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톤 (닥터 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톤(Auton)은 닥터 후 유니버스에 등장하는 외계 종족으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신하고 지구를 침략하려 한다. 1970년 3대 닥터 에피소드 "스페이스에서 날아온 창"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닥터 후 시리즈에 등장하여 닥터와 대립했다. 네스티인이라고도 불리는 이들은 플라스틱 장난감, 로마 군인 등의 모습으로 나타나 공포를 조성하며, 일상적인 물건을 활용하여 위협을 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오톤은 닥터 후의 대표적인 적으로, 평범한 물건을 공포의 대상으로 만드는 연출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닥터 후의 종족 - 우드 (닥터 후)
우드는 《닥터 후》에 등장하는 얼굴 하단에 촉수가 달린 휴머노이드 종족으로, 인간에게 노예화되었다가 닥터의 도움으로 해방되어 닥터의 여정에 조언을 제공하는 존재이며 노예제와 연대 등의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닥터 후의 종족 - 주둔 (닥터 후)
영국의 SF 드라마 《닥터 후》에 등장하는 주둔은 코뿔소 외모와 강한 육체적 능력을 지닌 외계 종족으로, 법을 엄격히 준수하며 닥터의 적으로 지구를 지배하려는 야망을 드러내는 존재이며, 다양한 미디어에서 묘사된다. - 가공의 로봇 -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은 영실업과 레트로봇이 제작한 3D 로봇 애니메이션으로, 또봇들과 파일럿들이 악당에 맞서 싸우며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시즌 1에서는 또봇 X, Y, Z가 카사장 일당에, 시즌 2에서는 대온과 또봇 A가 닥터 M에, 시즌 3에서는 젤리피쉬 갱단에 맞선다. - 가공의 로봇 - 변신자동차 또봇
변신자동차 또봇은 영실업과 레트로봇이 제작한 3D 로봇 애니메이션으로, 쌍둥이 형제가 또봇과 함께 도시를 지키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후속 시리즈도 제작되었다.
오톤 (닥터 후) | |
---|---|
개요 | |
![]() | |
유형 | 살아있는 플라스틱 자동기계 |
소속 | 네스틴 의식 |
고향 행성 | 미상 (아마도 폴리모스) |
첫 등장 | 《우주에서 온 창》 (1970) |
마지막 등장 | "대폭발" (2010) |
창조자 | 로버트 홈스 |
2. 역사
네스티인은 ''닥터 후'' 유니버스에서 가장 오래된 존재 중 하나로, 라크노스, 위대한 뱀파이어, 캐리온족과 함께 "어둠의 시대"에 존재했던 고대 생물로 묘사된다.[4] 이들은 주로 플라스틱을 조종하는 능력을 이용해 인간 형태의 자동 인형인 오톤을 만들어 지구 침략을 시도했다. 첫 침략 시도에서는 오톤을 이용해 주요 정부 인물을 대체하려 했으나, 3대 닥터와 UNIT에 의해 저지되었고, 네스티인의 본체 형태인 거대 두족류도 파괴되었다.
이후 네스티인은 3대 닥터 시기인 ''오톤의 공포''(1971)에서 마스터와 손잡고 다시 등장했다. 이때는 오톤 외에도 플라스틱 장난감이나 인공 꽃 등 일상적인 플라스틱 제품에 생명을 불어넣어 공격하기도 했다. 닥터와 마스터의 일시적인 협력으로 이 침략 역시 실패로 돌아갔으며, 이것이 오리지널 닥터 후 시리즈 방영 중 네스티인과 오톤의 마지막 등장이었다.
