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라우카리아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우카리아속은 아라우카리아(Araucaria)라는 학명을 가진 나무 속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누벨칼레도니 등지에 분포하며, 칠레의 아라우코 지역 또는 칠레 원주민 부족인 아라우카노족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키가 크고 곧은 줄기를 가지며, 잎은 가죽질 또는 바늘 모양이다. 자웅이주 형태가 일반적이며, 식용 가능한 씨앗을 포함하는 구과를 맺는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누벨칼레도니 등지에 분포하며, 20종 중 절반 이상이 누벨칼레도니에 자생한다. 몇몇 종은 재배 및 목재 생산에 이용되며, 씨앗은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아라우카리아속은 부니아절, 아라우카리아절, 에우탁타절, 인테르메디아절, 이에조니아절, 페르펜디쿨라절 등 4개의 현존하는 절과 2개의 멸종된 절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라우카리아과 - 칠레소나무
    칠레소나무는 칠레와 아르헨티나 남부 안데스 산맥이 원산지인 아라우카리아과의 상록침엽수 교목으로, "몽키 퍼즐"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원주민들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이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
  • 아라우카리아과 - 울레미소나무
    울레미소나무는 호주에서 발견된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상록수로서, 쥐라기 시대 식물군의 마지막 생존자로 여겨지며 독특한 껍질과 형태를 지니고 있지만, 현재는 멸종 위협에 직면하여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마디풀과
    마디풀과는 석죽목에 속하며 북반구 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 과로, 팽대한 마디와 엽초, 작은 방사대칭 꽃, 4~6개의 꽃덮이 조각으로 된 화피를 가지며, 마디풀아과, 심메리아아과, 에리오고눔아과의 세 아과로 나뉘고, 메밀, 채소, 향신료, 약용 식물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을 포함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아라우카리아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라우카리아 아라우카나 남아메리카
아라우카리아 아라우카나 남아메리카
학명Araucaria Juss.
어원아라우카노어
명명자Juss.
모식종아라우카리아 아라우카나
모식종 명명자Pav.
이명Altingia Don 1830 non Noronha 1785
Dombeya De Lamarck 1786 non L'Héritier de Brutelle 1785
Columbea Salisbury 1807 nom. ill.
Eutassa Salisbury 1807 non Broun 1909
Eutacta Link 1842
Quadrifaria Manetti ex Gordon 1862
Marywildea Bobrov & Melikian 2006
Titanodendron Bobrov & Melikian 2006
분포남아메리카 (주로 칠레와 아르헨티나의 안데스 산맥 지역)
오스트랄라시아 (호주, 뉴기니, 뉴칼레도니아, 뉴질랜드)
동남아시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구과식물문
마츠강
마츠목
남양삼나무과
형태적 특징
유형상록수
바늘 모양 또는 비늘 모양
구과크고 구형
기타 정보
화석 범위쥐라기 중기 ~ 현대

2. 명칭

속명인 아라우카리아(Araucaria)는 일본어 이름이다.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누벨칼레도니 등에 분포하는 종이 삼나무의 잎을 연상시키고, 일본에서는 남미산보다 먼저 소개되었기 때문에 '남양'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학명은 아라우카리아(''Araucaria'')이며,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본 속의 한 종이 자생하고 있는 칠레 중부의 주로, 라 아라우카니아 주의 마푸체어로 '진흙물'을 의미하는 Arauco라는 지명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칠레의 원주민 부족인 아라우카노족 또는 아라우코(아라우카노)어족을 나타내는 부족명 Araucani Indians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3. 형태

아라우카리아속은 주로 거대한 곧은 줄기를 가진 키 큰 나무로, 높이는 5~80m에 이른다.[21] 가지는 수평으로 퍼져 돌려나며 가죽질 또는 바늘 모양의 으로 덮여 있다. 어떤 종에서는 잎이 좁고 송곳 모양이며 창 모양으로 서로 거의 겹치지 않지만, 다른 종에서는 넓고 평평하며 넓게 겹쳐진다.[21] 잎은 나선형으로 배열한다.

대부분의 나무는 자웅이주로, 수꽃과 암꽃 구과는 별도의 나무에서 발견되지만,[3] 가끔 개체가 자웅동주이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별이 바뀐다.[4] 암꽃은 보통 나무 꼭대기에 높이 위치하며, 구형이고 종에 따라 직경이 7~25cm로 다양하다. 80~200개 정도의 크고 식용 가능한 씨앗을 포함하며, 과 유사하지만 더 크다. 수꽃은 더 작고, 4~10cm 길이이며, 좁거나 넓은 원통형이고 1.5~5cm 넓다.

