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필자형수입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필자형수입법은 1983년 왕융민이 개발한 중국어 한자 입력 방식이다. 86판, 98판, 신세기판 세 가지 버전이 있으며, 자근을 조합하여 한자를 입력한다. 획과 자형을 기반으로 하는 입력 방식이며, 획을 키보드에 매핑하여 입력한다. 25개의 자모 키를 사용하며, 각 키에는 여러 자근이 할당되어 있다. 숙련되면 빠른 입력이 가능하지만, 자근을 암기해야 하고, 중복 코드 문제와 정체자 입력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Microsoft Windows, macOS, Google 등 다양한 운영체제와 플랫폼에서 지원되며, 여러 입력 소프트웨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필자형수입법 | |
---|---|
개요 | |
명칭 | 오필자형 입력 방법 |
원어 명칭 (간체) | 五笔字型输入法 |
로마자 표기 (병음) | wǔbǐ zìxíng shūrùfǎ |
로마자 표기 (웨이드-자일스) | wupi tzuhsing shujufa |
로마자 표기 (광동어) | ng5bat1 zi6jing4 syu1jap6faat3 |
영어 명칭 | Wubi method |
![]() | |
기타 명칭 (간체) | 王码 |
기타 명칭 (병음) | Wáng mǎ |
기타 명칭 (광동어) | Wong4 maa5 |
설명 | 다섯 획 글자 모양 입력 방법 |
2. 역사
중국 허난성 난양 지역 과학 위원이었던 王永民|왕융민중국어은 1978년부터 중국어의 한자 빈도 및 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발표했다. 그의 연구는 1982년 허난성 과학위원회의 중요 연구 항목으로 인정받았다. 왕융민은 1983년 허난성의 성도인 정저우시에서 '오필자형 입력 방식'을 공식적으로 발표했으며, 이 때문에 '오필'은 종종 그의 이름을 따서 '왕마'(Wangma, 코드를 의미하는 마(碼))라고도 불린다.[4]
왕융민(王永民)은 1983년 오필자형을 발명한 이래로 '''86판''', '''98판''', '''신세기판'''의 세 가지 주요 코드 체계를 발표했다.
2020년에는 미국 라디오랩의 한 에피소드에서 "The Wubi Effect"라는 제목으로 오필자형수입법(우비)의 역사가 소개되기도 했다.[3]
3. 버전
후속 버전들은 더 많은 문자를 지원하고 자근 체계가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버전인 86판에 익숙한 사용자가 많아 여전히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다. 각 버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86판
'''86판'''(86版)은 구형 방식의 오필 체계로, 4.5버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986년에 명칭 공개와 함께 출시되었다. 130개의 자근을 사용하여, GB 2312-80 중국어 문자 집합에서 6763개 한자를 처리할 수 있다. 관습적인 문제로 인해,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은 인코딩 체계를 가지고 있다.
나중에 왕마(王码)에서는 원래 86판의 일부 무리한 코드를 제거하고, 식별 코드를 표준화하는 것을 포함하여, 원래 86판의 논쟁적인 코드 중 일부를 정식 개선했다. 따라서 원래의 86판과 수정된 86판의 두 가지 버전이 있다. 공식 웹사이트에서 번호 조회한 결과에는 조정된 86판만 나타내지만, 많은 입력기 소프트웨어는 조정되지 않고 여전히 원래의 86판 코드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오필자형 입력 방식에는 86판, 98판, 신세기판의 3가지 버전이 있다. 새로운 판은 GBK를 지원하거나 자근(字根)이 개선되었지만, 첫 번째 판에 익숙한 사람이 많아 현재도 86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필자형보다 간단한, 오필만 사용한 입력 방식도 있다. 이것을 '''오필화'''라고 부른다. 오필화에서는 텐키의 1부터 5를 각각 오필에 할당하고, 0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五"는 "가로・세로・꺾임・가로"이므로 "12510"으로 "五"를 입력할 수 있다. 타건수는 많아지지만 외우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5]。
3. 2. 98판
'''98판'''(98版)은 1998년에 발표된 오필자형수입법의 개선된 버전이다. 이 버전은 부호 체계의 과학성을 높여 학습과 사용이 더 편리하도록 설계되었다. 259개의 코드를 사용하여 GBK 문자 집합에 포함된 간체 한자 21,003자를 입력할 수 있다. 98판은 이전 버전인 86판과 기본적인 코딩 원칙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오필자형 입력 방식에는 86판, 98판, 신세기판의 세 가지 주요 버전이 존재한다. 98판과 이후의 신세기판은 GBK 지원 강화 및 자근(字根, 글자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 개선 등의 특징을 가지지만, 초기 버전인 86판에 익숙한 사용자가 많아 현재까지도 86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래는 98판의 자근(字根) 표이다.
키 | 코드 | 대표 자근 |
---|---|---|
G | 11 | 왕(王), 방(旁), 청(青) 머리, 오(五), 부(夫), 한(一) |
F | 12 | 토(土), 간(干), 십(十), 촌(寸), 미(未), 감(甘), 우(雨), 혁(革) 자 밑부분 |
D | 13 | 대(大), 견(犬), 무(戊), 기(其), 고(古), 석(石), 공장(厂) |
S | 14 | 목(木), 정(丁), 서(西), 부(甫), 한(一), 사(四), 리(里) |
A | 15 | 공(工), 과(戈), 초(草) 머리, 우(右) 틀, 칠(七) |
H | 21 | 목(目), 상(上), 복(卜), 지(止), 호(虎), 구(具) 머리 |
J | 22 | 일(日), 조(早), 두(兩), 세로 획과 벌레 의(虫依) |
K | 23 | 구(口), 흐를(流), 내 천(川) (부호 드묾) |
L | 24 | 전(田), 방(方) 틀, 사(四), 수레 리(車里) |
M | 25 | 산(山), 말미암을(由), 조개(貝), 뼈(骨) 아래 틀, 모을(集) |
T | 31 | 벼 화(禾), 대나무(竹), 반(反), 문(文), 쌍(雙), 인(人), 설(立) |
R | 32 | 흰 백(白), 斤(斤), 기(氣), 언덕 구(丘), 갈라진 손(叉), 들(手提) |
E | 33 | 달 월(月), 힘 력(力), 돼지(豸), 털(毛), 옷(衣), 절구 구(臼) |
W | 34 | 인(人), 여덟 팔(八), 오를 등(登) 머리, 단(單) 인(人), 몇(幾) |
Q | 35 | 쇠 금(金), 저녁 석(夕), 새 조(鳥), 개 견(犭) 가(邊), 물고기 어(魚) |
Y | 41 | 말씀 언(言), 글 문(文), 모(方), 점(點), 누구 수(誰), 인(人), 갈(去) |
U | 42 | 설 립(立), 매울 신(辛), 여섯 육(六), 양 양(羊), 병(病), 문(門) 속(里) |
I | 43 | 물 수(水), 겨레 족(族), 세 점(三點), 자라 별(鱉) 머리, 작을 소(小) |
O | 44 | 불 화(火), 업(業), 넓을 광(廣), 사슴 록(鹿), 네 점(四點), 쌀 미(米) |
P | 45 | 갈 지(之), 집 보(寶), 덮을 개(蓋), 보일 시(示), 옷 의(衣) |
N | 51 | 이미 기(已), 무리 류(類), 왼쪽 틀, 마음 심(心), 시체 시(尸), 깃 우(羽) |
B | 52 | 아들 자(子), 귀 이(耳), 마칠 료(了), 또한 야(也), 이에 내(乃) 틀, 가죽 피(皮) |
V | 53 | 계집 녀(女), 칼 도(刀), 아홉 구(九), 어질 량(良), 산(山), 서쪽으로(西) 넘어지다(倒) |
C | 54 | 또 우(又), 꼬리 파(巴), 소 우(牛), 들 입(入), 말 마(馬), 잃을 실(失) 발굽(蹄) |
X | 55 | 작을 요(幺), 어미 모(母), 꿸 관(貫) 머리, 활 궁(弓), 그리고 비수 비(匕) |
3. 3. 신세기판
'''신세기판'''(新世纪版)은 2008년 1월 28일에 출시된 오필자형 입력 방식의 버전이다. 이 버전은 새로 설계된 문자 체계를 특징으로 하며, 권역별 획위치 법칙에 더욱 부합하도록 만들어졌다. 이를 통해 더욱 과학적이고 실용적이며, 기록하기 쉽게 개선되었다. 표준에 따라 한자를 쓰는 사용자라면 부호 입력이 쉬우며, GB 18030 한자집중의 번체 한자 27,533자를 처리할 수 있다.신세기판의 자근(字根) 구성은 다음과 같다.
