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파이스티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파이스티온은 마케도니아 귀족 출신으로, 알렉산드로스 3세의 절친한 친구이자 측근 호위관으로 동방 원정에 참여했다. 그는 군사 작전, 외교, 기술적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수스 전투 이후 시돈의 새 왕을 선택하고 페니키아 해안 치안을 유지하는 역할을 했다. 가우가멜라 전투에서는 부상을 입었으며, 필로타스 암살 음모 사건에서 고문을 통해 진상 규명을 주장했다. 헤파이스티온은 소그디아나 평정, 인도 원정에서 활약했으며,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게드로시아 사막을 거쳐 페르시스에 도착했다. 수사 합동결혼식에서 다리우스 3세의 딸 드뤼페티스와 결혼하여 천부장 지위를 얻었다. 기원전 324년 엑바타나에서 갑작스러운 병으로 사망하자 알렉산드로스는 그를 신으로 숭배하고,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대규모 장례를 치렀다.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와의 깊은 우정, 군사적 능력, 제국 내 역할로 평가받으며, 대중문화에서도 묘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인물신 - 알렉산드로스 대왕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56년경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교육받고 20세에 왕위를 계승하여 그리스 통일, 페르시아 제국 정복, 인도 원정 등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하고 헬레니즘 문화 확산에 기여했으나 32세에 요절하여 제국은 분열되었다. - 그리스의 인물신 - 안티누스
안티누스는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총애를 받은 비티니아 출신 젊은이로, 황제와 동성애 관계였으며 의문사 후 신격화되어 로마 제국에서 숭배받고 예술적 영감을 주며 동성애 문화의 아이콘으로 남았다. - 헤타이로이 - 네아르코스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탐험가이자 장군으로, 인더스 강을 따라 항해하여 페르시아만까지 도달했으며, 그의 항해 기록은 아리아노스의 저서 《인디카》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 헤타이로이 - 클레이토스
마케도니아 귀족 출신 장군 클레이토스는 알렉산더 대왕을 구하고 기병대장으로 활약했으나, 페르시아 문화 융화 정책에 반대하다 알렉산더와의 논쟁 중 살해당해 알렉산더에게 깊은 후회를 남겼다.
헤파이스티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헤파이스티온 |
로마자 표기 | Hephaistion |
출생 | 기원전 356년경 |
출생지 | 펠라, 마케도니아 |
사망 | 기원전 324년 10월 (추정 나이 32세) |
사망지 | 엑바타나 |
배우자 | 드리페티스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공주) |
별칭 | 필로스 (Philos, φίλος) |
군사 정보 | |
소속 | 마케도니아 제국 |
계급 | 장군, 제2인자 |
부대 | 소마토필라케스 |
지휘 | 헤타이로이 기병대 |
주요 참전 | 펠리움 공성전 테베 전투 그라니코스 전투 할리카르나소스 공성전 밀레토스 공성전 이소스 전투 티레 공성전 (기원전 332년) 가자 공성전 (기원전 332년) 가우가멜라 전투 페르시아 관문 전투 아오르노스 공성전 히다스페스 강 전투 말리아 원정 |
2. 생애
헤파이스티온은 마케도니아 귀족 아민토르의 아들로 수도 펠라에서 태어났다. 소년 시절부터 알렉산드로스와 절친한 친구였으며, 알렉산드로스 즉위 후 측근 호위관으로 임명되었다. 알렉산드로스의 동방 원정에 참여하여 항상 곁을 지켰다. 트로이 유적 방문 시 알렉산드로스가 아킬레우스 무덤에 화환을 바친 것을 따라 파트로클로스 무덤에 화환을 바쳤다. 이는 둘의 관계가 남색 관계였음을 시사한다는 설이 유력하다.
정확한 나이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많은 학자들은 헤파이스티온이 알렉산드로스와 비슷한 나이인 기원전 356년경에 태어났다고 추정한다. 기원전 343년에 시동이 되어 마케도니아 귀족 계급 청소년 남자아이들의 역할을 수행하며 궁정의 일원이 되었고, 이 즈음에 알렉산드로스를 만났을 것으로 보인다.
알렉산드로스 로망스에 따르면, 15세의 알렉산드로스와 그의 동료들은 미에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을 받고 있었는데, 헤파이스티온은 미에자 강의 참석자 명단에는 없지만, 알렉산드로스와 매우 친밀한 관계였기에 그들 중 한 명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신 목록에서 헤파이스티온의 이름이 발견되었다는 것은 그가 훌륭한 교육을 받았음을 암시한다.
