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레크 베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레크 베시는 스칸디나비아 출신으로, 879년 류리크의 뒤를 이어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대공이 되었다. 882년부터 912년까지 키예프 대공을 역임하며 키예프 루스를 수립하고 동로마 제국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는 등 세력을 확장했다. 주술사의 예언에 따라 말을 멀리했지만, 결국 말의 시체 주변에 있던 독사에 물려 사망했다. 올레크의 생애와 관련된 기록은 《원초 연대기》, 《셰흐테르 서한》등에 나타나며, 그가 류리크, 이고르와의 관계, 키예프 상실 시기 등을 두고 역사적 논쟁이 존재한다. 올레크는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발라드, 영화, TV 드라마,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문화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스인의 신화적 왕 - 아스콜트
    아스콜트는 《원초 연대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류리크의 부하로 키예프를 지배하다가 올레크 베시에 의해 살해당하고 키예프 루스가 멸망했다.
  • 루스인의 신화적 왕 - 류리크
    류리크는 9세기경 노브고로드 루스를 건국한 인물로, 슬라브족의 요청으로 바랑인 부족을 이끌고 노브고로드를 다스렸으며, 그의 후손들은 류리크 왕조를 이루어 키예프 루스와 러시아 차르국을 통치했다는 《원초 연대기》의 기록이 전해진다.
  • 912년 사망 - 주전충
    주전충은 당나라 말기 후량의 초대 황제이며, 황소의 난을 진압하고 당나라의 실권을 장악한 뒤 애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후량을 건국했지만, 아들에게 살해당했다.
  • 912년 사망 - 효공왕
    효공왕은 신라의 제52대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침략과 호족 세력의 발흥으로 국력이 쇠퇴하였다.
  • 키예프 공작 - 키예프의 올가
    키예프의 올가는 10세기 키예프 루스의 통치자이자 이고르 1세의 부인으로, 남편의 암살 후 섭정으로서 드레블랴네인에 대한 잔혹한 복수, 세제 개혁을 통한 중앙 집권화 강화, 그리스 정교로의 개종을 통해 루스의 기독교화에 영향을 미쳐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키예프 공작 - 스뱌토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프 1세는 이고리 대공과 올가 대공비의 아들로, 964년부터 친정을 시작하여 카자르 칸국을 정복하는 등 적극적인 팽창 정책을 펼쳤으나, 불가리아 제국과의 전쟁 후 귀환 중 페체네그족의 공격으로 사망한 키예프 대공이다.
올레크 베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빅토르 바스네초프의 '현명한 올레그의 노래' (1899)
Lay of Oleg the Wise by 빅토르 바스네초프 (1899)
원래 이름(올레구)
별칭(예언자 올레그)
다른 이름올레그
통치
작위키예프 공작
통치 시작881/2/889년
통치 종료912/922/940년대
이전 통치자아스콜트와 디르
다음 통치자이고리
작위2노브고로드 공작
통치 시작2879년
통치 종료2912년
이전 통치자2류리크?
다음 통치자2이고리
출생과 사망
출생미상
사망일912년
매장 장소키예프 (PVL) 또는 라도가 (NPL)
가문
왕조논쟁 중
아버지미상
기타 정보
종교노르드 이교

2. 생애 및 업적

스칸디나비아 출신인 올레크 베시는 879년 류리크의 뒤를 이어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대공으로 즉위했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882년부터 912년까지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다. 드네프르강 주변 마을을 점령하고 동슬라브족 영토를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 키예프 루스를 건국했다. 907년에는 동로마 제국과 통상 조약을 체결했다.

912년, 올레크는 주술사로부터 자신이 타고 다니는 말 때문에 죽을 것이라는 예언을 들었다. 이 말을 들은 올레크는 말과 헤어졌지만, 애마가 죽자 슬퍼하면서도 예언을 믿지 않았다. 그러나 애마의 시체 주변에 있던 독사에게 발을 물려 결국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스타라야라도가에 안치되었고, 이고리 류리코비치가 키예프 대공위를 계승했다.[13]

빅토르 바스네초프. ''올레크가 그의 말과 작별하는 모습'' (1899).

