | 1980년 |
| FIBA 명예의 전당 입성 | 2009년 |
| 대학 농구 명예의 전당 입성 | 2006년 |
| 기타 | |
| 관련 링크 | 농구 명예의 전당 프로필 NBA 역사 페이지 |
2. 어린 시절
오스카 로버트슨은 1938년 11월 24일 테네시주 샬럿에서 태어나 가난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4살 때 가족과 함께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로 이주했다.[10] 빈곤에 시달렸던 로버트슨은 테니스공을 던지며 농구를 배웠고, 형제들과 슬럼가 코트에서 실력을 키웠다.[2]
오스카 로버트슨은 테네시주 샬럿에서 태어났지만, 4살 때 인디애나폴리스로 이주하여 흑인 게토에서 자랐다. 그는 가난과 인종 차별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당시 많은 아이들이 야구를 했지만, 장비를 살 형편이 되지 않았던 로버트슨은 테니스 공에 천을 뭉쳐 과일 바구니를 매달아 놓은 벽에 던지며 농구를 시작했다.
로버트슨은 인종 차별이 심했던 인디애나폴리스의 록필드 가든스라는 흑인 주택 지구에서 자랐다.[10] 그는 동네 아이들이 주로 하던 야구보다 농구를 더 좋아했는데, 농구가 "가난한 아이들의 게임"이었기 때문이다.[2] 그는 테니스 공과 고무줄로 묶은 헝겊을 사용하여 슛을 연습했고, 집 뒤뜰의 복숭아 바구니에 던져 넣는 방식으로 훈련했다.[2]
고등학교 진학 당시, 대부분의 흑인 학교에는 농구 체육관이 없었고, 백인 학교는 로버트슨의 입학을 거부했다. 그래서 로버트슨은 인디애나폴리스의 크리스퍼스 어택스 고등학교에 진학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여기서 레이 크로우 코치를 만난 것은 로버트슨에게 큰 행운이었다. 크로우 코치는 로버트슨의 뛰어난 신체 능력을 알아보고 기초부터 철저하게 가르쳤다. 그의 지도 아래 팀의 에이스로 성장한 로버트슨은 2학년인 1954년 시즌에 팀을 인디애나주 챔피언십 4강에 진출시켰고, 이듬해 1955년 시즌에는 31승 1패로 주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이는 흑인 학교 최초의 주 챔피언 등극이었다. 1956년 시즌에도 어택스 고등학교는 45연승(주 신기록)을 기록하고, 31전 전승으로 주 챔피언십 2연패를 달성했다. 평균 24.0득점을 기록한 로버트슨은 주의 미스터 농구에 선정되었다. 코트에서는 누구보다 빛났지만, 코트 밖에서는 차별받는 흑인 중 한 명에 불과했고, 우승 축하 파티를 열려 하자 마을에서 쫓겨나는 등 차별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은 신시내티 대학교에 진학한 후에도 계속되었다.
3. 학창 시절
고등학교 진학 시 선택의 폭이 좁았다. 대부분의 흑인 학교에는 농구장이 없었고, 백인 학교는 로버트슨의 입학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결국 그는 크리스퍼스 애턱스 고등학교에 진학했고, 그곳에서 코치 레이 크로우를 만난 것은 큰 행운이었다. 크로우 코치는 로버트슨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기본기부터 철저히 가르쳤다.
크로우 코치의 지도 아래 로버트슨은 팀의 에이스로 성장했다. 1954년에는 팀을 인디애나주 챔피언십 4강에 진출시켰고, 1955년에는 31승 1패의 성적으로 주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흑인 학교 최초의 우승이었다. 1956년에도 애턱스 고등학교는 31승 무패의 완벽한 시즌을 보내며 주 챔피언십 2연패를 달성했고, 주 기록인 45연승을 기록했다. 로버트슨은 경기당 평균 24.0점을 기록하며 1956년 인디애나 주 "미스터 농구"로 선정되었다.[2]
하지만 코트 밖에서는 차별받는 흑인 중 한 명이었다. 우승 축하 파티 때 마을에서 쫓겨나는 등 차별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은 신시내티 대학교에 진학한 후에도 이어졌다.
신시내티 대학교에서 로버트슨은 경기당 평균 33.8점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우며 3년 연속 득점왕을 차지했고, 올 아메리칸 선수와 올해의 대학 선수로 선정되었다. 그는 14개의 NCAA 기록과 19개의 학교 기록을 세웠다.[4] 로버트슨의 활약으로 신시내티 베어캐츠는 79승 9패를 기록하며 두 번의 파이널 포에 진출했다. 로버트슨이 졸업할 당시 그는 NCAA 역대 최다 득점자였으며, 1970년에 피트 마라비치에 의해 경신되었다.[2] 그는 여전히 베어캐츠의 많은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데, 한 경기 62득점, 통산 트리플 더블 10개, 경기당 평균 리바운드 15.2개, 통산 득점 2,973점 등이 포함된다.[12]
로버트슨은 1959년 인디애나 주립대와의 경기에서 45득점, 23리바운드, 10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개인 기록을 남겼다.
