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레미소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레미소나무는 높이가 25~40m에 달하는 상록수로, 짙은 갈색의 우들투들한 나무껍질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잎은 십자생 형태로 나지만 두세 개의 평평한 배열을 이루며, 잎이 성숙하면 밝은 라임빛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변한다. 구과는 녹색이며 풍매전파 후 18~20개월 후에 익어 씨앗을 떨어뜨린다. 1994년 울레미 국립공원에서 발견되었으며, 2억 년 된 아라우카리아과의 일부 특성을 가지고 있다. 60그루 미만의 성목이 자생하며, 유전자 검사 결과 10,000~26,000년 전 유전적 병목 현상을 겪은 것으로 추정된다. 2005년에는 피토프토라 키나모미에 감염되었고, 2019-2020년 호주 산불로 인해 숲이 화재 위기에 처했으나 보존 노력을 통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기재된 분류군 - 로도고르곤과
    로도고르곤과는 홍조식물문에 속하는 과로, 로도고르곤속, 로데니그마속, 레누시아속을 포함하며 멕시코, 카리브해 등 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3개의 속과 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라우카리아과 - 칠레소나무
    칠레소나무는 칠레와 아르헨티나 남부 안데스 산맥이 원산지인 아라우카리아과의 상록침엽수 교목으로, "몽키 퍼즐"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원주민들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이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
  • 아라우카리아과 - 아라우카리아속
    아라우카리아속은 남양삼나무라고도 불리는 남반구의 상록 침엽수 속으로, 키가 큰 교목이며 독특한 수형과 식용 가능한 씨앗을 특징으로 하고, 일부 종은 관상용 또는 목재 생산에 활용되나 서식지 파괴로 보존이 필요하며, 4개의 절로 나뉜다.
울레미소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웨이크허스트 플레이스 삼림지대의 울레미소나무
웨이크허스트 플레이스 삼림지대의 울레미소나무
멸종 위기 정보위기(IUCN 3.1)
학명Wollemia nobilis
학명 명명W.G.Jones, K.D.Hill & J.M.Allen, 1995
울레미소나무속
속 명명W.G.Jones, K.D.Hill & J.M.Allen
분류
식물계
구과식물문
구과목
아라우카리아과

2. 특징

울레미소나무는 묘목은 천천히 자라지만[3] 성목은 매우 오래 산다. 일부 나이가 많은 개체는 수령이 500~1000년에 이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8]

2. 1. 형태

울레미소나무는 높이가 25~40m에 달하는 늘푸른나무이다. 나무껍질은 매우 독특한데, 짙은 갈색을 띠며 표면이 우들투들해 코코 팝스 시리얼과 닮았다고 한다.[7] 숲은 쉽게 발견되며, 대부분의 표본목들이 복수의 줄기를 가지고 있거나 오래된 숲의 생장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줄기의 군생이 나타난 것이며, 일부는 각자 크기가 다른 최대 100개의 줄기로 구성되어 있다.[3] 거의 모든 곁가지가 더 이상 가지를 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가지가 자란 지 수 년 후에는 각 가지 끝에 구화수(수구화수 또는 암구화수)가 달리거나 생장이 멈춘다. 암구화수가 달릴 경우, 구과가 익으면 가지가 죽는다. 그런 다음 원줄기의 휴면아에서 새로운 가지가 생긴다. 드물게 곁가지가 곧게 펴져 2차 줄기로 발달해 이를 중심으로 새로운 곁가지들이 생기기도 한다.

삽목시킨 4년생 울레미소나무 화분


은 평평한 선형이며 길이 3~8cm, 폭 2~5mm이다. 잎은 눈에서 십자생의 형태로 나지만 두세 개의 평평한 배열로 나타나도록 잎의 기부가 꼬여있다. 잎이 성숙하면 밝은 라임빛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변한다.[8] 구과는 녹색이며 길이 6~2cm, 지름 5~10cm이며, 풍매전파 후 약 18~20개월 후에 익는다. 이후 분해되어 작고 갈색이며 얇고 가장자리에 바람으로 인한 전파를 도와줄 날개가 달린 씨앗을 떨어뜨린다.[3] 수구화수는 길이 5~11cm, 폭 1~2cm의 가느다란 구과 모양이며 적갈색을 띠고 있으며, 나무에서 개화할 때 암구화수보다 더 낮은 높이에 생긴다.[3] 묘목은 천천히 자라는 듯이 보이며[3] 성목은 매우 오래 산다. 일부 나이가 많은 개체목들의 경우 수령을 측정해볼 때 500~1000년 정도에 이른다.[8]

2. 2. 생장

울레미소나무는 높이가 25~40m에 달하는 늘푸른나무이다.[7] 묘목은 천천히 자라지만[3] 성목은 매우 오래 산다. 일부 나이가 많은 개체는 수령이 500~1000년에 이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8]