2. 1. 초기 생애와 노브고로드

스칸디나비아 출신으로, 류리크의 친족[8] 또는 친척으로 알려져 있다. 류리크와의 관계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여러 현대 학자들은 이를 거부하기도 한다. 879년 류리크가 사망한 후, 그의 영토와 어린 아들 이고리를 돌보라는 부탁을 받고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2. 2. 키예프 루스 건국

882년 드네프르강을 따라 남하하여 스몰렌스크를 점령하고 키예프를 공략했다.[31] 아스콜트와 디르를 살해하고 키예프를 수도로 삼아 키예프 루스를 건국했다.

2. 3. 통치와 확장

882년 아스콜트와 디르를 살해하고 키예프를 장악하여 수도로 삼고 키예프 루스를 수립했다.[8] 드네프르강 주변 마을들을 점령하고 동슬라브족 영토를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다.[9] 907년 동로마 제국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여[10] 키예프 루스의 경제적 번영에 기여했다. 드레블랴네족을 복속시키고 하자르와의 투쟁을 통해 키예프 루스의 동유럽 내 세력을 확대했다.

2. 4. 죽음과 관련된 전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올레크는 이교도 사제들(볼흐브)로부터 자신이 아끼던 종마 때문에 죽을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15] 이 예언에 맞서기 위해 올레크는 그 말을 멀리 보냈다. 여러 해가 지난 후 그는 자신의 말이 어디 있는지 물었고, 그 말이 죽었다는 말을 들었다. 그는 그 유해를 보기를 청했고, 뼈가 있는 곳으로 인도되었다. 그가 말의 해골을 부츠로 만지자 뱀이 해골에서 기어나와 그를 물었다. 올레크는 죽었고, 예언은 이루어졌다.[15]

올레크의 죽음은 인도유럽 문화 신화와 전설 속의 세 겹의 죽음 주제의 변형으로 해석되어 왔으며, 예언, 뱀, 말은 세 기능 가설을 나타낸다. 즉, 예언은 주권과, 말은 전사와, 뱀은 생식과 연관되어 있다.[16]

이 이야기의 변형은 13세기 사가 외르바르-오드르에 나오는 스칸디나비아 전설에도 나타난다.[17] 또 다른 변형은 잉글랜드 켄트 셔랜드 홀의 서 로버트 드 셔랜드의 이야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18]

3. 올레크에 대한 다양한 기록과 해석

표도르 브루니의 그림 ''콘스탄티노플 성문에 방패를 고정하는 올레크''에서 묘사된 것처럼, 올레크는 류리크의 친족으로 키예프 루스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8]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881–882년에 스몰렌스크를 장악하고 아스코르드와 디르를 살해한 뒤 키예프의 공작으로 즉위했다.[8] 907년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하여 유리한 통상 조약을 맺는 등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9]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올레크는 키예프의 최초의 "공작"(''크냐즈'')이었지만, "대공"(''velikiy knyaz'')은 아니었다.[8] 하지만 후대의 모스크바 연대기 작가들은 올레크를 "대공"으로, 키예프를 "대공국"으로 불렀다.[8]

올레크의 통치 기간 동안 드레블랴네족은 키예프에 조공을 바쳤고, 907년 루스-비잔틴 전쟁 (907)에서 비잔틴 제국에 맞서 키예프 군사 원정에 참여했다.[9] 연대기에는 올레크가 바퀴 달린 배를 이용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하고, 성문에 방패를 고정하여 유리한 통상 조약을 맺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0]

''Prince Oleg Approached by Pagan Priests'', 홀루이 삽화, 푸시킨의 발라드.


