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릉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릉군은 중국 역사상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기원전 201년 전한 시대에 동양군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강도국, 광릉국, 광릉군으로 이름이 바뀌며 서주, 양주 등 여러 지역에 속했다. 신나라 때는 안정으로 개칭되기도 했으며, 후한, 위진, 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관할 현의 변화를 겪었다. 수나라 때는 강도군으로, 당나라 때는 양주로 개칭되어 광릉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쑤성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장쑤성의 군 - 오군
    오군은 129년 후한 순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의 통치를 받았으며, 손책이 장악하여 오나라의 기반이 되었고, 경제적 번영과 군사적 중요성을 지녔으나, 당나라 때 소주로 개명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조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조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광릉군
지리 정보
위치현재의 중국장쑤성중부 지역
역사
기원전한 초기
설치경제왕 4년 (기원전 153년)
폐지남북조 시대
행정 구역
속현광릉현
고우현
평아현
여오현
동양현
해릉현
강도현
오이현
사양현
진무현
용추현
고평현
포도현
양구현
주요 인물
역대 태수경선
조우
장창
유수
기타매승
동중서
엄기
진등
도겸
진응
장굉
좌우
왕랑
설종
장승
진교
제가
고옹
유찬
장포
고달
제갈충
왕담
소속지
조초
왕민
왕회
신열
유경언
왕준지
왕욱
최위조
육고
유준
장세
왕승변
배기
소의
관련 항목
관련 항목광릉국
양주
회양군
강도국

2. 역사

광릉군은 전한 초기에 설치된 '''동양군'''(東陽郡)을 전신으로 한다. 기원전 201년 유방초나라를 분할하여 형나라(荊國)를 세우면서 동양군이 설치되었고, 이후 오나라의 영토가 되었다.[22][23][24] 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이 진압된 후, 동양군은 장군(鄣郡)과 함께 경제의 아들 유비가 왕으로 봉해진 '''강도국'''(江都國)의 영토가 되었다.[7][25]

기원전 121년 강도왕 유건이 죄를 짓고 자살하자 강도국은 폐지되었고, 기원전 120년 동양군은 '''광릉군'''(廣陵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7][26] 기원전 117년 무제의 아들 유서가 광릉왕으로 봉해지면서 '''광릉국'''(廣陵國)이 되었으며, 이때 광릉군의 일부와 패군의 일부를 합쳐 임회군이 분리 설치되었다.[26][8][9] 이후 광릉국은 기원전 54년 유서의 모반 자살로 폐지되어 군이 되었다가,[10] 기원전 47년 그의 아들 유패가 왕위를 이으면서 다시 왕국으로 복구되었다.[11] 왕망신나라 시대에는 잠시 '''강평군'''(江平郡)으로 개칭되기도 했다.[12]

후한 건국 후 광릉군의 명칭이 복구되었고, 37년 사수국이 폐지되어 편입되었다.[13] 58년 산양왕 유경이 광릉왕으로 봉해지면서 다시 광릉국이 되었으나, 67년 유경의 자살로 다시 광릉군으로 돌아갔다.[14] 후한 말 조조의 서주 침공 시기에는 많은 주민이 동오로 피난하기도 했다.

위진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가 있었고,[16] 영가의 난 이후 화북 유민들이 남하하면서 군의 일부가 산양군, 해릉군 등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남조 대와 제대에는 남연주에 속했으며 관할 현의 변동이 있었다.[17][18] 한편, 북조의 동위에서도 별도의 광릉군을 설치하기도 했다.[19]

583년 군현제를 폐지하면서 광릉군은 오주(吳州)에 편입되었고, 이후 오주는 양주(揚州)로 개칭되었다. 607년 주(州) 제도가 폐지되고 군(郡) 제도가 부활하면서 양주는 '''강도군'''(江都郡)으로 개칭되었다.[20] 대에는 양주(揚州)와 광릉군(廣陵郡)이라는 명칭이 번갈아 사용되다가, 758년 양주로 명칭이 확정되면서 '광릉군'이라는 행정 구역명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21]

