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낭야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낭야군은 기원전 221년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설치된 군으로, 현재의 산둥성 일대에 위치했다. 춘추 시대에는 월나라의 서울이 있었고, 전국 시대에는 제나라의 영토였다. 전한 시대에는 제나라의 봉토가 되기도 했으며, 왕망 시대에는 진이군으로 개칭되기도 했다. 후한 시대에는 성양경왕 신앙의 영향으로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고, 조조 시대에는 서주와 청주 일대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군역이 축소되기도 했다. 서진 시대에는 영가의 난으로 인해 낭야군 주민들이 남하하여 회남 지방에 정착하기도 했으며, 이후 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수당 시대에는 동관낭야이군으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진의 군 - 촉군
    촉군은 진나라부터 당나라 시대에 쓰촐성 청두 일대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고촉 왕국을 정복한 진나라에 의해 설치되어 시대에 따라 영역 변화를 겪었으며,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부활했으나 청두부로 개명되어 사라졌다.
  • 동진의 군 - 노군
    노군은 진나라 설군에서 시작되어 한나라 노국을 거쳐 여러 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으나 수나라 때 잠시 노주로 개명되기도 했으며 당나라 때 연주로 바뀌면서 사라진 옛 행정 구역이다.
  • 장쑤성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장쑤성의 군 - 오군
    오군은 129년 후한 순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의 통치를 받았으며, 손책이 장악하여 오나라의 기반이 되었고, 경제적 번영과 군사적 중요성을 지녔으나, 당나라 때 소주로 개명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낭야군
지도
개요
국가중국
시대진나라, 한나라, 삼국 시대, 서진, 남북조 시대
위치산둥성 동남부
성격군 (郡)
역사
설치진나라에 의해 설치됨
관할서현
동무현
제현
거현
개양현
양도현
동안현
장광현
이오현
계구현
해곡현
박창현
안구현
고밀현
창향현
평수현
영현
제남현
노현
기모현
관양현
황현
폐지수나라 때 폐지됨
행정
치소동무현
인구
후한 영건 5년 (130년)1,047,182 명, 177,174 호
주요 인물
출신 인물저갈량
왕상
제갈근
제갈탄
제갈첨
제갈상
제갈반
공융
관녕
왕랑
저수
장승
제갈교
유옹
양후
제갈충
유괴
제갈회
저갈정
저갈서
관련 유적
유적오백장 한묘

2. 역사적 배경

기원전 221년(시황 26년), 진이 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하면서 천하를 36개의 군(郡)으로 나누었는데, 이때 낭야군(琅琊郡)이 설치되었다. 군 치소는 낭야현에 두었다.[12]

전한 시대 낭야군은 서주에 속했으며, 한서에 따르면 22만 8960호, 107만 9100명이 낭야군에 살았다고 한다. 낭야군은 51개 현을 관할했다.[12] 왕망 시대에는 '''진이군'''(填夷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3]

후한 건국 후 낭야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41년(건무 17년), 광무제의 아들 유경이 낭야왕으로 봉해지면서 낭야군은 낭야국으로 개칭되었고, 군 치소는 개양현으로 옮겨졌다. 낭야국은 13개 현을 관할했다.[14]

진 시대에 낭야국은 9개 현을 관할했다.[15] 남조 송 시대에는 2개 현,[16] 북위 시대에는 북서주에 속했으며 2개 현을 관할했다.[17] 북주 시대에 북서주는 기주로 개칭되었고, 낭야군은 기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낭야군은 기주로 개칭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기주는 낭야군으로 개칭되었으며 7개 현을 관할했다.[18]

621년(무덕 4년), 서원랑이 에 멸망하면서 낭야군은 당의 기주가 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기주는 낭야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낭야군은 기주로 개칭되어 낭야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9]