미에자에서의 강의가 끝난 후, 알렉산드로스의 측근 여러 명이 카리아의 픽소다루스 사건으로 추방되었을 때 헤파이스티온은 그 자리에 없었다. 이는 추방된 사람들이 알렉산드로스보다 나이가 많은 친구들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와 동시대 인물이었고, 그의 영향력은 덜 위협적으로 보였을 가능성이 있다.
헤파이스티온의 어린 시절과 교육에 대한 세부 사항은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남아있는 정보는 그의 말년에 대한 알려진 내용에 신빙성을 부여한다. 알렉산드로스와의 우정은 오래 지속되었고, 펠라 궁정에서의 그의 지위도 그러했다. 그는 심지어 미래의 그리스와 아시아 대왕과 같은 교육을 받았다. 알렉산드로스의 성장 과정을 공유하며, 헤파이스티온은 어릴 때부터 싸움과 승마를 잘 배웠을 것이다. 그의 첫 군사적 경험은 알렉산드로스가 섭정으로 있던 시절의 트라키아인과의 전투였을 것이며, 이어서 필리포스 2세의 다뉴브 원정(기원전 342년)과 그가 십 대였을 때의 카이로네이아 전투 (기원전 338년)가 있었다. 알렉산드로스의 다뉴브 원정(기원전 335년) 초기의 전투나 페르시아 침공 당시 고위 장교 명단에는 그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았다. 알렉산드로스의 다른 절친한 친구들과 동시대 인물들의 이름도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그들이 승진했을 때는 능력을 통해 얻었음을 시사한다.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 사후 제국의 2인자로서 활약하다가 에크바타나에서 갑작스럽게 병에 걸려, 7일 정도 만에 병사했다. 이 때 알렉산드로스는 매우 슬퍼하며, 투약을 잘못했다는 이유로 의사를 처형하고, 사흘 동안 식사도 하지 않고 옷도 제대로 갖춰 입지 않은 채 은둔했으며, 바빌론에 10000조달러을 들여 거대한 화장단을 쌓고, 그를 신으로 숭배하도록 명했다.
또한 알렉산드로스는 이집트 총독 클레오메네스에게 보낸 서신에서 알렉산드리아에 헤파이스티온을 영웅신으로 모시기 위한 웅장한 신전과 묘소를 건립하도록 지시했는데, "신전과 묘소가 훌륭하게 건립된 것을 확인한 후에는, 지금까지 어떤 잘못이 있었든, 앞으로 어떤 과실이 있든, 결코 너를 책망하지 않겠다"라고까지 적었으며, 아리아노스 등 많은 사가들에게 비판받았다.
한편,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의 막료 중 한 명이자 후에 디아도코이가 되는 에우메네스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렉산드로스의 어머니 올림피아스와 여러 사람에게 명망이 있던 장군 크라테로스와의 대립도 알려져 있으며, 왕의 총애를 받으면서도 마케도니아 군대 내에서는 고립적인 입장이었던 듯하다.