1998년, 미국 농구 작가 협회는 NCAA 디비전 I 올해의 선수에게 수여하는 트로피의 이름을 오스카 로버트슨 트로피로 변경하여 그의 업적을 기렸다.[13]
3. 1. 인종 차별 경험
로버트슨은 대학 시절, 코트에서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인종 차별을 경험해야 했다. 당시 남부 대학들은 흑인 선수들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로버트슨은 원정 경기 때 호텔 대신 대학 기숙사에서 잠을 자야 했다. 그는 훗날 ''인디애나폴리스 스타''에 "나는 그들을 절대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당시의 차별에 대한 분노를 드러냈다.[2]
4. 프로 농구 경력
오스카 로버트슨은 1960년 NBA 드래프트에서 신시내티 로열스에 지명된 후, 밀워키 벅스로 이적하여 1974년 은퇴할 때까지 프로 농구 선수로 활약했다.
로버트슨은 신시내티 로열스 소속으로 NBA 데뷔전을 치렀으며, 1960년 11월 15일 필라델피아 워리어스를 상대로 44득점, 15리바운드, 11어시스트를 기록했다.[17] 1961-62 시즌에는 NBA 역사상 최초로 시즌 평균 트리플 더블(30.8득점, 12.5리바운드, 11.4어시스트)을 기록했다.[1] 1963-64 시즌에는 평균 31.4득점, 9.9리바운드, 11.0어시스트로 NBA MVP를 수상했고,[1] 1964년 12월 18일에는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상대로 개인 최고 56득점을 기록했다.[23]
1970년, 로버트슨은 밀워키 벅스로 트레이드되어 카림 압둘자바와 함께 1970-71 시즌 NBA 우승을 차지했다.[2] 1973-74 시즌에는 NBA 파이널에 진출했으나, 보스턴 셀틱스에 패하며 준우승했다.[2]
로버트슨은 선수 시절 뛰어난 활약뿐만 아니라, NBA 선수 협회 회장으로서 선수들의 권익 보호에도 앞장섰다. 그가 제기한 ''로버트슨 대 전국 농구 협회'' 소송은 NBA와 ABA의 합병을 이끌었고, 자유 계약 제도를 개선하여 선수들의 연봉 상승에 기여했다.[2]
4. 1. 신시내티 로열스 (1960년 ~ 1970년)

1960년 NBA 드래프트에서 지역 지명(지역 출신 선수를 지명할 수 있는 제도)과 전체 1순위 지명을 받아 신시내티 로열스에 입단했다. 로버트슨은 로열스와의 계약으로 33,000달러라는 어린 시절에는 상상할 수 없는 거액을 손에 넣었지만, 곧 그 액수에 걸맞은 선수임을 증명했다. 루키 시즌부터 평균 30.5득점 10.1리바운드 9.7어시스트로 놀라운 올라운드 능력을 발휘했다.[2] 1년차부터 어시스트왕에 빛났으며, 평균 9.7어시스트는 NBA에서 밥 쿠지의 기록을 깨고 역대 최고 기록이 되었고, 평균 30.5득점은 리그 3위의 좋은 기록이었다. 또한 앞으로 12년 연속으로 선출되는 올스타전에도 출전하여 23득점 14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올스타 MVP를 차지했다. 당연히 신인왕을 수상함과 동시에, 역시 앞으로 9년 연속으로 선출될 올 NBA 퍼스트 팀에도 이름을 올렸다.[1] 1년차부터 이미 리그 톱 클래스의 선수로서의 지위를 확립한 로버트슨과 또 다른 에이스, 잭 트위먼에 이끌려, 모리스 스토크스의 불의의 사고 이후 성적이 떨어졌던 로열스도 상승세를 타, 전년도 19승 56패에서 33승 46패로 크게 승률을 늘렸지만, 플레이오프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다음 1961-62 시즌은 로버트슨과 NBA 모두에게 전설적인 시즌이 되었다. 그는 이 시즌 평균 30.8득점 12.5리바운드 11.4어시스트를 기록하여, 2016-2017 시즌에 러셀 웨스트브룩이 달성하기 전까지 NBA 사상 최초의 '''시즌 평균 트리플 더블'''을 달성했다.[1] 평균 11.4어시스트는 리그 최초의 두 자릿수 돌파였으며, 통산 899어시스트는 쿠지의 기록을 갱신하는 리그 역대 최다 기록이었다. 2년 연속 어시스트왕은 물론, 평균 30.8득점은 리그 5위, 12.5리바운드도 리그 9위에 들었다. 팀은 43승 37패의 성적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로버트슨은 플레이오프 기간 중에도 평균 28.8득점 11.0리바운드 11.0어시스트의 트리플 더블 기록으로 팀을 이끌었지만,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에 1승 4패로 패했다.[20] 이후에도 로버트슨은 개인 기록으로는 준 트리플 더블에 가까운 기록을 계속 남겼지만 (로버트슨의 첫 5시즌 평균은 30.4득점 10.4리바운드 10.6어시스트였다), 플레이오프에서는 결과를 내지 못했다. 당시 리그를 지배한 보스턴 셀틱스가 그의 앞에 가로막고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라큐스 내셔널스(후의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와도 플레이오프에서 여러 번 대결했지만, 로열스는 셀틱스와 세븐티식서스의 벽을 넘지 못했다 (팀 간의 라이벌 관계뿐만 아니라, 셀틱스의 밥 쿠지, 세븐티식서스의 할 그리어와의 매치업도 주목을 받았다). 1962-63 시즌에는 디비전 준결승에서 내셔널스를 꺾고, 디비전 결승에서 셀틱스와 대결하여 7차전까지 가는 접전을 펼쳤다.[21]