오리지널 시리즈 종영 이후에도 오톤의 등장이 여러 차례 기획되었으나 무산되었다. 20주년 스페셜 "더 파이브 닥터스"(1983)의 초기 각본에는 오톤이 등장하는 장면이 있었으나 제작 문제로 삭제되었고,[5] 6대 닥터 시기인 1986년 시즌에도 로버트 홈즈가 각본을 맡아 싱가포르를 배경으로 오톤과 라니, 마스터가 등장하는 이야기가 기획되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
2005년 닥터 후 시리즈가 부활하면서, 네스티인과 오톤은 첫 번째 에피소드 "로즈"를 통해 다시 등장했다.[6] 이 에피소드에서는 시간 전쟁으로 인해 네스티인이 큰 피해를 입어 새로운 자원을 찾아 지구를 침략한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이후 "판도리카가 열린다"(2010)에서는 11대 닥터를 함정에 빠뜨리기 위해 다른 외계 종족들과 연합하여 로마 군단 병사 형태의 정교한 '네스티인 복제품'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가장 최근에는 시리즈 12 에피소드 "프락세우스"(2020)에서 초기 기획 단계에 등장이 고려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제외되었다.[7]
2. 1. 닥터 후 유니버스에서의 등장
네스티인은 ''닥터 후'' 유니버스에서 가장 오래된 존재 중 하나로, 라크노스, 위대한 뱀파이어, 캐리온족과 함께 "어둠의 시대"에 존재했던 것으로 묘사된다.[4] 이들은 주로 플라스틱을 조종하는 능력을 가지며, 인간과 유사한 형태의 자동 인형인 오톤을 앞세워 지구 침략을 여러 차례 시도했다.닥터 후 오리지널 시리즈(1963-1989)에서는 3대 닥터 시기인 ''우주에서 온 창''(1970)과 ''오톤의 공포''(1971) 에피소드에 등장하여 UNIT 및 닥터와 대립했다. 특히 ''오톤의 공포''에서는 마스터와 손잡고 침략을 시도하기도 했다. 이 시기 네스티인의 본체는 거대한 촉수 형태의 두족류로 묘사되었으며, 오톤 외에도 일상적인 플라스틱 제품에 생명을 불어넣어 공격하기도 했다. 오리지널 시리즈 방영 중에는 이 두 편의 에피소드 외에 추가 등장은 없었으나, 20주년 스페셜 ''다섯 닥터''(1983)와 6대 닥터 시기(1986년 시즌)에 오톤이 등장하는 이야기가 기획되었으나 제작 비용 등의 문제로 무산된 바 있다.[5]
2005년 닥터 후가 새로운 시리즈(2005-현재)로 부활하면서, 네스티인과 오톤은 첫 번째 에피소드 "로즈"에 다시 등장했다.[6] 이 에피소드에서는 시간 전쟁으로 인해 네스티인이 큰 타격을 입어 새로운 자원을 찾아 지구를 침략한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또한 오톤은 단순한 마네킹 형태를 넘어, 텔레파시를 통해 인간과 똑같은 모습의 복제품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음이 보여졌다. 이후에도 네스티인 의식과 오톤은 여러 에피소드에서 직간접적으로 등장하거나 언급되었으며, 특히 "판도리카가 열린다"(2010)에서는 11대 닥터를 함정에 빠뜨리기 위해 다른 외계 종족들과 연합하여 매우 정교한 '네스티인 복제품'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가장 최근에는 "프락세우스"(2020) 에피소드에서 초기 기획 단계에 등장이 고려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제외되었다.[7]
2. 1. 1. 올드 시즌 (1970-1989)

네스틴 의식은 3대 닥터(존 퍼트위) 시기인 1970년 방영된 시리얼 ''우주에서 온 창''(Spearhead from Space)에서 처음 등장했다. 네스틴은 인간과 유사한 모습의 오톤을 이용해 주요 정부 인물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지구를 침략하려 했으나, UNIT과 닥터의 활약으로 계획이 좌절되었다. 닥터는 네스틴 의식의 본체인 여러 개의 촉수를 가진 두족류 형태의 침략 병기도 파괴했다.[4]
이듬해인 1971년, 네스틴은 ''오톤의 공포''(Terror of the Autons) 시리얼에서 다시 나타났다. 이 시리얼에서는 마스터가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는 네스틴과 손을 잡고 지구 침략을 시도했다. 이번에는 오톤 병사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장난감, 풍선 의자, 인공 꽃 등 일상적인 플라스틱 물건에 생명을 불어넣어 공격에 활용했다. 그러나 닥터는 마스터에게 네스틴이 너무 위험하여 신뢰할 수 없는 동맹임을 설득했고, 결국 둘은 협력하여 네스틴 침략군이 들어오는 라디오 신호를 역전시켜 우주로 돌려보냈다. 이것이 닥터 후 오리지널 시리즈(1963-1989)에서 네스틴과 오톤이 등장한 마지막 모습이었다.
이후 오톤의 등장이 계획되었으나 무산된 사례들이 있다. 1983년 방영된 20주년 스페셜 ''다섯 닥터''(The Five Doctors)의 초기 각본에는 사라 제인 스미스가 오톤 무리와 마주치고 3대 닥터에게 구출되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제작 시간과 비용 문제로 촬영 전에 삭제되었다.[5] 또한, 6대 닥터(콜린 베이커) 시기인 1986년 시즌에 오톤이 다시 등장하는 에피소드가 기획되었다. ''황열병과 그 치료법''(Yellow Fever and How to Cure It)이라는 제목의 이 이야기는 싱가포르를 배경으로 라니와 마스터가 함께 등장할 예정이었으며, 베테랑 작가 로버트 홈즈가 각본을 맡기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하고 개요 형태로만 남아있다.