2. 1. 페르시아 원정
기원전 333년 이소스 전투 이후,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포로로 잡힌 다리우스 3세의 어머니 시시감비스를 방문했다. 이때 시시감비스는 누가 왕인지 몰라 키가 더 큰 헤파이스티온에게 무릎을 꿇었다. 하지만 알렉산드로스는 "걱정하지 마세요. 이 남자도 알렉산드로스니까요."라며 웃으며 그를 꾸짖지 않았다.[14]이후 페니키아 정복 과정에서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의 명을 받아 시돈의 새로운 왕을 선택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현지 조언을 받아 왕족과 먼 친척 관계에 있지만 정직함 때문에 정원사로 일하던 압달로니무스를 선택했고, 이는 성공적인 결과로 이어졌다.[14]
이집트 침공 전, 헤파이스티온은 함대를 이끌고 페니키아 해안을 순항하며 치안을 유지하는 역할을 맡았다. 티레 포위전(기원전 332년) 이후에는 해안을 따라 가자 시티로 향하는 함대를 지휘하라는 명령을 받았는데, 이는 쉽지 않은 임무였다.[15]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기병 장교로 참전하여 파르메니온의 부대를 도왔으며, 난전 중에 팔에 창을 맞는 중상을 입었다.[19][20]
같은 해 겨울, 필로타스의 알렉산드로스 암살 음모 사건이 발생했다. 이때 헤파이스티온은 크라테로스 등과 함께 고문을 통해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는 받아들여졌다.[22] 필로타스 처형 후, 헤파이스티온은 클레이토스와 함께 헤타이로이 기병대의 공동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23]
2. 2. 인도 원정
헤파이스티온은 소그디아나 평정과 인도 침공에서 종종 별동대를 이끌며 활약했고, 페르디카스와 함께 카불 계곡을 확보했다. 왕의 본대에 앞서 인더스강까지 내려가 도하 준비를 했다.[25] 아리아노스는 가교 설치를, 쿠르티우스 루푸스는 선박 건조를 주장했지만, 구체적인 준비 사항은 확실하지 않다.[26] 헤파이스티온은 "행군하는 모든 지역을 무력이나 협약으로 장악하고, 인더스 강에 도착하면 도하를 위한 적절한 준비를 하라"는 명령을 받았다.[25] 이들은 정치적, 지리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미지의 영토에 있었기에, 헤파이스티온은 현장에서 결정을 내리고 행동해야 했다. 그는 30일이 걸린 페우케올라티스 공성전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후방 지역을 정복한 뒤 인더스 강에 도착, 강을 건너기 위한 배를 건조했다.[26]기원전 326년, 히다스페스 강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본대에 합류하여 분전한 후,[28] 별동대를 이끌고 펀자브 동부의 제후 중 한 명인 포로스(파우라바스의 왕 포로스와는 다른 인물)에게 항복을 권고했다. 알렉산드로스가 철수를 결정하면서 인더스강을 따라 내려가는 선단과 함께 육로로 남하하여, 주민이 도망쳐버린 신드 남부의 파타라 요새를 접수했다.[33]
2. 3. 제국 2인자
기원전 326년, 히다스페스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본대에 합류하여 분전한 후, 별동대를 이끌고 펀자브 동부의 제후 중 한 명인 포로스(파우라바스의 왕 포로스와는 다른 사람)에게 항복을 권고하였다. 알렉산드로스가 철수를 결의하면서 인더스강을 따라 내려가는 선대에 병행하여, 육로로 남하하여 주민이 도망쳐버린 신드 남부의 파타라 요새를 접수했다.그 후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게드로시아 사막을 행군하여 페르시스에 도달하였다. 기원전 324년 수사에서 열린 합동결혼식에서 다리우스 3세의 딸 드리페티스와 결혼했다. 드리페티스는 같은 합동결혼식에서 알렉산드로스의 두 번째 아내가 된 황녀 스타테이라 2세의 동생이었다. 또한 알렉산드로스의 장인 옥시아르테스의 딸 아마스토리네도 그의 아내가 되었다. 이때 헤파이스티온은 킬리아르케스(Chiliarch), 즉 제국의 천부장에 상당하는 지위를 부여받았다.

3. 최후
기원전 324년 가을, 엑바타나에서 헤파이스티온은 갑작스러운 병으로 7일 만에 사망했다. 알렉산드로스는 그의 죽음에 매우 슬퍼하며, 투약을 잘못한 의사를 처형하고, 사흘간 식음을 전폐하며 은둔했다.[96] 알렉산드로스는 바빌론에 1만 탈렌트(또는 1만 2천 탈렌트[96])를 보내 거대한 화장단을 쌓고 그를 신으로 모시도록 지시했다.[96] 이는 21세기 초 화폐 가치로 약 2억달러 또는 2.4억달러에 달하는 금액이었다.[96]
알렉산드로스는 이집트 총독 클레오메네스에게 알렉산드리아에 헤파이스티온을 영웅신으로 모시기 위한 웅장한 신전과 묘소를 건립하도록 지시했다. 이때 클레오메네스에게 "신전과 묘소가 훌륭하게 건립된 것을 확인한 후에는, 지금까지 어떤 잘못이 있었든, 앞으로 어떤 과실이 있든, 결코 너를 책망하지 않겠다"라고까지 적었으며, 아리아노스 등 많은 사가들에게 비판받았다.
