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망원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 망원경은 지구 대기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전자기파를 관측하기 위해 지구 궤도에 설치된 망원경이다. 1946년 라이먼 스피처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1968년 OAO-2와 1971년 오리온 1 자외선 망원경이 최초로 발사되었다. 우주 망원경은 대기 간섭, 광공해를 받지 않고, 다양한 파장대의 관측이 가능하여 지상 망원경보다 높은 분해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제작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높고, 발사 및 수리가 어렵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허블 우주 망원경,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등 다양한 우주 망원경이 운영 또는 계획 중이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 및 국제 기구들이 개발 및 운용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망원경 - 누스타
누스타는 고에너지 X선을 관측하는 NASA의 우주망원경으로, 높은 감도와 해상도를 통해 초신성 잔해, 초대질량 블랙홀 등 다양한 천체 현상 연구에 기여하며 고에너지 천체물리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우주망원경 - 천체 사진기
천체 사진기는 천체 사진 촬영을 위해 설계된 망원경으로, 넓은 범위의 천체 관측, 소행성 탐지 등에 사용되며, 굴절, 반사, 반사-굴절 망원경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위치천문학적 분석, 천체 발견 등에 활용된다. - 미국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미국의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우주망원경 |
---|
2. 역사
라이먼 스피처가 우주 망원경을 제안한 이후, 1968년 미국의 OAO-2와 1971년 소련의 오리온 1 자외선 망원경이 최초로 작동 가능한 우주 망원경으로 발사되었다.
2. 1. 초기 제안과 발전
1946년, 미국의 이론 천체물리학자 라이먼 스피처는 "허블의 아버지"로 불리며 우주에 망원경을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1][2] 스피처의 제안은 지구 대기의 방해를 받지 않는 대형 망원경을 필요로 했다. 1960년대와 70년대에 이러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로비를 거쳐 스피처의 비전은 결국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구체화되었고, 1990년 4월 24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STS-31)에 의해 발사되었다.[3] 이 발사는 "허블의 어머니"로 불리며 NASA 최초의 천문학 수석 및 여성 임원이었던 낸시 그레이스 로먼의 많은 노력 덕분이었다.[4] 그녀는 허블이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는 점을 NASA, 의회 및 다른 사람들에게 설득하기 위해 노력한 프로그램 과학자였다.[5]최초의 작동 가능한 우주 망원경은 1968년에 발사된 미국의 궤도 천문대, OAO-2와 1971년 우주 정거장 살류트 1에 탑재된 소련의 오리온 1 자외선 망원경이었다.
3. 장점
우주 망원경은 지구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 훨씬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지구 대기에 의한 전자기파 흡수가 없어 감마선, X선, 자외선, 원적외선 등 지상에서 관측하기 어려운 전자기파를 관측할 수 있다.
둘째, 대기의 흔들림이 없어 허블 우주 망원경과 같이 망원경의 회절 한계까지 공간 분해능을 높일 수 있다.
셋째, 개구 합성법을 통해 지구보다 더 큰 구경의 관측 장치를 운용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3. 1. 대기 간섭 제거

지구 지상 관측소에서 천문학을 수행하는 것은 지구 대기로 인한 전자기파의 필터링 및 왜곡(별의 깜빡임)으로 인해 제한을 받는다. 지구 대기 밖에서 지구를 공전하는 망원경은 별의 깜빡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지구의 인공 광원으로부터의 광공해도 받지 않는다. 그 결과, 우주 망원경의 각 분해능은 종종 유사한 구경을 가진 지상 망원경보다 훨씬 더 높다. 그러나 많은 더 큰 지상 망원경은 적응 광학을 사용하여 대기 효과를 줄인다.[6]
우주 기반 천문학은 광학 창과 전파 창 외의 주파수 범위에서 더욱 중요하다. 이는 대기에 의해 심하게 감쇠되지 않는 전자기 스펙트럼의 두 가지 파장 범위이다.[6] 예를 들어, X선 천문학은 지구에서 수행할 때 거의 불가능하며, 찬드라 X선 관측소 및 XMM-뉴턴과 같은 궤도 X선 망원경으로 인해 천문학에서 현재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적외선과 자외선 또한 대부분 차단된다.