코드 | 키 | 문자 (의미) |
---|---|---|
G11 | 왕(王) | 방(旁) 청(青) 머리 오(五) 하나(一) 올림 |
F12 | 흙(土) | 선비(士) 둘(二) 마름(干) 열(十) 마디(寸) 비(雨) |
D13 | 큰(大) | 석 삼(三) 넉 사(肆) 머리 옛(古) 돌(石) 공장(厂) |
S14 | 나무(木) | 정(丁) 서(西) 가(边) 원(要) 없을(无) 여자(女) |
A15 | 공(工) | 창(戈) 풀(草) 머리 오른쪽(右) 틀(框) 일곱(七) |
H21 | 눈(目) | 그칠(止) 갖출(具) 머리 점(卜) 호랑이(虎) 가죽(皮) |
J22 | 해(日) | 가로(曰) 두(两) 세로(竖) 벌레(虫) 의지(依) |
K23 | 입(口) | 속(中) 두(两) 내(川) 세(三) 세로(竖) |
L24 | 밭(田) | 틀(框) 넷(四) 수레(车) 갑(甲) 홑(单) 밑(底) |
M25 | 뫼(山) | 말미암을(由) 조개(贝) 뼈(骨) 아래(下) 틀(框) 안(里) |
T31 | 벼(禾) | 대나무(竹) 소(牛) 방(旁) 누운(卧) 사람(人) 설(立) |
R32 | 흰(白) | 근(斤) 기운(气) 머리 엇갈(叉) 손(手) 들(提) |
E33 | 달(月) | 배(舟) 옷(衣) 힘(力) 돼지(豕) 이리(豸) 절구(臼) |
W34 | 사람(人) | 여덟(八) 오를(登) 제사(祭) 바람(风) 머리 몇(几) |
Q35 | 쇠(金) | 저녁(夕) 개(犭) 아이(儿) 쌀(包) 머리 물고기(鱼) |
Y41 | 말씀(言) | 글(文) 모(方) 점(点) 넷(四) 하나(一) |
U42 | 설(立) | 띠(带) 두(两) 점(点) 병(病) 문(门) 안(里) |
I43 | 물(水) | 가(边) 한(一) 무리(族) 세(三) 점(点) 작을(小) |
O44 | 불(火) | 변(变) 셋(三) 태(态) 넓을(广) 둘(二) 쌀(米) |
P45 | 갈(之) | 글자(字) 보배(宝) 덮개(盖) 보일(补) 보일(示) 옷(衣) |
N51 | 이미(已) | 종류(类) 왼쪽(左) 틀(框) 마음(心) 시체(尸) 깃(羽) |
B52 | 아들(子) | 귀(耳) 마칠(了) 또한(也) 이에(乃) 이(齿) 밑(底) |
V53 | 여자(女) | 칼(刀) 아홉(九) 돌(巡) 기록(录) 없을(无) 물(水) |
C54 | 또(又) | 꼬리(巴) 멜(甬) 어조사(矣) 말(马) 잃을(失) 발굽(蹄) |
X55 | 작을(幺) | 어미(母) 꼬일(绞) 실(丝) 활(弓) 셋(三) 비수(匕) |
오필자형 입력 방식에는 86판, 98판, 신세기판의 세 가지 주요 버전이 있다. 신세기판은 GBK를 지원하고 자근(字根)이 개선되는 등 발전이 있었지만, 초기 버전인 86판에 익숙한 사용자가 많아 현재도 86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오필자형보다 간단하게 오필만을 사용하는 입력 방식도 있는데, 이를 '''오필화'''(五笔画)라고 부른다. 오필화는 키보드의 숫자패드(텐키) 1부터 5까지를 각각 오필(가로, 세로, 삐침, 파임, 꺾임)에 할당하고, 숫자 0으로 입력을 완료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五" 자는 필순이 "가로・세로・꺾임・가로"이므로 "12510"을 입력하여 "五"를 완성한다. 이 방식은 입력해야 하는 키의 수는 더 많지만, 자근을 외울 필요 없이 필순만 알면 되므로 배우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5]
4. 작동 원리
오필자형수입법은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 중 하나로, 글자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자근과 글자를 쓰는 순서인 필획에 따라 자근을 조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글자를 시각적인 구성 요소로 분해하고, 이를 키보드의 특정 키에 대응시켜 입력하는 원리를 따른다.
기본적으로 키보드의 알파벳 영역은 다섯 가지 기본 필획에 따라 5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각 구역은 특정 획 모양과 연관된 키들로 구성된다.
구역 번호 | 담당 획 | 획 모양 | 할당된 키 (QWERTY 기준) |
---|---|---|---|
1 | 가로 (横) | 一 | G, F, D, S, A |
2 | 세로 (竖) | 丨 | H, J, K, L, M |
3 | 삐침 (撇) | 丿 | T, R, E, W, Q |
4 | 파임(捺) 또는 점(点) | 丶 | Y, U, I, O, P |
5 | 꺾임 (折) | フ | N, B, V, C, X |
각 키에는 해당 획으로 시작하거나 연관된 여러 개의 자근이 할당되어 있다. 글자를 입력할 때는 먼저 해당 글자를 구성하는 자근으로 분해하고, 이를 필순대로 해당하는 키를 눌러 입력한다.
오필자형수입법의 핵심 규칙 중 하나는 최대 4번의 키 입력으로 한 글자를 완성한다는 점이다.
- 글자를 구성하는 자근이 4개 이하일 경우, 모든 자근에 해당하는 키를 순서대로 입력한다. 필요시 식별 코드를 추가하여 4타를 채우기도 한다.
- 글자를 구성하는 자근이 5개 이상일 경우, 처음 3개의 자근과 마지막 자근에 해당하는 키, 총 4개의 키만을 입력한다.
이렇게 입력된 4개의 코드가 하나의 글자를 특정하면 스페이스 바를 눌러 입력을 완료한다. 만약 입력된 코드가 여러 글자에 해당할 경우(중복 코드), 보통 숫자 키를 이용해 원하는 글자를 선택한다. 대부분의 입력기에서는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첫 번째 후보 글자가 선택된다.
자주 사용하는 글자를 더 빠르게 입력하기 위해 1~3개의 키 입력만으로 완성되는 간마라는 단축 코드도 정의되어 있다. 또한, 일부 입력기에서는 두 글자 이상의 단어를 한 번에 입력하는 기능이나, 'z' 키를 와일드카드로 사용하여 모르는 자근을 대체하는 기능을 지원하기도 한다.
오필자형수입법은 1986년에 처음 발표된 이후 몇 차례 개정을 거쳐 86판, 98판, 신세기(新世纪)판 등의 버전이 존재한다. 각 버전은 지원하는 문자 집합(GBK 등)이나 자근 구성에 차이가 있지만, 초기 버전인 86판이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와 별도로, 자근 대신 5가지 기본 획만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더 단순화된 방식인 오필화(五笔画)도 존재하며, 주로 휴대 전화 키패드 입력 방식에 활용된다[5].
오필자형수입법은 자근 분해 규칙과 키 배열을 익히면, 근육 기억을 통해 매우 빠른 속도로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1. 자근 (字根)
오필 자근(字根)은 오필수입법의 기본 단위로, 자형 입력 방식의 중국어 입력기에서 문자의 최소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버전별로 사용하는 자근의 개수가 다른데, 86판은 234개, 98판은 259개, 신세기판은 226개의 자근을 사용한다.한자를 구성하는 기본 자근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단(单): 기본 자근 자체가 한자가 되는 경우. 예: 口, 木, 竹 등.
- 산(散): 한자를 구성하는 기본 자근들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는 경우. 예: 汉, 湘, 结, 别, 安, 意 등.
- 연(连): 단일 획으로 기본 자근을 구성하는 경우. 예: “丿”와 “目”으로 “自”를 이룸.
- 교(交): 몇몇 기본 자근이 교차하여 형성된 한자. 예: “申”은 “日”과 “丨”로 구성, “夷”는 “一”과 “弓”과 “人”으로 구성.
오필수입법에서는 한자를 구성 요소로 분해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부수와 동일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이 구성 요소들은 필순대로 입력한다. 글자가 너무 복잡하여 키 입력 횟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개 이상의 구성 요소를 가진 글자는 처음 3개의 구성 요소와 마지막 구성 요소만 입력한다. 이 방식으로 모든 글자는 최대 4번의 키 입력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오필자형수입법은 글자를 매우 균등하게 배분하여 대부분의 글자는 4번의 키 입력으로 고유하게 식별된다. 입력 후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입력 버퍼의 글자가 화면에 표시된다. 만약 4글자 코드가 고유하지 않으면, 숫자를 입력하여 원하는 글자를 선택한다(예: 두 글자가 같은 코드를 가지면 1을 눌러 첫 번째 글자를, 2를 눌러 두 번째 글자를 선택). 대부분의 구현에서는 스페이스바가 기본적으로 숫자 1을 의미하므로, 모호한 상황에서도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첫 번째 글자가 선택된다. 지능형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가 기본 선택지에 오도록 시도하기도 한다.