2. 1. 전한

기원전 201년(한고제 6년), 유방초나라한신을 회음후로 격하시키고 초나라 영토를 화이허 강을 기준으로 나누었다. 이때 강의 동쪽 지역을 형나라로 삼아 유고를 형왕으로 봉하고 동양군(東陽郡), 장군(鄣郡), 회계군(會稽郡)을 다스리게 했다.[22] 이 중 동양군은 광릉군의 전신으로, 동해군의 화이허 동쪽 지역을 분할하여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23] 이후 유고가 영포의 반란 중에 살해되자, 유방은 새로 오나라를 세우고 유비를 오왕으로 봉하여 옛 형나라 땅을 다스리게 했다.[24]

오왕 유비가 자신의 봉국을 거의 독립적으로 운영하던 중, 경제가 제후왕들의 죄를 빌미로 왕국의 지군(支郡)을 몰수하려 하자 이에 반발하여 오초칠국의 난을 일으켰다.[25] 기원전 154년(경제 3년) 반란이 진압된 후, 오나라의 영토였던 회계군은 한나라의 직할 군이 되었고, 동양군과 장군은 경제의 아들인 유비를 왕으로 하는 강도국(江都國)의 영토가 되었다. 강도국의 수도는 옛 동양군 지역에 두었다.[7] 기원전 121년(원수 2년) 강도왕 유건이 죄를 짓고 자살하자 강도국은 폐지되었고,[7] 기원전 120년(원수 3년) 동양군은 '''광릉군'''(廣陵郡)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처음으로 '광릉'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26]

기원전 117년(원수 6년), 무제의 아들 유서가 광릉왕에 봉해지면서 광릉군은 다시 '''광릉국'''(廣陵國)이 되었다.[26][8] 광릉국이 설치될 때, 옛 광릉군의 일부 영역과 패군의 일부 영역이 합쳐져 임회군으로 분리되었다.[27][9] 기원전 54년(오봉 4년), 광릉여왕 유서가 모반을 꾀하다 발각되어 자살하자 왕국은 다시 폐지되어 광릉군이 되었다.[26][10] 그러나 기원전 47년(초원 2년), 유서의 옛 태자였던 유패가 왕으로 봉해지면서 다시 광릉국이 복구되었다.[26][11]

임회군이 분리되기 전의 동양군은 임회군에 속하게 된 화이허 동쪽의 12개 현과 광릉국에 속하게 된 4개 현을 합쳐 총 16개 현을 관할했으며, 이외에도 위치가 확인되지 않은 임회군의 몇몇 현도 관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8]

전한 시대 광릉국은 서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서기 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6,773호, 140,722명을 관할했다. 철광석 생산을 담당하는 철관(鐵官)이 설치되어 있었다. 아래는 《한서》 지리지에 기록된 속현 목록으로,[29]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12년 ~ 기원전 8년)의 상황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목록의 첫 번째 현이 군국의 중심지(치소)로 여겨진다. 광릉국의 영역은 대략 현재의 장쑤성 양저우 시 일대에 해당한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광릉廣陵양저우 시 북서강도역왕 유비, 광릉여왕 유서 모두 이곳에 도읍을 두었다.
강도江都양저우 시 한장 구강수사(江水祠)가 있었고, 거수(渠水)가 장강에서 나와 북쪽으로 사양(射陽)에 이르러 호수로 들어갔다.
고우高邮양저우 시 가오유 시
평안平安양저우 시 바오잉 현