가장 큰 장점은 지구 대기에 의한 전자기파 흡수가 없다는 것이다. 감마선, X선, 자외선, 원적외선 등은 대기에 흡수되어 지상에서의 관측이 어렵다. 따라서 대기권 밖에 망원경을 설치함으로써 대기에 방해받지 않고 관측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대기의 유동에 의한 상의 흔들림이 없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자외선부터 근적외선까지의 파장 영역 관측을 수행하는데, 대기에 의한 상의 흔들림이 없기 때문에 망원경의 회절 한계까지 공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기와는 그다지 관계가 없지만, 개구 합성법을 통해 큰 구경의 관측 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있다. 지구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직경 약 12,756km가 개구 합성에 의한 최대 구경이 된다. 그러나 우주 공간에 전개하는 경우에는 그 제한이 없어진다.
3. 2. 높은 공간 분해능
지구 대기 밖에서 지구를 공전하는 망원경은 별의 깜빡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지구의 인공 광원으로부터의 광공해도 받지 않는다. 그 결과, 우주 망원경의 각 분해능은 종종 유사한 구경을 가진 지상 망원경보다 훨씬 더 높다. 그러나 많은 더 큰 지상 망원경은 적응 광학을 사용하여 대기 효과를 줄인다.[6]
허블 우주 망원경은 자외선부터 근적외선까지의 파장 영역 관측을 수행하는데, 대기에 의한 상의 흔들림이 없기 때문에 망원경의 회절 한계까지 공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3. 개구 합성 기술 활용
개구 합성법을 이용하면 지구 크기 이상의 거대한 관측 장비를 운용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지구에 설치할 경우 최대 구경은 약 12756km이지만, 우주 공간에서는 이러한 제한이 없다.4. 단점
우주 망원경은 제작 및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따르고, 높은 비용과 상대적으로 짧은 운용 기간이라는 단점이 있다.[1]
4. 1. 발사 및 유지 보수의 어려움
우주 망원경은 지상 망원경보다 제작 비용이 훨씬 많이 들고, 위치 때문에 유지 보수가 극도로 어렵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우주 왕복선으로 수리를 받았지만, 대부분의 우주 망원경은 전혀 수리할 수 없다.[1]우주망원경의 가장 큰 난점은 발사이다. 로켓으로 발사해야 하기 때문에 적재 중량에 제한이 있어, 구경 10m급 지상 망원경과 같은 큰 크기의 우주 망원경은 발사할 수 없다. 발사 실패의 위험도 있다. 게다가 일단 궤도에 올리면 일반적으로는 개수하거나 새로운 검출기를 장착할 수 없다.[1]
허블 우주 망원경은 발사 후 5차례에 걸쳐 우주왕복선에 의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졌지만, 우주왕복선이 운용되던 시기였고 지구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가능했던 예외적인 사례이다.[1]
4. 2. 높은 비용과 짧은 운용 기간
우주 망원경은 같은 크기의 지상 망원경보다 제작 비용이 훨씬 더 많이 든다. 또한, 우주 망원경은 위치 때문에 유지 보수가 극도로 어렵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우주 왕복선에 의해 수리를 받았지만, 대부분의 우주 망원경은 전혀 수리할 수 없다.허블 우주 망원경은 발사 후 5차례에 걸쳐 우주왕복선에 의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졌지만, 우주왕복선이 운용되던 시기였고 지구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가능했던 예외적인 사례이다.
게다가 같은 크기의 지상 망원경에 비해 비용이 더 비싸며, 일반적으로 운용 기간도 수년으로 짧다.