많은 글자는 여러 개의 코드를 갖는다. 이는 글자를 분해하는 명확한 방법이 여러 가지일 경우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이거나, 특정 글자가 4글자 미만의 짧은 코드와 "전체" 코드를 모두 갖기 때문이다.
4개 미만의 구성 요소를 가진 글자 중 짧은 코드가 없는 경우, 각 구성 요소를 입력한 뒤 마지막 구성 요소의 획을 필순대로 추가 입력하여 코드를 4개의 키 입력으로 채운다. 획이 너무 많으면 가능한 한 많이 입력하되 마지막 획은 마지막에 넣어야 한다.
일단 알고리즘을 이해하면, 약간의 연습만으로 이전에 입력해 본 적 없는 글자도 거의 입력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입력자는 근육 기억 덕분에 글자 구성에 대해 생각할 필요 없이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오필자형수입법은 자판의 키들을 획의 종류에 따라 5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이 방식은 QWERTY와 유사한 배열을 사용하므로, 드보락이나 프랑스어 AZERTY 같은 다른 자판 배열 사용자는 재매핑이 필요할 수 있다. 자근 배치는 임의적이지 않으며, 학습을 돕기 위한 논리적인 방법론을 따른다.
자판은 기본적으로 5개의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특정 획을 나타낸다.
- 제1구역 (가로획 一): ASDFG 키
- 제2구역 (세로획 丨): HJKLM 키
- 제3구역 (왼쪽 내림 丿): QWERT 키
- 제4구역 (점 丶 또는 오른쪽 내림): YUIOP 키
- 제5구역 (갈고리 フ): XCVBN 키
각 키에는 해당 획으로 시작하는(예외 있음) 자근들이 할당되어 있다(86판 기준 125종류)[6]. 키는 25개뿐이므로 하나의 키에 여러 자근이 할당된다. 같은 키에 할당된 자근 중 대표적인 것을 건명(键名)이라고 부른다.
자판은 일반적으로 T와 Y, G와 H, N과 M 사이를 중심으로 나뉜다고 볼 수 있다. 각 구역의 키는 이 중심선에서 멀어질수록 번호가 매겨진다. 예를 들어, QWERT 구역에서는 T가 1번, R이 2번, E가 3번이다. YUIOP 구역에서는 Y가 1번, U가 2번, I가 3번이다. XCVBN 구역에서는 N이 1번이다. HJKLM 구역에서는 M이 선상에 없지만 순서상 마지막 문자로 간주된다.
이 번호는 자근의 획 반복과 관련이 있다. 1번 위치 키의 자근은 해당 획(구역에 할당된 획)을 한 번 포함하고, 2번 위치는 두 번, 3번 위치는 세 번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이 패턴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자근은 해당 구역의 마지막 키(5번 키)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가로획 구역(ASDFG)에서 G(1번)에는 一, F(2번)에는 二, D(3번)에는 三이 배정되어 있다. 세로획 구역(HJKLM)에서는 H(1번)에 丨, J(2번)에 刂, K(3번)에 川이 배정되어 있다. 이 패턴은 모든 구역에 적용되며, 실제 획 수와 다르더라도 시각적으로 유사한 부수에도 적용된다(예: K에 배정된 中). 또한, 자근의 병음 첫 글자가 해당 키와 일치하는 경우도 있어 기억에 도움이 된다(예: 口(kǒu)는 K키).
각 키에는 주요 구성 요소와 단축키 문자가 연결되어 있다. 주요 구성 요소는 해당 키를 4번 반복해서 입력하여 입력할 수 있다(예: H의 주요 구성 요소는 目이므로 'hhhh'로 입력). 단축키 문자는 해당 키만 한 번 눌렀을 때 입력되는 매우 자주 사용되는 문자이다.
아래는 각 키에 할당된 주요 구성 요소, 단축키 문자, 그리고 관련된 자근들의 일부 예시이다. (''아래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자근도 있을 수 있다.'')
- Q 키: 주요 구성 요소 金, 단축 문자 我. 관련 자근: 金, 钅, 勹, 儿, 夕, 饣, 角 상단의 갈고리, 犭 (좌하강 획 없음), 区 중앙의 교차형, 鱼 상단, 流 오른쪽 하단.
- W 키: 주요 구성 요소 및 단축 문자 人. 관련 자근: 人, 亻, 八, 癸 상단. (人은 会의 지붕 부수처럼 사용되기도 함)
- E 키: 주요 구성 요소 月, 단축 문자 有. 관련 자근: 月, 用, 彡, 乃, 衣 하단, 孚 상단, 豕, 良 하단, 舟 하단. (且는 月 + 一로 간주)
- R 키: 주요 구성 요소 白, 단축 문자 的. 관련 자근: 白, 手, 扌, 斤, 牛 (수직 아래 획 없음), 두 개의 좌강 획 𰀪. (看의 手 변형 주의)
- T 키: 주요 구성 요소 禾, 단축 문자 和. 관련 자근: 禾, 竹(⺮ 포함), 夂, 攵, 彳, 乞 상단, 丿 (좌강 획 대표).
- Y 키: 주요 구성 요소 言, 단축 문자 主. 관련 자근: 言, 讠, 亠, 亠 아래 口, 广, 文, 方, 丶 (점). (오른쪽 내림 획으로 시작하는 자근 위주)
- U 키: 주요 구성 요소 立, 단축 문자 产. 관련 자근: 立, 六, 辛, 门, 疒, 丬, 冫, 单 상단 "안테나"(丷), 兹 상단. (두 개의 짧은 대각선 획 특징)
- I 키: 주요 구성 요소 水, 단축 문자 不. 관련 자근: 水, 氵, 小, 学 상단, 当 상단, 등을 맞댄 冫 형태.
- O 키: 주요 구성 요소 火, 단축 문자 为. 관련 자근: 火, 米, 灬, 业 (아래 가로획 없음).
- P 키: 주요 구성 요소 之, 단축 문자 这. 관련 자근: 之, 辶, 廴, 冖, 宀, 礻. (辶, 廴는 보통 마지막에 입력)
- A 키: 주요 구성 요소 工, 단축 문자 工.
- S 키: 주요 구성 요소 木, 단축 문자 要.
- D 키: 주요 구성 요소 大, 단축 문자 在.
- F 키: 주요 구성 요소 土, 단축 문자 地.
- G 키: 주요 구성 요소 王, 단축 문자 一.
- H 키: 주요 구성 요소 目, 단축 문자 上.
- J 키: 주요 구성 요소 日, 단축 문자 是.
- K 키: 주요 구성 요소 口, 단축 문자 中.
- L 키: 주요 구성 요소 田, 단축 문자 国.
- M 키: 주요 구성 요소 山, 단축 문자 同.
- X 키: 주요 구성 요소 纟, 단축 문자 经.
- C 키: 주요 구성 요소 又, 단축 문자 以.
- V 키: 주요 구성 요소 女, 단축 문자 发.
- B 키: 주요 구성 요소 子, 단축 문자 了.
- N 키: 주요 구성 요소 已, 단축 문자 民.
자근 자체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건명 입력: 해당 키를 4번 반복해서 누른다. 예: "言"은 YYYY[7]
2. 1획 자근 입력 (一丨丿丶乙): 해당 키를 2번 누르고 L을 2번 누른다. 예: "乙"은 NNLL[8] (단, "一"은 G 키 한 번으로도 입력 가능)
3. 기타 자근 입력: 자근 키를 누른 다음, 해당 자근의 첫 번째, 두 번째, 마지막 획에 해당하는 키를 누른다. 예: "三"은 DGGG[9]
자근 이외의 문자는 자근으로 분해하여 입력한다. 예를 들어 "信"은 "人言"(WY), "基"는 "廾三八土"(ADWF)로 분해한다. 자근이 5개 이상이면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자근과 마지막 자근만 입력하여 4타로 줄인다[10].
2~3타로 입력되는 글자는 마지막 획의 종류와 문자의 구조(좌우형, 상하형, 기타)를 나타내는 식별부호를 추가하여 4타를 채우기도 한다[11]. 하지만 현재 구현에서는 입력 중간에 후보 목록이 나타나므로 식별부호까지 입력할 필요는 적다.
