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시캣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시캣은 1964년 미국에서 아비시니안과 샴 고양이를 교배하여 만들어진 품종이다. 야생 고양이의 외모를 닮았지만 벵갈 고양이와는 달리 야생종과의 혼혈은 아니다. 점박이 무늬와 근육질 체형, 사교적인 성격이 특징이며, "고양이의 몸을 한 강아지"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사람을 잘 따르고 훈련이 가능하다. 오시캣은 요산 요로 결석증과 자궁축농증에 걸릴 위험이 다른 품종보다 높으며, 활동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사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시캣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없음 |
원산지 | 미국 |
참고 | 일반적인 집고양이보다 약간 크다. |
품종 표준 | |
CFA | CFA 오시캣 표준 |
FIFe | FIFe 오시캣 표준 |
TICA | TICA 오시캣 표준 |
GCCF | GCCF 오시캣 표준 |
ACFA | ACFA 오시캣 표준 |
ACF | 없음 |
CCA | CCA 오시캣 표준 |
기타 표준 | 없음 |
2. 역사
오시캣은 1964년 미시간 주 버클리의 브리더 버지니아 데일리가 아비시니안 포인트 샴 고양이를 만들려던 시도 중에 우연히 탄생했다.[1] 초기 교배 과정에서 오셀롯을 닮은 점박이 무늬의 새끼 고양이가 태어났고, 버지니아의 딸은 이 고양이에 '오시캣'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싶어 했다. 이 고양이는 '통가'(Tonga)라는 이름으로 불렸지만, 중성화되어 다른 가정으로 보내졌다.[1]
이후 멸종된 이집트 점박이 고양이와의 유사성에 주목한 버지니아 데일리는 통가의 부모 고양이를 다시 교배시켜 점박이 고양이를 얻었고, 다른 브리더들도 아비시니안과 샴 고양이를 교배하는 방식으로 오시캣 품종 개발에 참여했다.[1][5] 이 과정에서 아메리칸 숏헤어도 교배에 포함되어 현재의 품종 표준이 형성되고 색상 범위가 다양해졌다.[1]
오시캣은 1966년 고양이 애호가 협회(CFA)에 처음 등록되었고, 1987년 챔피언십 지위를 획득했다.[4] 국제 고양이 협회(TICA)는 1986년에, 영국의 고양이 애호가 관리 위원회(GCCF)는 2006년에 챔피언십 지위를 부여하며 주요 고양이 협회들의 인정을 받았다.[5][1] 1988년에는 영국에도 처음 소개되는 등 점차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8][2][3][4] 오늘날 오시캣은 독특한 외모와 친근한 성격으로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품종이 되었다.
2. 1. 기원
오시캣은 1964년 미국 미시간 주 버클리의 버지니아 데일리(Virginia Daly)에 의해 우연히 탄생했다. 그녀는 원래 아비시니안 포인트 샴 고양이를 만들려고 시도했다.[1]데일리는 붉은색 아비시니안 수컷('Dalai Deta Tim of Selene')과 실 포인트 샴 암컷('Dalai Tomboy Patter')을 교배시켰다. 이 교배에서 태어난 1세대 고양이들은 아비시니안과 비슷했으며, 이 중 암컷 한 마리('Dalai She')가 남겨졌다. 'Dalai She'는 이후 초콜릿 포인트 샴 수컷('Whitehead Elegante Sun')과 교배되었는데, 그 결과 원하는 아비시니안 포인트 샴 타입과 함께 금색 반점이 있는 상아색 새끼 고양이 한 마리가 태어났다.[1]
버지니아의 딸은 이 고양이가 오셀롯과 닮았다고 하여 '오시캣'이라는 이름을 제안했지만, 고양이는 '통가'(Tonga)라는 이름이 붙여졌고 중성화되어 10USD에 의대생에게 팔렸다.[1] 이후 버지니아는 멸종된 이집트 점박이 고양이에 대한 클라이드 킬러(Clyde Keeler) 박사의 글을 읽고 통가와 유사점을 발견했다. 그녀는 킬러 박사에게 연락했고, 그는 통가를 어미 고양이와 다시 교배할 것을 제안했다. 통가를 다시 데려올 수 없었기 때문에, 버지니아는 통가의 부모('Dalai She'와 'Whitehead Elegante Sun')를 다시 교배시켜 황갈색 점박이 수컷 '토니 닷슨'(Tawny Dotson)을 얻었다.[1]