1963-64 시즌에 로버트슨의 커리어는 절정기를 맞이한다. 그는 이 시즌에 평균 31.4득점 9.9리바운드 11.0어시스트를 기록하여, 3번째 어시스트왕을 차지함과 동시에 득점왕 경쟁에서는 리그 2위에 올랐고, 자유투 성공률 85.3%는 리그 1위가 되었다.[1] 로버트슨과 동료 트위먼, 베테랑 웨인 엠브리, 이 시즌에 NBA 데뷔를 한 제리 루카스, 에이드리언 스미스와 밥 부저 등, 충실한 로스터를 갖춘 로열스는, 새로운 헤드 코치로 전 로열스 선수였던 잭 맥마흔을 맞이하여, 역대 최고 승수인 55승을 거두었다.[22] 쾌진격의 중심에 있던 로버트슨은 '''시즌 MVP를 수상'''했다.[2] 당시, 이 상은 센터인 빌 러셀과 윌트 체임벌린의 독점 상태였지만, 60년대에 이 두 사람 외에 MVP를 차지한 유일한 선수가 로버트슨이었다. 또한 로버트슨은 올스타전에서 26득점 14리바운드 8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올스타 MVP도 수상했다. 절정의 시즌을 보낸 로버트슨과 로열스는 플레이오프 디비전 준결승에서 체임벌린의 세븐티식서스를 꺾었지만, 디비전 결승에서는 다시 러셀의 셀틱스에 패하여, 꿈에 그리던 파이널 진출은 이루지 못했다.[2]
이후에도 로버트슨은 개인 기록으로는 훌륭한 성적을 거두었고, 로열스 소속으로 총 6번의 어시스트왕, 2번의 자유투 성공률 1위, 1967-68 시즌에 기록한 평균 29.2득점은 리그 1위(당시 득점왕은 평균이 아닌 통산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득점왕은 아니었다)가 되었지만, 그의 분투는 팀의 성공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1964-65 시즌부터 3년 연속 플레이오프 디비전 준결승에서 패배했고, 1967-68 시즌부터는 플레이오프에조차 출전하지 못했다. 부진한 팀에 지역 팬들의 지지도 줄어들었고, 1969-70 시즌에는 팬들을 되돌리기 위해 당시 로열스의 헤드 코치였던 밥 쿠지가 현역으로 복귀하는 고육지책을 썼지만, 팀 성적은 회복되지 않았다.[2]
1969-70 시즌 종료 후, 로열스와 밀워키 벅스 간의 트레이드가 성사되었다. 벅스로부터 플린 로빈슨, 찰리 파울크를 받고, 로열스에서 방출되는 선수가 오스카 로버트슨이라는 사실에 NBA 팬들은 놀랐다. 로열스가 팀의 에이스를 포기한 이유로 당시 가장 많이 거론된 것이 로버트슨과 밥 쿠지 HC의 불화였고, 쿠지가 그가 보유하고 있던 몇몇 NBA 기록을 로버트슨이 잇달아 깨뜨린 것에 질투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로버트슨은 트레이드에 대해 "나는 그(쿠지)가 틀렸다고 생각하고, 이 사실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로버트슨은 대학 시절 4년, NBA에서 10년, 총 14년간 보낸 신시내티를 떠나게 되었다.
4. 2. 밀워키 벅스 (1970년 ~ 1974년)
1970년 4월 21일, 로버트슨은 카림 압둘 자바로 알려진 젊은 센터 루 앨신더가 있는 밀워키 벅스로 이적했다.[24] 이 트레이드는 로버트슨에게 매우 유리했는데, 앨신더와 함께 벅스는 1970-71 시즌에 리그 최고인 66승 16패를 기록, 당시 NBA 기록인 20연승을 달성했다. 1971년 NBA 플레이오프에서 12승 2패라는 압도적인 기록으로 1971년 NBA 파이널에서 볼티모어 불리츠를 4-0으로 꺾고 NBA 우승을 차지했다.[25] 로버트슨은 첫 NBA 파이널 경기에서 22득점, 7리바운드, 7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선수 경력 처음으로 NBA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2]
로버트슨의 벅스 이적은 루 앨신더(이후 카림 압둘 자바)라는 빅 듀오의 탄생을 의미했다. 벅스는 1970-71 시즌에 리그 1위인 66승 16패를 기록했다. 로버트슨은 평균 19.4득점, 5.7리바운드, 8.2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자바와의 픽앤롤은 매우 막기 어려운 오펜스 패턴이 되었다. 벅스는 1971년 NBA 파이널에서 웨스 언셀드, 거스 존슨이 이끄는 볼티모어 불리츠를 4전 전승으로 꺾고, 벅스 사상 첫 우승을 달성했다. 로버트슨에게는 이적 첫 해에 첫 우승을 차지하는 영광이었다.
