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수권은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농업, 공업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하천에서 물을 끌어 쓰거나 관련 시설을 설치하는 권리를 포함한다. 한국 민법에서는 공유하천용수권을 규정하며, 하천법에 따른 수리권도 존재한다. 영미법에서는 하천수리권과 호반권이 인정되며, 미국 서부에서는 우선 취득주의가 적용된다. 캘리포니아는 공동체 기반 할당 방식을 사용하며, 깨끗한 물에 대한 권리도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용수권의 역사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각 국가 및 지역의 법률과 관습에 따라 다르게 규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권법 - 부동산
부동산은 토지와 그 토지에 정착된 건물 등 이동이 불가능한 유형 자산으로, 민법에서 정의되며, 소유권 개념은 로마법과 그리스 철학에 기원을 두고,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근대적 소유권 제도가 도입되어 투기 및 가격 급등 문제를 야기했고, 다양한 주거 유형과 임대 방식이 존재하며, 환경 오염과 관련되어 친환경 개발 및 지속 가능한 투자가 중요해지고, 정부는 투기 해결을 위해 노력해왔다. - 물권법 - 지역권
지역권은 타인의 토지를 자신의 토지 편익을 위해 이용하는 권리이며, 명시적 수여, 묵시적 성립 등의 방법으로 창설되고 승역지 멸실, 포기 등으로 소멸한다.
| 용수권 | |
|---|---|
| 개요 | |
| 정의 | 물을 사용하거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권리 |
| 법적 기반 | 관습법 성문법 (일부 관할 구역) |
| 적용 범위 | 다양한 물의 출처 (표면수, 지하수 등) |
| 유형 | |
| 우선적 권리 (Prior Appropriation) | 먼저 사용한 사람이 우선권을 가짐 |
| 연안 권리 (Riparian Rights) | 물과 접한 토지 소유자에게 주어지는 권리 |
| 혼합 시스템 | 우선적 권리와 연안 권리를 혼합하여 적용 |
| 특징 | |
| 사용 목적 제한 | 특정 목적 (농업, 산업, 생활 용수 등)으로 제한될 수 있음 |
| 양도 가능성 |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양도 가능 |
| 소멸 조건 | 장기간 미사용 시 권리 소멸 가능 |
| 규제 | |
| 정부 규제 | 정부 기관이 수자원 관리 및 배분을 규제 |
| 환경 규제 | 수질 보전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한 규제 |
| 분쟁 해결 | 물 사용 권리에 대한 분쟁은 법원을 통해 해결 |
| 중요성 | |
| 경제적 중요성 | 농업, 산업, 에너지 생산 등에 필수적 |
| 사회적 중요성 | 식수 공급 및 위생 유지에 중요 |
| 환경적 중요성 | 생태계 유지 및 보전에 필수적 |
| 참고 | |
| 같이 보기 | 수자원 관리 물 분쟁 지속 가능한 개발 |
| 외부 링크 | 미국 환경 보호국 (EPA) 미국 매립국 (Bureau of Reclamation) |
2. 한국
한국 민법과 하천법은 용수권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민법상 공유하천용수권은 공유하천 연안에서 농업 또는 공업을 경영하는 자가 타인의 용수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한 물을 끌어 쓸 수 있는 권리(인수권)와 공작물 설치권을 규정한다.
하천법상 수리권은 공법상 권리로, 행정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하천법 등 공법이 적용되더라도 사법(私法) 적용이 완전히 배제되는 것은 아니므로, 공법 규정에 어긋나지 않는 한 행정기관에 대한 사법상 채권으로서 성격을 가진다.
