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칠레소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레소나무(Araucaria araucana)는 아라우카리아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으로, 칠레와 아르헨티나의 안데스 산맥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잎은 삼각형 모양이며, 구과를 맺는다. 칠레소나무는 '몽키 퍼즐'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마푸체족에게는 중요한 식량 자원이자 문화적 상징이다. 이 나무의 씨앗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목재로도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벌채와 산불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레의 나무 - 루쿠마
    루쿠마는 에콰도르와 페루 안데스 산맥 원산의 상록수로, 열매는 익으면 밤색 또는 노란색을 띠며 독특한 풍미를 가진다.
  • 칠레의 나무 - 볼도
    칠레 중부 경엽수림에서 자생하는 볼도는 캠퍼 향이 나는 쓴맛의 잎이 요리에 사용되고 열매는 맛과 영양이 풍부하지만, 독성 물질인 아스카리돌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 아라우카리아과 - 아라우카리아속
    아라우카리아속은 남양삼나무라고도 불리는 남반구의 상록 침엽수 속으로, 키가 큰 교목이며 독특한 수형과 식용 가능한 씨앗을 특징으로 하고, 일부 종은 관상용 또는 목재 생산에 활용되나 서식지 파괴로 보존이 필요하며, 4개의 절로 나뉜다.
  • 아라우카리아과 - 울레미소나무
    울레미소나무는 호주에서 발견된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상록수로서, 쥐라기 시대 식물군의 마지막 생존자로 여겨지며 독특한 껍질과 형태를 지니고 있지만, 현재는 멸종 위협에 직면하여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아르헨티나의 나무 - 파라나소나무
    파라나소나무는 남미 지역에 분포하는 상록 교목이지만, 목재 벌목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씨앗은 식용으로 사용되고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아르헨티나의 나무 - 구아바 (종)
    구아바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과일 나무로, 다양한 껍질과 과육 색깔을 가진 열매를 맺으며 비타민 C가 풍부하지만, 원산지 외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칠레소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칠레소나무
학명Araucaria araucana
명명자(Molina) K.Koch, 1873
일반적인 높이1-1.5 미터
최대 높이30-40 미터
향명 (영어)monkey puzzle tree, monkey tail tree, chilean pine
분류
식물계
구과식물문
구과식물강
구과목
아라우카리아과
아라우카리아속
칠레소나무
보호 상태
IUCN멸종 위기 (EN)
CITES부속서 I
이명
이명 목록Abies araucana (Molina) Poir.
Abies columbaria (Dum.Cours.) Dum.Cours.
Araucaria araucana f. virgata Schwer.
Araucaria araucana var. angustifolia Dallim. & A.B.Jacks.
Araucaria araucana var. aurea (Dallim. & A.B.Jacks.) Dallim. & A.B.Jacks.
Araucaria araucana subsp. conguillioensis Silba
Araucaria chilensis Mirb.
Araucaria dombeyi A.Rich.
Araucaria imbricata Pav.
Araucaria imbricata var. aurea Dallim. & A.B.Jacks.
Araucaria imbricata var. platifolia G.Nicholson
Araucaria imbricata var. variegata Gordon
Columbea imbricata (Pav.) Carrière
Columbea imbricata var. densa Carrière
Columbea imbricata var. denudata Carrière
Columbea imbricata var. distans Carrière
Columbea imbricata var. latifolia Carrière
Columbea imbricata var. striata Carrière
Columbea imbricata var. variegata (Gordon) Carrière
Columbea quadrifaria Salisb.
Dombeya araucana (Molina) Raeusch.
Dombeya chilensis Lam.
Pinus araucana Molina
Pinus columbaria Dum.Cours.

2. 이름

"소나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소나무과가 아니라 아라우카리아과에 속한다.

종소명 araucanala는 "아라우코의"라는 뜻이다.