헤파이스티온의 화장 시설은 높이 60m의 사각형 계단식 구조였다. 각 층은 금, 뱀, 횃불, 독수리, 사냥 장면, 켄타우로스 전투 장면, 사자, 황소, 마케도니아와 페르시아의 무기, 세이렌 조각상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99] 이 화장 시설은 불태워지지 않고, 무덤이나 기념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00]
알렉산드로스는 헤파이스티온의 장례식 날, 신성한 불을 꺼달라고 명령했는데, 이는 대왕 자신이 죽었을 때만 행해지는 일이었다.[101]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의 참모 중 한 명으로, 에우메네스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크라테로스와도 갈등을 겪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알렉산드로스와의 관계
헤파이스티온은 마케도니아의 수도 펠라에서 귀족 아민토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소년 시절부터 알렉산드로스의 절친한 친구였으며, 알렉산드로스가 왕위에 오르자 근위 호위대에 임명되었다. 동방 원정이 시작되면서 알렉산드로스의 신하로서 항상 그의 곁을 지켰다. 트로이 유적에서 알렉산드로스가 영웅 아킬레우스의 무덤에 화관을 바친 것처럼, 헤파이스티온도 아킬레우스의 둘도 없는 친구로 여겨지는 파트로클로스의 무덤에 화관을 바쳤다. 이러한 점 때문에 그와 알렉산드로스가 연애 관계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기원전 333년 이소스 전투 이후, 알렉산드로스와 헤파이스티온이 포로로 잡힌 다리우스 3세의 어머니와 왕비를 방문했을 때, 다리우스의 어머니 시시감비스는 누가 왕인지 몰라 키가 더 큰 헤파이스티온에게 무릎을 꿇었다. 그러나 알렉산드로스는 "걱정하지 마세요. 이 사람도 알렉산드로스니까요."라며 웃으며 그녀를 안심시켰다.
디오도루스,[38] 아리아노스,[39] 쿠르티우스[41]는 모두 이 장면을 묘사하는데, 아마도 전설로 보인다.
그 후 페니키아 정복 전쟁 때 알렉산드로스는 헤파이스티온에게 시돈의 새로운 왕을 선택하도록 명했고, 이집트 침공 전에는 함대를 이끌고 페니키아 해안을 순항하며 일대의 치안을 유지하도록 했다.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기병장교로 참전하여 좌익의 파르메니온 부대를 돕다가 팔에 창을 맞아 중상을 입었다.
같은 해 겨울, 필로타스의 알렉산드로스 암살 음모 사건 때, 참모 대부분이 즉결 처형을 요구했으나 크라테로스 등과 함께 고문을 통해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받아들여졌다. 필로타스 처형 후 헤타이로이 기병 지휘관 자리가 비자, 헤파이스티온은 클레이토스와 함께 후임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헤파이스티온은 소그디아나 평정부터 인도 침공까지 별동대를 이끌고 활약했으며, 페르디카스와 함께 카불 계곡을 확보했다. 왕의 본대에 앞서 인더스강까지 내려가 도하 준비를 했다. 아리아노스는 다리를 건설했다고 주장하고, 쿠르티우스 루푸스는 배를 건조했다고 주장하지만, 어느 쪽이 사실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기원전 326년 히다스페스 강 전투에서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 본대에 합류하여 싸웠고, 이후 별동대를 이끌고 펀자브 동부의 제후 중 하나인 소(小) 포로스(파우라바 왕 포로스와는 다른 인물)에게 항복을 권고했다. 알렉산드로스가 철수를 결정하자 인더스강을 따라 내려가는 선단과 함께 육로로 남하하여 주민이 도망친 신드 남부의 파타라 요새를 점령했다.
그 후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게드로시아 사막을 행군하여 페르시스에 도착했고, 기원전 324년 봄 수사에서 열린 합동 결혼식에서 다리우스 3세의 딸 드뤼페티스와 결혼했다. 그녀는 알렉산드로스가 아내로 맞이한 황녀 스타테이라의 여동생이었다. 또한 알렉산드로스의 장인 옥시알테스의 딸 아마스트리네도 그의 아내가 되었다. 이때 헤파이스티온은 제국의 재상에 해당하는 지위를 받았다.
헤파이스티온의 정확한 나이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많은 학자들은 그가 알렉산드로스와 비슷한 나이인 기원전 356년경에 태어났다고 추정한다.[8] 그는 기원전 343년에 시동이 되었는데, 이는 마케도니아 귀족 청소년들에게 흔한 역할이었다.[8] 그는 이 무렵 알렉산드로스를 만났을 것이다.
