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르 바스네초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토르 바스네초프는 러시아의 화가로, 러시아 민속, 신화, 역사, 종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작품으로 유명하다. 1848년 뱌트카 현에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와 파리에서 미술 교육을 받았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알료누쉬카', '보고티리', '이반 차레비치와 회색 늑대' 등이 있으며, 모스크바의 트레차코프 미술관 외관 설계를 맡기도 했다. 바스네초프는 1926년 사망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소행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동파 - 이반 크람스코이
이반 크람스코이는 19세기 러시아 사실주의 화가이자 페레드비즈니키 창립 멤버로서, 예술가의 사회적 책무를 강조하며 인물 초상화, 종교화, 풍속화를 통해 인간 심리와 사회 현실을 섬세하게 묘사하여 러시아 사실주의 미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동파 - 발렌틴 세로프
발렌틴 세로프는 러시아의 화가로, 인상주의적 특징과 사실주의적 접근 방식을 융합한 독창적인 화풍으로 심리적으로 예리한 초상화를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대표작으로는 《복숭아를 든 소녀》, 《햇빛을 받는 소녀》 등이 있다. - 상징주의 화가 - 귀스타브 모로
귀스타브 모로는 1826년 파리에서 태어나 역사와 신화를 주제로 상징주의 작품을 그린 프랑스 화가이며, 에콜 데 보자르 교수로 앙리 마티스와 조르주 루오를 배출하고, 사후에는 저택이 미술관으로 개관되었다. - 상징주의 화가 - 조반니 세간티니
알프스 풍경과 농촌 생활을 주로 그린 이탈리아 화가 조반니 세간티니는 자연 속 인간의 모습을 탐구하며 상징주의적 경향을 보였고, 《생명의 샘가에서》, 《두 어머니》, 《알프스 3부작》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 러시아의 발명가 - 올레크 로세프
올레크 로세프는 1903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1942년 사망한 과학자이며, 접촉식 수정 검출기 연구와 탄화 규소 다이오드에서 빛 방출 현상을 발견하여 LED 연구에 기여했으며, 음저항 다이오드를 활용한 고체 전자 공학 분야에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 러시아의 발명가 - 표트르 1세
표트르 1세는 로마노프 왕조의 차르이자 러시아 제국의 초대 황제로, 서구화 정책과 부국강병책을 통해 러시아를 근대화하고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대북방 전쟁 승리 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빅토르 바스네초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빅토르 미하일로비치 바스네초프 |
출생 | 1848년 5월 15일 |
출생지 | 뱟카 현, 로팔 |
사망 | 1926년 7월 23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국적 |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
형제자매 | 아폴리나리 바스네초프 (동생) |
활동 | |
분야 | 회화 |
사조 | 상징주의, 역사화, 이동파 |
교육 | 제국 미술 아카데미 |
후원자 | 파벨 트레티야코프, 사바 마몬토프 |
주요 작품 | 갈림길의 기사 보가티르 |
![]() | |
이름 (러시아어) | |
러시아어 표기 | Ви́ктор Миха́йлович Васнецо́в |
로마자 표기 | Viktor Mikhaylovich Vasnetsov |
2. 생애