세일즈포스 파크(샌프란시스코)의 칠레소나무


칠레소나무의 실루엣은 매우 인상적이며 아르헨티나와 칠레 남부 지역의 상징이 되었다. 예를 들어, 칠레소나무는 네우켄주와 아라우카니아 주의 문장에 등장한다.


1780년대 유럽인들이 칠레에서 처음 발견했으며,[22][23] 1782년 몰리나가 Pinus araucanala로 명명했다.[24] 1789년, 드쥐시외는 이 종을 기반으로 Araucariala라는 새로운 속을 만들었고,[25] 1797년, 파본은 이 종을 Araucaria imbricatala라고 부르는 새로운 설명을 발표했는데, 이는 몰리나의 종명을 사용하지 않은 잘못된 이름이었다.[26] 마지막으로 1873년, 여러 차례 재기술된 후 코흐가 Araucaria araucanala라는 조합을 발표하여[27] 몰리나의 종명을 인정했다.

araucanala라는 이름은 칠레에서 나무의 씨앗(견과류)을 식용으로 사용했던 원주민인 아라우카니아인에서 유래했다. 안데스 산맥에 거주하는 아라우카니아인의 한 부족인 페우엔체족은 칠레소나무 씨앗 채집을 기반으로 한 식단 때문에 그 이름을 얻었다. pewenarn 또는 스페인어 표기인 pehuenes은 칠레소나무를 의미하고, chearn는 마푸둔군에서 사람을 의미한다. 그들은 페우엔이 자손을 먹이기 위해 신 또는 gwenachenarn에 의해 주어졌다고 믿는다. 칠레와 아르헨티나 양국에서는 나무가 제공하는 풍족한 식량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많은 페우엔 수확 축제(ngillatunarn)가 열린다.[28]

영어 이름 "몽키 퍼즐(monkey puzzle영어)"의 유래는 약 1850년경 영국에서 초기 재배가 시작되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 종은 정원에서 매우 드물었고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윌리엄 몰레스워스 경이 보드민 근처 펜캐로 정원에 있는 어린 칠레소나무를 친구들에게 보여주던 중, 그중 한 명인 저명한 변호사이자 벤담주의자인 찰스 오스틴이 "It would puzzle a monkey to climb that영어(원숭이도 저 나무를 오르기가 힘들겠군)"이라고 말했다.[29] 당시 이 종에는 일반적인 이름이 없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몽키 퍼즐러(monkey puzzler영어)", 그리고 "몽키 퍼즐(monkey puzzle영어)"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현재 펜캐로에는 성숙한 몽키 퍼즐 나무들이 가로수길을 이루고 있다.[30]

3. 분포

칠레 중부의 아라우카리아 아라우카나 분포 지도


칠레 중남부와 아르헨티나 서남부에 분포한다.[33] 주로 안데스 산맥의 해발 1000m에서 1800m 사이의 아래쪽 사면에서 자라며,[6][33] 때로는 600m 정도의 낮은 지역에서도 개체가 발견되기도 한다.[33] 칠레 해안 산맥에서는 남위 38°30' 부근의 빌라 라스 아라우카리아스까지 남쪽으로 해발 640m 고도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다.[7]

배수가 잘 되는 약산성의 화산 토양을 선호하지만, 배수가 잘 된다면 거의 모든 토양 유형을 견딜 수 있다. 어린 나무는 넓은 피라미드형 또는 원추형의 수형을 보이며, 나이가 들면서 점차 독특한 우산 모양으로 변한다.[8] 묘목은 생존 경쟁력이 약한 편이어서, 주로 숲의 빈 공간이나 노출된 고립된 지역에서 자란다. 칠레대나무(Chusquea culeou), 돔베이 남부 너도밤나무(Nothofagus dombeyi), 푸밀리오 남부 너도밤나무(Nothofagus pumilio)와 같은 식물들은 칠레소나무보다 우세한 경우가 많아 함께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다.[9]

과거 무분별한 벌목과 방화 등으로 서식지가 크게 파괴되어 현재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33]

4. 생태와 특징

키가 30m~40m까지 자라는 교목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나뭇진이 있고 가지는 돌려 난다.