2. 1. 한나라 이전

춘추 시대 말기에는 월나라의 서울인 낭야가 있었고, 전국 시대에는 제나라의 영토였다. 제나라는 군을 두지 않고 5도를 설치했는데, 낭야군 일대에는 이 도가 설치되지 않았다. 그러나 옛 낭야군의 영역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제나라의 화폐가 많이 출토돼 상업의 요지임을 짐작할 수 있다. 기원전 221년(시황 26년), 진(秦)이 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하자 천하를 36개의 군(郡)으로 나누었는데, 이때 낭야군(琅琊郡)이 설치되었다. 군 치소는 낭야현에 두었다. 진나라 말기 제나라가 부활하면서 제나라의 지배를 받았고, 전횡은 한나라와의 항쟁 끝에 본토를 잃자 낭야군에 속한 황해 연안의 섬에 들어가 소극적인 반항을 계속했다.[12]

2. 2. 전한

전한에서는 새로 제왕이 된 한신의 봉토였으나, 제나라의 부유함과 지리적 이점을 노린 전한 조정에서는 한신을 초나라로 이봉한 후 직할령으로 삼았다. 고조 6년(기원전 201년)에 이성제후왕을 동성제후왕으로 교체하는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때 제나라는 친족이 아니면 봉해질 수 없다 해 고제의 서자 제도혜왕 유비에게 제나라를 봉했고, 낭야군은 제도혜왕의 봉토가 되었다. 고제 사후 전한을 통치한 고황후는 제나라를 위협했고 제도혜왕은 굴복해 성양군을 고황후의 딸 노원공주의 탕목읍으로 바쳤다. 그러나 고황후는 제나라를 더욱 핍박했고, 또 황족의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 낭야군을 낭야나라로 떼어내 황족이면서 고황후의 뜻대로 여씨를 왕과 후작으로 세우기를 권한 영릉후 유택을 왕으로 삼았다. 기원전 180년, 조정 대신들과 제도혜왕의 아들인 제애왕 유양, 주허후 유장(성양경왕), 유흥거 형제가 협력해 여씨를 몰락시켰고, 새 황제로 추대된 문제는 유택을 왕으로 옮겨 봉하고 낭야군으로 되돌려 여씨 정권이 제나라에서 취한 다른 지역들과 함께 제나라에 반환했다. 이때 낭야의 유력자 왕중은 몇 차례 제애왕의 자문을 받았다.[21]

문제 3년(기원전 178년) 제북왕 유흥거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에도 왕중에게 병권을 주려 했다. 왕중은 낙랑으로 달아났으나, 풍부한 경제력이 있고 몇 차례 중앙에 대한 반기에 연루된 낭야군을 문제는 가만히 두지 않았다. 문제 15년(기원전 165년) 제후왕을 견제하는 조치의 일환으로 제문왕 유칙이 아들 없이 죽자 제나라를 폐지하면서 낭야군은 한나라에 속했고, 문제 16년(기원전 164년)에 폐지된 제나라에 다시 일곱 제후왕국을 세웠으나 낭야군만은 한나라 아래에 그대로 남았다.[21]