4. 생태

아라우카리아속은 아르헨티나, 브라질, 누벨칼레도니, 노퍽 섬,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칠레, 파푸아 (인도네시아) 등지에 분포한다.[20] 숲과 마키 관목 지대에서 발견되며, 노출된 장소를 선호한다. 화석 기록에 따르면 백악기 말까지 북반구에도 널리 분포했다.[16]

세 종의 아라우카리아 - 왼쪽부터 ''A. columnaris'', ''A. cunninghamii'', ''A. bidwillii''


현존하는 20종 중 절반 이상이 누벨칼레도니에 분포하는데, 이는 비교적 최근의 적응 방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누벨칼레도니의 대부분은 초염기성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문암 토양은 영양분이 낮지만 니켈과 같은 금속 함량이 높다.[22] 토착 ''아라우카리아'' 종들은 이러한 조건에 적응했으며, 많은 종들이 누벨칼레도니의 니켈 채굴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위협받거나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용각류 공룡의 긴 목은 ''아라우카리아''를 포함한 키가 큰 나무의 잎을 먹기 위해 진화했을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현대 ''아라우카리아'' 잎은 에너지 함량이 높지만 발효 속도가 느리다.[23] 앵무새는 아라우카리아속 씨앗을 배설물에 섞어 퍼뜨리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26]

5. 인간과의 관계

몇몇 아라우카리아속 종은 독특하고 형식적인 대칭 성장 습성 때문에 재배에서 비교적 흔하며, 여러 종은 목재 생산에 경제적으로 중요하다.[24] 특히, 칠레소나무(''A. araucana''), 파라나소나무(''A. angustifolia''), 분야분야(''A. bidwillii'')의 큰 씨앗은 '아라우카리아 견과'라고 불리며, 종종 부적절하게 ''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씨앗은 칠레와 아르헨티나 남서부의 마푸체족, 브라질 남부의 카잉강족, 그리고 호주 원주민들 사이에서 음식으로 섭취된다.[21] 남아메리카에서 '아라우카리아' 견과 또는 씨앗은 스페인어로 '피냐스' 또는 '피뇨네스', 포르투갈어로 '핀요에스'라고 불리며, 유럽의 잣과 유사하다.

시장에서 판매되는 구과와 그 속의 종자


아라우카리아속에 대한 약리 연구는 항궤양, 항바이러스, 신경 보호, 항우울제 및 항응고제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25] 목재로 이용되는 외에, 종자가 식용으로 사용되는 종이 많다. 기발한 수형으로 정원수로도 인기가 있다. 섬남양삼나무(''A. heterophylla'')는 관엽식물로 자주 이용되는 종이다.

절반 이상의 종이 생육하는 누벨칼레도니아에서는 니켈 광산 채굴 때문에 생육지의 삼림이 파괴되고 있다.

6. 하위 분류

아라우카리아속에는 4개의 현존하는 절과 2개의 멸종된 절이 있다.[21][7][8]


  • '''부니아절'''(sect. ''Bunya'')
  • * 버냐소나무 ''A. bidwillii'' Hook.[38][39]
  • * †''A. brownii''
  • * †''A. mirabilis''
  • * †''A. sphaerocarpa''
  • '''아라우카리아절'''(sect. ''Araucaria'')
  • * 칠레소나무 ''A. araucana'' (Molina) K.Koch
  • * 파라나소나무 ''A. angustifolia'' (Bertol.) Kuntze
  • * †''A. nipponensis''[40]
  • '''에우탁타절'''(sect. ''Eutacta'')
  • * ''A. bernieri'' J.Buchholz
  • * ''A. biramulata'' J.Buchholz
  • * ''A. columnaris'' (G.Forst.) Hook.
  • * ''A. cunninghamii'' Mudie
  • ** ''A. cunninghamii'' var. ''papuana'' Lauterb.
  • * 아라우카리아 ''A. heterophylla'' (Salisb.) Franco
  • * ''A. humboldtensis'' J.Buchholz
  • * ''A. laubenfelsii'' Corbasson
  • * ''A. luxurians'' (Brongn. & Gris) de Laub.
  • * ''A. montana'' Brongn. & Gris
  • * ''A. muelleri'' (Carrière) Brongn. & Gris
  • * ''A. nemorosa'' de Laub.
  • * ''A. rulei'' F.Muell.
  • * ''A. schmidii'' de Laub.
  • * ''A. scopulorum'' de Laub.
  • * ''A. subulata'' Vieill.
  • * †''A. lignitici''[41]
  • '''인테르메디아절'''(sect. ''Intermedia'')
  • * ''A. hunsteinii'' K.Schum.
  • * †''A. haastii''
  • †'''이에조니아절'''(sect. ''Yezonia'')
  • * †''A. vulgaris''
  • †'''페르펜디쿨라절'''(sect. ''Perpendicula'')
  • * †''A. desmondii''
  • '''incertae sedis'''
  • * †''A. bindrabunensis''
  • * †''A. fibrosa''
  • * †''A. marensii''[42][43]
  • * †''A. nihongii''
  • * †''A. taieriensis''[44]