2. 1. 2. 뉴 시즌 (2005-현재)
2005년 닥터 후 시리즈가 부활했을 때, 프로듀서이자 작가인 러셀 T 데이비스는 오톤을 첫 번째 에피소드 "로즈"의 적으로 선택했다.[6] 하지만 에피소드 내에서 '오톤'이라는 이름은 직접 언급되지 않았다. 이 에피소드에서 네스티인은 시간 전쟁으로 인해 단백질 행성이 파괴되면서 식량 공급원을 잃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그들은 워프 션트 기술을 이용해 지구를 침략하려 했는데, 지구의 연기, 기름, 각종 오염 물질이 자신들의 생존에 이상적인 환경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네스티인은 텔레파시를 이용해 오톤 마네킹에 생명을 불어넣고, 인간과 똑같은 모습의 복제품 오톤을 만들어 인류를 대체하려 했다. 그러나 9대 닥터(크리스토퍼 에클스턴)의 동행자가 된 로즈 타일러가 닥터의 '반(反) 플라스틱' 용액을 네스티인 의식의 본체가 담긴 통에 부어넣으면서 네스티인은 폭발하고 침략은 저지된다.오톤은 이후 시리즈 2의 에피소드 "사랑 & 괴물"(2006)에서 "로즈" 에피소드의 마지막 장면을 회상하는 장면에 잠시 등장했다. 또한 "인간 본성"(2007) 에피소드에서는 존 스미스의 '불가능한 것들의 일지' 속 스케치로 카메오 출연했다.
2010년, 11대 닥터(맷 스미스) 시절의 에피소드 "판도리카가 열린다"에서 오톤은 다시 등장한다. 이번에는 에이미 폰드의 기억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로마 군단 병사들의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에는 에이미의 약혼자 로리 윌리엄스의 복제품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오톤들은 이전보다 훨씬 정교하게 만들어졌으며, 손에는 일반적인 투사 무기 대신 미래형 레이저 총이 장착되어 있었다. 이 에피소드에서도 '오톤'이라는 이름은 사용되지 않았고, 대신 '네스티인 복제품'이라는 용어가 로리의 복사본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시간의 균열의 영향으로 로리 복제품은 원본 로리의 인격을 가지게 되어 네스티인의 통제에 저항할 수 있었고, 이후 닥터와 협력하여 우주를 구하는 데 기여했다.
오톤은 시리즈 12의 에피소드 "프락세우스"(2020)에서 언급되었다. 작가 피트 맥티그에 따르면, 오톤은 원래 이 에피소드의 초기 개발 단계에서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삭제되었다.[7]
2. 2. 기타 매체에서의 등장
네스테인은 또한 ''닥터 후'' 닥터 후 스핀오프 소설에도 등장했다. 일부 소설에서는 네스테인 의식이 크툴루 신화의 고대 신들과 연결되었으며, 특히 슈브-니구라스의 자손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여섯 번째 닥터를 주인공으로 한 과거 닥터 어드벤처 소설인 게리 러셀의 ''Business Unusual''에서 네스테인은 컴퓨터 게임과 플라스틱 장난감을 이용하여 또 다른 세계 정복을 시도했다. 이후 크레이그 힌턴의 소설 ''Synthespians™''에도 다시 등장했다. 열 번째 닥터 소설인 ''Autonomy''는 2009년 9월에 출시되었으며 오톤을 특징으로 한다.오디오 드라마에서도 등장했다. 2008년 빅 피니시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오디오 드라마 ''Brave New Town''에서는 여덟 번째 닥터와 동행자 루시 밀러가 오톤과 조우한다. 이 이야기의 오톤들은 냉전 시대에 영국에 잠입시키기 위한 오래된 소련 프로그램의 일부였으나, 스파이를 위해 만들어진 가짜 영국 마을에 갇혀 결국 독립성을 발전시킨 것으로 묘사된다.
1990년대 후반, 빌 앤 벤 비디오는 ''오톤 3부작''이라는 제목의 비디오용 영화 3부작(''오톤'', ''오톤 2: 센티넬'', ''오톤 3'')을 출시했다. 이 이야기에서는 UNIT가 네스테인 의식과 싸우는 모습을 그렸다. 첫 번째 영화에서는 ''테러 오브 디 오톤스''에서 UNIT가 포획했던 네스테인 에너지 유닛과 여러 오톤이 실수로 재활성화된다. 속편에서는 탈출한 오톤들이 인간 문명이 발달하기 전부터 지구에 배치되어 있던 여러 잠자는 네스테인을 깨우려고 시도한다. BBV는 네스테인, 오톤, UNIT를 만든 작가들에게 사용 허가를 받았으나, 이 영화들이 공식 설정(캐논 (픽션))에 포함되는지는 불분명하다.