로버트슨은 벅스에서 3시즌을 더 활약하며, 1971–72 NBA 시즌과 1972–73 NBA 시즌에 디비전 타이틀을 차지했다. 1973-74 시즌에는 1974년 NBA 파이널에 진출했지만, 데이브 코웬스, 존 하블리첵이 이끄는 보스턴 셀틱스에 7차전에서 패배했다.[2]
로버트슨은 1973-74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로버트슨의 마지막 시즌에 59승을 거둔 벅스가, 그의 은퇴 후 1974-75 시즌에 38승으로 성적이 떨어진 것은, 로버트슨의 영향력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준다.[27]
5. 국가대표 경력
대학 졸업 후, 로버트슨은 제리 웨스트와 함께 1960년 미국 농구팀의 공동 주장을 맡아 1960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당시 역대 최고의 농구 선수들이 모였다고 평가받는 이 팀은 경쟁 팀들을 압도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로버트슨은 퍼듀 대학교의 테리 디싱어와 함께 포워드로 선발 출전했지만, 포인트 가드 역할도 수행했다. 그는 팀 내 득점 1위였으며, 미국 팀은 9경기에서 평균 42.4점의 압도적인 점수 차로 승리했다. 미국 대표팀의 12명의 대학 선수 중 10명이 이후 NBA에서 활약했으며, 로버트슨뿐만 아니라 미래의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인 웨스트, 제리 루카스, 월트 벨라미도 포함되었다.
1960년 로마 올림픽 미국 대표팀에는 로버트슨 외에 제리 웨스트, 제리 루카스, 월트 벨라미, 테리 디싱어, 밥 부저, 에이드리언 스미스, 다렐 임호프 등 쟁쟁한 선수들이 포함되었다. 이 당시 대표팀은 '''드림팀''' 이전 최고의 대표팀으로 평가받고 있다 (12명 중 10명이 이후 NBA에서 뛰었고, 로버트슨, 웨스트, 루카스, 벨라미 4명이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로버트슨은 웨스트와 함께 팀 주장을 맡았고, 팀의 주요 득점원으로서 활약했다. 대회 평균 17.0득점을 올렸으며, 경기당 평균 42.4점 차로 각국 대표팀을 압도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포워드로 등록되었지만, 실제로는 로버트슨이 포인트 가드로서 대표팀을 이끌었다. 로버트슨은 루카스, 부저, 스미스 3명과 이후 NBA에서도 팀 동료로 함께 활동하게 된다.[1]
6. 선수 노동조합 활동
로버트슨의 업적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선수 회장으로서 NBA 선수들의 지위 향상에 기여한 것이다. 1965년 톰 헤인손의 뒤를 이어 제3대 선수 회장에 취임한 로버트슨의 재임 기간 동안 선수 협회(NBPA)의 활동이 활발해졌으며, 선수 협회의 다양한 요구를 실현했다. 그중에서도 "오스카 로버트슨 소송"으로 유명한 1970년의 재판은 NBA의 자유 계약 선수 제도의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0년 NBA와 당시 존재했던 라이벌 리그인 ABA의 합병 합의로 인해 선수들의 연봉이 삭감될 것을 우려한 선수 협회 측은 독점 금지법 위반으로 리그 측을 제소했다(이 재판의 영향으로 ABA와의 합병은 1976년까지 늦춰졌다).[2] 소송 6년 만에 화해가 이루어졌으며, 선수 협회 측이 ABA와의 합병을 인정하는 대신 자유 계약 선수 조항 및 대학 드래프트 규정이 개정되었다.[2] 이후 자유 계약 선수 제도의 확립과 함께 NBA 선수들의 연봉은 크게 상승했으며, 현재는 어떤 프로 스포츠 리그보다 높은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다.