5. 세계의 우주 망원경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유럽 우주국(ESA),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등 다양한 국가와 기관에서 다양한 파장의 우주 망원경을 개발하고 운영해 왔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1990년 4월에 발사된 광학 망원경으로, 근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을 관측하여 은하와 별 관측, 우주 팽창 증거를 발견했다.[16]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은 1999년에 발사되어 X선으로 성운, 초신성 등을 관측한다.[16] 인테그랄 우주망원경은 2002년에 발사되어 감마선, X선, 가시광선으로 초신성 등을 관측한다.[16] 스피처 우주 망원경은 2003년에 발사되어 적외선으로 우주 먼지와 가스에 가려진 열을 관측했다.[16] 은하진화탐사선(GALEX)은 연세대학교 등 여러 기관이 참여하여 2003년 발사한 자외선 우주 망원경이다.[16] 과학기술위성 1호는 한국천문연구원 등이 개발하여 2003년 발사한 자외선 관측 장비 FIMS를 탑재한 한국의 우주망원경이다.[16] 아카리(AKARI)는 서울대학교 등이 참여하여 2006년 발사한 일본의 적외선 우주망원경이다.[16] 페르미 우주망원경은 2008년 발사된 감마선 우주망원경이다.[16]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2009년 발사되어 외계 행성을 찾는 임무를 수행했다.[16] 허셜 우주망원경과 플랑크 우주망원경은 2009년 함께 발사되었다.[16] 허셜은 원적외선과 서브밀리미터파 영역을, 플랑크는 적외선 마이크로파로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한다.[16] 와이즈(WISE)는 2009년 발사된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소행성 등을 발견한다.[16] 라디오아스트론(RadioAstron)은 2011년 발사된 러시아의 전파 우주망원경이다.[16] 과학기술위성 3호는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하여 2013년 발사한 미리스(MIRIS)를 탑재한 한국의 우주 망원경이다.[16] 히사키(Hisaki)는 2013년 발사된 일본의 극자외선 우주망원경이다.[16] 아스트로샛(Astrosat)은 2015년 발사된 인도의 우주망원경으로, X선, 자외선, 가시광선을 관측한다.[16]
테스(TESS)는 2018년 발사된 NASA의 우주망원경으로, 외계 행성 탐사를 수행한다.[16]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은 2021년 발사된 우주망원경으로, 허블 우주 망원경을 잇는 차세대 망원경이다.[16]
5. 1. 운영 중 또는 운영 종료된 우주 망원경
망원경 이름 | 주관 기관 | 발사일 | 관측 파장 | 주요 임무 | 비고 |
---|---|---|---|---|---|
허블 우주 망원경(HST) | 미국 항공우주국(NASA) | 1990년 4월 24일 | 근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 은하와 별 관측, 우주 팽창 증거 발견 | [1] |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CXO) | NASA | 1999년 7월 23일 | X선 | 성운, 초신성, 퀘이사, 블랙홀 X선 관측 | [1] |
인테그랄 우주망원경(INTEGRAL) | 유럽 우주국(ESA) | 2002년 10월 17일 | 감마선, X선, 가시광선 | 초신성, 감마선 폭발, 블랙홀 관측 | [1] |
스피처 우주 망원경(SST) | NASA | 2003년 8월 25일 | 적외선 | 우주 먼지와 가스에 가려진 천체 관측 | 2020년 1월 30일 운영 종료[1] |
은하진화탐사선(GALEX) | NASA, 연세대학교 등 | 2003년 4월 | 자외선 | 은하 진화 연구 | [1] |
과학기술위성 1호 | 한국천문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UC 버클리 | 2003년 9월 | 자외선 | FIMS 탑재 | [1] |
아카리(AKARI) |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서울대학교, ESA 등 | 2006년 2월 | 적외선 | 2011년 11월 운영 종료[1] | |
페르미 우주망원경(FGST) | NASA | 2008년 6월 11일 | 감마선 | 고에너지 천체, 블랙홀 제트 탐사 | [1] |