6. 1. 아라우카리아절 (sect. Araucaria)

아라우카리아절(sect. ''Araucaria'')은 잎이 넓고 구과의 지름이 12cm 이상이며, 씨앗은 지하 발아(hypogeal)하는 특징을 갖는다.[28][29]

  • 파라나소나무(''Araucaria angustifolia''): 브라질 남동부,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분포한다.[28] 크게 자라면 아래쪽 가지가 떨어지고 위쪽 가지가 잘 뻗어 우산 모양이 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어 명칭으로는 브라질소나무, 후사난요우스기라고도 불리며,[28] 학명(이명)에 따라 브라질 아라우카리아(''A. brasiliana'')라고도 불린다.

120px
120px

  • 칠레소나무(''A. araucana''): 칠레 중부, 아르헨티나 서부에 분포한다.[29] 마푸체족에게 신성시되는 나무이다. 수고는 40미터에 달하며, 말려 올라간 가지와 날카로운 잎 끝을 가지고 있다. 잎은 딱딱하고 길이는 5cm 정도이며 잔가지에 밀생한다. 구과는 길이 30cm, 지름 15cm 정도로 다수 열리고, 익으면 지상에 낙하한다. 종자()는 길이 4-5cm 정도이며, 칠레에서는 예로부터 삶아서 밤처럼 먹었다. 조지 밴쿠버가 발파라이소에서 입수한 종자를 식물학자 멘지스가 가져가려다 귀항 중 함내에서 발아하여 유럽에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전 세계에서 가로수나 공원수로 심어지고 있으며, 칠레에서는 목재로도 유용하여 조림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명에 따른 명칭은 아라우카리아 아라우카나이며, 원산지인 아라우카노족(마푸체족)에서 유래한다. 별명으로는 요로이마츠라고도 불린다.[29] 영어명 monkey puzzle(몽키 퍼즐)로도 알려져 있으며, 잔가지에 잎이 밀생하여 원숭이도 그 안에서 길을 잃는다는 의미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120px
120px

  • †''A. nipponensis'': 일본 및 사할린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백악기 후기),[40] 현재는 멸종되었다.

6. 2. 분야절 (sect. Bunya)

분야절(sect. ''Bunya'')에는 살아있는 종은 버냐소나무 ''A. bidwillii'' 하나뿐이다.[38][39] 분야분야(*A. bidwillii*)[30]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에 분포하며, 큰 구과와 식용 가능한 씨앗이 특징이다. 씨앗은 캥거루의 먹이가 된다. 별명은 코우요우잔바노우로코모미(광엽 삼나무 잎 비늘 전나무)이다. 멸종된 종으로는 ''A. brownii''와 ''A. sphaerocarpa''가 있으며, 화석은 영국에서 발견되었다. ''A. mirabilis''의 화석은 남미에서 발견되었다.

아라우카리아 비드윌리


아라우카리아 비드윌리

6. 3. 인테르메디아절 (sect. Intermedia)

인테르메디아절(sect. ''Intermedia'')에는 살아있는 종으로는 뉴기니에 분포하는 아라우카리아 훈스테이니(''A. hunsteinii'')가 유일하다.[41] 현지에서는 킨키(kinkii)라고 불린다.[41] 화석종으로는 뉴질랜드에서 발견된 †''A. haastii''가 있다.[41]

아라우카리아 훈스테이니
아라우카리아 훈스테이니 잎

6. 4. 에우탁타절 (sect. Eutacta)

에우탁타절(sect. ''Eutacta'')은 잎이 좁고 송곳 모양이며, 구과의 지름이 12cm 미만이고, 씨앗은 지상 발아한다.[31][32][33] 현존하는 아라우카리아속 종의 대부분이 이 절에 속하며, 뉴칼레도니아에 14종이 분포한다. 이 외에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노퍽 섬 등지에 분포한다.