다음은 광릉왕국에서 봉해진 왕자후(王子侯)들의 목록이다. 강도왕국 시절에 봉해진 왕자후들은 추은령 이전에 봉해진 것이므로 왕국의 구역 변천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이름봉해진 때폐해진 때왕자후표의 말격지리지의 소속 군
조양(朝陽)본시 원년(기원전 73년) 7월 임자일불명제남군제남
평곡(平曲)오봉 4년(기원전 54년),
이후 다시 봉해짐
동해군동해
남리(南利)지절 2년(기원전 68년)여남군
양평(襄平)[30]영광 5년(기원전 39년) 3월시건국 원년(9년)임회
난릉(蘭陵)건소 5년(기원전 34년) 12월시건국 원년(9년)?임회[31]
광평(廣平)임회



이외에 광릉무왕(廣陵繆王)의 아들 유가(劉嘉)가 방락후(方樂侯)에 봉해졌다는 기록이 있으나, 《사기》나 《한서》에는 광릉무왕이라는 왕이 등장하지 않는다.

왕망신나라를 세운 시대에는 강평군(江平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2]

2. 2. 신나라

왕망이 세운 신나라 시대에는 광릉군의 이름이 강평군(江平郡|장핑군중국어)으로 바뀌었다.[12] 이때 일부 현의 이름도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전한 시대 현 이름 시대 현 이름
광릉(廣陵|광릉중국어)안정(安定|안딩중국어)
평안(平安|핑안중국어)두향(杜鄕|두향중국어)


2. 3. 후한

후한 건국 후 광릉군의 명칭은 유지되었다. 37년(건무 13년)에는 사수국이 폐지되어 광릉군에 편입되었다.[13] 58년(영평 원년), 산양왕 유경이 광릉왕으로 봉해지면서 광릉군은 광릉국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67년(영평 10년) 광릉왕 유경이 자살하자 광릉국은 다시 폐지되어 광릉군으로 돌아갔다.[14]

후한 시기 광릉군은 수도 낙양에서 1,640리 거리에 위치했으며, 11개 현, 83,907호, 410,190명의 인구를 관할했다.[32] 당시 속현은 다음과 같다.[15]

후한 시대 광릉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광릉현廣陵縣광링 구동릉정(東陵亭) 소재.
강도현江都縣강도구강수사(江水祠) 소재.
고우현高邮縣고우시
평안현平安縣화이안 시 진후 현 당항향(唐港鄕)
능현淩縣쓰양 현 북서본래 사수국 소속.
동양현東陽縣화이인 구 남서본래 임회군 소속. 장주택(長洲澤) 소재. 서진 시대에 임회군으로 이관됨.[33]
사양현射陽縣바오잉 현 동본래 임회군 소속.
염독현鹽瀆縣옌청 시본래 임회군 소속.
여후국輿候國이정 시 북본래 임회군 소속.
당읍현堂邑縣류허 구 북서본래 임회군 소속.
해서현海西縣관난 현 남동본래 동해군 소속.



후한 말기에는 조조의 서주 침공을 피해 광릉군 주민 10만여 명이 동오 지역으로 이주하기도 했다.

2. 4. 위진

조조의 서주 침공 이후 조위에서 광릉군을 설치했다. 서진 시기에는 8현 8,800호를 거느렸다.[34]

서진 시대 광릉군 소속 현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淮陰縣회음현화이안 시 화이인 구 남서유송대에 임회군으로 소속이 이관되었다.[35]
射陽縣사양현변화없음
輿縣여현
海陵縣해릉현타이저우 시강해회사(江海會祠)가 있다. 조위대에 폐했다가 280년(태강 원년)에 복구했다.[36]
廣陵縣광릉현변화없음
鹽瀆縣염독현
淮浦縣회포현화이안 시 롄수이 현유송대에 임회군으로 소속이 이관되었다.[37]
江都縣강도현변화없음강수사(江水祠)가 있다. 조위대에 폐했다가 285년(태강 6년)에 복구했다.[38]


2. 5. 남북조

영가의 난 이후 오호 십육국 시대의 혼란을 피해 많은 화북인이 강남 지방으로 이주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 산양군 출신 실향민들이 정착한 북동부 지역이 산양군으로, 동부 지역이 해릉군으로 분리되었다. 광릉군은 남연주에 속하게 되었다.