7. 은퇴 후 활동
로버트슨은 현역 은퇴 후에도 고향인 인디애나폴리스의 생활 환경 개선, 특히 동료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에 계속 참여했다.[2] 1974–75 NBA 시즌 동안 CBS에서 중계하는 경기의 해설자로 브렌트 머스버거와 함께 일했다.[29] 그의 트레이드마크 표현은 속공, 슬램덩크, 선수 충돌 등 화려하거나 인상적인 상황에 대한 반응으로 "맙소사!"와 "브렌트, 그거 봤어!"였다. 1988–89 시즌에 핫 로드 헌들리와 함께 TBS에서 경기를 중계하기 위해 중계석으로 돌아왔다.[30]
은퇴 후, 캔자스시티 킹스(로열스는 로버트슨이 벅스에서 뛰는 동안 그곳으로 이전했다)는 그의 등번호 14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고, 이 영구 결번은 현재 새크라멘토 킹스의 홈구장에서도 계속 기념되고 있다. 벅스 또한 밀워키에서 그가 착용했던 1번을 영구 결번 처리했다. 1994년에는 로버트슨의 2.7미터 높이 청동상이 신시내티 베어캣츠 농구팀의 현재 홈구장인 슈메이커 센터의 피프스 써드 아레나 밖에 세워졌다.[4] 로버트슨은 그곳에서 열리는 많은 경기에 참석하여 코트 사이드 의자에 앉아 베어캣츠 경기를 관람한다. 2006년에는 이 동상이 신시내티 대학교의 리처드 E. 린드너 육상 센터 입구로 이전되었다.[31]
2000년부터 2008년 뱅크 오브 아메리카에 매각될 때까지 컨트리와이드 파이낸셜 코퍼레이션의 이사로 활동했다.[32] 2004년 7월, 신시내티 베어캣츠 남자 농구팀의 임시 헤드 코치로 임명되어 헤드 코치 밥 허긴스가 음주 운전 유죄 판결로 인해 징계를 받는 동안 약 한 달 동안 직무를 수행했다.[33]
2006년 11월 17일, 대학 농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전미 대학 농구 명예의 전당 창립 멤버로 선정되었다. 그는 존 우든, 빌 러셀, 딘 스미스, 제임스 네이스미스와 함께 초대 멤버를 대표하는 5명 중 한 명이었다.[5] 2011년 1월, NCAA에 대한 집단 소송인 ''오배넌 대 NCAA''에 참여하여, 이 단체가 전직 학생 선수들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했다.[34]
2015년, 대마초 합법화를 위한 오하이오 투표안을 발의한 투자자 그룹에 포함되었다.[35] 이 투표안은 그룹 구성원에게 독점적인 재배 권한을 부여하고 개인 사용을 위한 소량의 재배를 제외한 모든 다른 재배를 금지하려 했다.[36] 로버트슨은 이 투표안 통과를 옹호하는 텔레비전 광고에 출연했지만, 결국 부결되었다.[38]
선수 회장으로서 NBA 선수들의 지위 향상에 기여한 것은 로버트슨이 남긴 업적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다. 1965년 톰 헤인손의 뒤를 이어 제3대 선수 회장에 취임했다. 로버트슨의 재임 기간 동안 선수 협회(NBPA)의 활동이 활발해졌으며, 선수 협회의 다양한 요구를 실현했다. 그중에서도 "오스카 로버트슨 소송"으로 유명한 1970년에 일어난 재판은 NBA의 자유 계약 선수 제도의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발단은 1970년 NBA와 당시 존재했던 라이벌 리그인 ABA의 합병 합의였으며, 이로 인해 선수들의 연봉이 삭감될 것을 우려한 선수 협회 측은 독점 금지법 위반으로 리그 측을 제소했다(이 재판의 영향으로 ABA와의 합병은 1976년까지 늦춰졌다). 소송 6년 만에 마침내 화해에 이르렀으며, 선수 협회 측이 ABA와의 합병을 인정하는 대신 자유 계약 선수 조항 및 대학 드래프트 규정이 개정되었다. 이후 자유 계약 선수 제도의 확립과 함께 NBA 선수들의 연봉은 크게 상승했으며, 현재는 어떤 프로 스포츠 리그보다 높은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다.
1980년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1996년 NBA의 위대한 선수 50명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4년 후, 농구 코치 협회에 의하여 "그 세기의 선수"로 투표되었다. 〈The Big O:My Life, My Times, My Game〉을 저서한 로버트슨은 비즈니스 활동을 계속했고, 말년에는 국가 신장 재단을 위한 연설자로 지냈다.
딸 중 한 명이 신부전을 앓고 있었기 때문에 자신의 신장을 딸에게 이식했고, 이 경험으로 인해 전미 신장 재단의 대변인도 맡았다. 은퇴 후에는 인디애나폴리스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생활 환경 개선에 힘쓰는 한편, 신시내티를 거점으로 하는 화학 회사 『Orchem』을 소유했다. 2003년에는 자서전 『Big O』를 출판했다.