오톤은 다양한 게임에도 등장했다. ''닥터 후 – 시간 속의 전투'' 15호의 주요 테마로 다뤄졌으며, 비디오 게임 ''레고 디멘션스''에도 등장한다. ''레고 디멘션스''의 ''닥터 후'' 레벨 "지구의 달렉 제거"에서 플레이어가 타디스를 사용하여 2015년 런던 중심부로 시간 여행을 할 때, 상점 창문의 마네킹들이 오톤으로 살아나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닥터 후 어드벤처 월드에서도 적으로 만날 수 있다.[8]
그 외 여러 매체에서도 언급되거나 등장했다. ''닥터 후 연감 2006''에는 러셀 T 데이비스가 쓴 기사에서 네스테인 의식의 행성들이 시간 전쟁 동안 손실되었으며, "시간적 스트레스를 받으며 변이를 일으켰다"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이는 ''스페이스에서 날아온 창''과 "로즈" 에피소드에서 네스테인 의식의 묘사가 다른 점을 설명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영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데드 링거스 (시리즈)''의 한 스케치에서는 존 컬쇼가 네 번째 닥터 모습으로 런던 아이를 방문하여 두 명의 관광객에게 "당신들은 토소스 행성에서 온 오톤입니다!"라고 농담처럼 비난하는 장면이 나온다. 2006년 ''샬롯 처치 쇼''의 닥터 후 패러디 스케치에서는 닥터가 옷을 거의 입지 않은 여성 마네킹을 조사하다가 동행자 역의 샬롯 처치에게 들키자 오톤이라고 생각했다고 변명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오톤은 미스터 맨 시리즈와 닥터 후를 결합한 ''닥터 맨'' 시리즈 책 중 하나에도 등장한다.[9] 2020년에는 "로즈" 에피소드의 팬 "함께 보기" 행사의 일환으로 작가 러셀 T 데이비스가 "로즈"의 사건 이후 살아남은 오톤을 다루는 단편 속편 "네스테인의 복수"를 썼다.[10]
3. 특징
오톤은 네스티인 의식에 의해 조종되는 자동인형으로, 주로 인간 형태의 플라스틱 마네킹 모습을 하고 있다. 네스티인 의식은 닥터 후 유니버스에서 가장 오래된 존재 중 하나로, 지성을 가진 비정형의 플라스틱 생명체이다.[4] 네스티인은 지구를 침략하여 주요 인물을 오톤으로 대체하거나, 일상적인 플라스틱 물건에 생명을 불어넣어 혼란을 일으키려 시도했으며, 이러한 시도는 주로 닥터와 UNIT 등에 의해 저지되었다.
시간 전쟁 동안 식량 공급원을 잃은 네스티인은 오염된 환경을 선호하는 자신들의 생존에 지구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2005년 시리즈에서 다시 침략을 시도했으나 로즈에 의해 저지되었다. 이후에도 네스티인 의식과 오톤은 닥터를 위협하는 존재로 간간히 등장하며, 더욱 발전된 형태의 복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3. 1. 능력
네스티인 의식은 텔레파시 능력을 통해 오톤을 조종하고 생명을 불어넣는다.[4] 이 능력은 오톤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장난감, 풍선 의자, 인공 꽃과 같은 일상적인 플라스틱 물체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변 환경을 위협적인 무기로 바꿀 수 있다.
오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손에 내장된 에너지 무기이다. 이 무기를 발사하여 대상을 공격한다. 또한, 오톤은 인간과 거의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한 복제품을 만드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단순히 외형을 모방하는 것을 넘어, 필요에 따라 신체의 특징이나 팔다리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4] 이러한 능력들은 2005년 방영된 "로즈" 에피소드에서 구체적으로 묘사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발전된 형태의 오톤 복제품이 등장하기도 했다. 2010년 방영된 "판도리카가 열린다" 에피소드에서는 에이미 폰드의 기억을 바탕으로 로리 윌리엄스를 포함한 로마 군단 병사들의 복제품이 만들어졌다. 이 복제품들은 매우 현실적이고 정교했으며, 일반적인 오톤의 내장형 에너지 무기 대신 미래형 레이저 총을 사용했다. 작중에서는 이들을 "네스티인 복제품"이라고 지칭했다.