유송대 광릉군은 4개 현을 관할했으며, 총 7,744호, 45,613명의 인구를 거느렸다.[17] 당시 관할한 현은 광릉현(廣陵縣), 해릉현(海陵縣), 고우현(高邮縣), 강도현(江都縣)이다.

남제 시대에도 광릉군은 남연주에 속했으며, 영명 원년(483년)에 제녕현(齊寧縣)이 신설되어 총 5개 현을 관할하게 되었다.[39][18]

남제 시대 광릉군 소속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광릉현廣陵縣양저우 시 일대
해릉현海陵縣
고우현高邮縣삼국시대 폐지 후 280년 복구
강도현江都縣
제녕현齊寧縣양저우 시 장두 구 북동483년 신설



한편, 북조의 동위 시기인 흥화 연간에는 동예주에 별도의 광릉군이 설치되기도 했다. 이 광릉군은 송안(松安), 광성(廣城), 안만(安蠻), 신채(新蔡), 여남(汝南)의 5개 현을 관할했다.[19]

2. 6. 수당

583년 (개황 3년), 가 군현제를 정비하면서 전국의 군(郡)을 폐지함에 따라 광릉군도 폐지되어 오주(吳州)에 편입되었다. 589년 (개황 9년)에는 오주가 양주로 개칭되었고, 이곳에 양주총관부(揚州總管府)를 설치하여 지역 행정의 중심지로 삼았다. 이후 607년 (대업 3년)에 수 양제가 주(州) 제도를 폐지하고 다시 군(郡) 제도를 시행하면서, 양주는 '''강도군'''(江都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0]

건국 이후, 620년 (무덕 3년)에 수나라 말기 군벌이었던 두복위(杜伏威)가 당에 귀순하자, 강도군은 연주(兗州)로 이름을 바꾸고 동남도행대(東南道行臺)를 설치했다. 이후에도 행정 구역 명칭 변경이 여러 차례 있었는데, 624년 (무덕 7년)에는 한주(邗州)로, 626년 (무덕 9년)에는 다시 양주로 개칭되었으며, 대도독부(大都督府)가 설치되어 그 중요성이 커졌다. 742년 (천보 원년), 당 현종이 전국의 주(州) 명칭을 군(郡)으로 일괄 변경하는 정책에 따라 양주는 다시 '''광릉군'''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이 명칭은 오래가지 못했고, 758년 (건원 원년)에 당 숙종이 군(郡) 명칭을 다시 주(州)로 되돌리는 조치에 따라 광릉군은 양주로 개칭되었다. 이후 '광릉군'이라는 행정 구역 명칭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21]

3. 행정 구역

광릉군의 행정 구역은 시대에 따라 변화를 거듭했다. 그 시작은 기원전 201년 한고제가 초나라를 분할하여 설치한 동양군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2][23] 이후 오나라의 영토가 되었다가, 오초칠국의 난 이후 강도국(江都國)의 일부가 되었다.[25] 기원전 120년 강도국이 폐지되면서 처음으로 광릉군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26] 이후 무제의 아들 유서가 왕으로 봉해지며 광릉국(廣陵國)이 되었다.[26] 이 과정에서 일부 영역이 임회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27]

전한 시대 동안 광릉국은 잠시 폐지되었다가 다시 복구되는 과정을 겪었으며,[10][11] 신나라 때는 잠시 강평군(江平郡)으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다.[12]

후한 시대에는 다시 광릉군으로 명칭이 돌아왔고, 사수국을 편입하여 영역이 확장되었다.[13] 잠시 광릉국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다시 군으로 돌아왔다.[14] 후한 말 조조의 서주 침공 시기에는 많은 주민이 동오로 피난하기도 했다.