헤파이스티온의 젊은 시절에 대한 일화는 ''알렉산드로스 로망스''에 남아있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가 15세 되던 해 어느 날... 그의 친구 헤파이스티온과 함께 항해하다 쉽게 피사에 도착하여... 헤파이스티온과 함께 산책을 나섰다."[9] 15세의 알렉산드로스와 그의 동료들은 미에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을 받고 있었다.[10] 헤파이스티온은 미에자 강의에 참석한 사람들의 명단에 언급되지 않았지만, 그 나이에 알렉산드로스와 매우 친밀했다는 점은 그가 그들 중 한 명이었음을 시사한다. 헤파이스티온의 이름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신 목록에서 발견되었으며,[11] 이는 그가 훌륭한 교육을 받았음을 암시한다.
미에자에서의 강의가 끝난 후, 알렉산드로스의 측근 여러 명이 카리아의 픽소다루스 사건으로 추방되었을 때 헤파이스티온은 그 자리에 없었다. 알렉산드로스가 카리아 공주에게 청혼하려다 실패한 후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에 의해 추방된 사람들 중에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네아르코스, 하르팔로스, 에리기우스, 미틸레네의 라오메돈이 있었다.[12] 헤파이스티온이 이 명단에 없는 이유는 추방된 사람들이 모두 알렉산드로스보다 나이가 많은 친구들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와 동시대 인물이었고, 그의 영향력은 덜 위협적으로 보였을 가능성이 있다.
헤파이스티온의 어린 시절과 교육에 대한 세부 사항은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남아있는 정보는 그의 말년에 대한 알려진 내용에 신빙성을 부여한다. 알렉산드로스와의 우정은 오래 지속되었고, 펠라 궁정에서의 그의 지위도 그러했다. 그는 심지어 미래의 그리스와 아시아 대왕과 같은 교육을 받았다.
알렉산드로스는 사교적이고 카리스마 넘치는 사람이었고 많은 친구가 있었지만, 가장 소중하고 가까운 친구이자 측근은 헤파이스티온이었다. 그들의 우정은 소년 시절에 맺어져 청소년기, 알렉산드로스가 왕이 되는 과정, 고된 군사 활동과 궁정 생활, 결혼 생활을 통해 지속되었다.
그들의 스승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정을 "두 몸에 깃든 하나의 영혼"이라고 묘사했다.[37] 폴 카르티지는 그들의 친밀함을 "알렉산드로스는 실제로 헤파이스티온을 자신의 또 다른 자아라고 불렀던 것 같다."라고 묘사한다.[44]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가 수행하는 모든 일에 곁에 있었던 협력 관계였다. 인도로 진격할 무렵, 고위 장교들 사이에 배신,[45] 알렉산드로스가 페르시아인들을 군대에 통합하려는 목표에 대한 공감 부족,[46] 무능함[47]과 같은 우려스러운 사례가 있었다. 알렉산드로스가 군대를 분할해야 할 때마다 그는 헤파이스티온에게 절반을 맡겼다.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가 고위 장교들과 정기적으로 상담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알렉산드로스가 개인적으로 자신의 생각, 희망, 계획을 공유하는 사람이기도 했다. 쿠르티우스는 헤파이스티온이 그의 모든 비밀을 공유했다고 말하고,[48] 플루타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가 논란이 많은 변화를 강요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묘사하며, 헤파이스티온이 알렉산드로스와 그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변화를 시행하도록 주선한 사람이라고 암시한다.[49]
그들이 페르시아로 돌아올 무렵, 헤파이스티온은 공식적으로 알렉산드로스의 부관이었고, 오랫동안 사실상 그랬으며, 처남이기도 했다(그들의 아내는 자매였다). 해먼드는 그들의 공적인 관계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알렉산드로스가 아킬레우스가 파트로클로스에게 그랬던 것처럼 헤파이스티온에게 매우 애착을 가진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50] "그가 죽었을 때 헤파이스티온은 친위 기병대의 최고 지휘관을 맡았고, 다리우스 3세 치하의 나바르자네스가 맡았던 킬리아르크라는 칭호를 가지고 아시아 궁정에서 알렉산드로스의 부관이었다. 따라서 알렉산드로스는 헤파이스티온을 가장 친한 친구이자 가장 뛰어난 야전 사령관으로 존경했다."[51]