뉴칼레도니아에는 ''아라우카리아 베르니에리(Araucaria bernieri)'', ''아라우카리아 비라물라타(Araucaria biramulata)'', ''아라우카리아 고로엔시스(Araucaria goroensis)'', ''아라우카리아 훔볼트엔시스(Araucaria humboldtensis)'', ''아라우카리아 라우벤펠시(Araucaria laubenfelsii)'', ''아라우카리아 룩수리안스(Araucaria luxurians)'', ''아라우카리아 몬타나(Araucaria montana)'', ''아라우카리아 뮐레리(Araucaria muelleri)'', ''아라우카리아 네모로사(Araucaria nemorosa)'', ''아라우카리아 루엘리(Araucaria rulei)'', ''아라우카리아 슈미디(Araucaria schmidii)'', ''아라우카리아 스코풀로룸(Araucaria scopulorum)'', ''아라우카리아 수불라타(Araucaria subulata)'' 등이 분포한다.

쿠크남양삼나무( ''Araucaria columnaris'')는 뉴칼레도니아에 분포하며, 제임스 쿡 선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야생에서는 해안 근처 군락에서만 생육하며, 가지가 옆으로 크게 퍼지지 않고 줄기가 탑처럼 높게 뻗어 50미터 이상 자란다.[31]

남양삼나무( ''Araucaria cunninghamii'')는 오스트레일리아(퀸즐랜드, 뉴사우스웨일스), 뉴기니에 분포하며, 종자는 캥거루의 먹이가 된다.[32]

노퍽섬소나무( ''Araucaria heterophylla'')는 오스트레일리아 동쪽, 뉴칼레도니아와 뉴질랜드 사이에 위치한 태평양의 노퍽 섬에 분포한다.[33]

멸종된 종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화석이 발견된 ''Araucaria lignitici''와 캐나다에서 화석이 발견된 ''Araucaria famii''가 있다.

사진이름분포
|120px]]
아라우카리아 베르니에리(Araucaria bernieri)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비라물라타(Araucaria biramulata)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콜루나리스(Araucaria columnaris) - 쿡 소나무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커닝해미(Araucaria cunninghamii) - 모턴베이 소나무, 후프 소나무호주 동부, 뉴기니
아라우카리아 고로엔시스(Araucaria goroensis)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헤테로필라(Araucaria heterophylla) – 노퍽섬 소나무노퍽섬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훔볼트엔시스(Araucaria humboldtensis)뉴칼레도니아
|120px]]
아라우카리아 라우벤펠시(Araucaria laubenfelsii)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룩수리안스(Araucaria luxurians)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몬타나(Araucaria montana)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뮐레리(Araucaria muelleri)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네모로사(Araucaria nemorosa)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루엘리(Araucaria rulei)뉴칼레도니아
아라우카리아 슈미디(Araucaria schmidii)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스코풀로룸(Araucaria scopulorum)뉴칼레도니아
|120px]]
|120px]]
아라우카리아 수불라타(Araucaria subulata)뉴칼레도니아


6. 5. †이에조니아절 (sect. Yezonia)

†아라우카리아 불가리스(''A. vulgaris'')[34]는 멸종된 종으로, 화석은 일본 (홋카이도)에서 발견되었다.[34]

6. 6. †페르펜디쿨라절 (sect. Perpendicula)

†'''페르펜디쿨라절'''(sect. ''Perpendicula'')은 멸종된 절로, †''A. desmondii'' 한 종만을 포함한다. 화석은 뉴질랜드에서 발견되었다.