칠레소나무의 잎


어린 칠레소나무


잎은 두껍고 질기며 비늘 모양이고 삼각형이다. 길이는 3cm~4cm, 밑 부분의 너비는 1cm~3cm이며, 가장자리와 끝이 날카롭다. 잎의 평균 수명은 24년으로[4], 오래된 가지를 제외한 나무 대부분을 덮는다.

보통 암수딴그루로 수꽃과 암꽃이 다른 나무에 달리지만, 드물게 암수 한 그루인 개체도 있다. 수꽃(꽃가루) 구과는 길쭉한 오이 모양으로, 처음에는 길이가 4cm 정도지만 꽃가루가 나올 때는 길이 8cm~12cm, 폭 5cm~6cm로 커진다. 풍매화이다. 암꽃(종자) 구과는 수분 후 약 18개월이 지나 가을에 성숙한다. 구형이고 크며 지름은 12cm~20cm이고, 약 200개의 씨앗을 포함한다. 구과는 성숙하면 분해되어 길이 3cm~4cm 정도의 견과류 같은 씨앗을 방출한다. 씨앗은 주홍빛 도는 옅은 갈색을 띤다.

칠레소나무의 두꺼운 나무껍질은 산불에 대한 적응일 수 있다.[5]

4. 1. 씨앗 확산

칠레소나무는 매스트 종으로, 설치류는 씨앗의 중요한 소비자이자 전파자이다. 특히 긴털쥐(Abrothrix longipilis|아브로트릭스 롱기필리스lat)는 칠레소나무 씨앗을 전파하는 데 가장 중요한 동물로 여겨진다. 다른 동물과 달리 긴털쥐는 씨앗을 통째로 발아에 유리한 장소에 묻는 방식으로 전파한다.[10]

또 다른 중요한 씨앗 전파 매개체는 칠레코뉴어(Enicognathus ferrugineus|에니코그나투스 페루기네우스lat)이다.[9] 성숙한 칠레소나무는 화산 활동과 같은 큰 생태적 교란에 매우 강하지만, 이러한 사건 이후에는 칠레코뉴어가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 멀리 씨앗을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9]

5. 위협

칠레소나무는 벌목이나 방화 등으로 서식지가 파괴되어 현재 절멸위기종으로 사이테스 1급에 등재되었다. 오랫동안 주요 위협이었던 벌채는 1990년에 금지되었다.[11] 하지만 2001년에서 2002년 사이에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수천 에이커의 아라우카리아 숲이 소실되었고,[11] 국립공원 지역까지 불에 타 1300년 이상 된 나무들이 파괴되는 피해를 입었다.[1] 과방목과 침입성 수목 역시 칠레소나무를 위협하는 요소이다.[1][11] 또한, 사람들이 피뇨네(아라우카리아 씨앗)를 너무 많이 수확하는 것도 새로운 나무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1] 세계 나무 캠페인 프로젝트를 통해 2000그루의 나무를 심은 결과, 10년 생존율이 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아라우카리아 아라우카나'''의 생존에 대한 또 다른 주요 위협으로는 외래 씨앗 섭취 종, 특히 포유류의 존재가 꼽힌다. 이들은 토착 씨앗 섭취 종보다 나무의 번식을 더 심각하게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그러나 이러한 침입종이 칠레소나무를 위협하는 데 정확히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한 연구에서는 오히려 토착종이 씨앗 파괴를 통해 번식을 더 많이 막는다는 결과를 제시하기도 했다.[13] 이는 해당 연구에서 선택된 외래종의 도입 시기가 비교적 최근이라 다른 침입종보다 개체수가 적기 때문일 수도 있다.