올레크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원초 연대기는 올레크가 자신의 애마 때문에 죽을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고, 결국 말의 두개골에서 나온 뱀에 물려 죽었다고 기록한다. 반면, 셰흐테르 서한은 올레크(헬구)가 페르시아로 도망쳐 약탈을 감행하다 사망했다고 전하며, 이는 이븐 미스카와이가 묘사한 루스족의 카스피 원정과 유사하다.[25][26]

바랑기아인 출신인 올레크는 드니프로강을 따라 도시들을 공략하고 키예프 루스를 건국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습격하여 907년부터 911년까지 루스-비잔틴 조약을 체결하고, 드레블랴네족 등 주변 부족을 억누르며 세력을 확대했다. 또한 동유럽에 세력을 뻗치던 하자르와 끊임없이 싸워 하자르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

올레크의 죽음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일설에 따르면 올레크는 만년에 기독교를 받아들여 부족의 노인(사제)과 대립하다 독살되었다고 하며, 다른 가설에 따르면 하자르의 손에 의해 독살되었다고 한다.

3. 1. 연대기 기록의 차이

원초 연대기와 노브고로드 제1 연대기는 올레크의 출신과 류리크와의 관계, 그리고 사망 시기에 대해 서로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11]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올레크는 류리크의 "친족" 또는 "친척"이었으며,[8] 류리크로부터 자신의 영토와 어린 아들 이고르를 돌보라는 부탁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류리크와의 관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11] 반면, 노브고로드 제1 연대기는 올레크가 류리크와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이고리의 군대 지휘관으로 복무한 스칸디나비아 출신의 종속 공작이었다고 기술한다.[11]

올레크의 사망 시기에 대해서도 두 연대기는 차이를 보인다. 원초 연대기는 올레크가 912년에 사망했다고 기록하는 반면, 노브고로드 제1 연대기는 그의 죽음을 922년으로 기록한다.[11] 또한, 원초 연대기와 다른 키예프 출처는 올레크의 무덤을 키예프에 두는 반면, 노브고로드 출처는 라도가에 있는 장례 고분을 올레크의 마지막 안식처로 특정한다.[13]

셰흐테르 서한[19]은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하는데, HLGW(הלגוhe)라는 루스족 군벌의 활동을 묘사하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헬구"(올레그로 해석됨)로 표기된다.[20] 이 서한에 따르면 헬구는 940년대까지 활동했으며, 이는 원초 연대기의 기록과 상충된다.[21] 최근 학자들은 이 서한의 내용을 바탕으로 초기 루스족 정치 체제 내에서 올레그에게 충성하는 파벌과 류리크 왕조의 이고르에게 충성하는 파벌 사이의 투쟁이 있었고, 올레그가 결국 패배했다고 주장한다.[22]

이러한 다양한 기록들은 올레크의 정체와 역할에 대한 여러 해석을 낳았다. 일각에서는 올레크가 류리크의 후계자가 아니라 이고르의 섭정이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올레크가 체르니히우의 토착 공작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29]

3. 2. 셰흐테르 서한

셰흐테르 서한은 하자르인이 로마노스 1세와 같은 시대에 작성한 문서로, HLGW(הלגו|헬구he)라는 루스족 군벌의 활동을 묘사하고 있다. 이 헬구는 일반적으로 "올레크"로 표기된다.[20] 이 서한에 따르면 헬구(올레크)는 940년대까지 활동했는데, 이는 《원초 연대기》에 기록된 올레크의 사망 시점(912년)과 차이를 보인다.[21]

이러한 차이 때문에 오랫동안 많은 학자들이 셰흐테르 서한의 내용을 무시하거나 평가절하했다.[21] 그러나 최근 콘스탄틴 주커먼 등의 학자들은 셰흐테르 서한의 내용이 다른 루스족 연대기들과 일치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초기 키예프 루스 역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22]

주커먼은 셰흐테르 서한을 근거로 초기 루스족 연대기를 다시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하자르가 키예프를 잃은 시기를 10세기 초로 보고,[23] 이고르가 류리크의 아들이 아니라 먼 후손이며, 올레크는 류리크의 바로 다음 후계자라고 보았다.[24] 또한 셰흐테르 서한에 묘사된 올레크의 죽음은 이븐 미스카와이가 기록한 944년/945년 루스족의 카스피해 원정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했다.[25][26]

이러한 주장은 올레크가 912년에 사망했고 그의 무덤이 키예프에 있다는 《원초 연대기》의 내용과 상반된다.