8. 플레이 스타일 및 업적
로버트슨은 득점, 리바운드, 플레이 메이킹 모두 뛰어난 선수였다. 신인 시즌 경기당 평균 30.5점은 NBA 역사상 신인 선수 중 세 번째로 높은 기록이며, 첫 7시즌 중 6시즌에서 경기당 30점 이상을 기록했다.[1] NBA에서 이보다 높은 기록을 가진 선수는 단 세 명뿐이다. 경기당 평균 10개 이상의 어시스트를 기록한 최초의 선수였으며, 당시 어시스트 기준이 오늘날보다 엄격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놀라운 기록이다.[2] 또한 NBA 역사상 경기당 평균 10개 이상의 리바운드를 기록한 최초의 가드였으며, 세 번이나 이 기록을 달성했다. 이는 러셀 웨스트브룩이 2016-17 시즌에 달성하기 전까지 누구도 넘보지 못한 기록이었다. 1964년 정규 시즌 MVP, 통산 3번의 올스타 게임 MVP(1961, 1964, 1969)를 수상했다. 통산 26,710득점(경기당 25.7점, 역대 9위), 9,887어시스트(경기당 9.5점), 7,804리바운드(경기당 7.5점)를 기록했다.[1] 6번의 어시스트 부문 리그 1위를 차지했으며, 은퇴 당시 통산 어시스트와 자유투 성공 횟수에서 NBA 역대 1위, 윌트 체임벌린에 이어 역대 득점 2위였다.[2]
로버트슨은 다재다능함의 표본으로, 훗날 매직 존슨과 르브론 제임스와 같은 대형 온볼 플레이어들의 길을 열었다.[2] 그의 첫 5시즌 동안 평균 30.3득점, 10.4리바운드, 10.6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평균 트리플 더블을 달성했다.[39] 통산 181번의 트리플 더블은 2020-21 시즌 웨스트브룩이 경신하기 전까지 수십 년간 깨지지 않은 기록이었다.[40] 3점슛이 없던 시절임을 감안하면 더욱 놀라운 기록이다. 1967-68 시즌에는 득점과 어시스트 부문 모두 리그 1위를 차지한 NBA 역사상 단 두 명의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 통산 6번의 NBA 어시스트 타이틀, 통산 7,000, 8,000, 9,000어시스트를 달성한 최초의 선수였다. 통산 야투 성공률은 48.5%이며, 1963–64 시즌과 1967–68 시즌에는 자유투 성공률 리그 1위를 차지했다.[1]
약 1.83m의 신장으로, NBA 최초의 정통 "빅 가드"로 인정받으며 매직 존슨과 같은 대형 백코트 선수들의 등장을 이끌었다.[2] 헤드 페이크와 페이드 어웨이 점프 슛을 발명했으며, 이는 훗날 마이클 조던이 널리 사용하게 된다.[41]
로버트슨은 1980년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1996년 NBA 50주년 기념 위대한 선수 5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4년 후, 농구 코치 협회로부터 "세기의 선수"로 선정되었다.[3] 1980년 NBA 35주년 기념팀에도 선정되었다.[42] 2003년 ''SLAM'' 선정 "NBA 역대 선수 75인"에서 조던과 체임벌린에 이어 3위, 2006년 ESPN 선정 역대 최고의 포인트 가드 2위에 올랐다.[39] 2022년, NBA 75주년을 기념하여 ''The Athletic'' 선정 역대 최고의 선수 75인에서 12위에 올랐으며, 포인트 가드 중에서는 존슨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순위였다.[43] 2021년 10월, NBA 75주년 기념팀에 선정되었다.[8]
1959년, 미국 농구 작가 협회는 올해의 최고 대학 농구 선수를 기리기 위해 올해의 선수상을 제정했다. 1998년, 그의 이름을 따 오스카 로버트슨 트로피로 개명되었다. 2004년, 해리 웨버가 로버트슨의 18인치 청동 조각상을 제작했다.[13] 2022년, NBA는 웨스턴 컨퍼런스 챔피언십 트로피의 이름을 그의 이름으로 변경했다.[45]
8. 1. 주요 수상 내역
| 구분 | 내역 |
|---|---|
| 대학 | |
| NBA | |
| 스탯 리더 | |
| 기타 | |
| 새크라멘토 킹스의 팀 기록 | |
| NBA 기록 |
9. 유산
로버트슨은 NBA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득점, 리바운드, 플레이 메이킹 모두 뛰어난 삼중 위협 선수였다. 그는 다재다능함의 황금 표준을 세웠고, 훗날 매직 존슨, 르브론 제임스 같은 선수들에게 영향을 주었다.[2] 1980년에는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1996년에는 NBA 50주년 기념팀에 선정되었다. 2000년에는 전미 농구 코치 협회로부터 "세기의 선수" 상을 받았다.[3]
로버트슨은 신인 시즌에 경기당 평균 30.5점을 기록했는데, 이는 NBA 역사상 신인 선수 중 세 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그는 첫 7시즌 중 6시즌에서 경기당 30점 이상을 기록했으며, NBA에서 이 기록을 넘은 선수는 단 세 명뿐이다.[1] 그는 경기당 평균 10개 이상의 어시스트를 기록한 최초의 선수였으며, 당시 어시스트 기준이 오늘날보다 엄격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놀라운 기록이다.[2] 또한, NBA 역사상 경기당 평균 10개 이상의 리바운드를 기록한 최초의 가드였으며, 3번이나 이 기록을 달성했다. 이 기록은 러셀 웨스트브룩이 2016-17 시즌에 달성하기 전까지 깨지지 않았다.