또한, 한 연구에 따르면 '''아라우카리아 아라우카나''' 서식 범위 내에서 소규모 토지 소유주와 대규모 임업 회사가 행하는 목축 활동이 묘목의 재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6. 보전

칠레 중남부와 아르헨티나 서남부에 분포한다. 안데스산맥해발 1500m~1800m 지역에서 주로 자라는데, 서식지가 낮게는 해발 900m까지 확장하며 때로 해발 600m 정도의 낮은 지역에서 칠레소나무 개체가 발견되기도 한다.[33]

벌목되거나 방화 등으로 서식지가 파괴되어 현재 CITES 1급으로 등재되었다.

7. 이용

칠레소나무는 독특하고 두꺼운, 마치 파충류의 비늘처럼 생긴 가지와 매우 대칭적인 외관 때문에 인기 있는 정원수로 심어진다. 풍부한 강우량이 있는 온대 기후를 선호하며, 약 -20°C까지의 온도를 견딜 수 있어 칠레소나무속(屬) 중에서는 가장 추위에 강하다. 이 나무는 서유럽과 중부 유럽(유럽) (노르웨이 서쪽의 페로 제도와 스몰라까지 북쪽으로[15]), 북아메리카 서해안(알래스카의 바라노프 섬까지 북쪽으로), 그리고 동해안 일부 지역(롱아일랜드까지 북쪽으로),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및 아일랜드 남동부에서 잘 자란다. 해안가의 염분 비말에는 내성이 있지만 대기오염에는 약한 편이다.

7. 1. 문화적 의의

과 비슷하지만 더 큰 피뇨네스(piñones) 씨앗. 사진 속 구운 씨앗의 길이는 와 로, 서로 다른 두 품종에서 수확한 것이다.


칠레소나무는 일부 원주민 마푸체족에게 신성한 나무로 여겨진다.[20] 이 나무의 씨앗(ngulliwarn, piñoneses)은 먹을 수 있으며,[11] 크기가 큰 과 비슷하다. 아르헨티나칠레의 원주민들은 전통적으로 이 씨앗을 수확해왔다.[16] 칠레소나무는 서늘한 해양성 여름 기후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다른 견과류 작물이 잘 자라지 않는 서쪽 스코틀랜드 같은 지역에서 미래의 식량 작물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17] 수분을 위해 수나무 한 그루와 암나무 여섯 그루를 함께 심으면 매년 수천 개의 씨앗을 생산할 수 있으며, 솔방울이 저절로 떨어져 수확이 용이하다. 그러나 씨앗을 맺기 시작하는 데 30~40년이 걸리기 때문에 상업적인 과수원 조성은 더딘 편이다. 일단 자리를 잡으면 1,000년 이상 살 수 있을 정도로 수명이 길다.[18][19] 씨앗 생산량은 해마다 크게 변동하는데, 이는 특정 지역 내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포식자 포만을 통해 씨앗 포식자의 영향을 줄이려는 진화적 적응으로 해석된다. 설치류나 야생 멧돼지의 피해로 인해 사람이 소비하거나 가축 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씨앗의 양이 제한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곧고 긴 나무줄기 때문에 목재로서 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칠레 항구 주변 산업 지역의 철도 침목 등으로 사용되었다. 아라우카니아 주의 제재소들은 1971년 법으로 보호되기 전까지 칠레소나무를 전문적으로 다루었다. 그러나 현재는 희귀하고 취약한 상태에 놓여 목재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칠레소나무는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부속품과 파생품을 포함한 국제 거래는 CITES 허가 시스템에 의해 규제되며, 야생에서 채취한 표본의 상업적 거래는 금지된다.[2]

19세기 콘월 지방 광부들의 이주 과정에서 많은 어린 나무와 씨앗이 영국으로 보내졌으며, 그 결과 콘월 지역은 칠레소나무의 유전자 다양성이 높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엑서터 대학교 캠본 광산학교의 식물학자 크리스토퍼 나이젤 페이지는 폐광산 부지를 녹지화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세인트 오스텔 지역의 사용되지 않는 카올린 채석장에 칠레소나무 표본을 심기도 했다.[21]