일부 현대 학자들은 알렉산드로스와 헤파이스티온이 가까운 친구였을 뿐만 아니라 연인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53] 고대 그리스어 단어 "φίλοςgrc" (philos)는 "친구"라는 의미 외에도 동성애적 또는 성적인 의미에서 연인에게도 적용되었다.[55]
아리아노스와 플루타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와 헤파이스티온이 호메로스의 인물인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와 자신들을 동일시하는 상황을 묘사한다. 아시아 원정 초기에 알렉산드로스는 군대를 이끌고 트로이를 방문하여 아킬레우스의 무덤을 화환으로 둘렀고, 헤파이스티온은 파트로클로스의 무덤에 똑같이 했다.[56] 토머스 R. 마틴과 크리스토퍼 W. 블랙웰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와 헤파이스티온을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와 동일시하는 것은 그들이 동성애 관계에 있었다는 것과 같지 않으며, ''일리아스''의 저자인 호메로스는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가 성관계를 가졌다고 전혀 암시하지 않았다.[59],[60] 그러나 로빈 레인 폭스는 알렉산드로스 시대에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가 연인 관계였다는 데 동의했기 때문에, 이는 그들의 연인으로서의 삶을 증명한다고 주장한다.[62]
메리 르노와 영화 감독 올리버 스톤과 같은 소설 작가와 폴 카르티지와 같은 현대 역사가들은, "소문이 돌았고, 소문은 한 번은 분명히 옳았다. [헤파이스티온]과 알렉산드로스는 한때 단순한 좋은 친구 이상이었다."라고 주장한다.[65]
루키아노스는 저서 ''혀의 실수에 관하여''에서 헤파이스티온이 어느 날 아침 대화에서 그가 밤새 알렉산드로스의 천막에 있었다는 것을 암시했던 상황을 묘사했고,[69] 플루타르코스는 그들이 알렉산드로스의 편지를 함께 읽는 습관이 있었고, 편지의 내용을 비밀로 유지하기 위해 그의 반지를 헤파이스티온의 입술에 댄 적이 있었을 때 그들의 친밀함을 묘사한다.[70] 시노페의 디오게네스에게 가짜로 귀속된 편지도 존재하며, 알렉산드로스가 "헤파이스티온의 허벅지"에 굴복했음을 암시하고 있다.[71]
알렉산드로스가 헤파이스티온의 죽음에 대해 압도적으로 슬퍼하는 것보다 그들의 관계의 본질과 지속 기간을 더 잘 보여주는 다른 상황은 없다. 앤드류 추그가 말했듯이, "알렉산드로스가 헤파이스티온의 죽음에 보인 반응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관계 외에는 아무것도 나타낼 수 없다는 것은 확실히 믿을 수 없다."[72] 아리아노스는 알렉산드로스가 "친구의 시신에 몸을 던져 거의 하루 종일 눈물을 흘리며 그에게서 떨어져 나오기를 거부했고, 그의 동료들에 의해 강제로 끌려가야 했다"고 말한다.[73]
알렉산드로스의 다른 장교들 중에서, 헤파이스티온은 페르디카스와 가장 가까웠을 가능성이 있다. 그들은 인도의 왕 포루스와의 전투 전에 알렉산드로스에 의해 히다스페스 강의 위험한 도하 작전에 선택되었는데, 이는 뛰어난 팀워크가 중요했을 것이다.[75]
그러나 마케도니아 고위 지휘부 밖에서는 그가 모두에게 존경받지는 못했다. 아리아노스는 "모든 작가들은 그 슬픔이 컸다고 동의했지만, 헤파이스티온과 알렉산드로스 자신에 대한 개인적인 편견은 그가 이를 어떻게 표현했는지에 대한 설명에 영향을 미쳤다."라고 언급한다.[76]
헤파이스티온이 동료 장교와 다툰 것으로 알려진 것은 단 한 번 뿐인데, 그 상대는 크라테루스였다. 플루타르코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러한 이유로 적대감이 커지고 악화되었고 그들은 종종 공개적인 갈등을 겪었다. 한 번은 인도 원정에서 실제로 칼을 뽑아 서로 때리기까지 했다 ..."[79] 알렉산드로스는 개입하여 둘 다에게 엄중한 경고를 했다.
