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한 하인리히 폰 튀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하인리히 폰 튀넨은 1783년 독일 올덴부르크에서 태어난 농장주이자 경제학자이다. 그는 괴팅겐 대학교에서 잠시 공부한 후 농장 경영에 종사하며, 정밀한 수지 계산을 바탕으로 농업 입지 이론과 한계 생산성 이론을 발전시켰다. 튀넨은 "고립국" 모델을 통해 농산물 지대가 시장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설명했으며, 이는 산업 혁명 이전의 유럽 경제 분석에 기여했다. 그는 또한 한계 비용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역경제학자 - 폴 크루그먼
    폴 크루그먼은 국제 무역, 경제 지리, 국제 금융 분야의 업적으로 2008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뉴욕 타임즈 칼럼니스트로서, 새로운 무역 이론과 경제 지리학적 분석에 기여하고 복잡한 경제 이론을 대중에게 쉽게 설명하며 진보적인 관점에서 정치·경제 현안을 비판한다.
  • 지역경제학자 - 알프레트 베버
    알프레트 베버는 막스 베버의 동생으로, 경제학, 사회학, 문화철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경제학의 위치론에 기여하고 문화사회학을 확립하는 데 공헌했으며, 산업 입지 이론을 체계화하여 경제지리학에 혁명적인 영향을 미친 학자이다.
  • 고전파 경제학자 - 데이비드 리카도
    데이비드 리카도는 19세기 초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비교우위론, 지대론, 노동가치설에 기반한 이윤 이론을 제시하여 현대 경제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자유무역을 옹호했다.
  • 고전파 경제학자 - 프레데리크 바스티아
    프레데리크 바스티아는 자유주의 경제 사상과 자유 시장 경제를 옹호하며 정부 개입의 부정적 결과를 비판한 프랑스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이다.
  • 독일의 지리학자 - 알렉산더 폰 훔볼트
    프로이센 귀족 출신 과학자이자 탐험가인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남아메리카 탐험과 연구를 통해 근대 지리학 방법론을 확립하고 생명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찰을 제공했으며,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기고 국제적인 과학 협력에 기여했다.
  • 독일의 지리학자 - 카를 리터
    카를 리터는 독일의 지리학자로, 베를린 대학교 최초의 지리학 교수로서 지리학을 학문으로 발전시키고, 《지리학》을 통해 지표면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근대 지리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요한 하인리히 폰 튀넨

2. 생애

폰 튀넨은 알브레히트 테어의 영향을 받았다.[6] 1803년, 자신의 첫 번째 경제적 아이디어를 발표했고,[6] 1806년에 결혼했다.[6] 1850년 9월 22일, 테로에서 사망했다.[9]

2. 1. 유년 시절

폰 튀넨은 1783년 6월 24일 아버지 소유의 카나리엔하우젠 농장에서 태어났다.[6] 그의 아버지는 오래된 봉건 가문 출신이었다.[6] 폰 튀넨은 2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6] 그의 어머니는 상인과 재혼했고, 가족은 훅시엘로 이사했다.[6]

폰 튀넨은 아버지의 농지를 물려받을 것으로 예상되어, 실용적인 농업을 공부했다.[6]

2. 2. 학문적 배경

1783년, 당시 존재했던 영방 국가 올덴부르크의 Wangerland|방게란트de에 있는 Waddewarden|바데바르덴de에서 농장주의 아들로 태어났다.[9]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대학교 괴팅겐(괴팅겐 대학교)에서 짧은 기간 동안 공부했으나, 대부분 농장주로 일했다. 1810년에는 로스토크 교외의 농촌 지역에 매너 하우스 테로 농장(:de:Herrenhaus Tellow)을 구입하여 이주했다. 튀넨 사후 100년 이상 지난 1972년 3월에는 이 농장의 일부에 튀넨 박물관이 세워졌다.[10] 이 테로 농장에서의 농장 경영자로서 정밀한 수지 계산을 바탕으로 1826년 "농업과 국민 경제에 관한 고립국: 곡가, 토지 비옥도 및 조세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출판하였다.[9] 이 공적으로 튀넨은 1830년로스토크 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11]

3. 튀넨의 농업 입지 이론 (고립국 이론)

요한 하인리히 폰 튀넨은 그의 저서 『고립국』(1826)에서 공간 경제학 및 경제 지리학에 대한 초기 연구를 제시하며, 이를 지가 이론과 연결했다.[7] 그는 한계 생산성 이론의 기초를 발전시켰다.

튀넨의 농업 입지 이론은 토지 이용이 시장까지의 운송 비용과 농부가 지불할 수 있는 토지 임대료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모델은 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구조를 가지며, 각 동심원에서는 특정 농업 활동이 이루어진다.

3. 1. 이론의 전제

튀넨은 다음 전제 하에 농산물의 지대가 수학적으로 일률적인 형태를 보인다는 이론을 전개하였다.

