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피아코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피아코돈은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발견된 멸종된 단궁류의 일종이다. 깊은 주둥이를 가진 큰 두개골과 1.6m에서 3m에 이르는 몸길이가 특징이며, 육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피아코돈은 텍사스에서 발견된 화석을 통해 디메트로돈과 유사한 골격을 가졌음이 밝혀졌으며, 수생 환경보다는 육상 생활에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탄기의 단궁류 - 아사페스테라
  • 석탄기 북아메리카 - 미시시피기
    미시시피기는 투르네기, 비제기, 세르푸호프기로 나뉘는 국제 지질 시대 척도이며, 북미에서는 킨더후크기, 오세이지기, 메라멕기, 체스터기로 세분된다.
  • 석탄기 북아메리카 - 펜실베이니아기
    펜실베이니아기는 고생대 석탄기 후기로, 균류, 무척추동물, 척추동물 등 다양한 생물군이 번성했으며 거대한 절지동물과 양막류 진화가 일어난 시기로, 국제층서위원회 등 여러 기관에서 하위 구분을 정의한다.
오피아코돈
기본 정보
[[필드 자연사 박물관]], 시카고에 있는 ''O. mirus''의 골격
필드 자연사 박물관, 시카고에 있는 O. mirus의 골격
학명Ophiacodon
명명자Marsh, 1878년
모식종Ophiacodon mirus
모식종 명명자Marsh, 1878년
시대후기 석탄기 ~ 전기 페름기
하위 분류
기타 종O. hilli Romer, 1925
O. major Romer & Price, 1940
O. navajovicus (Case, 1907 [원래 Dimetrodon navajovicus'])
O. retroversus Cope, 1878
O. uniformis Cope, 1878
동의어

2. 발견

북아메리카유럽 일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몸길이는 1.5m~3.6m이고, 몸무게는 60kg이다. 텍사스에서 오피아코돈의 완전한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뼈나 몸 구조는 등의 돛이 없다는 것만 제외하면 디메트로돈과 매우 유사하다. 게다가 이빨에는 에리옵스와 같은 양서류에서 나타나는 세로 줄무늬가 있지만 훨씬 덜 뚜렷하며 이빨의 기저부에서만 나타난다.

3. 특징



뉴욕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O. retroversus'' 골격


오피아코돈은 깊은 주둥이를 가진 큰 두개골을 가지고 있으며 초기 단궁류 중에서 가장 긴 두개골을 가지고 있다. 한 표본에서는 50cm에 이른다.[3] 턱에는 많은 작은 이빨이 늘어서 있다. 몸길이는 1.6m에서 3m이고 무게는 26kg에서 230kg으로, 당시 다른 대부분의 사지형류(네 다리가 있는 척추동물)보다 컸다.[1]

오피아코돈의 표본은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크기 차이는 한때 종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개체의 나이와 관련된 개체 발생 변이로 인식된다. 작은 뼈는 큰 뼈보다 관절 표면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이는 작은 뼈가 어린 개체에서, 큰 뼈가 성체에서 나왔음을 시사한다.[4] 뼈의 조직학 또는 현미경적 해부학 분석 결과, 크기 차이는 서로 다른 종이 아닌 서로 다른 성장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5]

1.5~3미터 정도의 대형 육식 동물로, 일반적으로 연못, 늪, 습지()에 서식했다고 설명된다. 세로로 높고 가로로 얇은 두개골과 원뿔형의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물가의 먹이(양서류나 어류 등)를 포식했을 것으로 생각된다.[11] 식성은 육식성으로 먹이는 주로 못이나 개울가에 사는 물고기를 잡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피아코돈은 이름처럼 과 흡사하게 생겼지만 파충류가 아니라 단궁류에 속하기 때문에 뱀보다는 오히려 포유류와 더 가까운 동물이며, 뱀은 이궁류로 포유류보다는 조류와 더 가깝다.