로버트슨은 1964년 정규 시즌 MVP를 수상했고, 통산 3번의 올스타 게임 MVP를 수상했다 (1961년, 1964년, 1969년). 그는 통산 26,710득점 (경기당 25.7점, 역대 9위), 9,887어시스트 (경기당 9.5점), 7,804리바운드 (경기당 7.5점)를 기록하며 선수 생활을 마쳤다.[1] 6번의 어시스트 부문 리그 1위를 차지했으며, 은퇴 당시 통산 어시스트와 자유투 성공 횟수에서 NBA 역대 1위였으며, 윌트 체임벌린에 이어 역대 득점 2위였다.[2]
그의 첫 5번의 NBA 시즌을 합산하면, 로버트슨은 평균 트리플 더블을 기록했으며, 평균 30.3득점, 10.4리바운드, 10.6어시스트를 기록했다.[39] 로버트슨은 통산 181번의 트리플 더블을 기록했는데, 이는 2020-21 시즌에 웨스트브룩이 기록하기 전까지 수십 년 동안 누구도 근접하지 못한 기록이었다.[40] 1967-68 시즌에 로버트슨은 한 시즌에 득점과 어시스트 부문에서 모두 리그 1위를 차지한 NBA 역사상 단 두 명의 선수 중 첫 번째 선수가 되었다. 선수 생활 동안 로버트슨은 총 6번의 NBA 어시스트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통산 7,000, 8,000, 9,000어시스트를 달성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로버트슨은 통산 485의 높은 야투 성공률을 기록했으며, 1963–64 시즌과 1967–68 시즌에 두 번이나 자유투 성공률에서 리그 1위를 차지했다.[1]
약 1.83m의 신장을 가진 로버트슨은 NBA로부터 최초의 정통 "빅 가드"로 인정받았으며,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의 전설 매직 존슨과 같은 선수들에게 길을 열어주었다.[2] 그는 헤드 페이크와 페이드 어웨이 점프 슛을 발명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슛은 나중에 마이클 조던이 유명하게 만들었다.[41] 새크라멘토 킹스로 이전된 신시내티 로열스에서 그는 22,009득점과 7,731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로열스/킹스 팀을 합산한 역대 기록에서 두 부문 모두 1위를 차지했다.[2]
1980년 4월 28일, 로버트슨은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980년 10월 30일, 로버트슨은 NBA 35주년 기념팀에 선정되었다.[3] 1996년, 로버트슨은 NBA 50주년 기념팀에 선정되었다.[42] 2006년 ESPN은 로버트슨을 역대 두 번째로 위대한 포인트 가드로 선정했다.[39] 2022년, ''The Athletic''은 역대 최고의 선수 75인을 선정했고, 로버트슨을 NBA 역사상 12번째로 위대한 선수로 선정했다.[43] 2017년, 로버트슨의 실물 크기의 청동 조각상이 인디애나폴리스 어린이 박물관의 올드 내셔널 뱅크 스포츠 레전드 챔피언 애비뉴에 전시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44] 2021년 10월, 로버트슨은 NBA 75주년 기념팀에 선정되었다.[8]
1959년, 미국 농구 작가 협회는 올해의 선수상을 제정했다. 1998년, 그의 이름을 따서 오스카 로버트슨 트로피로 개명되었다. 2004년, 조각가 해리 웨버가 로버트슨의 18인치 청동 조각상을 조각했다.[13] 2022년, NBA는 웨스턴 컨퍼런스 챔피언십 트로피의 이름을 로버트슨의 이름을 따서 변경했다.[45] 2024년, NBA 커미셔너 애덤 실버는 로버트슨의 조각상을 크리스퍼스 애턱스 고등학교에 영구적으로 설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로버트슨은 자신의 자서전 ''The Big O: My Life, My Times, My Game''을 출판했다. 그는 미국 신장 재단의 명예 대변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화학 회사 Orchem을 소유하고 있다.[47] 그는 할렘 글로브트로터스 선수인 마르케스 헤인즈와 "광대 왕자" 구스 테이텀을 자신의 우상으로 꼽았다.[26] 2007년 6월 9일, 신시내티 대학교에서 명예 인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8]
다음은 로버트슨의 주요 수상 및 기록이다.
| 구분 | 수상 및 기록 |
|---|---|
| 대학 | |
| NBA | |
| 스탯 리더 | |
| 기타 | |
| 새크라멘토 킹스의 팀 기록 | |
| NBA 기록 |
참조
[1]
웹사이트
Oscar Robertson stats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com
2007-01-25
[2]
웹사이트
Oscar Robertson Bio
http://www.nba.com/h[...]
2007-01-25
[3]
웹사이트
NBA 35th Anniversary All-Time Team {{!}} Basketball-Reference.com
https://web.archive.[...]
2022-01-04
[4]
웹사이트
Oscar Robertson Basketball Hall of Fame summary
http://www.hoophall.[...]
Hoophall.com
2007-01-25
[5]
웹사이트
Wooden, Russell lead founding class into Collegiate Hall of Fame
https://web.archive.[...]
Abc.com
2007-01-25
[6]
웹사이트
Top N. American athletes of the century
https://www.espn.com[...]
ESPN
2015-05-08
[7]
웹사이트
The Naismith Memorial Basketball Hall of Fame – Hall of Famers
https://web.archive.[...]
Hoophall.com
2015-05-08
[8]
웹사이트
NBA 75th Anniversary Team announced
https://www.nba.com/[...]
2021-10-21
[9]
웹사이트
Oscar defined the triple-double
https://www.espn.com[...]
ESPN
2015-05-08
[10]
웹사이트
Oscar Robertson to get statue at Attucks: 'Important we continue to honor our heroes.'
https://www.indystar[...]
2024-05-03
[11]
웹사이트
Attucks' win helped race relations
https://www.espn.com[...]
2009-02-27
[12]
웹사이트
2010-11 Men's basketball Media Supplement
http://grfx.cstv.com[...]
Grfx.cstv.com
2015-05-08
[13]
웹사이트
Oscar Robertson Trophy
http://www.sportswri[...]