입력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간마(简码)라는 단축 코드가 있다. 일급 간마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25개 문자를 1타로 입력할 수 있게 정의한 것이다. 이급 간마(2타)와 삼급 간마(3타)도 있지만, 후보 목록 기능 때문에 일급 간마 외에는 외울 필요성이 낮다.
오필자형 입력 방식에는 86판, 98판, 신세기판의 세 가지 주요 버전이 있다. 후기 버전은 GBK 문자 집합 지원이나 자근 개선 등의 특징이 있지만, 초기 86판에 익숙한 사용자가 많아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필자형보다 간단하게 5가지 기본 획만을 사용하는 입력 방식도 있는데, 이를 오필화(五笔画)라고 한다. 숫자 키패드의 1부터 5까지 각 키에 5가지 기본 획(가로, 세로, 삐침, 점, 꺾음)을 할당하고 0으로 입력을 완료한다. 예를 들어 "五"는 "가로-세로-꺾임-가로" 순서이므로 "12510"으로 입력한다. 타자 수는 많아지지만 외우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5]. 휴대 전화의 키패드 입력 방식은 주로 이 오필화를 사용한다.
4. 2. 코드 추출 원리
오필자형 수입법은 한자를 구성 요소인 자근(字根)으로 분해하고, 이를 필기 순서대로 키보드로 입력하는 방식이다. 자근은 대체로 부수와 유사하지만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키보드는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 필획(가로 一, 세로 丨, 삐침 丿, 파임/점 丶, 꺽음 フ)에 따라 5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 가로(横)「一」 : GFDSA 키
- 세로(竖)「丨」 : HJKLM 키
- 삐침(撇)「丿」 : TREWQ 키
- 파임(捺) 또는 점(点)「丶」 : YUIOP 키
- 꺽음(折)「フ」 : NBVCX 키
약 125 종류(86판 기준)의 자근이 25개의 알파벳 키(QWERTY 기준, Z 제외)에 분배되어 있다[6]. 각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코드는 최소 1개에서 최대 4개의 자근 코드로 구성된다.
글자 입력 시에는 자근을 필기 순서대로 조합하며, 최대 4번의 키 입력 규칙이 적용된다.
- 자근이 4개를 초과하는 글자: 첫 3개의 자근과 마지막 자근의 코드를 입력한다[10]. 예를 들어 "基"는 "廾三八土"(ADWF)로 분해하여 입력한다.
- 자근이 4개 미만인 글자: 모든 자근 코드를 순서대로 입력한 뒤, 부족한 타수는 마지막 자근의 획 정보나 문자의 구조(좌우형, 상하형 등 '자형')를 나타내는 식별부호 1타를 추가하여 총 4타를 채우기도 한다[11].
대부분의 글자는 4번의 키 입력으로 고유하게 식별되며, 스페이스바를 눌러 입력을 완료한다. 만약 4개의 코드가 여러 글자에 해당할 경우, 숫자 키(1, 2...)를 눌러 원하는 글자를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스바는 첫 번째 후보 글자를 선택하는 것과 같다. 일부 글자는 입력 편의를 위해 여러 가지 자근 조합으로 표현되거나, 타수를 절약하기 위해 정의된 간마(간체 코드)라는 단축 코드를 갖기도 한다.
이 입력 방식은 일단 자근 분해와 코드 규칙을 이해하면, 처음 보는 글자라도 약간의 연습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숙달되면 근육 기억을 통해 자근 구성을 의식하지 않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2006년 12월, 개발자 왕융민(王永民)은 오필자형을 기반으로 6개의 코드와 “오른손 규칙——앞4 끝1(右手法则——前四末一)”이라는 입력 규칙을 적용한 디지털 코드 입력 방식을 발표하기도 했다.[https://web.archive.org/web/20070326014215/http://publish.it168.com/2006/1216/20061216000401.shtml]
휴대 전화의 키패드용 오필자형 입력 방식도 존재하며, 이는 자근 대신 5가지 기본 획(1:一, 2:丨, 3:丿, 4:丶, 5:フ)만을 사용하여 입력한다.
4. 2. 1. 키 명칭
키 명칭은 각 키의 왼쪽 위 모서리에 표시된 '''흑체자근'''(黑体字根)을 가리킨다. 이 자근들은 사용 빈도가 높은 글자들이며, 대부분 그 자체로 중국어 문자를 이룬다. 같은 키에 할당된 자근 중 대표가 되는 하나를 '''건명'''이라고 부른다. 건명 자체를 입력하려면 해당 키를 4번 반복해서 누른다. (예: 건명이 '王'인 G키를 4번 눌러 '王' 입력: "GGGG")[7]오필자형 수입법 키보드는 QWERTY와 유사한 레이아웃을 사용하므로, 드보락이나 프랑스어 AZERTY와 같이 다른 레이아웃 사용자는 시스템 사용을 위해 일부 키 재매핑이 필요할 수 있다. 키보드는 획에 따라 5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 '''제1구역''': 가로획 (一) - GFDSA 키
- '''제2구역''': 세로획 (丨) - HJKLM 키
- '''제3구역''': 왼쪽 내림 (丿) - TREWQ 키
- '''제4구역''': 점/오른쪽 내림 (丶) - YUIOP 키
- '''제5구역''': 갈고리 (フ) - NBVCX 키
각 구역의 키는 중앙 분할선(T/Y, G/H, N/M 사이)에서 멀어지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예를 들어, 제3구역(TREWQ)에서는 T가 1번, R이 2번, E가 3번, W가 4번, Q가 5번 키이다. 이 번호는 해당 위치의 자근이 특정 획을 몇 번 포함하는지와 관련 있다. 첫 번째 위치의 자근은 해당 구역의 기본 획을 한 번, 두 번째 위치는 두 번, 세 번째 위치는 세 번 반복하는 형태를 띤다. 예를 들어, 제1구역(가로획)의 G(1번)는 '一', F(2번)는 '二', D(3번)는 '三'과 연관된다. 제2구역(세로획)의 H(1번)는 '丨', J(2번)는 '刂', K(3번)는 '川'과 연관된다. 이 규칙에서 벗어나거나 분류하기 어려운 자근은 해당 구역의 마지막 키(5번 키)에 배치된다.
또한 각 키에는 '''주요 구성 요소'''와 '''단축키 글자'''가 연결되어 있다.
- '''주요 구성 요소''': 일반적으로 그 자체로 완전한 글자이며, 해당 키를 네 번 눌러 입력한다. (예: H의 주요 구성 요소는 目, 'hhhh'로 입력)
- '''단축키 글자''': 해당 키만 눌렀을 때 생성되는, 사용 빈도가 높은 글자이다.
아래 표는 각 키에 할당된 주요 구성 요소와 단축키 글자, 그리고 관련된 자근의 예시이다.
구역 (획) | 키 | 주요 구성 요소 | 단축 문자 | 관련 자근 예시 |
---|---|---|---|---|
제3구역 (丿) (TREWQ) | T (1번) | 禾 | 和 | 禾, 竹 (⺮ 포함), 夂, 攵, 彳, 乞 상단 (乙 없음), 丿 (기본 왼쪽 내림 획) |
R (2번) | 白 | 的 | 白, 手, 扌, 斤, 牛 (수직 획 없음), 𰀪 (좌강 획 2개), 看의 手 변형 | |
E (3번) | 月 | 有 | 月, 用, 彡, 乃, 衣 하단, 孚 상단, 豕, 良 하단, 舟 하단, 且 (月+一) | |
W (4번) | 人 | 人 | 人, 亻, 八, 癸 상단 | |
Q (5번) | 金 | 我 | 金, 钅, 勹, 儿, 夕, 饣/角 상단 갈고리, 犭 (좌하강 획 없음), 区 중앙 교차형, 鱼 상단, 流 우하단 "발" | |
제4구역 (丶) (YUIOP) | Y (1번) | 言 | 主 | 言, 讠, 亠, 亠+口, 广, 文, 方, 丶 (기본 오른쪽 내림 획) |
U (2번) | 立 | 产 | 立, 六, 辛, 门, 疒, 丬, 冫, 单 상단 "안테나" (丷), 兹 상단 안테나+가로획 | |
I (3번) | 水 | 不 | 水, 氵, 小, 学/当 상단 세 획, 冫 두 개가 등을 맞댄 모양 | |
O (4번) | 火 | 为 | 火, 米, 灬, 业 (아래쪽 가로 획 없음) | |
P (5번) | 之 | 这 | 之, 辶, 廴, 冖, 宀, 礻 (辶, 廴은 마지막에 입력) | |
제1구역 (一) (GFDSA) | G (1번) | 王 | 一 | 一 (기본 가로 획)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F (2번) | 土 | 地 | 二 (가로 획 2개), 土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D (3번) | 大 | 在 | 三 (가로 획 3개), 大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S (4번) | 木 | 要 | 木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A (5번) | (없음) | 工 | 工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제2구역 (丨) (HJKLM) | H (1번) | 目 | 上 | 丨 (기본 세로 획), 目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J (2번) | 日 | 是 | 刂 (세로 획 2개), 日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K (3번) | 口 | 中 | 川 (세로 획 3개), 口, 中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L (4번) | 田 | 国 | 田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M (5번) | 山 | 同 | 山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제5구역 (フ) (NBVCX) | N (1번) | 已 | 民 | フ (기본 갈고리 획), 已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B (2번) | 子 | 了 | 子 (갈고리 획 2개 관련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V (3번) | 女 | 发 | 女 (갈고리 획 3개 관련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C (4번) | 又 | 以 | 又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
X (5번) | 纟 | 经 | 纟 (기타 자근 정보 소스에 없음) |
''위에 나열되지 않은 여러 자근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간과되었거나, 거의 사용되지 않거나, 자근에 대한 간단한 유니코드 표현이 없기 때문일 수 있다.''