참조

[1] IUCN Araucaria araucana 2021-11-12
[2]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Native areas http://www.kew.org/p[...] 2012-09-20
[4] 논문 Leaf life spans of some conifers of the temperate forests of South America http://rchn.biologia[...] 2017-11-06
[5] 서적 Ecología de los bosques nativos de Chile Editorial Universitaria 1995-01-01
[6] 논문 Retrospective analysis of wood anatomical traits and tree-ring isotopes suggests site-specific mechanisms triggering Araucaria araucana drought-induced dieback https://onlinelibrar[...] 2021-12-01
[7] 웹사이트 Villa las Araucarias https://patrimonio.b[...] Ministry of National Assets 2023-05-08
[8] 서적 Landscape Plants For Texas And Environs 3rd https://web.archive.[...] Aggie Horticulture 2016-05-13
[9] 논문 Araucaria araucana — Die ökologische Strategie einer Reliktkonifere http://dx.doi.org/10[...] 1995-11-01
[10] 논문 Rodent handling of Araucaria araucana seeds 2013-01-01
[11] 웹사이트 Monkey Puzzle http://globaltrees.o[...]
[12] 논문 Large-scale impacts of multiple co-occurring invaders on monkey puzzle forest regeneration, native seed predators and their ecological interactions https://doi.org/10.1[...] 2016-04-01
[13] 논문 Seed removal of Araucaria angustifolia by native and invasive mammals in protected areas of Atlantic Forest https://www.scielo.b[...] 2020-12-04
[14] 논문 Impacts of cattle on the South American temperate forests: Challenges for the conservation of the endangered monkey puzzle tree (Araucaria araucana) in Chile https://www.scienced[...] 2012-08-01
[15] 웹사이트 Araucaria araucana in Ålesund, Norway https://web.archive.[...] Scanpalm 2009-06-27
[16] 간행물 Araucaria araucana forest genetic resources in Argentina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2004-01-01
[17] 뉴스 It's hard to be leaf but Scotland can save the monkey puzzle tree from extinction https://www.sundaypo[...] 2017-11-28
[18] 논문 The Medieval Climate Anomaly in South America https://archimer.ifr[...] International Union for Quaternary Research (Elsevier)
[19] 논문 The First Millennium-Age Araucaria Araucana in Patagonia Tree-Ring Society
[20] 서적 Ancient Trees Collins & Brown
[21] 웹사이트 Regreening of barren lands as new biodiversity reserves http://www.sciencein[...] Science in Parliament 2024-02-13
[22] 문서 The tree was first mentioned in 1780 by the Spaniard Francisco Dendariarena. See:
[23] 문서 However, there are claims that the monkey puzzle tree was introduced to Europe after an expedition by the Dutch in 1642 from Brazil to Valdivia, Chile. See:
[24] 서적 Saggio sulla storia naturale del Chili https://archive.org/[...] S. Tomasso d'Aquino 1782-01-01
[25] 서적 Genera plantarum: secundum ordines naturales disposita, … https://www.biodiver[...] Herissant 1789-01-01
[26] 논문 Disertacion botanica sobre los generos Tovaria, Actinophyllum, Araucaria y Salmia, con la reunion de algunos que Linneo publicó como distintos https://babel.hathit[...] 1797-01-01
[27] 서적 Dendrologie. Bäume, Sträucher und Halbsträucher, welche in Mittel- und Nord-Europa im Freien kultivirt werden. https://books.google[...] Ferdinand Enke 1873-01-01
[28] 논문 La recolección de piñones de pewen (Araucaria araucana): Una situación significativa que conecta a niños mapuches con la naturaleza 2020-03-01
[29] 뉴스 Riddle of how the monkey puzzle tree came to be a UK favourite http://www.ft.com/in[...] 2016-05-14
[30] 서적 Alan Mitchell's Trees of Britain HarperCollins|Collins
[31]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2] 서적 Dendrologie 1873-01-01
[33] 서적 Ecología de los bosques nativos de Chile Comité de Publicaciones Científicas, Vicerrectoría Académica, Universidad de Chi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