빅토르 바스네초프는 1848년 뱌트카 현 로퍌 마을에서 철학적인 성향을 가진 사제 미하일 바실리예비치 바스네초프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는 이콘 화가였다. 바스네초프는 10세부터 뱌트카에 있는 신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여름에는 가족과 함께 랴보보로 이주했다.[1] 신학교 시절 그는 지역 이콘 상인을 위해 일했고, 폴란드인 예술가 미하우 엘비로 안드리올리를 도와 뱌트카의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성당 프레스코화 제작을 돕기도 했다.[1]
1867년 러시아 제국 미술 아카데미 입학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지만, 1년 뒤인 1868년에 입학했다. 이동파 지도자 이반 크람스코이와 친분을 맺었고, 동료 학생 일리야 레핀과도 가까워졌다.[1]
1876년 레핀의 초대로 파리의 이동파 예술가 마을에 합류하여 고전 및 현대 회화를 공부했다. 파리에서 동화 주제에 매료되어 《회색 늑대를 탄 이반 차레비치》, 《불새》 등의 작업을 시작했다.[1]
1877년 모스크바로 돌아와 러시아 동화와 옛 이야기 삽화에 몰두했다. 「기로에 선 기사」(1878), 「알료누쉬카」(1881) 등을 제작했지만, 당시에는 이동파의 사실주의 원칙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
1884년부터 1889년까지 키예프의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에 프레스코화를 그렸다. 이 시기에 미하일 브루벨과 함께 작업하며 그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1] 「회색 늑대를 탄 이반 왕자」를 완성하고 대표작 세 영웅에 착수했다.[1]
1885년 이탈리아를 여행하고,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오페라 《눈 아가씨》의 무대 미술과 의상 디자인을 담당했다.[1]
만년에는 러시아 부흥주의 건축의 "동화"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트레차코프 미술관 외관(1904)을 설계하고, 바르샤바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 모자이크 디자인 작업(1906-1911)을 했다.[1] 1912년 귀족 작위를 받았으며,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국립 역사 박물관과 트레차코프 미술관을 위해 활동했다. 부데노프카 군모를 제작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 1926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 (1848-1858)
빅토르 바스네초프는 1848년 뱌트카 현의 외딴 마을 로퍌에서 7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그의 유일한 누이는 태어난 지 4개월 만에 사망했다). 그의 아버지 미하일 바실리예비치 바스네초프(1823–1870)는 철학적인 성향을 가진 사제이자 자연 과학과 천문학 학자였다. 그의 할아버지는 이콘 화가였다. 미하일 바스네초프의 여섯 아들 중 빅토르와 아폴리나리 두 아들이 뛰어난 화가가 되었고, 3명은 교사가 되었으며, 한 명은 러시아 민속학자가 되었다. 빅토르는 주로 풍경화와 마을 생활 장면을 그리며 로퍌에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블라디미르 스타소프에게 보낸 편지에서 바스네초프는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나는 농민 아이들과 함께 살았으며, 나로드니키로서가 아니라 친구로서 그들을 좋아했다"고 말했다.[1]2. 2. 뱌트카 (1858-1867)
10세부터 빅토르는 뱌트카에 있는 신학교에서 공부했으며, 매년 여름 가족과 함께 부유한 상인 마을인 랴보보로 이주했다.[1] 신학교 시절 그는 지역 이콘 상인을 위해 일했다.[1] 또한 망명한 폴란드인 예술가 미하우 엘비로 안드리올리를 도와 뱌트카의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성당의 프레스코화를 제작했다.[1]2. 3. 상트페테르부르크 (1867-1876)
