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강 팽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강 팽씨는 중국 금릉 출신 팽적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팽적은 고려 충정왕 때 노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들어와 용강백에 봉해졌으며, 그의 후손들이 용강을 본관으로 삼았다. 주요 인물로는 조선 시대 판중추부사를 지낸 팽조, 대사헌 팽양 등이 있으며, 현대에는 팽동준, 팽정광, 팽재유 등이 있다. 과거 급제자로는 팽구서, 팽윤현, 팽령, 팽흡 등이 있고, 집성촌은 북한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대한민국에는 양주시, 단양군, 안산시, 의정부시 등에 소수가 거주한다. 인구는 2011년 기준 633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강 팽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가문 이름 | 용강 팽씨 (龍岡彭氏) |
| 관향 | 남포시 용강군 |
| 기원 | 한국 |
| 지역 | 광주 |
| 창시자 | 팽적 |
| 역사 | |
| 시조 | 팽적 |
| 주요 인물 | 팽정광 |
| 인구 통계 | |
| 2011년 | 633명 |
2. 역사
시조 팽적(彭逖)은 중국 금릉(金陵) 사람으로 1351년(고려 충정왕 3년) 원나라 노국공주가 공민왕과 결혼하여 입국할 때 내각학사(內閣學士)로 함께 고려에 들어와서 용강백(龍岡伯)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용강으로 하였다.[4]
용강 팽씨는 조선시대와 근현대에 걸쳐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다. 조선시대에는 팽적(彭逖)의 손자 팽조(彭祖)가 판중추부사를 역임했고, 그의 아들 팽양(彭陽)은 대사헌에 올랐다. 팽양의 손자 팽성(彭誠)은 동지중추부사를 지냈고, 팽성의 아들 팽정현은 어모장군, 팽성의 손자 팽호(彭湖)는 건공장군에 올랐다. 현대에는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팽동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부사장 팽정광, 성악가(테너) 팽재유, 롯데케미칼 LPP Ext' Super Operator 팽재윤, 연합뉴스TV 기자 팽재용 등이 있다.
3. 인물
3. 1. 역사 속 인물
조선시대에 팽적(彭逖)의 손자 팽조(彭祖)가 판중추부사를 역임했고, 그의 아들 팽양(彭陽)은 대사헌에 올라 가문을 중흥시켰다. 팽양의 손자 팽성(彭誠)은 동지중추부사를 지냈고, 팽성의 아들 팽정현은 어모장군, 팽성의 손자 팽호(彭湖)는 건공장군에 올랐다.[1]
| 이름 | 관직 | 품계 |
|---|---|---|
| 팽적(彭逖) | 원나라 내각학사, 고려 용강백 | 정3품 |
| 팽조(彭祖) | 판중추부사 | 종1품 |
| 팽양(彭陽) | 대사헌 | 종2품 |
| 팽성(彭誠) | 동지중추부사 | 종2품 |
| 팽호현(彭護炫) | 상장군, 도위사 | 정3품 |
| 팽정현 | 과의장군, 어모장군 | 정3품 |
| 팽호(彭湖) | 건공장군 | 종3품 |
| 팽청(彭淸) | 어모장군 | 정3품 |
| 팽흡(彭洽) | 어모장군 | 정3품 |
| 팽중련(彭仲連) | 찰방 | 종6품 |
| 팽홍도(彭洪道) | 절충장군 | 정3품 |
| 팽예민(彭禮民) | 통정대부 | 정3품 |
| 팽숙도(彭淑道) | 참의 | 정3품 |
| 팽필도(彭弼道) | 첨절제사 | 종3품 |
| 팽계도(彭季道) | 절충장군 | 정3품 |
| 팽한현(彭漢賢) | 절충장군 | 정3품 |
| 팽택금(彭澤今) | 한성 좌윤 | 종2품 |
| 팽인서(彭麟瑞) | 절충장군 | 정3품 |
| 팽봉서(彭鳳瑞) | 동지중추부사 | 종2품 |
| 팽귀서(彭龜瑞) | 양무원종공신 | - |
| 팽용서(彭龍瑞) | 첨지중추부사 | 정3품 |
| 팽천일(彭天逸) | 절충장군 | 정3품 |
| 팽천우(彭天祐) | 절충장군 | 정3품 |
| 팽온(彭溫) | 어모장군 | 정3품 |
| 팽심(彭沈) | 절충장군 | 정3품 |
| 팽심(彭深) | 절충장군 | 정3품 |
| 팽순(彭淳) | 상호군 | 정3품 |
| 팽식(彭湜) | 통례원 봉례 | 정4품 |
| 팽윤조(彭潤祚) | 절충장군 | 정3품 |
| 팽경대(彭敬大) | 상호군 | 정3품 |
| 팽윤대(彭潤大) | 군자감정 | 정3품 |
| 팽치대(彭致大) | 절충장군 | 정3품 |
| 팽정의(彭鼎義) | 어모장군 | 정3품 |
| 팽원상(彭元常) | 상호군 | 정3품 |
| 팽원성(彭元性) | 어모장군 | 정3품 |
| 팽효근(彭孝根) | 동지중추부사 | 종2품 |
| 팽지근(彭只根) | 공조참의 | 정3품 |
| 팽봉혁(彭鳳爀) | 호조참판 | 종2품 |
| 팽령 | 예조정랑 | 정5품 |
| 팽택령 |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 정3품 |
| 팽을지 | 판의금부사 | 종1품 |
| 팽계술(彭繼述) | 내의원 첨정 | 정3품 |
| 팽계술(彭啓述) | 동지중추부사 | 종2품 |
| 팽원주(彭遠周) | 오위장군 | 정3품 |
| 팽기주(彭基周) | 동지중추부사 | 종2품 |
| 팽한주 | 평양 감리 겸 평양 부윤, 삼화 겸 삼화부윤, 평양 군수 | 종2품 |
| 팽영주(彭永周) | 궁내부 주사 | 정6품 |
| 팽군호 | 상해임시정부 의원 | - |
| 팽순 | 사자관 | - |
3. 2. 현대 인물
4. 과거 급제자
5. 집성촌
6. 인구
| 연도 | 인구 |
|---|---|
| 1985년 | 263가구 1,048명 |
| 2000년 | 259가구 795명 |
| 2011년 | 247가구 633명 |
참조
[1]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2]
서적
Doosan Encyclopedia 팽 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7
[4]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5]
문서
『상지3년계묘토역정시별시문무과방목(上之三年癸卯討逆庭試別試文武科榜目)』
국립중앙도서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