자근 자체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6]
- 건명 입력: 해당 키 4번 반복 (예: 言 → YYYY).[7]
- 1획 자근 (一丨丿丶乙) 입력: 해당 키 2번 + L 키 2번 (예: 乙 → NNLL).[8] (단, 一은 GGGG 또는 일급 간마 G로도 입력 가능)
- 그 외 자근 입력: 자근 키 + 첫 번째 획 키 + 두 번째 획 키 + 마지막 획 키 (예: 三 → DGGG).[9]
4. 2. 2. 성자 자근
오필자형 입력 방식에서 각 키보드의 키에는 여러 한자 자근(字根)이 할당되어 있다. 이 자근들 중 일부는 그 자체로 완전한 한자를 이루는데, 이를 성자 자근(成字字根)이라고 부른다.[6]각 키에는 대표적인 자근인 '건명(键名)' 또는 '주요 구성 요소'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성자 자근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H 키의 주요 구성 요소는 '目'이고, Y 키의 주요 구성 요소는 '言'이다.
성자 자근 중 건명에 해당하는 글자는 해당 키를 4번 반복해서 누르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言'은 Y 키의 건명이므로 YYYY로 입력한다.[7]
각 키의 주요 구성 요소 및 자주 사용되는 글자를 빠르게 입력하기 위한 단축 문자는 다음과 같다.
키 | 주요 구성 요소 | 단축 문자 |
---|---|---|
Q | 金 | 我 |
W | 人 | 人 |
E | 月 | 有 |
R | 白 | 的 |
T | 禾 | 和 |
Y | 言 | 主 |
U | 立 | 产 |
I | 水 | 不 |
O | 火 | 为 |
P | 之 | 这 |
A | 工 | 工 |
S | 木 | 要 |
D | 大 | 在 |
F | 土 | 地 |
G | 王 | 一 |
H | 目 | 上 |
J | 日 | 是 |
K | 口 | 中 |
L | 田 | 国 |
M | 山 | 同 |
N | 已 | 民 |
B | 子 | 了 |
V | 女 | 发 |
C | 又 | 以 |
X | 纟 | 经 |
이 외에도 각 키에는 여러 다른 성자 자근 및 비성자 자근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86판 오필자형에서는 총 125종류의 자근이 각 키에 할당되어 있다.[6]
4. 3. 단일 단어 입력
오필자형수입법은 한자를 구성 요소인 자근(字根)으로 분해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다. 자근은 일반적으로 부수와 유사하며, 손으로 쓰는 순서대로 입력한다. 각 자근은 키보드의 특정 키에 할당되어 있다.[6]=== 자근 입력 ===
키보드에는 125종류(86판 기준)의 자근이 할당되어 있으며, 하나의 키에는 여러 자근이 배정될 수 있다. 각 키에 할당된 대표 자근을 건명(建模)이라고 부른다. 자근 자체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건명 입력: 해당 키를 4번 반복해서 누른다. (예: "言"은 YYYY)[7]
- 1획 자근 입력: 획이 하나뿐인 자근(一, 丨, 丿, 丶, 乙)은 해당 키를 2번 누르고 L 키를 2번 누른다. (예: "乙"은 NNLL)[8] (단, "一"은 일급 간마로도 입력 가능)
- 기타 자근 입력: 해당 자근의 키를 누른 다음, 그 자근을 구성하는 첫 번째, 두 번째, 마지막 획에 해당하는 키를 차례로 누른다. (예: "三"은 DGGG)[9]
=== 일반 문자 입력 ===
자근 이외의 문자는 해당 문자를 구성하는 자근들의 조합으로 입력한다.
1. 자근 분해: 입력하려는 문자를 쓰는 순서에 따라 자근으로 분해한다. (예: "信"은 "人言" (WY), "基"는 "廾三八土" (ADWF))
2. 자근 입력: 분해된 자근에 해당하는 키를 순서대로 입력한다.
3. 4타 규칙: 입력은 최대 4번의 키 입력으로 이루어진다.
- 4개 이하 자근: 분해된 자근이 4개 이하일 경우, 모든 자근의 키를 순서대로 입력한다. 만약 자근 수가 4개 미만이고 단축 코드(간마)가 없는 경우, 마지막 자근의 획을 쓰는 순서대로 추가 입력하여 총 4개의 키 입력을 채운다. 획이 너무 많으면 가능한 만큼 입력하되 마지막 획은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 예시 1: 文 - 'Y'(亠), 'Y'(点), 'G'(橫), 'Y'(捺) 순서로 YYGY 입력[2]
- 예시 2: 一 - 'G'(一), 'G'(첫 획), 'L', 'L' 순서로 GGLL 입력 (L은 채움 문자)[2]
- 예시 3: 广 - 'Y'(广), 'Y'(点), 'G'(橫), 'T'(丿) 순서로 YYGT 입력
- 5개 이상 자근: 분해된 자근이 5개 이상일 경우,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자근과 마지막 자근의 키만 입력하여 총 4개의 키 입력으로 줄인다.[10] (예: 请(请|qǐng중국어)은 讠(y), 王(g), 月(e) 세 자근으로 구성되므로 yge 입력)
=== 식별 부호 ===
자근 2개 또는 3개로 구성된 문자의 경우, 마지막 자근 키 입력 후 식별 부호(识别码)라는 추가 키를 입력해야 할 수 있다. 이 부호는 마지막 획의 종류와 문자의 구조(좌우형, 상하형, 기타 잡합형)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오필자형(五笔字型)이라는 이름은 이 구조 구분을 반영한다.[11] 하지만 현대의 입력기(IME)는 입력 중간에 후보 글자 목록을 보여주므로 식별 부호까지 입력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많다.
=== 중복 처리 ===
입력한 4개의 키 조합으로 특정 글자가 유일하게 결정되면 스페이스바를 눌러 입력한다. 만약 해당 키 조합에 여러 글자가 대응될 경우, 숫자를 입력하여 원하는 글자를 선택한다 (예: 1번 글자는 숫자 1, 2번 글자는 숫자 2). 대부분의 입력기에서는 스페이스바가 숫자 1을 누르는 것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 간마 (단축 코드) ===
자주 사용하는 글자를 더 빠르게 입력하기 위해 간마(简码)라는 단축 코드가 정의되어 있다.
- 일급 간마: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25자를 각 키 하나만 눌러 입력할 수 있도록 정의했다. (예: "一"은 G 키 하나로 입력 가능)[2]
- 이급 간마: 일반적인 자근 입력 방식에서 앞의 두 키만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들이다.
- 삼급 간마: 일반적인 자근 입력 방식에서 앞의 세 키만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들이다.
현대 입력기에서는 입력 중간에 후보 글자를 보여주므로, 일급 간마 외의 간마를 외울 필요성은 줄어들었다.
오필자형 입력법은 일단 알고리즘을 이해하면, 처음 입력해보는 글자라도 약간의 연습만으로 대부분 입력할 수 있다. 근육 기억이 발달하면 실제 글자 구성에 대해 크게 생각하지 않고도 빠르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4. 4. 말필자형 식별 코드
한글자가 4개의 코드로 나뉘지 않는 경우, 입력 코드 뒤에 말필자형 식별 코드(末笔字型识别码|Mòbǐ zìxíng shìbié mǎ중국어)를 추가한다. 이 식별 코드는 한자의 마지막 획(말필화) 코드와 글자 구조(자형) 코드로 구성된다.=== 말필화 코드 ===
말필화 코드는 한자의 마지막 획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마지막 획 모양 | 코드 |
---|---|
가로 (一) | 1 |
세로 (丨) | 2 |
삐침 (丿) | 3 |
점 (丶) | 4 |
꺾음 (フ) | 5 |
=== 자형 코드 ===
자형 코드는 한자의 전체적인 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글자 구조 | 코드 |
---|---|
좌우 구조 | 1 |
상하 구조 | 2 |
기타 구조 | 3 |
=== 식별 코드 조합 ===
말필화 코드와 자형 코드를 순서대로 조합하여 최종 식별 코드를 만든다.