1867년 8월, 빅토르는 러시아 제국 미술 아카데미 입학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는 1년 뒤인 1868년 8월에 성공했다.[6] 이미 1863년에 14명의 학생들이 아카데미의 규칙이 너무 억압적이라고 판단하여 아카데미를 떠났다. 이로 인해 아카데미즘에 반대하는 사실주의 화가들의 이동파 운동이 일어났다. 바스네초프는 아카데미에 입학하기 전 드로잉 수업에서 지도교수라고 칭하며 그들의 지도자 이반 크람스코이와 친분을 맺었다.[1] 그는 또한 동료 학생인 일리야 레핀과도 매우 가까워졌다.이후 역사화와 신화 그림과 연관될 빅토르는 처음에는 이러한 주제들을 최대한 피했다. 그의 그래픽 구성인 ''예수와 본디오 빌라도''는 아카데미로부터 소형 은메달을 받았다. 1870년대 초, 그는 현대 사회를 묘사한 다수의 판화를 완성했다. 1870년의 ''지방 서적상''과 1872년의 ''보드카 병을 든 소년'' 두 작품은 런던 만국 박람회 (1874년)에서 동메달을 수상했다. 이 시기에 그는 또한 유화로 풍속화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농민 가수들'' (1873)과 ''이사'' (1876)와 같은 작품들은 러시아 사회의 민주적인 계층으로부터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2. 4. 파리 (1876-1877)
1876년 레핀은 바스네초프를 파리에 있는 이동파 예술가 마을에 합류하도록 초대했다. 프랑스에 거주하는 동안 빅토르는 고전 및 현대 회화, 아카데미즘 및 인상주의를 모두 공부했다. 그 기간 동안 그는 《곡예사》(1877)를 그렸고, 판화를 제작했으며, 작품 중 일부를 살롱에 전시했다.[1] 파리에서 그는 동화 주제에 매료되어 《회색 늑대를 탄 이반 차레비치》와 《불새》 작업을 시작했다. 바스네초프는 레핀의 유명한 그림 《사드코》에서 사드코의 모델이 되었다.[1] 1877년 그는 모스크바로 돌아왔다.[1]2. 5. 모스크바 (1877-1884)
1877년 바스네초프는 모스크바로 돌아왔다. 1870년대 후반에는 러시아의 동화와 옛 이야기 (빌리나) 삽화에 몰두하여, 「기로에 선 기사」(1878년), 「이고리 공의 이반」(1879년), 「마법의 융단」(1880년), 「알료누쉬카」(1881년)와 같은 대표작을 제작했다.[1] 이 작품들은 발표 당시에는 평가받지 못했다. 급진적인 평론가들은 이 작품들에 대해 이동파의 사실주의 원칙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배척했다. 파벨 트레챠코프와 같은 유명한 미술 애호가조차 이 작품들의 구매를 거절했을 정도였다.[1]바스네초프의 회화는 1880년대가 되면서 유행을 탔다. 바스네초프가 소재를 종교적인 것으로 바꾸어, 후원자 사바 마몬토프의 소유지 아브람체보의 예술가 마을을 위해 일련의 이콘을 그리게 되었기 때문이다.[1]
2. 6. 키예프 (1884-1889)
1884년부터 1889년까지 바스네초프는 키예프의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에 프레스코화를 그리도록 의뢰받았다. 이는 러시아와 서구의 종교화 전통에 반하는 것이었기에 매우 야심찬 작업이었다.[1] 유력한 예술 평론가인 블라디미르 스타소프는 이 작품들을 러시아인의 종교심에 대한 모독적인 장난이라고 단정했다. 또 다른 인기 평론가인 드미트리 필로소포프는 이 프레스코화를 "러시아 사회의 다양한 계층을 200년 동안이나 갈라놓았던 만에 놓인 첫 번째 다리"라고 불렀다.[1]키예프 시대의 바스네초프는 같은 시기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의 내부 장식에 매달리고 있던 미하일 브루벨과 친분을 맺고 함께 작업하면서 연하의 브루벨에게 많은 것을 가르쳤다.[1] 「회색 늑대를 탄 이반 왕자」를 완성하고 가장 유명한 작품인 「세 영웅」에 착수한 것도 키예프 시대였다.[1]
1885년에 이탈리아를 여행했다. 같은 해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오페라 《눈 아가씨》의 무대 미술과 의상 디자인을 담당했다.[1]
2. 7. 만년 (1890-1926)
빅토르 바스네초프에게 지난 20년은 생산적인 시기였다. 그는 이 기간 동안 다른 매체로 점차 관심을 돌렸다. 1897년에는 형 아폴리나리 바스네초프와 함께 림스키코르사코프 초연작인 사드코의 무대 디자인 작업을 했다.[1]1900년 무렵, 바스네초프는 그의 특징인 러시아 부흥주의 건축의 "동화"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그의 첫 번째 호평을 받은 디자인은 아브람체보에 있는 교회(1882년)였으며, 바실리 폴레노프와 공동으로 제작했다. 1894년에는 모스크바에 자신의 저택을 설계했다. 1898년에는 파리 세계 박람회의 러시아관을 설계했다. 1904년, 바스네초프는 그의 "동화" 건축물 중 가장 잘 알려진 건물인 트레차코프 미술관의 외관을 설계했다.