3. 3. 역사적 논쟁

원초 연대기와 노브고로드 제1 연대기의 내용이 서로 달라 올레크 베시와 류리크, 이고르 간의 관계는 역사학계에서 논쟁의 대상이다.[8] 《원초 연대기》는 올레크를 류리크의 "친족" 또는 "친척"으로 묘사하고 류리크가 자신의 영토와 어린 아들 이고르를 돌보도록 부탁했다고 하지만, 여러 현대 학자들은 류리크와의 관계를 부정한다. 반면, 《노브고로드 제1 연대기》는 올레크가 류리크와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이고르의 군대 지휘관으로 복무한 스칸디나비아 출신의 종속 공작이었다고 기술한다.[11]

《원초 연대기》와 다른 키예프 출처는 올레크의 무덤을 키예프에 두는 반면, 노브고로드 출처는 라도가에 있는 장례 고분을 올레크의 마지막 안식처로 특정한다.[13]

셰흐테르 서한(Schechter Letter)[19]은 로마노스 1세와 동시대에 살았던 유대인 하자르인이 작성한 문서로, HLGW(הלגוhe)라는 이름의 루스족 군벌의 활동을 묘사하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헬구"로 표기된다.[20] 이 헬구는 올레크로 해석되기도 하는데, 데이비드 크리스찬과 콘스탄틴 주커먼과 같은 학자들은 셰흐테르 서한의 내용이 다른 루스족 연대기에 의해 뒷받침되며, 초기 루스족 정치 체제 내에서 올레그에게 충성하는 파벌과 류리크 왕조의 이고르에게 충성하는 파벌 사이의 투쟁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22]

주커먼은 이러한 자료에 비추어 루스족의 초기 연대기를 다시 써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하자르인이 키예프를 잃은 것은 882년이 아닌 10세기 초이며,[23] 이고르는 류리크의 아들이 아니라 더 먼 후손이었고, 올레그가 전설적인 바랑인 영주와 그의 기록된 후계자 사이에 잃어버린 세대가 아닌 즉시 류리크를 따랐다는 것이다.[24]

게오르기 베르나츠키는 셰흐테르 서한의 올레그를 이고르의 이름 없는 장남, 즉 그의 미망인 프레드슬라바가 944년 루스-비잔틴 조약에 언급된 인물과 동일시했다.[28] 또는, V. 야. 페트루힌은 940년대의 헬구-올레그가 체르니히우의 토착 공작 중 한 명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29]

4. 올레크와 관련된 문화적 묘사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발라드 "현명한 올레크의 노래"는 올레크의 죽음에 대한 전설을 낭만적으로 묘사했다.[14] 이교도 사제들은 올레그가 그의 종마 때문에 죽을 것이라고 예언했다.[15] 이 예언을 피하기 위해 올레그는 말을 멀리 보냈으나, 몇 년 후 말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유해를 보러 갔다. 그가 말의 해골을 만지자 뱀이 나와 그를 물었고, 올레그는 죽음을 맞이하여 예언이 실현되었다.[15]

올레그의 죽음은 인도유럽 문화 신화와 전설 속의 세 겹의 죽음 주제의 변형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6] 예언, 뱀, 말은 각각 주권, 전사, 생식을 상징한다는 것이다.[16] 이 이야기는 스칸디나비아 전설과 잉글랜드 켄트 셔랜드 홀의 이야기에도 유사한 형태로 나타난다.[17][18]