케플러 우주망원경 | NASA | 2009년 3월 6일 | 가시광선 | 외계 행성 탐사 | 2018년 10월 운영 종료[1] |
허셜 우주망원경 | ESA | 2009년 5월 14일 | 원적외선, 서브밀리미터파 | 2013년 4월 운영 종료[1] | |
플랑크 우주망원경(Planck) | ESA | 2009년 5월 14일 | 적외선, 마이크로파 | 우주배경복사(CMB) 관측 | [1] |
와이즈(WISE) | NASA | 2009년 12월 14일 | 적외선 | 소행성, 혜성, 왜성 등 태양계 천체 발견 | [1] |
라디오아스트론(RadioAstron) | 러시아천체과학센터(ASC) | 2011년 7월 18일 | 전파 | 전파간섭계 기술 이용, 블랙홀, 은하 구조, 암흑물질 탐사 | [1] |
과학기술위성 3호 | 한국천문연구원 | 2013년 11월 | 근적외선 | 미리스(MIRIS) 탑재, 우리 은하면, 우주 적외선 배경 복사 관측 | [1] |
히사키(Hisaki) |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 2013년 9월 14일 | 극자외선 | 목성 플라스마, 태양계 초기 환경 연구 | [1] |
아스트로샛(Astrosat) | 인도우주연구기구(ISRO) | 2015년 9월 28일 | X선, 자외선, 가시광선 | 블랙홀, 중성자별, 은하단 관측 | [1] |
유포(UFFO-Pathfinder) | 성균관대학교, 삼성전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세대학교 등 | 2016년 4월 28일 | 감마선 | 감마선 폭발 관측 | [1] |
테스(TESS) | NASA | 2018년 4월 18일 | 가시광선, 근적외선 | 외계 행성 탐사 | [1]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 | NASA | 2021년 12월 25일 | 적외선 | 허블 우주 망원경 후속, 심우주 관측 | [1] |
5. 2. 계획 중 또는 중단된 우주 망원경
아몬라(AMONRA)는 연세대학교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이 개발 중인 우주 망원경으로, 지구가 아닌 지구 온난화를 측정하기 위해 지구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측정할 예정이다.[16]유포(UFFO: Ultra-Fast Flash Observatory)는 한국(성균관대, 삼성전자 이미지사업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세대), 스페인, 타이완, 덴마크, 러시아가 공동으로 개발한 감마선폭발 관측 망원경이다. 첫 망원경인 유포-pathfinder는 2016년 4월 28일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유포는 NASA의 스위프트 위성보다 빠른 초기광(early photons) 포착을 목표로 한다.[16]
세계 우주 망원경(World Space Observatory)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대체하지 못하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자외선 관측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다.[16]
스피카(SPICA)는 일본에서 계획했던 적외선 관측 우주 망원경으로, 약 2m 이상의 주경을 탑재할 계획이었다.[16]
첨단기술 대구경 우주망원경(Advance Technology Large Aperture Space Telescope)은 현재 기획 단계에 있으며, 제작된다면 허블 우주 망원경의 후계자가 될 우주 망원경이다. 8m 단일 거울 또는 16m segmented 거울 중 하나로 제작될 예정이며, 자외선에서 적외선까지의 파장 영역을 담당한다. 2020년 전후에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었다.[16]
순천(Xuntian)은 중국이 2024년에 발사할 예정인 우주 망원경이다.[14] 허블 우주 망원경의 300배의 시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10년 동안 전천체의 40%를 촬영할 것으로 기대된다.
낸시 그레이스 로만 우주 망원경(WFIRST)은 미국이 2025년에 발사할 예정이며, 허블 우주 망원경과 동일한 구경인 2.4m 주경을 갖추고 100배의 광시야에 걸쳐 근적외선 관측을 수행하는 우주 망원경이다.[15]
우주 중력파 망원경(LISA)은 미국과 유럽 연합이 계획 중인 초장선형 중력파 망원경이다. 3대의 레이저 간섭계로 구성된 최장 300만km의 초장선형 레이저 간섭계를 우주 공간에 전개하여 관측을 수행하는 계획이다. 2034년에 인공 행성 궤도에 구축될 예정이다.