헤파이스티온은 기원전 324년 여름에, 다리우스의 딸이자 알렉산드로스 자신의 두 번째 아내 스타테이라의 여동생인 드뤼페티스를 아내로 받아들였다.[1] 아리아노스는 알렉산드로스가 "헤파이스티온의 아이들의 삼촌이 되기를 원했다"고 말한다.[81]
5. 평가 및 유산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절친한 친구이자 유능한 장군이었지만, 알렉산드로스의 그늘에 가려져 그 업적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측면이 있다. 알렉산드로스 사후 권력 투쟁 과정에서 헤파이스티온의 역할이나 영향력에 대한 기록은 제한적이다.
헤파이스티온은 마케도니아의 수도 펠라 출신의 귀족으로, 알렉산드로스의 동방 원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기원전 333년 이소스 전투 이후 포로로 잡힌 다리우스 3세의 어머니 시시감비스가 헤파이스티온을 알렉산드로스로 착각한 일화는 유명하다. 알렉산드로스는 "걱정하지 마세요. 이 남자도 알렉산드로스니까요"라며 헤파이스티온에 대한 깊은 신뢰를 드러냈다.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헤파이스티온은 팔에 창이 꿰뚫리는 중상을 입으면서도 용감하게 싸웠다. 필로타스 암살 음모 사건 때는 크라테로스와 함께 고문을 통한 진상 규명을 주장하여 헤타이로이 기병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헤파이스티온은 소그디아나 평정에서 인도 침공에 이르기까지 별동대를 이끌고 카불 계곡을 확보하고, 인더스강 도하 준비를 하는 등 군사적으로 많은 공을 세웠다. 기원전 326년 히다스페스 강 전투 이후에는 펀자브 동부 제후에게 항복을 권고하고, 신드 남부의 파타라 요새를 접수하기도 했다.
기원전 324년 수사에서 열린 합동 결혼식에서 헤파이스티온은 다리우스 3세의 딸 드뤼페티스와 결혼했고, 제국의 재상에 해당하는 키리아르케스 지위를 받았다. 그러나 같은 해 가을 에크바타나에서 갑작스럽게 병사했다. 알렉산드로스는 헤파이스티온의 죽음에 크게 슬퍼하며, 바빌론에 거대한 화장단을 쌓고 그를 신으로 숭배하도록 명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이집트 총독 클레오메네스에게 알렉산드리아에 헤파이스티온을 영웅신으로 모시는 신전과 묘소 건립을 지시하며, "신전과 묘소가 훌륭하게 건립된 것을 확인한 후에는, 지금까지 어떤 잘못이 있었든, 앞으로 어떤 과실이 있든, 결코 너를 책망하지 않겠다"라고까지 말했다. 이는 많은 사가들에게 비판받았다.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드로스의 총애를 받았지만, 에우메네스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올림피아스와 크라테로스와의 대립도 알려져 있어 마케도니아 군대 내에서는 고립적인 입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헤파이스티온과 알렉산드로스의 관계, 그의 군사적 능력, 그리고 제국 내에서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6. 대중문화
메리 르노의 소설 ''하늘의 불꽃''과 ''페르시아 소년''에서 헤파이스티온은 주요 등장인물로 나온다.[103]
분야 | 제목 | 작가 | 비고 |
---|---|---|---|
소설 | 『사자왕 알렉산드로스』 | 아토다 타카 | |
만화 | 『알렉산더 대왕 -천상의 왕국-』 | 아카이시 미요 | |
만화 | 『알렉산드로스 ~세계 제국으로의 꿈~』 | 야스히코 요시카즈 | |
만화 | 『히스토리에』 | 이와아키 히토시 | |
영화 | 『알렉산더』 | 올리버 스톤 감독 |
참조
[1]
서적
A Psychoanalytic History of the Jews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2]
서적
Alexander the Great in Fact and Fi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
문서
Reames
[4]
문서
Curtius
[5]
서적
L'Antiquité classique
https://books.google[...]
Imprimerie Marcel Istas
[6]
서적
Alexander the Great: Man and Go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4-07-10
[7]
서적
Alexander's Lovers
https://books.google[...]