삼국 시대에는 조위가 광릉군을 설치했으며, 서진 시대에는 8개 현을 관할했다.[34]

영가의 난 이후 오호 십육국 시대의 혼란 속에 화북 지역 주민들이 강남으로 이주하면서 행정 구역에 변화가 생겼다. 광릉군 내부에 산양군 출신 유이민들이 정착한 지역이 새로운 산양군으로, 동부 지역은 해릉군으로 분리되었다.[17] 남조 시대 유송과 남제 시기에는 남연주에 속했으며, 관할 현의 수와 인구는 이전 시대에 비해 줄어들었다.[17][18]

3. 1. 전한

기원전 201년(한고제 6년), 유방초나라한신을 회음후로 강등시키고, 초나라 영토를 화이허 강을 기준으로 나누었다. 동쪽 지역은 형나라로 삼아 유고를 왕으로 봉하고 동양군, 장군, 회계군을 다스리게 했다.[22] 이때의 동양군은 광릉군의 전신으로, 동해군의 화이허 강 동쪽 지역을 분할하여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23] 이후 유고가 영포의 반란 중에 살해되자, 유방은 그 자리에 오나라를 세우고 옛 형나라 땅을 관할하게 했다.[24]

오나라 왕 유비는 봉국을 거의 독립적으로 운영했으나, 경제가 제후왕들의 죄를 명분 삼아 왕국의 지군(支郡)을 몰수하자 이에 반발하여 다른 제후왕들과 함께 오초칠국의 난을 일으켰다(기원전 154년).[25] 난이 진압된 후, 회계군은 한나라의 직할 군으로 편입되었고, 동양군은 장군과 함께 강도역왕 유비가 다스리는 강도국(江都國)이 되었다.[25][7] 강도국의 수도는 옛 동양군 지역에 두었다.

이후 강도왕 유건이 죄를 지어 자살하면서 강도국은 폐지되었고, 기원전 121년(원수 2년)에 그 지역은 이름을 광릉군으로 바꾸면서 처음으로 '광릉'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26] 기원전 117년(원수 6년), 무제는 아들 유서를 광릉왕으로 봉하여 광릉국(廣陵國)을 세웠다.[26][8] 광릉국이 설치되면서 옛 광릉군 영역의 일부는 패군의 일부 영역과 합쳐져 임회군으로 분리되었다.[27][9]

기원전 54년(오봉 4년), 광릉여왕 유서가 모반을 꾀하다 발각되어 자살하자 왕국은 다시 폐지되어 광릉군이 되었다.[10] 그러나 기원전 47년(초원 2년), 유서의 옛 태자였던 유패가 다시 광릉왕으로 봉해지면서 광릉국이 복구되었다.[11]

임회군이 분리되기 전의 동양군은 임회군에 속하게 될 화이허 강 동쪽 12개 현과 광릉국에 속하게 될 4개 현, 총 16개 현을 관할했으며, 그 외 위치가 불분명한 몇몇 현도 포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8]

광릉국은 서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서기 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6,773호, 140,722명을 관할했다. 철광업을 관리하는 철관(鐵官)이 설치되어 있었다. 아래는 《한서》 지리지에 기록된 속현 목록으로[29],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12년 ~ 기원전 8년)의 상황으로 추정되며, 일반적으로 목록의 첫 번째 현이 군국의 중심지(치소)로 여겨진다. 이 지역은 대략 현재의 장쑤성 양저우 시 일대에 해당한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광릉廣陵양저우 시 북서강도역왕 유비, 광릉여왕 유서 모두 여기에 도읍을 두었다.
강도江都양저우 시 한장 구강수사(江水祠)가 있고, 거수(渠水)가 장강에서 나와 북으로 사양(射陽)에 이르러 호수로 들어간다.
고우高邮양저우 시 가오유 시
평안平安양저우 시 바오잉 현



