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천 단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십천 단층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솔안터널 지역을 지나가는 주향 이동 단층으로,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 경상 누층군 및 백악기 화산암류 지층을 단절하는 지질 구조를 보인다. 이 단층은 삼척시 통리 지역의 하천 쟁탈 현상과 미인폭포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십천 단층의 재활성화로 인한 역단층성 운동이 하천 침식을 촉진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삼척시 도계읍 주변에는 오십천 단층 외에 마읍천 단층도 존재하며, 이 단층은 가곡면 복두산에서 시작하여 마읍천을 따라 북상하여 동해 바다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백시의 지리 - 태백산
태백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산으로, 2,637종의 야생 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자연환경을 자랑하고 천제단과 망경사 등의 관광 자원이 있다. - 태백시의 지리 - 구문소
황지천이 막골층 암벽을 침식하여 형성된 구문소는 구하도 지형과 감입 곡류 하천의 특징을 보이는 동굴이다. - 주향이동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주향이동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삼척시의 지리 - 금대봉
금대봉은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상함백산의 봉우리로, 한강의 발원지인 골지천이 발원하고 잣나무 수림과 고산 식물 군락을 이루며 산양 등이 서식한다. - 삼척시의 지리 - 함백산
함백산은 태백산맥 중앙에 위치한 해발 1,573m의 산으로, 천연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주목이 자생하며, 과거에는 대박산 등으로 불렸고, 정상에서 백두대간과 동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
오십천 단층 | |
---|---|
개요 | |
이름 | 오십천 단층 |
다른 이름 | 五十川 斷層, Oshipcheon Fault |
![]() | |
국가 | 대한민국 |
주 | 강원특별자치도 |
도시 | 삼척시 |
주향 | 북북동-남남서 |
변위 | 125~400 m |
판 | 유라시아판, 아무르판 |
상태 | 활성단층 |
지진 | 없음 |
유형 | 주향 이동 단층 |
운동 | 정단층, 우수향 |
암석 단위 |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 경상 누층군 적각리층 |
시대 | 중생대 이후 |
![]() | |
참고 문헌 |
2. 오십천 단층과 지질 구조
오십천 단층은 삼척시 솔안터널 지역을 지나며, 이 일대에는 다양한 지층과 암석들이 분포한다.[3]
2. 1. 솔안터널 지역의 지질
솔안터널 지역에는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 경상 누층군(적각리층, 홍전층)과 백악기 화산암류가 분포한다. 각 지층은 충상단층에 의해 수차례 반복 노출되며 오십천 단층 등의 주향 이동 단층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3]3. 오십천 상류의 하천 쟁탈
오십천 상류는 과거 하천의 유역이 바뀐 하천 쟁탈 현상이 발생한 곳으로, 통리협곡과 미인폭포가 대표적인 지형이다.
3. 1. 통리 지역의 하천 쟁탈과 미인폭포
통리협곡과 미인폭포가 발달하는 통리 일대는 과거에 하천 유역이 바뀐 '''하천 쟁탈 현상'''이 일어난 곳이다. 원래 백병산 (1260.6 m) 북측에서 발원한 물은 삼척시의 오십천으로 가지 않고 태백시의 통리역과 철암천을 거쳐 낙동강 수계인 황지천으로 흘러가는 하천이었으며, 이때는 미인폭포도 없었다. 안정된 철암천과 달리 동해바다로 흘러가는 삼척의 오십천은 하상 경사가 급하여 하천 상류가 지속적으로 침식되었고, 결국 철암천과 만나 삼척의 오십천이 철암천의 유역을 빼앗는 하천 쟁탈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철암천의 발원지는 백병산에서 연화리 양지로 변경되고, 과거 물이 흐르던 통리 지역은 풍극(Wing gap)이 되어 물이 흐르지 않게 되었다. 현재도 삼척 오십천에는 계속해서 침식 작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침식 활동의 선두에 위치한 것이 바로 미인폭포이다. 통리 지역에는 하천퇴적물이 분포하고 있어 풍극임이 확실하다.[4]
미인폭포 일대의 하천쟁탈은 구조적인(tectonic) 영향으로 인한 하방 침식이 활발해져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십천 단층의 재활성화로 인해 주변에 역단층성 운동에 기인한 비대칭적인 융기가 일어나면서 경사급변점이 형성되었고, 하천 침식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하천쟁탈이 일어나 통리 일대가 풍극이 되었다. 오늘날의 통리 협곡에는 제4기 동안 오십천 단층의 재활성화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역단층이 노출되어 있다.[5]
3. 2. 하천 쟁탈의 원인
미인폭포 일대의 하천 쟁탈은 구조적인(tectonic) 영향으로 인한 하방 침식이 활발해져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십천 단층의 재활성화로 인해 주변에 역단층성 운동에 기인한 비대칭적인 융기가 일어나면서 경사급변점이 형성되었고, 하천 침식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하천 쟁탈이 일어나 통리 일대가 풍극이 되었다. 오늘날의 통리 협곡에는 제4기 동안 오십천 단층의 재활성화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역단층이 노출되어 있다.[5]4. 마읍천 단층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동쪽에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마읍천 단층이 발달한다. 이 단층은 마읍천을 따라 발달한다.[1]
4. 1. 마읍천 단층의 위치와 연장
마읍천 단층은 삼척시 가곡면 복두산에서 시작해 마읍천을 따라 북상하다가,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에서 동해 바다로 이어진다. 육지상에서 25 km의 연장이 확인되며, 한울원자력발전소에서 25~35 km 정도 떨어져 있다.[1]참조
[1]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10
[2]
웹인용
오십천 단층대의 단계적 단층 발달 특성
https://www.dbpia.co[...]
2000-10
[3]
저널
영동선 동백산-도계간 장대터널 시공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long tunnel in the youngdong railroad (Mt. Dongbaek-Dokye)
https://www.kci.go.k[...]
2002
[4]
웹인용
인간과 하천 6 - 통리협곡이 하천쟁탈 현장이라고?
https://scienceon.ki[...]
하천과 문화
2014
[5]
웹인용
삼척 오십천 단층의 제4기 활동성 연구 (Research on the Quaternary activity of Osipcheon fault)
https://scienceon.ki[...]
고려대학교, 대한민국 기상청
20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