2. 1. 민법상 공유하천용수권
민법 제231조는 공유하천의 연안에서 농업 또는 공업을 경영하는 자에게 타인의 용수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한 물을 끌어 쓸 수 있는 권리(인수권)와 공작물 설치권을 규정한다.[1]| 제231조 (공유하천용수권) |
|---|
| ① 공유하천의 연안에서 농업, 공업을 경영하는 자는 이에 이용하기 위하여 타인의 용수를 방해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필요한 인수를 할 수 있다. |
| ② 전항의 인수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작물을 설치할 수 있다. |
2. 1. 1. 의의
한국에서는 공유하천 근처에서 농업, 공업을 경영하는 자가 공유하천으로부터 물을 끌어쓰는 인수(引水)하거나, 인수를 위해 필요한 공작물을 설치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공유하천은 개인에게 속하는 하천을 제외한 모든 하천이다.2. 1. 2. 법적 성질
공유하천용수권은 공권과 사권의 성질을 모두 갖는다. 민법과 하천법의 규정을 모두 적용받기 때문이다.[1] 또한 연안 토지의 편익에 영향을 주는 점으로 인해 토지 소유권과는 독립된 용익물권으로 판단되기도 한다.[1]2. 1. 3. 성립 요건
농업 또는 공업 경영을 위해 연안 토지를 이용하는 자이어야 하며, 연안 토지 소유자는 해당하지 않는다. 또한, 한두 번의 인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 통념상 용수권을 취득했다고 인정될 정도로 상당 기간 인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인수로 인해 타인의 기존 용수권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2. 1. 4. 내용 및 효력
공유하천 용수권자는 연안 토지 이용에 필요한 물을 끌어 쓰고, 이를 위해 필요한 언, 보 등의 공작물을 설치할 수 있다. 타인의 방해 행위에 대해서는 물권적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2. 1. 5. 독립물권성 인정 여부
공유하천용수권은 토지 소유권과 독립된 물권이라는 견해와 이웃 토지 소유자 간의 용수 조절을 위한 일종의 상린관계라는 견해가 대립한다.2. 2. 하천법상 수리권
하천법상 수리권은 공법상 권리로, 행정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를 '허가' 또는 '특허'라고도 한다. 하천법 등 공법이 적용되더라도 사법(私法)의 적용이 완전히 배제되는 것은 아니므로, 공법 규정에 어긋나지 않는 한 행정기관에 대한 사법상 채권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일본에서는 '허가의 매매', '허가의 양도'와 같이 하천법 제33조 및 제34조에 따라 수리권 지위를 타인에게 이전할 수 있다. 수리권은 보통 수량이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경우(안정 수리권)에 인정되지만, 수리권을 남용하면 행정청이 허가를 취소하는 행정처분을 할 수 있다.[1]
2. 2. 1. 관행수리권
관련 법률 제정 이전의 약정에 따라 용수 이용이 인정되었던 자에게 부여되는 권리이다. 하천법 제87조(경과조치), 제88조(허가 등을 받은 것으로 간주되는 자의 신고)에 따른다. 1896년 하천법 제정 이전부터 농업용수 등으로 물을 끌어온 경우에 인정된다. 하천법 제정 후 2년 이내에 신고하도록 지도했지만, 하천 지정 이전부터 물을 끌어왔다는 사실이 사회적으로 인정되면 성립하므로, 신고 없이 관행수리권이 인정되는 경우가 많다.[1]2. 2. 2. 허가수리권
하천법에 따라 하천 관리자의 허가를 받아 발생하는 수리권이다. 일반적으로 10년 단위로 하천 관리자와 협의하여 갱신한다. 하천법상 하천 관리자의 허가 없이는 수리권의 매매나 양도가 불가능하다(제34조 제1항).2. 2. 3. 수리권의 종류
수리권은 수량이 안정적으로 이용 가능한 경우가 원칙이며, 이를 안정수리권이라 한다. 이 외에 잠정수리권, 풍수수리권, 잠정풍수수리권이 있다.- 안정수리권: 수량이 안정적으로 이용 가능한 경우의 수리권이다.
- 잠정수리권: 한시적으로 물 사용이 허가된 수리권이다.
- 풍수수리권: 풍수기에만 물 사용이 허가된 수리권이다.