Usbwa.com
2007-01-25
[14]
웹사이트
1960 Olympic Games : Tournament for Men.
https://archive.fiba[...]
2019-08-26
[15]
웹사이트
Games of the XVIIth Olympiad -- 1960
http://www.usabasket[...]
Usabasketball.com
2007-01-31
[16]
웹사이트
Los Angeles Lakers at Cincinnati Royals Box Score, October 19, 1960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
2019-10-31
[17]
웹사이트
Philadelphia Warriors at Cincinnati Royals Box Score, November 15, 1960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
2019-10-31
[18]
웹사이트
St. Louis Hawks at Cincinnati Royals Box Score, February 10, 1962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
2019-10-31
[19]
웹사이트
Players with the height of 6'5 or smaller sorted by descending total rebounds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
2019-10-31
[20]
웹사이트
1962 Cincinnati Royals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com
2007-01-31
[21]
웹사이트
1963 Cincinnati Royals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com
2007-01-31
[22]
웹사이트
1964 Cincinnati Royals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com
2007-01-31
[23]
웹사이트
Los Angeles Lakers at Cincinnati Royals Box Score, December 18, 1964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
2019-10-31
[24]
뉴스
Royals Trade Robertson to Bucks for Robinson and Paulk, Rookie in Army
https://www.nytimes.[...]
1970-04-22
[25]
웹사이트
Baltimore Bullets at Milwaukee Bucks Box Score, April 21, 1971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
2020-03-10
[26]
웹사이트
Oscar Robertson FAQ
http://www.thebigo.c[...]
2007-01-31
[27]
웹사이트
1975 Milwaukee Bucks
https://www.basketba[...]
Basketball-reference.com
2007-01-31
[28]
웹사이트
Wisconsin Athletic Hall of Fame-Oscar Robertson
https://www.wihallof[...]
2024-02-21
[29]
웹사이트
Oscar Robertson Company Information
http://www.thebigo.c[...]
2007-01-31
[30]
뉴스
CBS, TBS OFFER DRIBBLE-TO-DRIVEL COVERAGE OF PLAYOFFS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2020-10-06
[31]
웹사이트
Varsity Village Hits a Home Run On University Campus
https://web.archive.[...]
2011-11-26
[32]
웹사이트
Definitive Notice & Proxy Statement
https://www.sec.gov/[...]
Sec.gov
2015-05-08
[33]
웹사이트
Hall of Famer will serve until Huggins returns
https://www.espn.com[...]
ESPN
2015-05-08
[34]
뉴스
Robertson joins suit vs. NCAA
https://web.archive.[...]
2011-01-26
[35]
뉴스
'The Big O' backs pot legalization
https://www.espn.com[...]
2015-01-31
[36]
뉴스
What you need to know about Issue 3 -- Ohio's marijuana legalization measure
http://www.cleveland[...]
Northeast Ohio Media Group
2016-05-26
[37]
뉴스
Deters, Big O star in pro-Issue 3 ads
http://www.cincinnat[...]
The Cincinnati Enquirer
2016-05-26
[38]
뉴스
Ohio marijuana legalization measure fails
http://www.cleveland[...]
cleveland.com
2016-05-26
[39]
웹사이트
Daily Dime: Special Edition – The 10 Greatest Point Guards Ever
https://www.espn.com[...]
2007-01-25
[40]
웹사이트
Making triple trouble
https://sports.yahoo[...]
2007-01-31
[41]
웹사이트
ESPN Classic – Oscar defined the triple-double
https://www.espn.com[...]
2007-01-31
[42]
웹사이트
NBA at 50: Top 50 Players
https://www.nba.com/[...]
2022-02-28
[43]
웹사이트
NBA 75: At No. 12, Oscar Robertson was more than a triple-double legend; he was a visionary leader
https://theathletic.[...]
[44]
뉴스
Children's Museum unveils 'sports legends' for new outdoor exhibit
https://www.ibj.com/[...]
Indiana Business Journal
2017-09-13
[45]
뉴스
NBA redesigns Finals trophy, adds awards named after Magic Johnson, Larry Bird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22-05-12
[46]
서적
The Big O: My Life, My Times, My Game
http://www.thebigo.c[...]
Rodale
2020-07-09
[47]
웹사이트
Orchem Corporation
http://www.orchemcor[...]
Orchemcorp.com
2008-07-20
[48]
웹사이트
UC Legend Oscar Robertson to be Honored at Spring Commencement
http://www.uc.edu/ne[...]
Uc.edu
2015-05-08
[49]
뉴스
Oscar Robertson's 1971 NBA championship ring sells for $91,000
https://www.espn.com[...]
2020-07-09
[50]
웹사이트
A Letter to My Bucks Family | by Oscar Robertson
https://www.theplaye[...]
2021-10-26
[51]
웹사이트
Top N. American athletes of the century
http://espn.go.com/s[...]
ESPN
2015-05-08
[52]
웹사이트
The Naismith Memorial Basketball Hall of Fame – Hall of Famers
http://www.hoophall.[...]
Hoophall.com
2015-05-08
[53]
웹인용
Oscar Robertson stats
http://www.basketbal[...]
2007-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