3. 2. 약점
네스티인 의식은 닥터가 만든 특수한 "반 플라스틱" 용액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2005년 시리즈의 에피소드 "로즈"에서 로즈가 이 용액을 사용하여 네스티인 의식의 본체를 성공적으로 파괴했다.또한, 강한 인간적 감정은 오톤에 대한 네스티인의 통제를 극복하게 만들 수 있다. 2010년 시리즈 에피소드 "판도리카가 열린다"에 등장한 로리 윌리엄스의 오톤 복제품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복제품은 에이미 폰드에 대한 강한 애정과 시간의 균열의 영향으로 네스티인의 통제에 저항하고 닥터와 협력하여 우주를 구하는 데 기여했다.
4. 평가
Looper.com의 리처드 차초프스키는 오톤을 닥터 후의 가장 위대한 적 목록에 포함시켰다. 그는 오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지만, "그들의 텅 빈, 무표정한 얼굴과 뻣뻣한 움직임은 닥터가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만나는 가장 소름 끼치는 적들 중 하나로 만든다"고 평가했다.[11] AV 클럽의 우주에서 온 창 리뷰에서 크리스토퍼 반은 "오톤은 이야기에서 부차적인 중요성을 갖는다"고 언급하면서도, 오톤이 "효과적으로 소름 끼치는 순간들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휴 버든이 연기한 채닝의 오톤 복제품과 오톤이 상점 창문을 깨고 나오는 장면을 인상적인 부분으로 꼽았다.[12] Doctor Who TV의 라파엘 키야니는 로즈 에피소드에서 오톤의 역할을 "아이들이 길을 걸을 때마다 무서워할 수 있는" 존재로 묘사하며 칭찬했고, "나는 상점 창문을 볼 때마다 오톤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으며, 이것은 강력한 이미지이다"라고 덧붙였다.[13] ''덴 오브 긱''의 작가 앤드루 블레어는 오톤 역을 맡은 스턴트 배우 테리 월시가 약 18.29m 절벽에서 떨어졌다가 다시 일어나는 장면을 시리즈 최고의 스턴트 중 하나로 선정했다. 그는 이 스턴트가 의도치 않게 발생했으며, "오톤을 고통을 느끼지 않는 섬뜩한 존재로 만들었다"고 평가했다.[14]
우주에서 온 창 에피소드에서 상점 마네킹이 살아나 컬러 화면 속에서 사람들을 공격하는 장면은 이 시리즈의 상징적인 순간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는 일상적인 사물을 공포의 대상으로 만드는 《닥터 후》 시리즈의 능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로 자주 언급된다.[15]
4. 1. 논란
오톤의 공포 에피소드에서 오톤으로 밝혀지는 경찰관의 가면을 벗기는 장면과 같이 일상적인 소재를 공포스럽게 활용한 일부 장면들은 이 프로그램이 어린이에게 너무 무서운 것이 아니냐는 대중적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 문제는 영국 상원에서도 논의되었는데, 배런니스 베이컨(Baroness Bacon)은 해당 이야기가 나이가 많은 아이들에게도 지나치게 무서울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15]참조
[1]
문서
List of unmade Doctor Who serials and films
[2]
문서
Rose (Doctor Who episode)
[3]
문서
The Big Bang (Doctor Who)
[4]
간행물
The Infinite Quest episode 2
[5]
웹사이트
The Five Doctors ★★★★
http://www.radiotime[...]
[6]
뉴스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BBC
2005-04-02
[7]
웹사이트
Jodie Whittaker Doctor Who episode almost brought Autons back
https://www.radiotim[...]
2023-07-21
[8]
문서
LEGO Dimensions
[9]
웹사이트
The Ninth Doctor, Rose and Captain Jack face the Autons in one of four new Doctor Who-Mr Men mash-up books
https://www.radiotim[...]
2023-07-21
[10]
웹사이트
Doctor Who: Rose sequel "Revenge of the Nestene" released online
https://www.radiotim[...]
2023-07-21
[11]
웹사이트
The Greatest Villains In Doctor Who, Ranked
https://www.looper.c[...]
2023-07-21
[12]
웹사이트
Doctor Who (Classic): "Spearhead From Space"
https://www.avclub.c[...]
2023-07-21
[13]
웹사이트
Rose: Looking Back on Doctor Who's Revival {{!}} Doctor Who TV
https://www.doctorwh[...]
2023-07-21
[14]
웹사이트
Doctor Who’s Best Stunts
https://www.denofgee[...]
2023-07-21
[15]
간행물
Mass Media Communication
House of Lords
1971-02-03
[16]
에피소드
Ro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