- 잠정풍수수리권: 풍수기에 한시적으로 물 사용이 허가된 수리권이다.
2. 2. 4. 수리권 남용 시 제재
수리권을 남용하는 경우, 행정청은 허가를 취소하는 행정처분을 할 수 있다.[1]3. 종류 (국가별 비교)
용수권은 논의되는 권리의 맥락과 기원에 따라 달라진다. 전통적으로 용수권은 식수나 관개와 같은 기본적인 인간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물 이용을 의미한다. 또한, 여행, 상업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위한 수로의 물리적 점유도 포함될 수 있다. 각 유형의 용수권은 지역 및 국가 법률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국가 간 및 국가 하위 단위 내에서 이러한 권리를 논의하고 인정하는 데 차이가 있다.
3. 1. 영미법
영미법에서 물 권리는 종종 물이 정지해 있거나 흐르는 토지의 소유권에 기반한다.[2] 이러한 권리는 하천수리권 또는 호반권이라고 하며, 재산권에 의해 보호된다.3. 1. 1. 하천수리권과 호반권
영국 영미법에서는 "이동성이 있고 떠돌아다니는" 물에 대한 어떠한 권리도 그 아래의 "영구적이고 부동산인" 토지에 대한 권리에 기반해야 한다.[2]하천과 강에서는 이러한 권리를 하천수리권 또는 호반권이라고 하며, 재산권에 의해 보호된다. 하천수리 원칙에 따라 오랫동안 인정되어 온 법적 원리는 물을 마시거나 관개를 위해 끌어올리거나, 배수 또는 유출을 위해 하천에 더 많은 물을 추가할 권리를 포함한다. 하천수리법에 따라 물 권리는 "합리적 이용"의 기준에 따라 적용된다. 사법부는 "합리적 이용" 원칙을 "이 원칙과 이용 범위에 대한 진정한 기준은 다른 소유주에게 해를 끼치는지 여부"라고 정의했다.[3] 이용에 대한 제한 때문에 하천수리권 원칙은 "하류 사용자 규칙"으로 알려져 있으며, 하류 사용자는 상류 사용자가 침해할 수 없는 물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4]
3. 2. 우선 취득주의 (미국 서부)
물이 부족한 지역(미국 서부와 같이)에서는 유수의 배분이 우선 취득(Prior appropriation)에 기초한다. "취득 원칙은 실제로 물을 취수하고 사용하는 사람에게 합리적이고 유익한 용도로 사용하는 한 계속 그렇게 할 권리를 부여합니다." 이는 그 사람이 수로에 인접한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다.[5] "[취득자 간에는] 우선 순위 규칙이 '선착순'이다."20세기 우선 취득 수자권 시스템은 다음 다섯 가지 원칙으로 특징지어진다.
# 독점적 권리는 최초 취득자에게 주어지며, 그 이후 모든 권리는 선행 권리에 종속된다.
# 모든 권리는 유익한 용도에 종속된다.
# 물은 하천변 토지 또는 비하천변 토지(즉, 수원 옆 토지 또는 수원에서 떨어진 토지)에서 사용될 수 있다.
# 강이나 하천의 감소와 관계없이 취수가 허용된다.
# 미사용으로 권리가 상실될 수 있다.[7]
유익한 용도는 농업, 산업 또는 도시 용도로 정의된다. 수역과 그곳을 이용하는 야생 동물을 유지하는 것과 같은 환경적 용도는 일부 주에서는 처음에는 유익한 용도로 간주되지 않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받아들여졌다.[8]
모든 수자권은 연간 수량과 취득 날짜로 매개변수화된다. 수자권이 매각될 때 원래 취득 날짜는 유지된다.