은 평평한 선형이며 길이 3~8cm, 폭 2~5mm이다. 잎은 눈에서 십자생 형태로 나지만, 잎의 기부가 꼬여 있어 두세 개의 평평한 배열로 나타난다. 잎이 성숙하면 밝은 라임빛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변한다.[8] 구과는 녹색이며 길이 6~12cm, 지름 5~10cm이며, 풍매전파 후 약 18~20개월 후에 익는다. 이후 분해되어 작고 갈색이며 얇고 가장자리에 바람으로 인한 전파를 도와줄 날개가 달린 씨앗을 떨어뜨린다.[3] 수구화수는 길이 5~11cm, 폭 1~2cm의 가느다란 구과 모양이며 적갈색을 띠고, 나무에서 개화할 때 암구화수보다 더 낮은 높이에 생긴다.[3]

이 나무의 숲은 쉽게 발견되며, 대부분의 표본목들이 복수의 줄기를 가지고 있거나 오래된 숲의 생장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줄기의 군생이 나타난 것이며, 일부는 각자 크기가 다른 최대 100개의 줄기로 구성되어 있다.[3] 거의 모든 곁가지가 더 이상 가지를 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가지가 자란 지 수 년 후에는 각 가지 끝에 구화수(수구화수 또는 암구화수)가 달리거나 생장이 멈춘다. 암구화수가 달릴 경우, 구과가 익으면 가지가 죽는다. 그런 다음 원줄기의 휴면아에서 새로운 가지가 생긴다. 드물게 곁가지가 곧게 펴져 2차 줄기로 발달해 이를 중심으로 새로운 곁가지들이 생기기도 한다.

2. 3. 번식

울레미소나무의 구과는 녹색이며 길이 6~12cm, 지름 5~10cm이며, 풍매(바람)로 꽃가루받이를 한 후 약 18~20개월 후에 익는다.[3] 그 후 분해되어 작고 갈색이며 얇고 가장자리에 바람으로 씨앗을 퍼트리는데 도움을 주는 날개가 달린 씨앗을 떨어뜨린다.[3] 수구화수는 길이 5~11cm, 폭 1~2cm의 가느다란 구과 모양이며 적갈색을 띠고 있고, 나무에서 개화할 때 암구화수보다 더 낮은 높이에 생긴다.[3]

3. 역사

울레미소나무는 1994년 9월 10일경 데이비드 노블, 마이클 카슬린, 토니 짐머만이 울레미 국립공원 지역을 탐험하던 중 발견되었다.[7] 이들은 새로운 협곡을 찾고 있었는데, 노블은 식물학 지식을 바탕으로 울레미소나무의 독특한 나무껍질을 보고 비범한 식물임을 직감했다.

노블은 표본을 채취하여 윈 존스 (울레미 국립공원 식물학자)와 얀 앨런(식물원)에게 동정을 의뢰했다.[9] 발견 사실은 약 6개월간 비밀로 유지되었으며, 헬리콥터가 실수로 나뭇가지를 잘라낼 뻔한 사건도 있었다.[10] 이후 울레미소나무는 발견자 노블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11][12] 최초 삽화는 데이비드 맥케이가 그렸다.[13]

울레미소나무와 다른 침엽수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 결과, 2억 년 전 아라우카리아과의 특성을 보이지만 현생 종과는 유사하지 않아 새로운 속으로 분류되었다.

60그루 미만의 성목이 네 곳에서 자생하나, 대부분 여러 줄기로 이루어져 있고 뿌리가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개체 수 파악은 어렵다. 유전자 검사 결과 모든 표본이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하여, 10,000~26,000년 전 유전적 병목 현상을 겪으며 개체 수가 급감하고 유전적 다양성이 사라졌음을 시사한다.[14][15][16]

3. 1. 발견

1994년 9월 10일경, 데이비드 노블, 마이클 카슬린, 토니 짐머만이 꾸린 팀이 새로운 협곡을 찾기 위해 울레미 국립공원 지역을 탐험하던 중 울레미소나무가 발견되었다.[7] 노블은 식물학 지식이 뛰어나 울레미소나무의 독특한 나무껍질을 보고 추가 연구 가치가 있음을 알아차렸다.

노블은 표본을 채취하여 울레미 국립공원의 식물학자 윈 존스와 식물원의 얀 앨런에게 동정을 의뢰했다.[9]The discovery of the specimens, with their literary knowledge of fossil traces, is similar to Gerard Krefft's finding of the Australian lungfish in January 1870.영어 확인 후에도 울레미 국립공원은 비밀을 유지했으며, 발견자들은 약 6개월 동안 발견 규모를 알지 못했다. 울레미 국립공원에서 구과를 채집하던 헬리콥터가 실수로 나무 중 하나의 가지를 잘라낼 뻔한 사건도 있었다.[10] 이후 울레미소나무는 데이비드 노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1][12]

울레미소나무의 최초 삽화는 식물삽화가이자 과학 일러스트레이터인 데이비드 맥케이가 그렸다.[13]

다른 침엽수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했다. 초기에는 2억 년 된 아라우카리아과의 특성을 보였지만, 현생 종과는 유사하지 않다는 점이 의문이었다. 현생 및 화석화된 아라우카리아과와의 비교를 통해 아라우카리아과에 속하며, 아가티스속과 아라우카리아속 외의 새로운 속으로 분류되었다.