다른 브리더들도 버지니아 데일리의 방식, 즉 아비시니안과 샴 고양이를 교배하고 그 새끼들을 다시 샴 고양이와 교배하는 방식을 따라 오시캣 육성에 참여했다.[5] 고양이 애호가 협회(CFA)에 처음 품종 등록을 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아비시니안과 아메리칸 숏헤어의 교배종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현재의 품종 표준에는 아메리칸 숏헤어가 포함되었고, 오시캣의 색상 범위도 더 다양해졌다.[1] 오시캣은 1987년 CFA 챔피언십 지위를 획득했다. 1988년에는 영국에도 처음 소개되었는데, 'Catoninetail Mr Smith'와 'Catoninetail Miss Jones'라는 두 마리의 고양이가 미국에서 수입되었으며, 2015년까지 총 33마리가 수입되는 등 추가적인 도입이 이루어졌다.[8][2][3][4]
2. 2. 품종 인정
오시캣은 1966년 고양이 애호가 협회(CFA, The Cat Fanciers' Association)에 등록만 가능한 상태로 처음 인정받았다. 이후 1987년 5월, CFA에서 챔피언십 지위를 획득했다.[4] 국제 고양이 협회(TICA, The International Cat Association)는 1986년에 오시캣을 인정했다.[5] 영국의 고양이 애호가 관리 위원회(GCCF, Governing Council of the Cat Fancy)의 경우, 1997년 6월에 예비 인정을 부여했고, 2002년 6월에는 임시 지위로 승격시켰으며, 최종적으로 2006년에 챔피언십 지위를 부여했다.[1]3. 특징
오시캣은 1964년 미국에서 아비시니안, 샴, 아메리칸 숏헤어를 교배하는 과정에서 태어난 품종이다.[6] 야생 고양이와 같은 점박이 무늬가 특징이지만, 벵갈과는 달리 삵(아시안 레오파드)과 같은 야생 고양이와의 혼혈을 통해 만들어진 품종은 아니다.[6] 즉, 오시캣은 외모는 야생적이지만 혈통적으로는 완전히 집고양이에 속한다.
3. 1. 외형

오시캣은 중간 크기에서 큰 고양이로, 애구티 유전자로 인한 특징적인 점박이 무늬를 가지고 있다. 탄탄하고 날렵하며 운동선수와 같은 외모를 지녔고, 근육질 체격으로 보기보다 묵직하다.
머리는 부드럽게 굽어진 둥근 쐐기 모양이며, 얼굴은 쿠거와 비슷한 인상을 준다. 주둥이는 넓고 윤곽이 뚜렷하다. 귀는 크고 머리 꼭대기 양쪽 모서리에 위치하며, 각각 45도 각도로 바깥을 향해 열려 있어 양쪽 귀 사이가 직각(90도)으로 벌어져 보인다. 눈은 크고 아몬드 모양이며, 두 눈 사이의 간격이 눈 하나 너비보다 넓다. 파란색을 제외한 모든 눈 색깔이 허용된다.
다리는 중간에서 긴 길이로 몸과 균형을 이루며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꼬리는 길고 가늘며 끝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고, 끝부분은 어두운 색을 띤다.[6] 성묘 오시캣의 몸무게는 2.7kg에서 6.4kg (약 2.72kg~약 6.35kg) 사이이며,[5] 수컷의 경우 5kg에서 6kg 이상이 바람직하다.
털은 광택이 있고 본견과 같은 촉감을 지닌다. 표범 무늬(스폿)가 특징적인데, 이는 클래식 태비 무늬가 흩어져 생긴 것이다. 옆에서 보면 몸통의 점무늬 궤적을 따라 클래식 태비의 구름 모양 흔적을 볼 수 있다. 야생적인 외모를 가졌지만, 벵갈처럼 삵과의 혼혈은 아니다.
털 색상은 토니(브라운), 초콜릿, 시나몬, 블루, 라벤더, 폰과 각 색상의 실버 계열(에보니 실버, 초콜릿 실버, 시나몬 실버, 블루 실버, 라벤더 실버, 폰 실버)을 포함하여 총 12가지가 있다.
3. 2. 털과 무늬
오직 점박이 태비 무늬만 허용된다.[6] 이 무늬는 표범 무늬(스폿)가 특징적인데, 이는 클래식 태비 무늬가 흩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옆에서 보면 몸통의 점들이 이루는 궤적이 마치 클래식 태비의 구름 모양처럼 보이기도 한다.이마에는 알아볼 수 있는 태비 'M'자 패턴이 있으며, 이 무늬는 목 뒤쪽까지 이어진다. 눈과 뺨 주변에는 마치 마스카라를 한 것과 같은 무늬가 나타난다. 몸 전체에는 점 무늬가 퍼져 있다.[6]
꼬리는 끝부분이 가장 어두운 색을 띠며, 나머지 부분은 꼬리 끝보다 더 밝은 색이어야 한다.[6] 털은 광택이 있으며 본견과 같은 부드러운 촉감을 가진다. 털 색깔은 토니(브라운), 초콜릿, 시나몬, 블루, 라벤더, 폰과 각 실버 계열, 에보니 실버, 초콜릿 실버, 시나몬 실버, 블루 실버, 라벤더 실버, 폰 실버 등 총 12가지 색상이 있다.