예를 들어, '好'(좋을 호) 자의 경우:
- 마지막 획은 가로(一)이므로 말필화 코드는 '1'이다.
- 글자 구조는 좌우 구조이므로 자형 코드는 '1'이다.
- 따라서 '好'의 최종 식별 코드는 '11'이 되며, 이는 키보드의 'G' 키에 해당한다.
오필자형수입법에서 글자를 4타 미만으로 입력할 때, 입력 코드 뒤에 이 식별 코드를 붙여 4타를 완성하는 경우가 있다.[11] 예를 들어 '等' 자는 자근 't(竹)', 'f(土)', 'f(寸)'으로 분해되어 'TFF' 3타로 입력되는데, 마지막 획이 점(丶, 코드 4)이고 글자 구조가 상하 구조(코드 2)이므로 식별 코드 '42'(키보드 'U')를 추가하여 최종적으로 'TFFU'로 입력한다.
4. 5. 어휘 입력
오필자형 입력 방식은 키보드의 A부터 Y까지 키를 획의 종류에 따라 5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제1구역: 가로획 (一) - G, F, D, S, A 키
- 제2구역: 세로획 (丨) - H, J, K, L, M 키
- 제3구역: 왼쪽 내림 (丿) - T, R, E, W, Q 키
- 제4구역: 점 (丶) - Y, U, I, O, P 키
- 제5구역: 갈고리 (フ) - N, B, V, C, X 키
각 키에는 해당 획으로 시작하는 (예외 존재) 125종류(86년 판 기준)의 자근(字根)이 할당되어 있다.[6] 자근은 일반적으로 글자의 부수와 유사하지만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25개의 키만 사용하므로 하나의 키에 여러 자근이 배정되며, 같은 키에 할당된 자근 중 대표적인 것을 건명(键名)이라고 부른다.
다음은 일부 키의 주요 구성 요소(건명)와 단축 문자 예시이다.
- H 키: 주요 구성 요소는 目, 단축 문자는 上
- J 키: 주요 구성 요소는 日, 단축 문자는 是
- K 키: 주요 구성 요소는 口, 단축 문자는 中
- L 키: 주요 구성 요소는 田, 단축 문자는 国
- M 키: 주요 구성 요소는 山, 단축 문자는 同
자근 입력자근 자체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건명 입력: 해당 키를 4번 누른다. (예: "言"은 YYYY)[7]
- 1획 자근 입력 (一, 丨, 丿, 丶, 乙): 해당 키를 2번 누르고 L 키를 2번 누른다. (예: "乙"은 NNLL)[8] (단, "一"은 아래 설명할 일급 간마로도 입력 가능)
- 기타 자근 입력: 자근 키를 누른 후, 해당 자근의 첫 번째, 두 번째, 마지막 획에 해당하는 키를 순서대로 누른다. (예: "三"은 DGGG)[9]
일반 문자 입력자근 이외의 문자는 문자를 구성하는 자근으로 분해하여 입력한다. 분해된 자근은 일반적으로 손으로 쓰는 순서대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信"은 "人"(W)과 "言"(Y)으로 분해하여 WY로 입력하고, "基"는 "廾"(A), "三"(D), "八"(W), "土"(F)로 분해하여 ADWF로 입력한다.
글자 수에 따라 입력하는 자근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글자 수 | 입력 규칙 | 예시 (자근 분해 → 입력 코드) |
---|---|---|
2글자 | 첫 문자의 첫 2개 자근 + 둘째 문자의 첫 2개 자근 | “北”(UXN) + “京”(YIU) → “北京”(UXYI) |
3글자 | 첫 문자의 첫 1개 자근 + 둘째 문자의 첫 1개 자근 + 셋째 문자의 첫 2개 자근 | “毛”(TFNV) + “泽”(ICFH) + “东”(AII) → “毛泽东”(TIAI) |
4글자 | 각 문자의 첫 1개 자근 | “六”(UYGY) + “十”(FGH) + “四”(LHNG) + “卦”(FFHY) → “六十四卦”(UFLF) |
5글자 이상 | 첫, 둘째, 셋째 문자의 첫 1개 자근 + 마지막 문자의 첫 1개 자근 | “中”(KHK) + “国”(LGYI) + “共”(AWU) + “产”(UTE) + “党”(IPKQ) → “中国共产党”(KLAI) |
만약 한 글자가 4개 이상의 자근으로 분해될 경우, 처음 3개의 자근과 마지막 자근만 입력한다.[10] 예를 들어 "基"(廾三八土)는 4개의 자근으로 분해되므로 ADWF로 입력한다. 이 규칙 덕분에 아무리 복잡한 글자라도 최대 4번의 키 입력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입력된 4개의 코드가 특정 글자를 고유하게 나타내면, 스페이스바를 눌러 화면에 글자를 입력한다. 만약 코드가 고유하지 않아 여러 글자가 후보로 나타나면, 숫자를 입력하여 원하는 글자를 선택한다 (예: 1번 후보는 1, 2번 후보는 2). 대부분의 입력기에서는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첫 번째 후보(1번)가 선택된다. 지능형 입력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가 기본 위치(첫 번째 후보)에 오도록 예측하기도 한다.
특수 규칙 및 보조 기능
- 4개 미만 자근 처리: 4개 미만의 자근으로 구성된 글자 중 짧은 입력 형태가 없는 경우, 각 자근을 입력한 후 마지막 자근의 획을 쓰는 순서대로 추가 입력하여 총 4번의 키 입력을 채운다. 만약 마지막 자근의 획 수가 부족하면 가능한 만큼 입력하되, 마지막 획은 반드시 마지막에 입력한다. 이는 4개 이상 자근 글자의 입력 규칙과 유사하다.
- 다중 표현: 일부 글자는 여러 입력 코드를 갖는다. 이는 글자를 분해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일 경우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이거나, 4글자 미만의 짧은 코드와 4글자의 '전체' 코드를 모두 지원하기 때문이다.
- 식별부호(识别码): 2~3개의 자근 코드로 입력되는 글자의 경우, 마지막 획의 종류와 글자의 구조(좌우형, 상하형, 기타)를 나타내는 식별부호를 추가로 입력하여 글자를 특정하기도 한다.[11] 오필자형이라는 이름은 이 자형(字型) 정보에서 유래했다. 하지만 최신 입력기에서는 코드를 일부만 입력해도 후보 글자가 표시되므로 식별부호까지 입력할 필요성은 줄었다.
- 간마(简码): 자주 사용되는 글자를 더 적은 타수로 입력하기 위한 단축 코드이다.
- 일급 간마: 가장 자주 쓰이는 25개 글자를 각 구역의 대표 키(G, H, T, Y, N 등) 하나만 눌러 입력한다.
- 이급 간마: 일반적인 입력 코드의 앞 2타만으로 입력 가능한 글자.
- 삼급 간마: 일반적인 입력 코드의 앞 3타만으로 입력 가능한 글자.
- 일급 간마 외에는 최신 입력기의 후보 표시 기능 때문에 외울 필요성이 적다.
- 근육 기억: 오필자형 입력법은 자근 분해 규칙이 명확하여, 숙달되면 근육 기억을 통해 각 글자의 구조를 의식하지 않고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이는 영어 타자수가 단어의 철자를 일일이 생각하지 않고 타이핑하는 것과 유사하다.
휴대 전화 입력휴대 전화의 키패드를 이용한 오필자형 입력 방식도 존재한다. 이 방식에서는 자근 대신 획만을 사용한다.
- 1번 키: 가로획 (一)
- 2번 키: 세로획 (丨)
- 3번 키: 왼쪽 내림 (丿)
- 4번 키: 점 (丶)
- 5번 키: 갈고리 (フ)
4. 6. 간략 코드 문자
오필자형수입법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일부 한자를 1, 2, 또는 3개의 키 입력만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특별한 코드를 정의하는데, 이를 각각 1급 약호(一级简码), 2급 약호(二级简码), 3급 약호(三级简码)라고 부른다. 이는 입력 속도를 높여 타수를 절약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10] 일본어에서는 이를 통칭하여 간마(簡碼)라고도 부른다.=== 1급 약호 ===
1급 약호는 중국어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25개의 한자에 할당된다. 특히 공문서 등 공식적인 글쓰기에서 자주 등장하는 글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효율적인 배치를 위해, 일부 1급 약호는 해당 한자의 전체 오필자형 코드 중 첫 번째 자모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86판, 98판, 신세기판에서 사용되는 1급 약호는 아래 표와 같다. 각 알파벳 키에 해당하는 한자를 나타낸다.
