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담유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담유사는 총 9편의 가사로 구성된 동학의 경전이다. 각 가사는 인내천, 후천개벽 사상을 담고 있으며, 교훈가, 안심가, 용담가, 몽중노소문답가, 도수사, 권학가, 도덕가, 흥비가, 검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1881년 신사판을 시작으로 계미판, 계사판, 1922년판 등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현대 한국어 번역을 통해 동학 연구와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1년 책 - 지렁이의 활동과 분변토의 형성
    지렁이의 활동과 분변토의 형성은 찰스 다윈이 지렁이가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지표면 변화를 일으키는 생태학적 역할을 연구한 내용을 담고 있다.
  • 동학 - 최시형
    최시형은 1827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태어나 동학의 제2대 교주를 지냈으며, 최제우의 제자로서 동학 경전을 편찬하고 교세를 확장하다가 갑오농민전쟁에 참여하여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사후 신원되어 손병희가 그의 뒤를 이어 천도교로 개명했다.
  • 동학 - 동경대전
    동경대전은 동학의 창도 이유와 핵심 사상을 담은 경전으로, 서학을 비판하고 유교, 불교, 도교, 민간 신앙을 아우르는 사상을 제시하며, 포덕문, 논학문 등 동학의 핵심 교리를 담은 다양한 글들을 수록하고 있다.
  • 조선의 책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조선의 책 -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군중에서 직접 쓴 친필 일기로, 전쟁 상황과 개인적인 소회, 사회상 등이 기록된 7권의 일기이며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표지
용담유사 표지
저자최제우
창작 시기1860년 ~ 1863년
국적조선
언어한국어
장르가사
종교천도교
구성
내용1. 용담가
2. 검결
3. 권학가
4. 몽중노소문답가
5. 도덕가
6. 흥비가
7. 교훈가
8. 탄도유심가
9. 십이제국가
관련 정보
관련 인물최시형
해월신사
관련 단체동학
관련 자료동경대전

2. 구성

용담유사는 총 9편의 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가사는 독립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동학의 핵심 사상인 인내천(人乃天), 후천개벽(後天開闢) 사상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목내용
교훈가수운 최제우의 종교적 체험과 동학의 기본 교리를 설명한다.
안심가동학을 믿고 따르면 불안한 마음을 떨치고 편안함을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용담가수운 최제우가 득도한 경주 용담정을 배경으로 동학의 깨달음을 노래한다.
몽중노소문답가꿈속에서 노인과 젊은이의 문답 형식을 통해 동학의 진리를 설파한다.
도수사도를 닦는 과정을 설명하고, 수련을 통해 깨달음에 이를 수 있음을 강조한다.
권학가동학을 배우고 익힐 것을 권유하며, 동학의 가르침을 따를 것을 독려한다.
도덕가동학의 도덕적 가르침을 제시하고, 올바른 삶의 자세를 강조한다.
흥비가동학의 흥성과 발전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며, 동학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전망한다.
검결동학의 기상을 표현하고 악귀를 물리치는 내용을 담은 검무에 사용되는 노래이다.


2. 1. 교훈가(敎訓歌)

교훈가(敎訓歌)는 수운 최제우의 종교적 체험과 동학의 기본 교리를 설명하는 노래이다.

2. 2. 안심가(安心歌)

安心歌중국어동학을 믿고 따르면 불안한 마음을 떨치고 편안함을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3. 용담가(龍潭歌)

수운 최제우가 득도한 장소인 경주 용담정을 배경으로, 동학의 깨달음을 노래한다.

2. 4. 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꿈속에서 노인과 젊은이의 문답 형식을 통해 동학의 진리를 설파한다.

2. 5. 도수사(道修詞)

동학의 경전 용담유사의 한 부분으로, 도를 닦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수련을 통해 깨달음에 이를 수 있음을 강조한다.

2. 6. 권학가(勸學歌)

勸學歌중국어동학을 배우고 익힐 것을 권유하며, 동학의 가르침을 따를 것을 독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7. 도덕가(道德歌)

道德歌중국어는 동학의 도덕적 가르침을 제시하고, 올바른 삶의 자세를 강조한다.

2. 8. 흥비가(興比歌)

동학의 흥성과 발전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며, 동학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전망한다.

2. 9. 검결(劒訣)

검결(劒訣)은 동학의 기상을 표현하고 악귀를 물리치는 내용을 담은, 검무에 사용되는 노래이다.

3. 판본

1881년 신사판, 1883년 계미판(경주판), 1893년 계사판, 1922년 판본 등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이는 동학의 교세 확산과 전파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3. 1. 신사판(辛巳版)

1881년 6월, 단양 남면 천동 여규덕의 집에서 간행된 최초의 판본이다.

3. 2. 계미판(癸未版) (경주판)

1883년 8월, 신사판을 바탕으로 경주에서 다시 간행된 판본이다. 목각 활자본으로 제작되었다.

3. 3. 계사판(癸巳版)

1893년에 간행된 목판본이다.

3. 4. 1922년판

1922년에 간행된 목판본이다.

4. 번역본

龍潭遺詞중국어는 한문과 한글 혼용체로 작성되어 있어 현대 독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따라서 여러 학자들에 의해 현대 한국어로 번역되었으며, 다양한 번역본이 출간되어 동학 연구와 대중화를 돕고 있다.

출판 연도저자출판사ISBN
1999년윤석산동학사978-89-7190-724-5
2000년이영노천법출판사211-11-5997-000-1
2000년증산교단대원출판사978-89-7261-608-5
2002년이세권글나무(동대문구)200-57-9500-021-9
2002년이세권글나무(동대문구)200-57-9500-022-6
2003년최동희 외집문당978-89-3030-974-5
2007년라명재모시는사람들978-89-9069-947-3
2009년윤석산동학사978-89-7190-264-6
2010년하종필보문각978-89-6220-057-7
2010년라명재모시는사람들978-89-9069-980-0
2022년김용옥통나무978-89-8264-1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