3. 3. 색상
오시캣은 다음 12가지 색상이 공인된다.[1]기본 색상 | 실버 계열 색상 |
---|---|
황갈색 (검은색) | 검은색 실버 |
초콜릿 | 초콜릿 실버 |
시나몬 | 시나몬 실버 |
파란색 (검은색의 희석색) | 파란색 실버 |
라일락 (초콜릿의 희석색) | 라일락 실버 |
옅은 황갈색 (시나몬의 희석색) | 옅은 황갈색 실버 |
4. 성격
오시캣의 기질은 종종 "고양이의 몸을 한 강아지"로 묘사된다.[1][2] 대부분의 오시캣은 물어오기, 목줄과 하네스를 착용하고 산책하기, 부르면 오기, 말하기, 앉기, 엎드리기와 같은 강아지와 유사한 훈련을 받을 수 있다.[1][3]
매우 사교적인 품종으로, 마치 강아지의 영혼이 고양이의 몸에 들어있는 것 같다고도 말해진다.[4] 대부분 던진 물건을 가져오는 등의 게임을 기억하고,[4] 지시대로 울거나 앉는 등 훈련된 강아지와 비슷한 행동을 보인다.[4] 또한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것을 좋아하고 민첩하며, 일부는 물에 들어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도 한다.[4]
오시캣은 매우 우호적인 고양이로, 낯선 사람에게도 다가가 만져달라는 듯 다가오기도 한다.[4] 이러한 성격 덕분에 가족의 반려동물로 적합하며, 다른 동물과도 함께 잘 지낼 수 있다.[4] 오시캣은 사람과 함께 있기를 좋아하므로, 충분한 관심과 보살핌이 필요하다.[4]
5. 건강
오시캣은 특정 건강 문제에 취약한 경향이 있다. 미국에서 5,000건 이상의 요산 요로 결석증 사례를 검토한 결과, 오시캣은 다른 품종에 비해 발병률이 상당히 높은 것(오즈비 16.8)으로 나타났다.[7] 또한, 스웨덴의 수의학 및 보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자궁축농증 연구에서는 오시캣의 발병률이 전체 고양이 평균의 6배에 달하며, 조사 대상 품종 중 세 번째로 높았다.[8] 치은염에도 비교적 걸리기 쉽다.
추위를 타는 경향이 있어 겨울철 건강 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활동량이 많은 품종이므로, 충분히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된다.
한편, 2013년 영국 고양이 애호가 관리 협회(GCCF)는 오시캣 새끼 고양이에게서 종종 나타나는 고등어 태비 무늬 개체를 '아즈텍'이라는 별도 품종으로 인정했었다. 이는 점박이 무늬만을 표준으로 하는 오시캣 기준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며, 털 무늬를 제외한 다른 모든 특성은 오시캣과 동일했다.[9] 그러나 2024년, 아즈텍은 다시 오시캣 품종에 통합되어 '오시캣 클래식'이라는 변종으로 분류되었다.[10]
6. 사육
오시캣은 활동적인 편이므로, 충분히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좋다. 집고양이 혈통을 이어받아 사람을 잘 따르며 애교가 많다. 지능이 높고 개처럼 주인에게 충실한 면모를 보인다. 혼자 있는 시간은 비교적 잘 견디는 편이지만, 지루함을 쉽게 느낄 수 있다. 주인과의 깊은 유대감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애정이 많아 기르기 쉬운 성격으로 평가받는다. 다만, 응석을 부리는 경향이 있어 주인이 자주 관심을 표현하고 함께 놀아주는 것이 필요하다. 추위에 약한 편이므로 겨울철에는 보온 등 건강 관리에 신경 써야 하며, 치은염에 걸리기 쉬우므로 구강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Ocicat and Aztec
https://www.gccfcats[...]
2024-01-24
[2]
웹사이트
Ocicat
https://tica.org/bre[...]
2024-01-24
[3]
서적
The Guide to Owning an Ocicat
TFH Publications
[4]
웹사이트
Ocicat Brochure
https://cfa.org/wp-c[...]
2024-01-24
[5]
서적
The Ocicat
Stephanie Thompson
[6]
웹사이트
Ocicat Standard
https://cfa.org/wp-c[...]
2024-01-25
[7]
간행물
Risk factors for urate uroliths in cats.
https://www.ncbi.nlm[...]
2012
[8]
간행물
Incidence of pyometra in Swedish insured cats
Elsevier BV
[9]
웹사이트
Aztec
https://www.gccfcats[...]
2024-01-25
[10]
웹사이트
Ocicat
https://www.gccfcats[...]
2024-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