1906년부터 1911년까지 바스네초프는 바르샤바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의 모자이크 디자인 작업을 했으며, 모스크바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의 디자인에도 참여했다. 1912년에는 니콜라이 2세 황제로부터 귀족 작위를 받았다. 1914년에는 제1차 세계 대전 피해자를 위한 자선 모금을 위해 사용될 수입 우표를 디자인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전에도 바스네초프는 트레차코프 미술관의 섭정으로 활동했다. 그는 수입의 상당 부분을 국립 역사 박물관에 할당하여 박물관 소장품의 상당 부분이 바스네초프의 자금으로 확보되었다. 10월 혁명 이후 그는 교회의 일부 종교 그림(특히 알렉산더 이바노프의 그림)을 트레차코프 미술관으로 옮기는 것을 옹호했다.
1915년, 바스네초프는 베를린과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리는 러시아군의 승리 기념 퍼레이드를 위한 군복 디자인에 참여했다. 바스네초프는 키예프 루스 원뿔형 헬멧 스타일을 재현한 군모인 부데노프카(원래 이름은 '보가티르카')를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바스네초프는 1926년 모스크바에서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주요 작품


thumb의 초상, 1869년]]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 1882년]]
thumb
thumb의 오페라 《눈 처녀》의 무대 미술, 1885년]]
thumb과 신의 아들, 1885년 - 1896년]]
thumb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의 프레스코화)]]
thumb, 1885년 - 1896년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의 프레스코화)]]
thumb, 1896년]]
thumb과 알코노스트, 슬픔의 새와 환희의 새, 1896년]]
thumb, 1898년]]
thumb, 1898년]]
thumb, 1899년]]
thumb 추도, 1899년]]
thumb, 1901년]]
thumb와 신의 아들, 1901년]]
thumb, 1901년]]
thumb, 1904년]]
thumb
thumb 암살 현장에 세워진 십자가(바스네초프 설계)]]
thumb
thumb'', 1914년]]
thumb, 1916년 - 1926년]]
thumb, 1917년 - 1928년]]
thumb대공]]
thumb
3. 1. 풍속화
1870년대 초, 바스네초프는 동시대 풍속을 그린 수많은 판화를 제작했다. 그 중 "지방의 서점"(1870년) 및 "술병을 든 소년"(1872년) 2점은 1874년 런던 만국 박람회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그 무렵에는 유화로도 풍속화를 그리기 시작했는데, "시골 가수"(1873년)와 "이사"(1876년)는 러시아 사회의 민주주의적인 당파로부터 따뜻하게 환영받았다.3. 2. 동화 및 설화 주제
1870년대 후반, 바스네초프는 러시아 동화와 서사시 빌리나 삽화 작업에 집중하여 그의 대표작들을 제작했다. 이 시기 주요 작품으로는 ''교차로의 기사''(1878), ''이고르 공의 전장''(1878), ''지하 왕국의 세 공주''(1884년 완성), ''마법의 양탄자''(1880), ''알료누쉬카''(1881) 등이 있다.[8]이 작품들은 처음 공개 당시에는 많은 급진적인 비평가들로부터 이동파의 사실주의 원칙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파벨 미하일로비치 트레티야코프와 같은 저명한 감식가조차도 구매를 거부하여 인정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바스네초프의 그림은 1880년대에 종교적인 주제로 전환하면서 유행하기 시작했다.[8]
3. 3. 영웅 서사시 주제
1870년대 후반, 바스네초프는 러시아 동화와 서사시 빌리나를 삽화로 표현하는 데 집중하면서 그의 대표작들을 제작했다. 대표작으로는 ''교차로의 기사''(1878), ''이고르 공의 전장''(1878), ''지하 왕국의 세 공주''(1884년 완성), ''마법의 양탄자''(1880), ''알료누쉬카''(1881) 등이 있다.[8]이 작품들은 처음 공개되었을 때 평론가들에게 인정받지 못했다. 많은 급진적인 비평가들은 이동파의 사실주의 원칙을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파벨 미하일로비치 트레티야코프와 같은 유명한 미술 애호가조차도 구매를 거부할 정도였다.[8] 1880년대에 들어서 바스네초프는 종교적인 주제로 전환하여 그의 후원자 사바 마몬토프의 아브람체보 식민지 저택을 위해 성상화를 제작하면서 그의 그림은 유행을 타기 시작했다.[8]
3. 4. 종교화
1884년부터 1889년까지 바스네초프는 키예프의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에 프레스코화를 그리라는 의뢰를 받았다. 이 작업은 러시아와 서구의 종교화 전통에 모두 반하는 어려운 작업이었다. 영향력 있는 미술 평론가 블라디미르 스타소프는 이것을 러시아 민족의 종교적 감정에 대한 신성모독적인 놀이라고 칭했다. 또 다른 유명 평론가 드미트리 필로소포프는 이 프레스코화를 "러시아 사회의 서로 다른 계급을 분리하는 200년 된 만에 놓인 첫 번째 다리"라고 언급했다.[1]키예프에서 지내는 동안 바스네초프는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 장식에 참여한 미하일 브루벨과 친구가 되었다. 함께 작업하면서 바스네초프는 젊은 예술가 브루벨에게 많은 것을 가르쳤다.