다음은 광릉왕국에서 봉해진 왕자후(王子侯)들의 목록이다. 강도왕국 시절에 봉해진 왕자후들은 추은령 이전에 봉해진 것이므로 왕국의 구역 변천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이름봉해진 때폐해진 때왕자후표의 말격지리지의 소속 군
조양(朝陽)본시 원년(기원전 73년) 7월 임자일불명제남제남
평곡(平曲)오봉 4년(기원전 54년),
이후 다시 봉해짐
동해동해
남리(南利)지절 2년(기원전 68년)여남
양평(襄平)[30]영광 5년(기원전 39년) 3월시건국 원년(서기 9년)임회
난릉(蘭陵)건소 5년(기원전 34년) 12월시건국 원년(서기 9년)?임회[31]
광평(廣平)임회



이외에도 사서에는 광릉무왕(廣陵繆王)의 아들 유가(劉嘉)가 방락후(方樂侯)에 봉해졌다는 기록이 있으나, 《사기》나 《한서》에는 광릉무왕이라는 칭호를 가진 왕이 등장하지 않는다.

신(新)나라왕망 집권기에는 강평군(江平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2]

3. 2. 후한

후한이 건국되면서 광릉군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37년 (건무 13년)에는 사수국이 폐지되어 광릉군에 편입되었다.[13] 58년 (영평 원년)에는 산양왕 유경이 광릉왕으로 봉해지면서 광릉군은 광릉국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67년 (영평 10년) 광릉왕 유경이 자살하자 광릉국은 다시 폐지되어 광릉군으로 돌아갔다.[14]

후한 시대 광릉군은 낙양에서 1,640리 거리에 있었으며, 11개 현과 83,907호, 410,190명의 인구를 거느렸다.[32] 관할한 현은 다음과 같다.

후한 시대 광릉군 소속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광릉현廣陵縣양저우 시 광링 구동릉정(東陵亭)이 있었다.
강도현江都縣강수사(江水祠)가 있었다.
고우현高邮縣양저우 시 가오유 시
평안현平安縣화이안 시 진후 현 당항향(唐港鄕)
능현淩縣쑤첸 시 쓰양 현 북서본래 사수국에 속해있었다.
동양현東陽縣화이안 시 화이인 구 남서본래 임회군에 속했다. 장주택(長洲澤)이 있었다. 서진대에 임회군으로 소속이 이관되었다.[33]
사양현射陽縣양저우 시 바오잉 현 동본래 임회군에 속했다.
염독현鹽瀆縣옌청 시본래 임회군에 속했다.
여후국輿候國양저우 시 이정 시 북본래 임회군에 속했다.
당읍현堂邑縣난징시 류허 구 북서본래 임회군에 속했다.
해서현海西縣롄윈강 시 관난 현 남동본래 동해군에 속했다.



후한 말기에는 조조의 서주 침공을 피해 광릉군의 주민 10만여 명이 동오로 망명하기도 했다.

3. 3. 위진

조조의 서주 침공 이후 조위에서 광릉군을 설치했다. 서진 시기에는 8현 8,800호를 거느렸다.[34]

서진 시대 광릉군 소속 현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淮陰縣회음현화이안 시 화이인 구 남서이후 유송대에 임회군으로 소속이 이관되었다.[35]
射陽縣사양현변화없음
輿縣여현
海陵縣해릉현타이저우 시강해회사(江海會祠)가 있다. 조위대에 폐했다가 280년(태강 원년)에 복구했다.[36]
廣陵縣광릉현변화없음
鹽瀆縣염독현
淮浦縣회포현화이안 시 롄수이 현이후 유송대에 임회군으로 소속이 이관되었다.[37]
江都縣강도현변화없음강수사(江水祠)가 있다. 조위대에 폐했다가 285년(태강 6년)에 복구했다.[38]