코드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
문자 | 工 | 了 | 以 | 在 | 有 | 地 | 一 | 上 | 不 | 是 | 中 | 国 | 同 | 民 | 为 | 这 | 我 | 的 | 要 | 和 | 产 | 发 | 人 | 经 | 主 |
예를 들어, 'G' 키를 한 번만 누르면 '一'가 입력되고, 'L' 키를 누르면 '国'이 입력된다.
=== 2급 및 3급 약호 ===
2급 약호와 3급 약호는 해당 한자의 전체 오필자형 코드에서 처음 두 글자 또는 세 글자만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어떤 한자의 전체 코드가 'ABCD'일 때, 'AB'만으로 입력할 수 있다면 2급 약호이고, 'ABC'만으로 입력할 수 있다면 3급 약호에 해당한다.
모든 2급 및 3급 약호는 반드시 해당 한자의 전체 코드 시작 부분과 일치한다.
=== 현재 활용 ===
현대의 오필자형 입력기 구현에서는 사용자가 코드 일부를 입력하면 가능한 후보 한자 목록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1급 약호는 여전히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2급 및 3급 약호의 경우 전체 코드를 알지 못해도 입력 도중에 후보 목록에서 원하는 한자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모든 약호를 암기해야 할 필요성은 과거에 비해 줄어들었다.[11]
5. 특수 키
많은 오필자형수입법 구현 방식은 여러 단어를 한 번에 입력하는 추가적인 최적화 기능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자주 사용되는 두 글자 단어(연자) 중 각 글자가 짧은 코드를 가지는 경우, 이를 합쳐 네 개의 키 입력만으로 두 글자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이 외에도 세 글자 단축키나, 드물게는 특정 목적을 가진 더 긴 단축키가 사용되기도 한다.
5. 1. Z 키
오필자형수입법은 기본적으로 알파벳 25개 키만을 사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며, 'Z' 키는 초기 설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후 대부분의 오필자형수입법 소프트웨어에서 'Z' 키에 조회 기능이 추가되었고, 이는 '만능 키' 또는 '만능학습 키'로 불리기도 한다.'Z' 키의 주된 용도는 입력하려는 글자의 자근이나 코드가 확실하지 않을 때, 특히 초보자들이 불확실한 부분을 'Z' 키로 대체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글자의 코드가 "kt"로 시작하지만 다음 자근을 모를 경우 "ktz"를 입력하면, 입력기가 "kt"로 시작하는 가능한 모든 글자의 목록을 보여주어 입력을 돕는다. 이러한 와일드카드 기능은 오필자형수입법 설계 당시부터 의도된 것으로, 이 때문에 'Z' 키에는 특정 자근이 배정되지 않았다.
일부 입력기에서는 'Z' 키를 병음으로 오필 코드를 찾는 기능이나 특수 기호 입력 기능에 활용하기도 한다. 초기 DOS 환경에서는 'Z' 키를 어느 위치에서나 와일드카드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현재 대부분의 오필자형수입법에서는 첫 번째 획 대신 'Z'를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된다. 일부 입력기에서는 첫 획으로 'Z'를 입력하면 특수 기호 목록이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현대 입력기들은 단순히 문자-코드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Z' 키의 와일드카드 기능은 구현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중국어 윈도우에 기본 내장된 오필자형수입법 입력기 등 일부는 이 기능을 지원한다.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xcin과 같은 일부 입력 방식은 오필자형뿐만 아니라 병음 등 다른 테이블 기반 입력 방식에서도 와일드카드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나 '?' 같은 문자를 사용하는 등 자체적인 규칙을 따른다.
5. 2. L 키
오필자형수입법에서 'Z' 키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L' 키는 잘 알려지지 않은 여러 특수한 용도를 가지고 있다.; 단획 문자 입력
: 오필자형수입법의 세부 규칙에 따르면, 단획 문자는 해당 단획을 나타내는 자모 두 개와 'L' 두 개를 연달아 입력하여 완성한다. 예를 들어, 가로획 '一'은 'GGLL', 세로획 '丨'은 'HHLL', 삐침 '丿'은 'TTLL', 점 '丶'은 'YYLL', 꺾음 '乙'은 'NNLL'로 입력한다. 하지만 실제 입력 환경에서는 이 규칙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가로획 '一'은 이미 1급 약호 'G'로 더 간단히 입력할 수 있고, 꺾음 '乙'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다. 또한, 세로획, 삐침, 점 등으로 이루어진 글자 자체를 한자로 인식하지 못하는 사용자도 많아, 이 규칙은 종종 무시되거나 다른 입력 방식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 중복 문제 해결
: 초기 오필자형수입법은 동일한 코드를 가진 글자와 단어가 있을 경우, 사용 빈도 등을 고려하여 단어를 우선으로 등록하는 원칙을 따랐다. 이로 인해 일부 글자의 코드가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 대표적인 예로 '劳动'(노동, láodòng|라오둥zho)과 '蔻'(구, kòu|커우zho)는 모두 'APFC'라는 코드를 가졌다. 그러나 '劳动'은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단어인 반면, '蔻'는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주로 '豆蔻'(두구, dòukòu|더우커우zho)와 같이 다른 글자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입력 편의성을 높이고 코드 중복을 피하기 위해, '蔻'의 코드를 'APFL'로 강제 변경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오필자형수입법이 글자와 단어의 중복 코드를 지원하게 되면서, 일부 입력기에서는 '蔻'의 코드를 다시 원래의 'APFC'로 변경하기도 했다.
: 비슷한 사례로, 이전 버전의 오필자형수입법에서는 '靥'(엽, yè|예zho) 자를 'DDDL'로 인코딩하여, 키보드의 '大'(대, dà|다zho) 자를 나타내는 코드 'DDDD'와의 중복을 피하기도 했다.
6. 기존 자형에 대한 기준
7. 장단점
오필자형 입력 방식에는 86판, 98판, 신세기판의 3가지 버전이 있다. 새로운 판은 GBK 문자 집합을 지원하거나 자근(字根, 한자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이 개선되었지만, 첫 번째 판인 86판에 익숙한 사용자가 많아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필자형의 원리를 이용하지만 더 단순화된 입력 방식도 있는데, 이를 '''오필화'''라고 부른다. 오필화는 키보드 오른쪽의 숫자패드(텐키)를 사용하며, 1부터 5까지의 숫자에 각각 오필의 기본 획(가로, 세로, 삐침, 파임/점, 꺾임)을 할당하고 숫자 0으로 입력을 완료한다. 예를 들어 "五" 자는 "가로・세로・꺾임・가로" 순서로 구성되므로, "12510"을 입력하여 "五"를 완성하는 식이다. 일반 오필자형보다 입력해야 하는 키 스트로크 수는 많아지지만, 외우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5]
7. 1. 장점
- 오필 코드는 길이가 짧고 입력 속도가 빠르며, 간단한 코드는 익히기 쉽다. 한 글자나 한 단어가 최대 4개의 코드로 구성되어 글자를 단순화하는 데 유리하다.[13]
- 한자를 분해(파자)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효과적이며, 사용자의 문자 해독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尴尬'와 같은 단어에서 '尢' 부분을 실수로 '九'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오필 입력 방식은 '尢'을 별도로 분해하여 입력하므로 이런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병음 입력 시 글자의 모양을 잊어버리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13]
- 글자의 발음을 몰라도 모양만 알면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중국 내 여러 방언은 한자 발음이 크게 다르지만 글자 모양은 비교적 통일되어 있어, 병음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오필 입력 방식이 더 편리할 수 있다.[13]
- 화면을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것(블라인드 타이핑)이 비교적 쉬우며, 특히 한 글자를 입력할 때 더욱 그렇다. 고문서나 인명, 생소한 전문 용어처럼 병음 입력 시 후보 단어가 많거나 찾기 어려운 경우 오필 방식의 장점이 두드러진다.[13]
- 오필 사용자는 병음 사용자보다 타자 정확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13]
- 어구를 입력할 때도 자형(字形)을 기반으로 하므로 기억하기 어렵지 않다. 숙달되면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필요한 자근(字根, 부수와 유사한 개념)을 찾아가게 된다.[13]
7. 2. 단점
오필자형수입법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입력 효율성 문제: 단일 단어의 반복률은 낮지만, 구문의 반복률은 높다. 중복 코드를 피하기 위해 큰 어휘집을 사용하지 않는데, 이 때문에 어휘집이 너무 작아 타자가 불편하다는 지적이 있다. 특히 다양한 지능형 병음수입법이 등장하면서 오필 입력의 장점이 크게 줄어들었다.