  • 도시는 "고립국"의 중앙에 위치하며, 유일한 시장이다.
  • 시장은 완전 경쟁 시장의 형태를 띤다.
  • 고립국은 기후, 지형, 식생, 토양이 완전히 동질적인 공간이다.
  • 고립국의 운송 수단은 우마차 한 가지만 존재하며,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한다.
  • 고립국에는 길이 없으며, 도심까지는 직선(최단 거리)으로 이동한다.
  • 고립국의 농부는 합리적 경제인이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R = Y(p-c) -YFm

  • R: 지대
  • Y: 단위 토지당 산출량
  • p: 단위 재화의 시장 가격
  • c: 단위 재화의 생산비
  • F: 운송 요율
  • m: 시장까지의 거리
[7]

3. 2. 이론의 핵심 내용

튀넨은 농산물의 지대가 수학적으로 일정한 형태를 보인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전제를 설정하였다.[7]

  • 도시는 "고립국"의 중앙에 위치하며, 유일한 시장이다.
  • 시장은 완전 경쟁 시장의 형태를 띤다.
  • 고립국은 기후, 지형, 식생, 토양이 동질적이다.
  • 운송 수단은 우마차뿐이며,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한다.
  • 고립국에는 길이 없으며, 도심까지는 직선으로 이동한다.
  • 고립국의 농부는 합리적 경제인이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튀넨은 지대(R)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하였다.

:R = Y(p-c) -YFm

  • R: 지대
  • Y: 단위 토지당 산출량
  • p: 단위 재화의 시장 가격
  • c: 단위 재화의 생산비
  • F: 운송 요율
  • m: 시장까지의 거리


이 공식에 따르면 토지의 이용은 지대에 의해 결정된다. 튀넨의 모델은 도시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구조화된다.

튀넨의 모델

  • 1번째 동심원 (흰색): 도시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는 자유식 농업(원예, 낙농업)이 이루어진다. 이 농산물들은 쉽게 변질되므로 신속한 운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2번째 동심원 (녹색): 건축, 연료 등에 사용되는 목재 생산을 위한 임업이 위치한다. 목재는 중요하고 무거워 수송이 어렵기 때문이다.
  • 3번째 동심원 (노란색): 곡물류 재배가 이루어진다. 곡물은 낙농품보다 가볍고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 4번째 동심원 (빨간색): 조방적 농업, 즉 목축업이 이루어진다.
  • 황무지 (짙은 녹색): 마지막 동심원 밖은 황무지로, 도시에서 너무 멀어 농업이 불가능하다.


튀넨의 이론은 산업화 이전 유럽과 유럽 식민지의 경제 분석에 큰 도움을 주었다.[7]

3. 3. 동심원 모델

튀넨은 다음과 같은 전제하에 농산물의 지대가 수학적으로 일률적인 형태를 보인다는 이론을 전개하였다.

  • 도시는 "고립국"의 중앙에 위치하며, 유일한 시장이다.
  • 시장은 완전 경쟁 시장의 형태를 띤다.
  • 고립국은 기후, 지형, 식생, 토양에 있어 완전히 동질적인 공간이다.
  • 고립국의 운송 수단은 우마차 한 가지만 존재하며,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한다.
  • 고립국에는 길이 존재하지 않으며, 도심까지는 직선(최단 거리)으로 이동한다.
  • 고립국의 농부는 합리적 경제인이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R = Y(p-c) - YFm

R: 지대, Y: 단위 토지당 산출량, p: 단위 재화의 시장 가격, c: 단위 재화의 생산비, F: 운송 요율, m: 시장까지의 거리

이 공식에 따르면 토지의 이용은 지대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튀넨의 수학적 모델은 위 그림과 같은 동심원 모양으로 구조화된다. 그에 따르면 도시와 가장 가까운 동심원에서는 자유식 농업(원예, 낙농업)이 입지하게 된다. 당시 이러한 농산품들은 쉽게 변질되었기 때문에 도시로의 신속한 운송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건축, 연료 따위를 위한 임업은 두 번째 동심원에 위치한다. 당시에는 목재가 굉장히 중요한 재료였고, 이는 무겁기 때문에 수송이 어렵기 때문이었다.

세 번째 동심원에선 곡물류의 재배가 일어난다고 보았다. 곡물은 낙농품 따위에 비해 가볍고 보관이 쉽기 때문이다. 마지막 동심원에서는 조방적 농업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동심원 밖은 황무지로, 중심 도시에서 너무 멀기 때문에 어떠한 형태의 농업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튀넨의 이러한 이론은 산업화 이전의 유럽과 유럽 식민지의 경제를 분석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었다.[7]

3. 4. 튀넨 이론의 의의와 한계

튀넨의 이론은 산업화 이전의 유럽과 유럽 식민지의 경제를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7] 튀넨은 도시가 '고립국'의 중앙에 위치하고, 완전 경쟁 시장이며, 기후, 지형, 식생, 토양이 동질적이며, 운송 수단은 우마차뿐이고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하며, 농부는 합리적 경제인이라는 전제 하에 농산물 지대 이론을 전개하였다.

튀넨의 모델은 다음과 같은 동심원 형태로 나타난다.

