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층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층탑은 5층으로 이루어진 탑을 의미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국에는 법주사 팔상전이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본에는 각 시대에 걸쳐 건립된 다양한 오층탑이 존재한다. 오층탑의 내진 구조와 관련하여, '마음 기둥'과 같은 요소들이 지진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소설, 영화, 식물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2. 역사
2. 1. 기원
2. 2. 한국의 오층탑
법왕사 팔상전은 속리산에 있는 한국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목조 5층탑으로,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1626년에 재건되었으며 높이는 22m이다.
오층탑의 내진 구조인 "부드러운 구조"는 최근 일본을 비롯한 세계의 초고층 건축에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역사상 지진으로 무너진 오층탑이 없다는 사실이 곧바로 내진성이 높다는 근거가 되는 것은 아니며, 건설 시 의도적으로 부드러운 구조로 설계되었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오히려 종교적인 의미가 우선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오층탑의 내진성에 있어 핵심 요소로 여겨지는 "마음 기둥"은 원래 내부 공간 이용을 고려하지 않은 구조에서 구조재의 밀도가 높아, 일반 건축물보다 견고하다. 실제로 호류사 오층탑의 마음 기둥은 부식되어 땅에 닿지 않은 상태이지만, 건축 구조상 문제는 없다.
내진성이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내진성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지만, 최근에는 공학적 규명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006년에는 "오층탑을 흔들회"를 중심으로 5분의 1 모형을 이용한 진동 실험이 진행되었는데, 마음 기둥이 탑의 변형이나 흔들림을 억제하는 효과는 있지만, 내진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2. 3. 일본의 오층탑
2. 4. 중국의 오층탑
법왕사 팔상전은 한국 속리산에 있는 목조 5층 탑으로, 1626년에 재건되었으며 높이는 22m이다. 한국에서 현존하는 최고(最古)이자 유일한 목조 5층 탑으로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프랑스 미야데라 석가탑은 중국 산시성에 있는 목조 5층 탑으로, 1056년에 세워졌으며 높이는 67m이다. 외부는 5층으로 보이지만 내부는 9층 구조이며, 중국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팔각 목탑이다.
오층탑의 내진 구조인 "부드러운 구조"는 최근 일본을 비롯한 세계의 초고층 건축에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오래된 오층탑이 내진성이 높다는 것은 역사상 지진으로 무너진 사례가 없다는 결과론적인 이유 때문이며, 건설 당시에 의도적으로 부드러운 구조로 설계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오히려 사리탑이라는 오층탑의 종교적 의미를 고려하면, 구조는 종교적 의미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었고 유연한 구조는 부차적인 결과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오층탑의 내진성에 있어 핵심 요소는 "마음 기둥"이지만, 원래 오층탑은 내부 공간 활용이 고려되지 않아 구조재 밀도가 높은 마음 기둥 유무와 관계없이 일반 건축물보다 견고하다. 실제로 호류사 오층탑의 마음 기둥은 부식되어 지면에 닿지 않은 상태이지만, 건축 구조상 문제가 없이 유지되고 있다.
오층탑의 내진성이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있다.
최근에는 오층탑의 내진성을 공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건축 구조 연구자 그룹인 "오층탑을 흔들회"는 5분의 1 크기 모형을 이용한 진동 실험을 통해 2006년 마음 기둥 유무에 따른 비교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마음 기둥은 탑의 변형과 흔들림을 억제하는 효과는 있지만, 내진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3. 구조 및 특징
3. 1. 심주(心柱)
3. 2. 상륜(相輪)
3. 3. 내진 구조
4. 한국의 오층탑 목록
법주사 팔상전은 한국에 있는 오층탑이다.
5. 일본의 오층탑 목록
일본에는 각지에 다양한 시대에 걸쳐 건립된 오층탑이 존재한다.
- 와구로 야마 오층탑(야마가타현츠루오카시): 1372년(남조:문중 원년, 북한:오안 5년) 건립. 높이 29.4m.
- 토지(교왕 호국사): 교토교토시 남구에 위치. 1644년(쇼호 원년) 건립. 높이 54.8m로 근세 이전 일본에서 가장 높은 탑.
- 다이고지(교토 부 교토시): 951년(덴랴쿠 5년) 준공. 높이 38.2m로 교토 부 내 최고(最古)의 목조 건축물.
- 해주 산사(교토 부 기즈가와시): 1214년(겐포 2년) 건립. 높이 17.7m.

- 호류지(나라현이코마군이카루가쵸): 7세기 말~8세기 초 건립. 높이 31.5m. 세계 유산에 등재된 세계 최고(最古)의 목조 오층탑.