3. 5. 기타
빅토르 바스네초프는 말년에 그린 대부분의 그림은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20년 동안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이 시기에 그는 회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로 작업 영역을 넓혔다. 1897년에는 동생 아폴리나리와 함께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오페라 《사트코》의 무대 미술을 담당했으며, 1910년대에는 "보가티르카"라고 불리는 헬멧을 쓴 러시아 육군을 위해 새로운 유니폼 디자인을 의뢰받았다.바스네초프는 세기가 바뀔 무렵, 러시아 문예 부흥 운동의 "스카즈카" 양식 건축을 자신의 트레이드마크로 삼아 세련되게 발전시켰다. 그의 첫 건축 작품은 바실리 폴레노프의 도움을 받아 설계한 아브람체보 교회(1882년)이다. 이후 1894년에는 모스크바 자택을 설계했고, 1898년에는 파리 만국 박람회의 러시아관을 설계했다. 1904년에는 스카즈카 양식의 대표작인 트레챠코프 미술관을 설계했다.
1906년부터 1911년까지는 바르샤바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의 모자이크를 디자인했다. 1912년에는 황제 니콜라이 2세로부터 귀족 작위를 받았다.
러시아 혁명 이전에는 트레챠코프 미술관의 평의원으로 활동하며, 수입의 상당 부분을 러시아 국립 역사 박물관에 기증하여 박물관의 주요 수집품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10월 혁명 이후에는 알렉산드르 이바노프 등의 종교화를 교회에서 트레챠코프 미술관으로 옮기는 것을 지지했다.
4. 유산
1978년 소련의 천문학자 루드밀라 주라블레바가 발견한 소행성 3586 바스네초프는 빅토르 바스네초프와 아폴리나리 바스네초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영화 엘리자베스: 골든 에이지에서 바스네초프의 이반 뇌제 그림은 시대착오적으로 마치 그 차르의 생존 당시에 이미 존재했던 것처럼 묘사되며, 이반이 엘리자베스 1세 여왕에게 결혼을 제안하며 영국으로 보낸 것으로 묘사된다.
바스네초프의 손자 안드레이는 소련 인민 예술가였다.
참조
[1]
백과사전
Viktor Mikhaylovich Vasnetsov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
웹사이트
Васнецов, Виктор Михайлович
http://www.krugosvet[...]
2011-01-01
[3]
웹사이트
Богатырь русской живописи
http://www.centre.sm[...]
centre.smr.ru
2011-01-01
[4]
서적
Vasnet︠s︡ovshchina
https://www.worldcat[...]
[5]
서적
Vasnet︠s︡ovshchina
https://www.worldcat[...]
[6]
서적
Виктор Михайлович Васнецов: Письма. Дневники. Воспоминания. Суждения современников
Iskusstvo
[7]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Verlag
[8]
웹사이트
Картина «Спящая царевна», Виктора Михайловича Васнецова
https://muzei-mira.c[...]
2024-03-11
[9]
문서
A Vasnetsov fresco, St. Vladimir's Cathedral in Kie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