3. 3. 공동체 기반 할당 (캘리포니아)
캘리포니아는 유역 내 공동체 및 기타 물 사용자에게 물이 발원하고 자연적으로 흐르는 곳에 위치한다는 이유만으로 취득(사용 기반) 수자권보다 선순위 지위를 부여한다.공동체 기반 수자권의 두 번째 예는 푸에블로 수자권이다. 캘리포니아에서 인정하는 바와 같이, 푸에블로 수자권은 개별 정착지(즉, 푸에블로)에 도시를 통과하는 모든 하천과 강, 그리고 그 특정 도시의 지하에 있는 모든 지하수 대수층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다. 푸에블로의 청구는 도시의 필요에 따라 확장되며 나중에 도시에 편입되는 지역의 필요를 충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9][10][11] 캘리포니아가 푸에블로 수자권을 인정하지만, 푸에블로 수자권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부 학자와 법원은 푸에블로 수자권 원칙이 스페인 또는 멕시코 수자권법에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주장했다.[12]
3. 4. 깨끗한 물에 대한 권리
많은 국가, 주,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수질과 수량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을 제정하고 있다. 정부의 수질 규제 권한은 하류의 항행 가능한 수역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전제에 기반한다. 미국의 경우, 깨끗한 물 법에 따라 하천법과 취수법에 따라 감소되지 않은 상태로 물을 받을 권리가 인정된다.4. 역사
고대 로마에서는 사람들이 용수를 사용하는 임시 소유권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권리는 토지 소유권과는 별개였으며, 사용이 계속되는 한 지속되었다.[15]
영국의 관습법에 따르면, 모든 조수는 왕실의 소유였고 모든 담수는 토지 소유권에 포함되어 모든 권리가 함께 제공되었다. 그러나 하천변의 원칙에 따라 토지 소유주는 상류 토지 소유주에 의해 감소되지 않은 물을 받을 권리가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권리는 엄격하게 토지 기반에서 사용 기반으로 발전하여 토지 소유주가 아닌 사람들도 깨끗한 물을 받을 수 있는 집행 가능한 권리를 갖도록 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합리적 사용 규칙이 발전했다.
5. 핀란드
핀란드에서 수역은 일반적으로 사유 재산이지만, 유수(aqua profluens)에 대한 로마법 원칙을 적용하여 수역의 자유롭게 흐르는 물은 소유하거나 점유할 수 없다. 이는 수역 소유주가 핀란드 수자원법 조항에 따라 농업, 산업, 시정, 가정용수의 유용을 금지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16] 별도의 법률이 용수 공급을 규정한다.[17] 또한 하천에 대한 공공 통행권이 존재한다.
참조
[1]
판례
Tyler v. Wilkinson
1827
[2]
서적
Blackstone Commentaries Vol.2
[3]
판례
Tyler v. Wilkinson
1827
[4]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Riparian Doctrine
https://www.ag.ndsu.[...]
2021-05-28
[5]
판례
United States v. State Water Res. Control Bd.
1986
[6]
판례
United States v. State Water Res. Control Bd.
1986
[7]
간행물
The Doctrine of Prior Appropriation and Its Impact on Water Development: A Critical Survey
[8]
웹사이트
Western States Instream Flow Summary
http://www.blm.gov/n[...]
[9]
판례
City of Los Angeles v. Pomeroy
1899
[10]
판례
Hooker v. City of Los Angeles
1903
[11]
판례
City of Los Angeles v. City of San Fernando
1978
[12]
판례
STATE of New Mexico, ex rel. Eluid L. MARTINEZ v. CITY OF LAS VEGAS
https://caselaw.find[...]
[13]
웹사이트
Research Guides : Public Rights in Water: Federal Navigation Servitude
https://guides.law.f[...]
2022-05-22
[14]
판례
Kaiser Aetna v. United States
https://scholar.goog[...]
1979
[15]
웹사이트
Property Rights and Environmental Policy: A New Zealand Perspective
http://www.treasury.[...]
New Zealand Treasury
[16]
웹사이트
FINLEX ® - Water Act
https://finlex.fi/fi[...]
2022-03-21
[17]
웹사이트
Water Services Act (119/2001)
Finlex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