  • 1 (흰색): 낙농 및 채소 재배[7] - 채소, 과일, 우유 등은 시장에 신속하게 도달해야 하므로 도시 근처에서 생산된다.
  • 2 (녹색): 연료용 숲[7] - 목재는 난방과 요리에 매우 중요한 연료였고 무거워 운송이 어렵기 때문에 도시 근처에 위치한다.
  • 3 (노란색): 곡물 및 밭작물[7] - 곡물은 유제품보다 오래 보존되고 연료보다 가벼워 운송 비용을 줄여 도시에서 더 멀리 위치한다.
  • 4 (빨간색): 목축[7] - 동물들은 스스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사육될 수 있다.
  • 바깥쪽의 짙은 녹색 지역: 농업이 수익성이 없는 황무지[7] - 모든 종류의 농산물에 대해 중앙 도시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


하지만 튀넨의 이론은 다음과 같은 전제로 인해 근본적인 한계를 갖는다.

  • 실제로는 여러 시장이 존재할 수 있다.
  •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변동하므로 완전 경쟁 시장을 유지하기 어렵다.
  • 기후, 지형, 식생, 토양이 동일하지 않다.
  • 운송비는 거리에 따라 체감한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튀넨의 이론은 산업 혁명 이후의 현상에는 잘 적용되지 않으며, 주로 경제사적 상황 분석에 국한된다.[7]

4. 튀넨의 기타 업적

튀넨은 《고립국》에서 한계 생산성 이론과 한계 비용 개념 외에도 자연 임금 공식 √APde를 제시했다. 이 공식은 노동과 자본의 생산물 가치(A)와 노동자 및 그 가족의 생계(P)를 고려하여 임금을 결정한다.[8] 튀넨은 초기 투입에서 잉여가 발생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확 체감의 법칙이 작용하여 임금이 생산성에 따라 변동한다고 주장했다. 이 공식은 튀넨에게 매우 중요했으며, 묘비에 새겨지기를 바랐다.

4. 1. 한계 생산성 이론

튀넨은 《고립국》 제2권에서 한계 생산성 이론의 수학적 기초를 발전시켰다. 그는 √APde 공식을 통해 자연 임금을 설명했는데, 여기서 A는 노동과 자본의 생산물 가치를, P는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계를 나타낸다.[8]

그는 자본이나 노동 투입의 초기 단위에서 잉여가 발생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투입의 수확 체감으로 인해 임금이 생산성 수준에 따라 변동한다면 초기 투입은 그들의 노동과 자본에 대해 더 큰 보상을 받게 된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그러나 그의 공식을 사용하여 임금률을 결정하면, 노동은 A와 P라는 두 요소의 공동 생산물의 기하 평균인 제곱근으로 변동하는 몫을 받게 된다.

이 공식은 그에게 매우 중요했기에 묘비에 새겨지기를 바라는 유언이었다.

튀넨은 《고립국》에서 알프레드 마셜이 《경제학 원리》에서 대중화한 용어인 'Grenzkosten'(한계 비용)을 만들었다.

4. 2. 한계 비용 개념

튀넨은 《고립국》의 두 번째 권에서 한계 생산성 이론의 몇 가지 수학적 기초를 발전시켰다. 그는 Grenzkosten|그렌츠코스텐de(한계 비용)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는데, 이는 알프레드 마셜이 그의 저서 《경제학 원리》에서 대중화하였다.[8]

튀넨은 자연 임금을 ${\displaystyle {\sqrt {AP}}}$ 공식으로 표현했다. 여기서 A는 노동과 자본의 생산물의 가치를, P는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계를 나타낸다.[8] 그가 제시한 아이디어는 자본이나 노동 투입의 초기 단위에서 잉여가 발생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투입의 수확 체감으로 인해 임금이 생산성 수준에 따라 변동한다면 초기 투입은 그들의 노동과 자본에 대해 더 큰 보상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공식을 통해 임금률을 결정하여 노동이 두 요소, 즉 A와 P의 공동 생산물의 기하 평균인 제곱근으로 변동하는 몫을 받게 된다고 보았다.

이 공식은 그에게 매우 중요했기에 그의 묘비에 새겨지기를 바라는 유언이었다.

참조

[1] 인용구
[2] 학술지 Von Thünen's Economics https://www.jstor.or[...] 1969
[3] 학술지 Thünen at Two Hundred https://www.jstor.or[...] 1983
[4] 학술지 Von Thünen's Theory of Natural Wages https://www.jstor.or[...] 1895
[5] 학술지 Von Thünen's Theory of Natural Wages https://www.jstor.or[...] 1895
[6] 학술지 Johann Heinrich Von Thünen https://www.jstor.or[...] 1934
[7] 서적 Der isolirte Staat in Beziehung auf Landwirtschaft und Nationalökonomie https://books.google[...] Wirtschaft & Finan
[8] 서적 Von Thünen's Theory of Natural Wages https://archive.org/[...] G. H. Ellis
[9] 서적 立地論入門 古今書院 2008-04-01
[10] 웹사이트 Johann Heinrich von Thünen https://www.thuenen.[...] The Johann Heinrich von Thuenen Foundation 2021-08-31
[11] 웹사이트 Johann Heinrich von Thünen: von Thuenen https://www.thuenen.[...] The Johann Heinrich von Thuenen Foundation 2021-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