빅뱅 옵저버(Big Bang Observer)는 미국과 유럽 연합이 구상 중인 LISA의 후속기이며, 보다 고정밀도의 관측을 수행한다.
대형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우주 망원경(LUVIOR)은 미국이 구상 중이며, 직경 15.1m의 LUVOIR-A와 직경 8m의 LUVOIR-B 두 종류를 설계한다. LUVOIR는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의 파장의 빛을 관측하는 것을 상정한다.
오리진스 우주 망원경(Origins Space Telescope)은 미국이 구상 중인 중・원적외선 우주 망원경으로, 2035년 발사를 상정하고 있다.
그 외에도 전파 천문 위성 「하루카」의 후속 위성 (ASTRO-G)과 국제 우주 정거장 (ISS)에서의 관측 (EUSO 계획) 등도 현재 계획이 입안되어 검토 및 개발, 그리고 관측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
6. 관련 연구 기관
우주 망원경을 구축하고 운용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한 국가만으로는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관측 장비 및 망원경 본체의 구축 또한 국제 협력 체제 하에서 진행되고 있다.
국가/지역 | 기관 |
---|---|
미국 | 미국 항공우주국(NASA) |
유럽 연합 | 유럽 우주국(ESA) |
중국 | 중국 국가항천국(CNSA) |
러시아 | 로스코스모스(Roscosmos) |
일본 |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국립천문대(NAOJ) |
6. 1. 한국
한국천문연구원(KASI),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6. 2. 국제
우주 망원경을 구축하고 운용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한 국가만으로는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관측 장비 및 망원경 본체의 구축 또한 국제 협력 체제 하에서 진행되고 있다.국가/지역 | 기관 |
---|---|
미국 | 미국 항공우주국(NASA) |
유럽 연합 | 유럽 우주국(ESA) |
중국 | 중국 국가항천국(CNSA) |
러시아 | 로스코스모스(Roscosmos) |
일본 |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국립천문대(NAOJ) |
참조
[1]
웹사이트
Lyman Spitzer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01-07
[2]
웹사이트
Hubble Essentials: About Lyman Spitzer, Jr.
http://hubblesite.or[...]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3]
웹사이트
Hubble Essentials: Quick Facts
http://hubblesite.or[...]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4]
웹사이트
The mother of hubble
https://esahubble.or[...]
2024-06-04
[5]
웹사이트
Dr. Nancy Grace Roman (1925-2018)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06-05
[6]
웹사이트
Why a Telescope in Space?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01-07
[7]
웹사이트
As NASA's Telescopes Falter, Astronomers Fear Losing Their Eyes In Space
https://www.ndtv.com[...]
2018-10-19
[8]
뉴스
NASA prepares next steps in development of future large space telescope
https://spacenews.co[...]
SpaceNews
2023-01-24
[9]
뉴스
JWST Heralds a New Dawn for Exoplanet Science -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is opening an exciting new chapter in the study of exoplanets and the search for life beyond Earth
https://www.scientif[...]
Scientific American
2023-01-24
[10]
웹사이트
打ち上げから30周年を迎えたハッブル宇宙望遠鏡
https://www.astroart[...]
2021-01-23
[11]
웹사이트
IXO
https://asd.gsfc.nas[...]
2019-07-31
[12]
웹사이트
次世代赤外線天文衛星SPICAをESA中型ミッション5号機候補から取り下げ
https://www.isas.jax[...]
2021-07-07
[13]
웹사이트
次世代赤外線天文衛星 SPICA
https://www.ir.isas.[...]
2020-09-09
[14]
journal
我国空间站的空间科学与应用任务
http://www.bulletin.[...]
CAS
2016-05-02
[15]
웹사이트
NANCY GRACE ROMAN SPACE TELESCOPE
https://roman.gsfc.n[...]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20-09-08
[16]
서적
과학동아 413호
동아사이언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