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72년은 명나라 홍무 5년, 북원 선광 2년, 고려 공민왕 21년에 해당하며, 일본에서는 남조 겐토쿠 3년과 분추 원년, 북조 오안 5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성녀 브리짓의 성지 순례, 라 로셸 해전에서 프랑스와 카스티야 왕국의 승리, 영국-포르투갈 동맹의 시작을 알리는 타길데 조약 체결 등이 있다. 이 해에는 얀 후스, 민무질 등이 태어났고, 엘레오노어 랭커스터, 바덴 변경백 루돌프 6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72년 | |
---|---|
지도 | |
연도 | |
14세기 | 1301년 - 1310년 - 1320년 - 1330년 - 1340년 - 1350년 - 1360년 - 1370년 - 1380년 - 1390년 |
15세기 | 1401년 - 1410년 - 1420년 - 1430년 - 1440년 - 1450년 - 1460년 - 1470년 - 1480년 - 1490년 |
주요 사건 | |
사건 | 고려, 공민왕 사망 |
2. 연호
- 明|명중국어 홍무(洪武) 5년
- 북원(北元) 선광(宣光) 2년
- 日本|일본일본어 남조 建徳|겐토쿠일본어 3년 / 文中|분추일본어 원년
- 日本|일본일본어 북조 応安|오안일본어 5년
- 쩐 왕조(陳朝) 紹慶|티에우카인vi 3년
3. 기년
- 황기 2032년
- 중국
- 중국 주변
- 조선
고려 | 공민왕 21년 |
---|
- 단기 3705년
- 베트남
진 왕조 | 소경 3년 |
---|
- 불멸기원 : 1914년 - 1915년
- 이슬람력 : 773년 - 774년
- 유대력 : 5132년 - 5133년
4. 사건
- 고려 공민왕이 젊고 외모가 잘생긴 청년을 뽑아 자제위(子弟衛)를 설치하여 곁에 두고 좌우에서 시중을 들게 하였다.
- 3월 12일 – 성녀 브리짓이 성지 순례를 위해 출발하여 5월 12일까지 키프로스에 머물렀다. 8월에는 베들레헴에서 예수의 탄생 환상을 보고, 9월에 나폴리로 향해 12월에 도착했다.[1]
- 5월 – 오웨인 로고크가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아르플뢰르에서 출항하여 웨일스 왕위 쟁탈을 위한 두 번째 시도를 했다. 건지 섬을 공격하는 동안 프랑스의 라 로셸에서 싸우기 위해 침공을 포기했다.
- 6월 22일 – 라 로셸 전투: 프랑스와 카스티야 왕국이 잉글랜드 왕국을 물리쳤다.[2] 프랑스는 1340년 이후 처음으로 영국 해협을 장악했다.
- 7월 10일 –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1세와 잉글랜드의 존 오브 곤트 대표 간에 타길데 조약이 체결되어 21세기까지 유효한 영국-포르투갈 동맹의 시작을 알렸다.[3]
- 11월 9일 – 쩐 두에 통이 그의 형 쩐 응에 통을 계승하여 베트남의 왕이 되었다.
- 신트라 전투: 20명의 포르투갈 기사들이 400명의 카스티야 보병을 격파했다.
- 시칠리아 왕국과 나폴리 왕국 사이에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 츄잔 왕국(오늘날 일본 남부)이 명나라 중국과 조공 관계를 맺었다.
- 네 살 된 무함마드 아스-사이드가 아버지 아부 엘-파리즈 압둘 아지즈 1세의 뒤를 이어 마리니드 왕조의 모로코 술탄이 되었다.
- 네와야 마리아므가 아버지 네와야 크레토스의 뒤를 이어 에티오피아의 통치자가 되었다.
- 독일 아헨 시가 세계 최초로 일부 주화에 로마 숫자 서기 연도를 표기하기 시작했다.
5. 탄생
- 얀 후스: 체코의 신학자[4]
- 민무질: 조선의 정치인
- 2월 18일 - 이븐 하자르 알 아스칼라니: 이슬람 학자 (1449년 사망)
- 3월 13일 - 루이 드 발루아: 프랑스 샤를 5세의 아들, 오를레앙 공작 (1407년 사망)
- 9월 8일 - 토마스 홀랜드: 서리 공작 1대 (1400년 사망)
- 10월 - 존 헤이스팅스: 펨브룩 백작 3대 (1389년 사망)
- 헬레나 드라가시: 비잔티움 황후 (1450년 사망)
- 올리베라: 세르비아의 라자르의 딸이자 바예지드 1세의 아내
- 4월 9일 -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리 친왕: 일본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황족 (1456년 사망)
- 12월 9일 - 베아트리스: 후안 1세의 두 번째 왕비 (1408년 사망)
- 엘즈비에타 그라노프스카: 브와디스와프 2세의 세 번째 왕비 (1420년 사망)
- 시부카와 미츠요리: 일본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수호 대명, 규슈 탐제 (1446년 사망)
- 상바시왕: 류큐 왕국 제1상씨 왕조의 제2대 국왕 (1439년 사망)
- 하타케야마 미츠이에: 일본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수호 대명, 관령 (1433년 사망)
6. 사망
- 1월 11일 - 엘레오노어 랭커스터(Eleanor of Lancaster) (Eleanor of Lancaster|엘레오노어 오브 랭커스터영어, 1318년 출생)
- 3월 19일 - 조반니 2세 (John II, Marquess of Montferrat|존 2세영어), 몬페라토 후작 (1321년 출생)
- 3월 21일 - 루돌프 6세 (Rudolf VI., Markgraf von Baden|루돌프 6세de), 바덴 변경백 (출생년도 미상)
- 8월 24일 - 카지미에시 3세 (Kazimierz III|카지미에시 3세pl), 포메라니아 공작 (1348년 출생)
- 8월 31일 - 랠프 드 스태퍼드 (Ralph de Stafford, 1st Earl of Stafford|랠프 드 스태퍼드영어), 초대 스태퍼드 백작, 잉글랜드 군인 (1301년 출생)
- 날짜 미상 - 바그라트 1세, 이메레티 왕국 국왕.
- 날짜 미상 - 네와야 크레스토스(Newaya Krestos), 에티오피아 황제.
참조
[1]
서적
St. Bridget
Sons of Holy Mary Immaculate – Quality Catholic Publications
1997
[2]
논문
The Battle of La Rochelle and the War at Sea, 1372-5
https://onlinelibrar[...]
1969
[3]
웹사이트
The Treaty of Tagilde
https://www.bhsportu[...]
2022-05-31
[4]
서적
The A to Z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https://www.worldcat[...]
Scarecrow Press
2020-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