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교 (동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교는 동진 시대의 인물로, 원궤의 아들이다. 환온에게 발탁되어 성한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문재가 뛰어나 『논어』와 『시경』에 주석을 달았다. 36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으며, 익주 자사의 지위가 추증되었고 시호는 간이다. 아들 원방평이 의흥군과 낭야군의 태수를 역임했다.

2. 생애

원궤의 아들로 태어나 동진의 관료이자 장수로 활동했다. 젊은 시절부터 관직에 나아가 환온에게 발탁되어 그의 참모로 활약했으며, 특히 성한 정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공을 세웠다. 이 공으로 용양장군(龍驤將軍)에 오르고 상서백(湘西伯)에 봉해졌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36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익주자사로 추증되고 간(簡)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원교는 문재(文才)가 뛰어나 『논어』와 『시경』에 주석을 달았고, 그가 남긴 여러 글은 당대에 널리 읽혔다. 그의 아들 원방평(袁放平)이 뒤를 이었으며, 의흥군낭야군태수를 지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생활

원궤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저작좌랑(著作佐郎) 벼슬을 지냈고, 이후 환온에게 발탁되어 보국사마(輔國司馬)가 되었다. 사도좌서속(司徒左西屬)으로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대신 상서랑(尚書郎)에 임명되었다.

환온이 경구(京口)에 주둔하게 되자, 원교는 다시 보국사마가 되었으며 광릉국(廣陵國)의 상(相)을 겸하게 되었다. 원교는 저포(褚裒)와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었으나, 저포의 딸인 강헌 저태후(康獻褚太后)가 어린 황제를 대신해 정무를 보게 되자(임조칭제), 목제(穆帝)의 외조부가 된 저포와 예전처럼 가까이 지내는 것은 신하로서 옳지 않다고 여겨 스스로 교제를 줄였다.

이후 안서자문(安西諮議)의 참군(參軍)과 장사국(長沙國)의 상으로 임명되었으나, 이 역시 부임하지 않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도독면중제수강하수 의양삼군제군사(都督沔中諸水江夏隨義陽三郡諸軍事), 건무장군(建武將軍), 강하국(江夏國) 상으로 임명되어 부임했다.

2. 2. 성한 정벌

영화 2년(346년), 환온성한 정벌을 계획하자 여러 관료들은 반대했지만, 원교는 성한군이 방어를 굳히기 전에 빠르게 공격하여 수도를 함락시키고 군주 이세를 사로잡자고 환온에게 건의했다. 환온은 원교의 의견을 받아들였고, 강하국 상이었던 원교는 병력 2,000명을 이끌고 선봉이 되었다.

영화 3년(347년), 동진군은 팽모(彭模)로 진군하여 성한군과 가까워졌다. 군사 회의에서는 병력을 나누어 양쪽으로 공격하자는 의견이 우세했으나, 원교는 모든 병력을 한 곳에 모아 진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온은 이번에도 원교의 의견에 동의하여 전군이 함께 진격하게 되었다.

성도에서 10리 떨어진 곳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환온이 이끄는 동진군은 처음에는 선봉 부대가 패배하고 원교의 부대도 밀려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적의 화살이 원교가 탄 말 머리에까지 날아올 정도로 치열한 상황이었지만, 원교는 군기를 휘두르며 병사들을 독려하여 진격시켰다. 결국 동진군은 성한군을 격파하고 기세를 몰아 성도로 들어갔다.

성한의 군주 이세는 항복했지만, 장수 등정(鄧定)과 외문(隗文) 등은 부하들을 이끌고 계속 저항했다. 환온이 등정을 토벌하는 동안 원교는 외문을 공격하여 격파했다. 이 공로로 원교는 용양장군(龍驤將軍)의 칭호를 받고 상서백(湘西伯)에 봉해졌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향년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익주자사의 지위가 추증되었고, 시호는 간(簡)이라 하였다.

2. 3. 죽음

성한 정벌에서 공을 세운 원교는 용양장군의 호를 받았고, 상서백에 봉해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향년 36세였다. 사후 익주자사의 지위가 추증되었고, 시호는 간(簡)이라 했다.

3. 저술 활동 및 평가

원교는 문학적 재능이 뛰어났다. 그는 고전인 『논어』와 『시경』에 주석을 달았으며, 그가 남긴 많은 글들은 당대에 널리 읽히고 통용되었다.

4. 가계


  • 아들: 원방평(袁方平)
  • * 손자: 원산송(袁山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