3. 4. 남조

영가의 난 이후 오호 십육국 시대의 혼란을 피해 많은 화북 주민들이 강남 지방으로 이주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 광릉군 지역에 산양군 출신 실향민들이 정착하면서 북동부 지역이 산양군으로, 동부 지역이 해릉군으로 분리되었다. 남조 시대의 광릉군은 남연주에 속하게 되었다.[17]

유송 시대에는 광릉군은 광릉현, 해릉현, 고우현, 강도현의 4개 현을 관할했으며, 총 7,744호, 45,613명의 인구를 포함했다.[17]

남제 시대에는 유송 시대의 4개 현에 더해 483년(영명 원년) 제녕현이 신설되어 총 5개 현을 관할하였다.[18][39]

아래는 남조 시대 광릉군에 속했던 현들의 목록이다.

현명한자비고
광릉현廣陵縣유송, 남제 시대 소속.
해릉현海陵縣유송, 남제 시대 소속. 영가의 난 이후 분리 신설됨.
고우현高邮縣유송, 남제 시대 소속. 삼국시대 때 폐지되었다가 280년(태강 원년)에 복구됨.
강도현江都縣유송, 남제 시대 소속.
제녕현齊寧縣483년(영명 원년) 신설. 남제 시대 소속. 위치는 현재의 양저우 시 장두 구 북동.[39]


4. 장관

광릉군에는 전한후한 시대에 걸쳐 행정 장관이 파견되었다. 전한 시대에는 광릉상과 광릉태수가 있었으며, 후한 시대에도 태수가 임명되었다. 자세한 역대 재임 인물은 아래 문단을 참고하라.

4. 1. 전한

전한 시대에 광릉군이 설치되었으며, 행정 장관으로 광릉상과 광릉태수가 파견되었다. 자세한 역대 재임 인물은 아래 문단을 참고하라.

4. 1. 1. 광릉상


  • (? ~ 기원전 73년)
  • 閎孺|굉유중국어 (선제 시기?)
  • 진만년 (? ~ 기원전 61년)
  • 勝之|승지중국어 (? ~ 기원전 54년)

4. 1. 2. 광릉태수

이름재임 기간 (또는 사망 연도)
왕건? ~ 기원전 12년
손보? ~ 기원전 11년


4. 2. 후한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Later Han
[3] 서적 Book of Later Han
[4] 서적 Book of Later Han
[5] 서적 Book of Song
[6] 서적 New Book of Tang
[7] 서적 漢書
[8] 서적 漢書
[9] 서적 漢書
[10] 서적 漢書
[11] 서적 漢書
[12] 서적 漢書
[13] 서적 後漢書
[14] 서적 後漢書
[15] 서적 後漢書
[16] 서적 晋書
[17] 서적 宋書
[18] 서적 南斉書
[19] 서적 魏書
[20] 서적 隋書
[21] 서적 旧唐書
[22] 서적 한서
[23]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24] 서적 사기
[25] 서적 한서
[26] 서적 한서
[27] 서적 진서
[28]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29] 서적 한서
[30] 문서 양평후 유미는 광양여왕의 아들이라고 나오는데, 광양여왕은 광릉여왕의 오기인 듯하다.
[31] 문서 지리지에서는 난양후국(蘭陽侯國)으로 나온다.
[32]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33] 서적 진서 권15, 지리지 下
[34]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35] 서적 송서 권35, 주군지 1
[36] 서적 《송서》35권 지 제25 주군지 1 남연주 광릉군 https://zh.wikisourc[...]
[37] 서적 《송서》35권 지 제25 주군지 1 남서주 임회군 https://zh.wikisourc[...] 송서 권35, 주군지 1
[38] 서적 《송서》35권 지 제25 주군지 1 남연주 광릉군 https://zh.wikisourc[...] 송서 권35, 주군지 1
[39] 서적 《남제서》14권 지 제25 주군지 上 남연주 광릉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