- 정체자 입력 문제: 오필은 간체자를 기준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후 개선이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86판 및 98판에서 정체자를 직접 입력할 때의 효율성은 아직 최적화되지 않았다.
- 비합리적인 코드 및 학습 문제: 중복 코드를 줄이기 위해 일부 한자의 구조나 쓰는 순서와 맞지 않는 비합리적인 코드가 존재한다. 이는 사용자가 글자를 인식하는 데 혼란을 줄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 한자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에서는 학교에서의 오필수입법 교육을 강제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86판 오필자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지적된다.[13]
- “力”, “刀”, “万”, “方”, “乃” 등 마지막 획이 삐침(撇)인 글자를 꺾음(折)으로 처리한다.
- “瓦”의 마지막 획인 점(点)을 꺾음으로 처리한다.
- “戈”, “戋”, “我”, “咸”, “成”, “戊”, “戌”, “戎” 등 마지막 획이 오른쪽 위의 점인 글자를 뒤에서 두 번째 획인 삐침으로 처리한다.
- 발음 기반 입력의 어려움: 글자의 모양만 알고 발음을 모를 때는 입력이 용이하지만, 반대로 발음만 알고 글자 모양을 모를 경우에는 입력하기 어렵다.
- 속도 경쟁력 감소: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최신 병음수입법은 일반적인 문장을 입력할 때 오필과 비슷하거나 더 빠른 속도를 내기도 한다. 오필이 어구를 조합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걸리고, 중복 코드율의 이점이 상쇄되기 때문이다.
- 오탈자 문제: 오필 사용자의 오탈자가 적다는 주장이 있지만, 입력 정확도는 근본적으로 사용자의 세심함에 달려있다. 병음수입법에서도 오탈자 없이 정확하게 입력하는 경우가 많으며, 오필 사용 시에도 오탈자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2012년 11월 3일 자 《강남간보》 헤드라인에서 '喇叭'(나팔)를 '嗽叭'로 잘못 입력한 사례가 보도되기도 했다.[14]
- 암기 부담: 오필자형은 자근(字根)과 해당 코드를 암기해야 한다. 86판은 130개, 98판은 245개의 자근을 사용하는데, 이는 병음수입법이나 주음수입법 방식보다 암기량이 많다. 또한 자근 배열이 불규칙하여 다른 자형 기반 입력 방식에 비해 기억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있으며,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잊어버리기 쉬워 꾸준한 반복 학습이 필요하다는 부담이 있다.
8. 입력 소프트웨어
오필자형수입법은 다양한 입력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주요 운영체제인 Windows 8.1 버전부터는 표준 IME로 오필자형 입력이 지원된다. 이전 Windows 7까지 지원되던 정마(鄭碼중국어)는 권리 문제로 인해 Windows 8 이후 지원이 중단되었다.[12] macOS에서는 '五笔型|오필형중국어'(Wubi Xing)이라는 이름으로 오필자형 입력을 지원하며, 과거 지원했던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五笔画|오필화중국어'(Wubi Hua) 방식은 이후 '笔画|필획중국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외에도 구글, 搜狗, 바이두 등 여러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오필자형 입력을 제공하고 있다.
8. 1. 왕마 오필 입력 소프트웨어
일부 사용자들이 더 많은 한자를 입력할 필요가 생겨 98판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자, 왕마 오필형 18030 버전이 도입되었다. 이 버전은 기본적으로 86판 코드를 사용하며, 중국 국가 표준인 GB 18030-2000 문자 집합에 포함된 27,533자의 한자를 처리할 수 있다.왕마 오필자형수입법 소프트웨어는 현재 공식적인 오필자형 입력기 소프트웨어이며, 설치 시 86판, 98판, 신세기판 세 가지 버전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Windows 8.1 이후 버전부터는 운영체제 자체에서 표준 IME로 오필자형 입력을 지원한다. 이전 버전인 Windows 7까지는 鄭碼라는 다른 자형 입력법을 지원했으나, 권리 문제로 인해 Windows 8부터는 지원이 중단되었다.[12]
macOS에서는 오필자형 입력을 '五笔型|오필형중국어'(Wubi Xing)이라는 이름으로 지원한다. 과거에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해 필획으로 입력하는 '五笔画|오필화중국어'(Wubi Hua) 방식도 있었으나, 이후 '笔画|필획중국어'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구글, 搜狗|수거중국어, 바이두 등 여러 기업에서도 오필자형 입력기를 제공하고 있다.
8. 2. 기타 오필 입력 소프트웨어
오필자형수입법 등장 이후, 다양한 형태의 오필 입력기도 나왔다. 86판 코드 특허는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86판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지만, 98판 또는 신세기판 인코딩을 사용하는 사용자도 있다. 이러한 파생 입력기들은 단어 생성 기능을 향상시키고 일부 사용자층을 확보했다. 일부는 오필 코드를 기반으로 한 입력 플랫폼으로, 오필 방식 외에 다른 입력 방식도 지원한다.많은 오필 입력기 구현 방식은 여러 글자를 한 번에 입력하는 최적화 기능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자주 사용하는 두 글자 단어(연자) 중 각 글자가 두 키 입력으로 표현될 때, 이를 네 키 입력으로 합쳐 한 번에 두 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세 글자 이상의 단축키도 존재한다.
또 다른 일반적인 기능은 'z' 키를 와일드카드로 사용하는 것이다. 오필자형수입법은 설계 시 이 기능을 고려하여 'z' 키에 특정 자형 요소를 할당하지 않았다. 사용자는 모르는 자형 요소 대신 'z'를 입력하여 가능한 문자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두 요소가 'kt'임을 알지만 다음 요소를 모를 때 'ktz'를 입력하면 'kt'로 시작하는 모든 문자 목록이 나타난다. 하지만 실제 많은 입력기 엔진은 오필자형수입법을 포함한 테이블 기반 입력 시스템에서 주로 테이블 조회 방식을 사용한다. 즉, 문자-코드 매핑 테이블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조회하는 방식에서는 'z' 와일드카드 기능 구현이 복잡하여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단, 중국어 윈도우 기본 오필 입력기 등 일부는 이 기능을 구현한다). 같은 이유로 여러 글자 동시 입력 최적화 기능 역시 드물게 구현된다.
xcin(많은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사용됨) 등 일부 입력기는 병음 입력 등 다른 테이블 기반 입력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와일드카드 기능을 제공한다. Xcin은 유닉스 파일 글러빙(globbing) 규칙처럼 자동 완성에 '*'를, 한 글자 와일드카드에 '?'를 사용한다. 다른 입력기는 자체적인 와일드카드 규칙을 사용하기도 한다.
Windows 8.1부터 운영체제 표준으로 오필자형 입력 IME를 지원한다. Windows 7까지는 정마(鄭碼)라는 다른 자형 입력법을 지원했으나, 권리 문제로 Windows 8부터는 지원하지 않는다.[12]
macOS에서는 오필자형 입력을 'Wubi Xing'(五笔型, 우비싱)이라는 이름으로 지원한다. 과거에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필획 입력 방식인 'Wubi Hua'(五笔画, 우비화)도 있었으나, 나중에 '필획'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구글(Google), 소거우(搜狗), 바이두(百度) 등 주요 인터넷 기업들도 오필자형 입력을 지원한다.
참조
[1]
문서
[2]
Citation
Wubizixing for Speakers of English
http://www.yale.edu/[...]
[3]
뉴스
The Wubi Effect: Radiolab
http://www.wnycstudi[...]
WNYC Studios
2020-08-14
[4]
웹사이트
王码网 - 五笔字型.五笔数码.王码鼠标.手机输入法等汉字输入技术
http://wangma.com.cn[...]
2007-10-12
[5]
서적
[6]
문서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citation
微软昨败诉 郑珑:维护了中国人的知识产权
http://news.xinhuane[...]
新华网
2008-11-22
[13]
간행물
谈谈"五笔字型"存在的一些问题
http://www.pkucn.com[...]
2001-11-12
[14]
웹인용
小蜜蜂:《今天〈江南晚报〉头版头条错别字!五笔的编辑伤不起!》,發表於「西祠胡同」網站
http://www.xici.net/[...]
2022-10-28
[15]
웹사이트
王码公司官方网站文章《“大一统五笔字型”简介》
http://www.wangm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