Lulu
[8]
문서
Heckel
[9]
문서
Chugg
[10]
문서
Plutarch
[11]
문서
Diogenes Laërtius, Aristotle
[12]
문서
Plutarch
[13]
문서
Heckel
[14]
문서
Curtius
[15]
문서
Curtius
[16]
문서
Chugg
[17]
문서
Lane Fox
[18]
문서
Diodorus
[19]
문서
Arrian
[20]
문서
Curtius
[21]
문서
Curtius
[22]
문서
Curtius
[23]
문서
Arrian
[24]
문서
Arrian
[25]
문서
Arrian
[26]
문서
Arrian
[27]
문서
Arrian
[28]
문서
Curtius
[29]
문서
Arrian
[30]
문서
Arrian, Indica
[31]
문서
Arrian
[32]
문서
Arrian
[33]
문서
Arrian
[34]
문서
Arrian
[35]
문서
Arrian
[36]
문서
Photius 92
[37]
문서
Diogenes Laërtius 5.1.20
[38]
문서
Diodorus 17.37.5
[39]
문서
Arrian 2.12.31
[40]
문서
Curtius 3.12.17
[41]
인용
[42]
문서
Diodorus 17.114.3
[43]
문서
Arrian 7.14.50
[44]
문서
Cartledge p. 19
[45]
문서
Arrian 3.26
[46]
문서
Arrian 4.8
[47]
문서
Arrian 4.5
[48]
문서
Curtius 12.16.2
[49]
문서
Plutarch 55.1
[50]
문서
Hammond 1980, p.16
[51]
문서
Hammond 1980, p.250
[52]
서적
Alexander der Große. Leben und Legende.
München
[53]
서적
Responses to Oliver Stone's Alexander: Film, History, and Cultural Studi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54]
웹사이트
Arrian: Hephaestion (1)
https://www.livius.o[...]
[55]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erdmans
[56]
문서
Arrian 1.12.1
[57]
문서
Plutarch, 15.4
[58]
서적
Alexander the Great: the story of an ancient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문서
Aeschylus, Fragments 64–66 of [[The Myrmidons]].
[60]
문서
Plato, ''Symposium'', 179e–180a.
[61]
서적
"Against Timarchus"
University of Texas Press
[62]
문서
Lane Fox 1973, p.113
[63]
서적
Love Among the Ruins: the Erotics of Democracy in Classical Athe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64]
서적
Secondo natura. La bisessualità nel mondo antico
Biblioteca Universale Rizzoli
[65]
문서
Cartledge 2004, p.10
[66]
문서
Cartledge 2004, p.205
[67]
문서
Lane Fox 1973, p.57
[68]
문서
Hammond 1997, p.27
[69]
문서
Lucian, ''On Slips of the Tongue'', 8
[70]
문서
Plutarch 39.40
[71]
문서
Pseudo-Diogenes 24
[72]
문서
Chugg 2006
[73]
문서
Arrian
[74]
문서
Arrian
[75]
문서
Arrian
[76]
문서
Arrian
[77]
문서
Arrian
[78]
문서
Plutarch, Eumenes
[79]
문서
Plutarch
[80]
문서
Curtius
[81]
문서
Arrian
[82]
문서
Arrian
[83]
문서
Plutarch
[84]
문서
Renault
[85]
서적
Alexander the Great: Man and God
Routledge
[86]
서적
Alexander The Man: King Alexander
AuthorHouse
[87]
문서
Plutarch
[88]
문서
Arrian
[89]
문서
Arrian
[90]
문서
Iliad
[91]
문서
Arrian
[92]
문서
Arrian
[93]
문서
Arrian
[94]
웹사이트
SEG 40:547
http://epigraphy.pac[...]
[95]
웹사이트
Copy of votive relief
http://greek-art.liv[...]
2011-11-13
[96]
문서
Life of Crassus
[97]
문서
Arrian
[98]
문서
Plutarch
[99]
문서
Diodorus
[100]
문서
Lane Fox 1973
[101]
문서
Diodorus
[102]
웹사이트
New findings: A Monogram discovered reveals the name of the honored person
http://www.theamphip[...]
2015-11-09
[103]
웹사이트
Mary Renault's 'The Last of the Wine' Reviewed
http://www.banderasn[...]
Banderas News
2010-07-10
[104]
서적
Alexander the Great in Fact and Fi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5]
서적
A Psychoanalytic History of the Jews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106]
문서
쿠르티스
2016-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