6. 7. 기타 (incertae sedis)

절(section)이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은 멸종된 종들은 다음과 같다.[42][43][44]

  • †''A. bindrabunensis''
  • †''A. fibrosa''
  • †''A. marensii''
  • †''A. nihongii''
  • †''A. taieriensis''

참조

[1] 웹사이트 Araucaria http://www.anbg.gov.[...] Australian Biological Resources Study 2012-05-07
[2] 문서 OED|araucaria
[3] 웹사이트 Practical seedling growing: Growing Araucaria from seeds http://www.pinetum.o[...] Arboretum de Villardebelle 2011-11-18
[4] 서적 Plant Systematic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5] 웹사이트 Araucaria columnaris http://ntbg.org/plan[...] National Tropical Botanical Garden 2011-11-19
[6] 웹사이트 Pehuenches: "The people from the Araucarias forests" http://www.bariloche[...] Museo de la Patagonia 2004-11
[7] 서적 Desiccation and survival in plants: Drying without dying https://books.google[...] CAB International
[8] 서적 Conifers of the World: the Complete Reference https://books.google[...] Timber Press
[9] 논문 Gene duplications and phylogenomic conflict underlie major pulses of phenotypic evolution in gymnosperms https://www.nature.c[...]
[10] 웹사이트 main.dated.supermatrix.tree.T9.tre https://figshare.com[...] Figshare
[11] 논문 The Ovule and 'Seed' of Araucaria Bidwillii with Discussion of the Taxonomy of the Genus: III. Anatomy of Multi-ovulate Gone Scales http://www.jstor.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22-11-13
[12]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Araucariaceae based on rbcL gene sequences
[13] 서적 Australia and New Zealand Forest Histories. Araucaria Forests Australian Forest History Society
[14] 서적 Pteridophytes and Gymnosperms https://books.google[...] Springer
[15] 논문 Tertiary Araucariaceae From South-Eastern Australia, With Notes on Living Species 1951
[16] 논문 Diversification of crown group Araucaria : the role of Araucaria famii sp. nov. in the Late Cretaceous (Campanian) radiation of Araucariaceae in the Northern Hemisphere 2020-07
[17] Fossilworks Araucaria marensii https://paleobiodb.o[...]
[18] 서적 Early Miocene Paleobiology in Patagonia: High-Latitude Paleocommunities of the Santa Cruz Form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10-21
[19] 논문 The record of Araucariaceae macrofossils in New Zealand
[20] 웹사이트 The Pine Trees of Lanai http://everything-ev[...]
[21] 웹사이트 Araucaria Jussieu 1789 http://www.conifers.[...] The Gymnosperm Database 2010-12-12
[22] 웹사이트 Maquis plants https://newcaledonia[...] 2013-10-13
[23] 논문 In vitro digestibility of fern and gymnosperm foliage: implications for sauropod feeding ecology and diet selection
[24] 백과사전 Pine nut https://books.google[...] 1996
[25] 논문 Phytochemical and ethno-pharmacological review of the genus Araucaria
[26] 문서 Overlooked parrot seed dispersal in Australia and South America: insights on the evolution of dispersal syndromes and seed size in Araucaria trees
[27] 문서 Evolutionary dynamics of emblematic Araucaria species (Araucariaceae) in New Caledonia: nuclear and chloroplast markers suggest recent diversification, introgression, and a tight link between genetics and geography within species
[28] YList 2024-04-30
[29] YList 2024-04-30
[30] YList 2024-04-30
[31] YList 2024-04-30
[32] YList 2024-04-30
[33] YList 2024-04-30
[34] 문서 北海道産白亜系針葉樹球果化石の類縁と意義 http://gakui.dl.itc.[...]
[35] 저널 인용 The drowning of New Zealand and the problem of Agathis http://sysbio.oxford[...]
[36] 저널 Relationships of the Wollemi Pine (''Wollemia nobilis'') and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Araucariaceae http://www.rbgsyd.ns[...] 2019-04-16
[37] 문서 Genera Plantarum
[38] 서적 Pteridophytes and Gymnosperms https://books.google[...] Springer
[39] 저널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Araucariaceae based on ''rbcL'' gene sequences http://www.amjbot.or[...]
[40] 서적 Australia and New Zealand Forest Histories. ''Araucaria'' Forests Australian Forest History Society 2019-04-16
[41] 저널 Tertiary Araucariaceae From South-Eastern Australia, With Notes on Living Species 1951
[42] 웹사이트 Araucaria marensii http://fossilworks.o[...] 2019-12-22
[43] 서적 Early Miocene Paleobiology in Patagonia: High-Latitude Paleocommunities of the Santa Cruz Form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10-21
[44] 저널 The record of Araucariaceae macrofossils in New Zeal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