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팽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팽양은 후한 말 유장과 유비를 섬긴 인물로, 서촉 정벌 시 유비에게 등용되어 익주의 치중종사까지 올랐으나, 자만심으로 인해 유비에게 불만을 품고 마초에게 모반을 암시하는 발언을 했다가 처형되었다. 그는 원래 유장의 신하였으나, 곤겸형을 당하는 등 불우한 시기를 보냈다. 이후 방통과 법정의 추천으로 유비 휘하에 들어가 능력을 인정받았지만, 제갈량의 경고로 강양태수로 좌천된 것에 불만을 품고 마초에게 유비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 마초가 이를 유비에게 알리면서 체포되었고, 옥중에서 제갈량에게 편지를 보내 변명했지만 결국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년 출생 - 등지
    등지는 삼국 시대 촉한의 외교 및 군사 인물로, 유비의 신임을 받아 요직을 두루 거치며 오나라와의 동맹을 재건하여 촉한의 외교적 입지를 강화했으며, 검소하고 청렴한 삶을 살다가 251년에 사망했다.
  • 178년 출생 - 관평
    관평은 후한 말 인물로, 정사에는 관우와 함께 처형된 기록만 존재하나, 삼국지연의에서는 관우의 양자로 유봉과 함께 활약하며, 후대에는 관제묘에서 관우의 수신으로 숭배받고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214년 사망 - 괴월
    괴월은 후한 말 유표를 섬기며 형주 통일에 기여하고 조조에게 항복하여 광록훈이 된 인물이다.
  • 214년 사망 - 방통
    방통은 촉한의 군사로 유비의 익주 평정에 기여했으며, 낙성 전투에서 전사하여 정후의 시호를 받았다.
  • 중국 삼국 시대 사람 - 위유
    위유는 후한 말 유우의 동조연으로, 유우가 공손찬을 공격하려 할 때 만류했으며 이민족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을 건의했으나 193년에 병사한 인물이다.
  • 중국 삼국 시대 사람 - 위자 (삼국지)
    위자는 후한 말 장막의 부장으로, 조조를 알아보고 동탁 토벌을 지원했으며, 서영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팽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팽양
원어 이름彭羕
영년(永年)
출생178년
출생지광한군(廣漢郡), 사천성(四川省)
사망214년
직업관료
관직 경력
강양군(江陽郡) 태수214년
치중종사(治中從事)214년

2. 생애

→치중종사(治中從事)〔유비〕
→ 강양태수(江陽太守)〔유비〕소속유장 → 유비


2. 1. 초기 생애 및 유장 섬김

팽양은 후한 말, 유장과 유비를 섬겼던 인물이다. 자는 영년(永年)이며, 익주 광한군 출신으로 현재의 쓰촨성 광한시 일대에 해당한다.[1] 8척(약 1.84미터)의 큰 키와 인상적인 외모를 지녔다.[2]

팽양은 익주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으나, 서좌(書佐) 이상의 직위에는 오르지 못했다. 자만심이 강하고 오만한 성격 탓에 동료들의 비방을 샀으며, 유장에게 참언을 듣게 되었다.[5] 유장은 팽양에게 머리를 깎고 목에 칼을 씌우는 곤겸형(髠鉗刑)을 내리고 중노동에 처했다.[5]

이후 팽양은 서촉정벌 때 유비의 모사 방통을 찾아갔다. 방통법정은 팽양의 재능을 알아보고 유비에게 추천하여 유비 진영에 합류하게 되었다.

2. 2. 유비 섬김과 배신

유장과 유비를 섬겼다.

익주의 서좌(書佐)가 되었을 때, 참언을 들은 유장은 팽양에게 머리를 깎고 항쇄(項鎖: 죄인의 목에 씌우는 칼)를 채우는 곤겸형(髠鉗刑)에 처해 노역을 하게 했다.[24]

훗날 서촉정벌 때 유비의 모사 방통을 찾아갔으며, 그 재능을 인정받아 방통법정의 주선으로 유비의 진영에 합류하였다.[6][7]

팽양은 자신의 직무를 훌륭히 수행하였기 때문에 유비는 그를 중용하였으며, 유장을 토벌한 후 익주의 치중종사(治中從事)로 삼았다.[8][9]

하지만 팽양은 점차 교만해졌다. 제갈량은 유비에게 '''"팽양은 야심이 큰 자이니, 편히 쓰실 수 없을 겁니다"'''라고 은밀하게 일러주었다. 유비는 팽양을 강양태수(江陽太守)로 좌천시켰다.[10][11]

이에 불만을 품은 팽양은 마초에게 '''"그 늙은이[24](유비)는 나와 말이 통하지 않는다. 그대가 바깥(군사)을, 내가 안(내정)을 잡으면 천하도 노릴 수 있을 터인데…"'''라고 넌지시 일렀다.

신변의 위협을 느낀 마초는 이를 유비에게 상소해 팽양은 체포되었다. 팽양은 옥중에서 제갈량에게 편지를 써서 변명했으나 결국 처형되었다. 이때 그의 나이 37세였다.

2. 3. 최후

팽양은 유비에게 중용되었으나 점차 교만해졌다. 제갈량은 유비에게 "팽양은 야심이 큰 자이니, 편히 쓰실 수 없을 겁니다"라고 은밀하게 알렸다. 이에 유비는 팽양을 강양태수로 좌천시켰다.[12]

강양태수로 좌천된 것에 불만을 품은 팽양은 마초에게 "저 늙은이(유비)는 나와 말이 통하지 않는다. 그대가 바깥(군사)을, 내가 안(내정)을 잡으면 천하도 노릴 수 있을 터인데…"라고 넌지시 말했다.[15][16]

마초는 팽양의 발언에 위협을 느껴 이를 유비에게 상소했고, 팽양은 체포되었다.[17] 팽양은 옥중에서 제갈량에게 편지를 써서 변명했지만,[18][19][20][21][22] 결국 처형되었다.[23]

팽양의 처형 당시 나이는 37세였다.

3. 삼국지연의에서의 팽양

연의에서 팽양의 자는 영언(永言)이다.[25]

방통 밑에서 적절한 충고로 유비의 신하가 되었다.

맹달 때문에 번성 전투에서 관우가 죽자, 팽양은 입장이 난처해진 맹달에게 편지를 써 하인을 시켜 보냈다. 그러나 하인은 마초에게 붙잡혀 투옥되었고, 진상을 알아보려고 한 마초는 팽양을 찾아갔다. 팽양은 마초에게 속아 진의를 이야기하고 모반을 제안하였으며, 이 말이 유비에게 전해져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팽양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맹달은 상용을 버리고 위에 투항했다.[25]

4. 평가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평가'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Sanguozhi
[3] 서적 Sanguozhi
[4] 서적 Sanguozhi
[5] 서적 Sanguozhi
[6] 서적 Sanguozhi
[7] 서적 Sanguozhi
[8] 서적 Sanguozhi
[9] 서적 Sanguozhi
[10] 서적 Sanguozhi
[11] 서적 Sanguozhi
[12] 서적 Sanguozhi
[13] 서적 Sanguozhi
[14] 서적 Sanguozhi
[15] 서적 Sanguozhi
[16] 서적 Sanguozhi
[17] 서적 Sanguozhi
[18] 서적 Sanguozhi
[19] 서적 Sanguozhi
[20] 서적 Sanguozhi
[21] 서적 Sanguozhi
[22] 서적 Sanguozhi
[23] 서적 Sanguozhi
[24] 사전 方言
[25] 서적 삼국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