4. 1. 관련 작품


  • 영화 《올가 공주의 전설》(1983)에서 니콜라이 올랄린이 올레크 역을 연기했다.
  • 헝가리 영화 《헝가리 정복》(1996)에서 라슬로 헬레이가 올레크 역을 맡았다.
  • 덴마크 영화 《바이킹 사가》(2008)는 올레크의 초기 생애와 경력을 다루고 있으며, 켄 베드세가르가 올레크 역을 연기했다.
  • TV 드라마 《바이킹》(2019–2020)의 시즌 6에서 주요 악당으로 등장하며, 다닐라 코즐로프스키가 올레크 역을 연기했다.
  • TV 드라마 《루리크 왕조. 최초의 왕조 이야기》(2019)에서 드미트리 모구체프가 올레크 역을 연기했다.
  • 비디오 게임 《크루세이더 킹즈 III》에 류리크의 아들 헬기 '선견자'로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hronicles by the Hypatian Lists (ЛѢТОПИСЬ ПО ИПАТЬЕВСКОМУ СПИСКУ) http://litopys.org.u[...] 2011-08-06
[2] 웹사이트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Макса Фасмера https://lexicography[...] 2022-12-21
[3] 웹사이트 Sveerne http://www.fortidens[...] 2021-04-07
[4] 서적 The Jews of Khazaria.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6
[5]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6]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3, c.900–c.102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7]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8] 서적 Stories of the East-vikings https://books.google[...] Augsburg publishing house
[9] 웹사이트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https://archive.org/[...]
[10] 웹사이트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https://archive.org/[...]
[11] 간행물 Novgorodskaia Pervaia Letopis Starshego i Mladshego Izvodov ANSSR 1950
[12] 문서 Shahmatov xxxii–xxxiii
[13] 문서 The earliest and most believable version seems to have been preserved in the [[Novgorod First Chronicle]], which says that Oleg departed "overseas" (i.e., to Scandinavia) and was buried there.
[14] 문서 Leningrad, Aurora Art Publishers, 1991
[15] 웹사이트 Prince Oleg and his Fateful Steed: A Story from Medieval Rus' https://www.medieval[...] 2022-10-01
[16] 백과사전 Threefold death Taylor & Francis
[17] 웹사이트 Amazing Adventures Of Örvar-Oddr And Encounter With The Mysterious Ögmundr Flóki https://www.ancientp[...] 2023-02-27
[18] 논문 "Grey Dolphin" and the Horse Church, Minster in Sheppey: the construction of a legend
[19] 문서 The text of the Schechter Letter is given at Golb 106–121. It is cited herein by folio and line (''e.g.'' SL Fol. x:x)
[20] 문서 SL Fol. 2r, 15–16; 17. The author of the letter describes Khazaria as "our land". SL Fol. 1r:19, 2v:15,20.
[21] 문서 No less a personage than [[Mikhail Illarionovich Artamonov|Mikhail Artamonov]] declared the manuscripts' authenticity beyond question. Artamonov 12. Nonetheless, other scholars expressed scepticism about its account, due in large part to its contradiction of the Primary Chronicle. ''E.g.,'' Gregoire 242–248, 255–266; Dunlop 161. [[Anatoli Novoseltsev]], noting the discrepancy, admits the document's authenticity but declares that the author "displaces the real historical facts rather freely." Novoseltsev 216–218. Brutskus asserted that HLGW was in fact another name for Igor. Brutskus 30–31. Mosin proposed that HLGW was a different person from Oleg and was an independent prince in [[Tmutarakan]]; the existence of an independent Rus' state in Tmutarakan in the first half of the tenth century is rejected by virtually all modern scholars. Mosin 309–325; ''cf.'' Zuckerman 258.
[22] 문서 Zuckerman 257–268. Zuckerman cites, ''inter alia'', to the ''[[Novgorod First Chronicle]]''. ''Cf., e.g.,'' Christian 341–345.
[23] 문서 Pritsak 60–71; Shahmatov xxxii–xxxiii
[24] 문서 Pritsak 60–71. Pritsak placed the "lost generation" between Oleg and Igor. Zuckerman dismisses this as "outright speculation"; and places both as contemporaries in the early to mid tenth century.
[25] 웹사이트 Pavel Kokovtsov, when publishing a Russian translation of the letter in 1932, argued that FRS may refer to [[Thrace]], where the Rus' forces were defeated by the armies of Lecapenus http://gumilevica.ku[...] 2007-05-06
[26] 문서 Miskawaihi 67–74; ''cf.'' SL Fol. 2v:3 ''et seq.''
[27] 문서 Brook 154
[28] 문서 Vernadsky 41 ''et seq.''
[29] 문서 Petrukhin 226–228
[30] 문서 除村(1946)
[31] 서적 ロシア史講話・1 恒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