60그루 미만의 성목이 네 곳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나무는 여러 줄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계가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개체수 파악이 어렵다. 유전자 검사 결과 모든 표본이 유전적으로 유사하여, 10,000~26,000년 전 유전적 병목 현상을 겪으며 개체 수가 극도로 감소하여 유전적 변동성이 사라졌음을 시사한다.[14][15][16]

4. 보존

울레미소나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를 보존하기 위한 여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4. 1. 위협 요인

2005년 11월, 야생에서 자라는 울레미소나무들이 밤나무 잉크병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난균류인 피토프토라 키나모미(''Phytophthora cinnamomi'')에 감염된 것으로 밝혀졌다.[17] 뉴사우스웨일스 공원 관리인들은 허가받지 않은 방문객들이 이 균을 유입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울레미소나무의 위치는 아직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다.[17]

2019~2020년 호주 산불 때 울레미소나무 숲은 화재로 인해 위기에 처했다.[18]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 관리국의 전문 소방관들이 전원 지방 소방국의 지원을 받아 관개 시스템을 설치하고 소화제를 투하하여 야생 울레미소나무를 구조했다.[9][18][19][20][21]

5. 계통

분자 데이터에 대한 최신 분기학적 분석에 따르면, 아라우카리아과 내에서 울레미소나무속은 아가티스속과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지며, 이 두 속은 아라우카리아속과는 별개의 분기군을 형성한다.

참조

[1] 간행물 "''Wollemia nobilis''" 2021-11-12
[2] 웹인용 "Wollemia nobilis: The Australian Botanic Garden, Mount Annan – April" https://www.rbgsyd.n[...] Royal Botany Gardens, Sydney 2015-10-30
[3] 보고서 Wollemia nobilis (Wollemi Pine) Recovery Plan https://www.environm[...] New South Wales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2018-12-14
[4] 웹인용 "Pacific Horticulture {{!}} 험볼트 식물원" https://pacifichorti[...] 2023-05-27
[5] 뉴스 Wollemi pines are dinosaur trees https://theconversat[...] 2020-01-23
[6] 저널 In situ pollen diversity in the relict conifer Wollemia nobilis 2023-02
[7] 서적 The Wollemi Pine: The incredible discovery of a living fossil from the age of the dinosaurs Text Publishing
[8] 웹인용 wollemi pine/facts & figures http://www.rbgsyd.go[...] Royal Botanic Gardens, Sydney 2011-08-02
[9] 뉴스 Aussie firefighters save world's only groves of prehistoric Wollemi pines https://www.npr.org/[...] NPR News 2020-01-17
[10] 웹인용 The Wollemi Pine — a very rare discovery http://www.rbgsyd.go[...] Royal Botanic Gardens, Sydney 2007-02-08
[11] 웹인용 "''Wollemia nobilis''" https://www.anbg.gov[...] Parks Australia 2022-09-17
[12] 뉴스 David Noble y ''Wollemia nobilis'': la sorpresa de encontrar un árbol desconocido para la ciencia https://elpais.com/e[...] 2022-09-17
[13] 뉴스 David Mackay http://newengland.fo[...] 2017-12-20
[14] preprint The genome of the Wollemi pine, a critically endangered "living fossil" unchanged since the Cretaceous, reveals extensive ancient transposon activity https://www.biorxiv.[...] 2023-09-15
[15] 뉴스 Mystery of 'living fossil' tree frozen in time for 66 million years finally solved https://www.livescie[...] 2023-09-15
[16] 저널 Comparative genetic study confirms exceptionally low genetic variation in the ancient and endangered relict conifer, ''Wollemia nobilis'' (Araucariaceae)
[17] 뉴스 Wollemi pine infected by fungu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09-20
[17] 뉴스 Fungus threatens wild Wollemi pines http://www.abc.net.a[...] 2012-09-20
[18] 뉴스 Incredible, secret firefighting mission saves famous 'dinosaur trees' https://www.smh.com.[...] 2024-02-08
[19] 뉴스 Firefighters save endangered Wollemi pines from NSW bushfires https://www.theguard[...] 2020-01-22
[20] 뉴스 Australia firefighters save world's only rare dinosaur trees https://www.sfgate.c[...] 2020-01-16
[21] 뉴스 Hemmelig aksjon reddet forhistorisk skog fra brannene i Australia https://www.nationen[...] NTB 2020-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