- 고후쿠지(나라 현 나라시): 1426년(오에이 33년) 건립. 높이 50.8m. 5번의 소실과 재건을 반복.
- 무로우사(나라 현 우다시): 나라 시대 말~헤이안 시대 초기 건립. 높이 16.1m.
- 명왕원(히로시마현후쿠야마시): 1348년(남조:쇼헤이 3년 북한:조와 4년) 건립. 높이 29.14m.
- 유리 광사(야마구치현야마구치시): 1442년(가키쓰 2년) 건립. 높이 31.2m.
- 강고지(나라 현 나라 시): 높이 5.5m의 작은 오층탑. 건조물로서 국보로 지정.
- 해룡 오지(나라 현 나라 시): 높이 4m의 작은 오층탑. 건조물로서 국보로 지정.
- 사이쇼인(아오모리현히로사키시): 1667년(간분 7년) 건립.
- 닛코 동조 궁(도치기현닛코시): 1818년(분세이 원년) 건립. 심주 현수식 구조.
- 법화경사(지바현이치카와시): 1622년(겐나 8년) 건립. 심주 현수식 구조.
- 옛 관영 사(도쿄다이토구): 1639년(간에이 16년) 건립. 높이 36.4m. 현재 우에노 동물원 구내에 위치.
- 이케가미 혼몬지(도쿄 오타구 이케가미): 1607년(게이초 12년) 건립. 높이 31.8m.
- 묘선사(니가타현사도시): 1825년(분세이 8년) 건립. 높이 24.1m.
- 흥정사(아이치현나고야시): 1808년(문화 5년) 건립. 높이 30m.
- 묘성사(이시카와현하쿠이시): 1618년(겐나 4년) 건립.
- 오오이시 테라(시즈오카현후지노미야시): 1749년(간엔 2년) 건립. 높이 34m.
- 법관사(교토 부 교토 시): 1440년(에이쿄 12년) 건립. 높이 38.8m. 통칭 "야사카의 탑".
- 닌나지(교토 부 교토 시): 1644년(쇼호 원년) 건립. 높이 37.1m.
- 이쓰쿠 시마 신사(히로시마 현 하쓰카이치시): 1407년(오에이 14년) 건립.
- 빗추 코쿠 분지(오카야마현소자시): 1835년(덴포 6년) 건립. 높이 34.3m.
- 토지(교왕 호국사)(교토 부 교토 시 미나미 구): 1240년(닌지 원년) 건립된 오층 소탑. 높이 161cm.
에도 시대 이후에 건립되었거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재건된 오층탑도 다수 존재한다.
- 젠쓰지(가가와현젠쓰지시): 1884년(메이지 17년) 건립. 높이 45m. 중요 문화재.
- 시텐노지(오사카부오사카시덴노지구): 1959년(쇼와 34년) 재건. 높이 39m. 철근 콘크리트 구조.
- 센소사(도쿄 다이토구): 1973년(쇼와 48년) 재건. 높이 53.3m. 철근 콘크리트 구조.
- 가와사키 다이시(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 1984년(쇼와 59년) 건립. 높이 31.5m.
이 외에도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새로운 오층탑이 건립되거나, 과거에 존재했다가 소실된 오층탑이 재건되기도 했다.
- 책사(가가와현미토 요시): 1910년(메이지 43년) 건립.
과거에는 존재했으나 현재는 소실된 오층탑도 있다. 강고지의 오층탑은 나라 시대에 건립되어 높이 72.7m에 달했으나, 1859년 소실되었다. 도쇼 다이지의 동탑은 1802년 낙뢰로 소실되었다. 1957년에는 나카 오층 탑 방화 정사 사건으로 나카 덴노지의 오층탑이 소실되기도 했다.
6. 현대의 오층탑
7. 기타
코오다 로한의 소설 5층 탑은 오층탑 건립에 헌신하는 목수 쥬베에의 모습을 그린 작품으로, 야나카 덴노지의 5층탑(야나카의 5층탑)을 모델로 했다. 이 오층탑은 간토 대지진과 도쿄 대공습에도 소실되지 않았으나, 1957년 7월 방화로 소실되었다.
이소룡 주연의 영화 사망유희는 오층탑 각 층에 있는 적을 차례로 물리치며 올라가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당초 영화의 배경은 한국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이 될 예정이었다.
다육식물 중 백합과 하오루치아속에는 고쥬우노토우(오층탑)라는 식물이 있다.
각종 사전이나 사찰 안내 책자 등에서는 "오층탑"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반적으로는 "오층탑"이라는 표기가 더 널리 사용된다. (2010년 6월 구글 검색 결과 "오층탑" 약 57만 건, "오층탑" 약 27만 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