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옥시아르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시아르테스는 박트리아 지방의 유력자로,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 이후 다리우스 3세를 암살하고 페르시아 왕을 칭한 베소스와 함께 알렉산드로스 3세에 맞섰다. 소그디아나의 바위 요새를 수비하며 베소스를 배신하고 알렉산드로스에게 항복한 후, 딸 록사네를 알렉산드로스와 결혼시키고 파로파미소스의 태수가 되었다.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에우메네스를 지지하다가 안티고노스를 지지했으며, 셀레우코스 1세의 동방 원정 무렵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가 통치한 파로파미소스는 셀레우코스와 찬드라굽타의 협정에 따라 마우리아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바흐슈바르가 옥시아르테스의 거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페르시아인 - 파르나케스 2세
    파르나케스 2세는 미트리다테스 6세를 배신하고 로마에 항복하여 보스포로스 왕국의 왕이 되었으나,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패배 후 살해당하며 몰락했고, 젤라 전투는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라는 명언을 탄생시켰다.
  • 고대 페르시아인 - 동방 박사
    동방 박사는 아기 예수를 경배하기 위해 동방에서 찾아온 현자들로, 황금, 유향, 몰약을 예물로 바쳤으며, 예수의 왕권, 신성, 죽음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주현절에 기념된다.
  • 고대의 통치자 - 살로메
    살로메는 요세푸스의 기록으로 가계와 결혼 관계가 알려졌으며, 복음서에서 헤로데 안티파스를 위해 춤을 추고 세례자 요한의 목을 요구한 헤로디아의 딸로 묘사되고, 예술 작품, 특히 오스카 와일드 희곡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오페라를 통해 팜 파탈 이미지로 알려진 인물이다.
  • 고대의 통치자 - 헤로데 1세
    헤로데 1세는 로마의 지원으로 하스몬 왕조를 무너뜨리고 유대의 왕이 되어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폭압적인 통치와 유아 학살 사건으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 기원전 4세기 이란 사람 - 다리우스 3세
    다리우스 3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베소스에게 살해당하여 아케메네스 왕조를 멸망시킨 인물이다.
  • 기원전 4세기 이란 사람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는 기원전 404년부터 359년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을 통치한 페르시아 왕으로, 즉위 후 왕위 다툼, 그리스와의 관계 안정, 이집트 원정 시도 등 주요 사건에 관여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은 반란과 후계자 다툼, 건축 및 종교 정책 변화로 특징지어진다.
옥시아르테스
개요
이름옥시아르테스
페르시아어 이름وخش‌ارد (Vaxš-ard)
라틴어 이름Oxyártēs
설명박트리아 귀족
생애
역할박트리아의 귀족
복무 대상베수스
록사네
사위알렉산드로스 대왕
활동 시기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주요 사건
록사네의 아버지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딸 록사네를 시집보냄.
요새 수비'바위'라고 불리는 난공불락의 요새를 지휘함.
항복알렉산드로스에게 항복함.
지위이후 알렉산드로스에 의해 고위직에 임명됨.
살인필리포스 살해에 연루됨.
관련 정보
참고 문헌OXYARTES – Encyclopaedia Iranica
ISBN 978-1-907200-02-1

2. 생애

박트리아 지방의 유력자였던 옥시아르테스는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 이후 다리우스 3세암살하고 페르시아 왕을 칭한 박트리아의 사트라프(총독) 베소스와 함께 알렉산드로스에 맞섰다. 그러나 베소스는 박트리아에서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고 소그디아나로 도주했고, 옥시아르테스는 소그디아나의 바위 요새 수비를 맡았다. 이후 스피타메네스 등과 베소스를 배신하고 그를 잡아 알렉산드로스에게 넘겨주고 항복했다.

기원전 327년 딸 록사네가 알렉산드로스와 결혼하여 성대한 결혼식이 열렸고, 기원전 324년 수사에서 열린 집단 결혼식에서는 딸 아마스토리네가 헤파이스티온의 아내가 되었다. 옥시아르테스는 알렉산드로스 제국 내에서 지위를 확보하고 파로파미소스 태수가 되었다. 디아도코이 전쟁에서는 에우메네스를 지지했지만, 에우메네스가 죽은 뒤 안티고노스를 지지했다. 옥시아르테스의 최후는 불분명하지만, 셀레우코스 1세의 동방 원정 무렵에는 이미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통치한 파로파미소스는 셀레우코스와 찬드라굽타의 협정으로 마우리아 왕조에 편입되었다.