단궁류는 앞다리와 상반신이 튼튼하게 발달하는 반면, 뒷다리는 더 가볍게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다. 긴 머리나 어깨와 같은 무거운 앞부분 등, 본 속에서도 그 경향이 보인다. 뒷다리는 거구를 움직이는 근육을 갖추면서, 약간 앞다리보다 길었다.[12]

어류 외에도, 악어처럼 물가의 육상 동물을 습격했을 가능성도 있다. 골조직・지골(趾骨)의 형태・원뿔형의 이빨・타포노미로부터 위의 생태가 시사되지만, 한편으로 오피아코돈의 척추뼈는 민첩한 유영에는 적합하지 않았다.[13] 적어도 초기의 오피아코돈과(''Clepsydrops collettii'')는, 대퇴골의 미세 구조로부터 반수생에 그다지 적응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14] 같은 그룹에는 부분 화석만 알려진 속도 많아, 만족스러운 화석은 본 종과 바라노사우루스밖에 발굴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현재 오피아코돈의 생태에는 수수께끼가 많다.[15]

4. 생태



오피아코돈은 육상에서 살았을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반수생 동물이었다고 생각되기도 한다. 물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는 것을 시사하는 해부학적 특징으로는 넓은 발톱, 얇은 턱과 수많은 작은 이빨, 약하게 발달된 뼈 등이 있다.[1] 그러나 이러한 특징 중 일부는 더 이상 수생 생활 방식의 증거로 간주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넓은 발톱은 육상 동물에서도 발견되며, 오피아코돈의 긴 뒷다리는 발이 작아 효과적인 추진 수단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 오피아코돈의 척추 분석 결과 육상 동물일 가능성이 가장 높고 물에서 시간을 거의 보내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한다.[1] 대퇴골에 대한 고생물학적 추론 모델[8] 역시 육상 생활 방식을 시사하지만,[9] 꽤 두꺼운 피질은 양서류의 습성을 시사할 수도 있다.

오피아코돈의 골격은 빠른 성장 패턴을 보여주며, 이는 부분적인 온혈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패턴은 조류와 포유류에서도 발견된다.[10]

1.5~3미터 정도의 대형 육식 동물로, 일반적으로 연못, 늪, 에 서식하며 세로로 높고 가로로 얇은 두개골과 원뿔형의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어 물가의 먹이(양서류나 어류 등)를 포식했을 것으로 생각된다.[11]

단궁류는 앞다리와 상반신이 튼튼하게 발달하는 반면, 뒷다리는 더 가볍게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다. 오피아코돈 역시 긴 머리나 어깨와 같은 무거운 앞부분을 가졌으며, 뒷다리는 거구를 움직이는 근육을 갖추면서도 약간 앞다리보다 길었다.[12]

어류 외에도, 악어처럼 물가의 육상 동물을 습격했을 가능성도 있다. 골조직, 지골(趾骨)의 형태, 원뿔형의 이빨, 타포노미로부터 이러한 생태가 시사되지만, 오피아코돈의 척추뼈는 민첩한 유영에는 적합하지 않았다.[13]

5. 근연종

아르카이오티리스와 바라노사우루스 등이 오피아코돈과 비슷한 종이다.

참조

[1] 서적 Early Evolutionary History of the Synapsida
[2] 논문 An Early Permian varanodontine varanopid (Synapsida: Eupelycosauria) from the Richards Spur Locality, Oklahoma
[3] 서적 The Fossil Record of Predation Paleontological Society Special Publications
[4] 논문 Size-independent criteria for estimating relative age in ''Ophiacodon'' and ''Dimetrodon'' (Reptilia, Pelycosauria) from the Admiral and lower Belle Plains formations of west-central Texas
[5] 논문 ''Ophiacodon'' long bone histology: supporting the Brinkman hypothesis
[6] 간행물 Unterpermische Pelycosaurier aus den englischen Midlands http://palaeontology[...] 2013-04-03
[7] 간행물 John J. Stephens, Ophiacodon aus Ohio https://kb.osu.edu/d[...]
[8] 논문 Microanatomy of the amniote femur and inference of lifestyle in limbed vertebrates
[9] 논문 Microstructural features of the femur in early ophiacodontids: A reappraisal of ancestral habitat use and lifestyle of amniotes
[10] 웹사이트 Ancestry of mammalian 'warm-bloodedness' revealed https://www.scienced[...] Society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15-10-29
[11] 서적 ニューワイド学研の図鑑 18巻「大昔の動物」 Gakken 2000-11-30
[12] 서적 コーウェン地球生命史 第6版 東京科学同人 2023-07-24
[13] 서적 Was Ophiacodon (Synapsida, Eupelycosauria) a Swimmer? A Test Using Vertebral Dimensions https://doi.org/10.1[...] Springer Netherlands 2022-04-26
[14] 논문 Microstructural features of the femur in early ophiacodontids: A reappraisal of ancestral habitat use and lifestyle of amniotes https://www.scienced[...] 2016-01-01
[15] 서적 前恐竜時代 失われた魅惑のペルム紀世界 ブックマン社 2022-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