2. 1. 알렉산드로스와의 관계

박트리아 지방의 유력자였던 옥시아르테스는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 이후 다리우스 3세를 암살하고 페르시아 왕을 칭한 박트리아의 사트라프 베소스와 함께 알렉산드로스에 맞섰다. 그러나 베소스는 박트리아 지방에서 제대로 저항할 수 없자 소그디아나로 도주했다. 옥시아르테스는 그 소그디아나의 바위 요새를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스피타메네스 등과 함께 베소스를 배신하고 잡아 그 신병을 알렉산드로스에게 넘겨주고 항복을 청했다.

기원전 327년 성대한 결혼식을 올리며 딸 록사네가 알렉산드로스와 결혼했다. 기원전 324년 수사에서 열린 집단 결혼식에서 딸 아마스토리네가 헤파이스티온의 아내가 되었다.

이로써 옥시아르테스는 알렉산드로스 제국 내에서 지위를 확보하고 파로파미소스(박트리아의 동쪽,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태수가 되었다. 이후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처음에는 에우메네스를 지지했지만, 에우메네스가 죽은 뒤 안티고노스를 지지했다. 옥시아르테스의 최후는 분명하지 않지만, 셀레우코스 1세의 동방 원정 무렵에는 이미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옥시아르테스가 통치한 파로파미소스는 셀레우코스와 찬드라굽타의 협정에 따라 마우리아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2. 2. 파로파미소스 태수

옥시아르테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 내에서 지위를 확보하고 파로파미소스(박트리아의 동쪽,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태수가 되었다. 이후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처음에는 에우메네스를 지지했지만, 그의 사후 안티고노스를 지지했다. 그의 최후는 분명하지 않지만, 셀레우코스 1세의 동방 원정 무렵에는 이미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통치한 파로파미소스는 그때 셀레우코스와 찬드라굽타의 협정에 따라 마우리아 왕조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

2. 3. 디아도코이 전쟁

옥시아르테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벌어진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처음에는 에우메네스를 지지했다. 그러나 에우메네스가 죽은 후에는 안티고노스를 지지했다. 그의 최후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셀레우코스 1세가 동방 원정을 할 무렵에는 이미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옥시아르테스가 통치하던 파로파미소스는 셀레우코스 1세와 찬드라굽타 사이의 협정에 따라 마우리아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

2. 4. 최후

옥시아르테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 내에서 지위를 확보하고 파로파미소스(박트리아의 동쪽,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태수가 되었다. 이후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처음에는 에우메네스를 지지했지만, 에우메네스가 죽은 후 안티고노스를 지지했다. 그의 최후는 분명하지 않지만, 셀레우코스 1세의 동방 원정 무렵에는 이미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통치한 파로파미소스는 그 때 셀레우코스와 찬드라굽타의 협정에 따라 마우리아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

3. 유적

현재 우즈베키스탄 남동부, 철문(부즈가라하나) 북동쪽 술칸강 상류의 히사르 산맥 남동부에 바흐슈바르라는 마을이 있으며, 아케메네스 왕조의 성채 마을과 암반 요새가 발견되었다. 바흐슈바르는 옥시아르테스의 아람어 발음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이곳이 옥시아르테스의 거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웹사이트 OXYARTES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 서적 Chaghatai: the Fabulous Cities and People of the Silk Road Infinity Publishing 2004
[3] 서적 Russia and Europe in the Nineteenth Century Sphinx Fine Art 2008
[4] 웹사이트 OXYARTES http://www.iranicaon[...]
[5] 문서 2018
[6] 서적 Chaghatai: the Fabulous Cities and People of the Silk Road Infinity Publishing 2004
[7] 서적 Russia and Europe in the Nineteenth Century Sphinx Fine Art 2008
[8] 웹사이트 Roxane http://www.livius.or[...] 2016-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