무제가 13주를 설치하면서 서주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2만 8960호, 107만 9100명이였다. 다음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지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군에 철관을 두었고, 51현(23현 28후국)을 관할했다.[12]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동무현東武縣웨이팡시 주청시
불기현不其縣칭다오시 청양구 성양가도(城陽街道)태일(太一), 천인사(僊人祠) 아홉 곳과 명당(明堂)이 있었다. 무제가 일어난 곳이다.
해곡현海曲縣르자오시 대고성촌(大古城村) 일대철관(鹽官)을 뒀다.
공유현贛楡縣롄윈강시 간위구 북
주허현朱虛縣웨이팡시 린추현 남동범산(凡山)에서 단수(丹水)가 나와서 동북으로 수광에서 바다로 들어갔다. 동으로는 태산이 있고, 문수가 나와 동으로 안구(安丘)에 이르러 유수(維水)에 들어갔다. 삼산(三山)과 오제(五帝)의 사당이 있었다.
제현諸縣린이시 이수이현 지구진(枳溝鎭)
오성현梧成縣웨이팡시 안추시 남오촌(南郚村)
영문현靈門縣웨이팡시 안추시 서고탁산(高䂞山)과 호산(壺山)이 있었고, 오수(浯水)가 나와서 동북으로 회수(淮水)로 들어갔다.
고막현姑幕縣웨이팡시 안추시 석부자진(石埠子鎭)도위가 다스린다. 혹은 박고(薄姑)라고도 한다.
허수후국虗水侯國?
임원후국臨原侯國웨이팡시 린추현 동
낭야현琅邪縣칭다오시 황다오구 낭야진(琅邪鎭)월왕 구천의 도읍지였다. 사시사(四時祠)가 있었다.
폐후국祓侯國칭다오시 자오저우시 남서
거현柜縣칭다오시 자오저우시 남근애수(根艾水)가 동쪽으로 바다에 들어갔다.
병후국缾侯國웨이팡시 린추현 남
부현邞縣칭다오시 자오저우시 남서교수(膠水)가 동쪽으로 평도(平度)에 이르러 바다에 들어갔다.
우가후국雩叚侯國?
검추현黔陬縣칭다오시 자오저우시 남서옛 개(介)나라가 있었다.
운후국雲侯國?
계근현計斤縣칭다오시 자오저우시 남서옛 제후 거자(莒子)가 처음 일어난 곳으로 나중에 거(莒)로 옮겼다. 철관을 뒀다.
도후국稻侯國웨이팡시 가오미시
고우후국皐虞侯國칭다오시 지모시 북동
평창현平昌縣웨이팡시 주청시 북
장광현長廣縣옌타이시 라이양시내산(萊山)과 내왕사(萊王祠)가 있었다. 서쪽에 해양택(奚養澤)이 있었다. 철관을 뒀다.
횡현橫縣웨이팡시 주청시 남동고산(故山)에서 구이수(久台水)가 나와 북서로[21] 동무에 이르러 회수로 들어간다.
동관현東莞縣린이시 이수이현술수(術水)가 남쪽으로 하비(下邳)에 이르러 사수(泗水)에 들어가는데, 세 군, 710리를 지나 청주를 적셨다.
위기후국魏其侯國린이시 남동
창현昌縣웨이팡시 주청시 북동환산사(環山祠)가 있었다.
자향후국玆鄕侯國웨이팡시 안추시 남동
기후국箕侯國르자오시 쥐현우공(禹貢) 유수(濰水)가 북쪽으로 창도(昌都)에 이르러 바다에 들어가는데, 세 군, 520리를 지나 연주를 적셨다.
패현椑縣르자오시 쥐현 남동야두수(夜頭水)가 남쪽으로 바다에 이르른다.
고광후국高廣侯國르자오시 쥐현 남
고향후국高鄕侯國르자오시 쥐현 남
유후국柔侯國?
즉래후국卽來侯國?
이후국麗侯國웨이팡시 주청시 남
무향후국武鄕侯國?
이향후국伊鄕侯國?
신산후국新山侯國르자오시 쥐현 남서
고양후국高陽侯國르자오시 쥐현 남
곤산후국昆山侯國르자오시 우롄현
삼봉후국參封侯國?
절천후국折泉侯國르자오시 우롄현 북서절천수(折泉水)가 북쪽으로 막(莫)에 이르러 회수(淮水)에 들어간다.
박석후국博石侯國?
방산후국房山侯國웨이팡시 창러현
신향후국愼鄕侯國?
사망후국駟望侯國?
안구후국安丘侯國웨이팡시 안추시 남동 일대?
고릉후국高陵侯國?
임안후국臨安侯國?
석산후국石山侯國?



왕망 시대에 '''진이군'''(填夷郡)으로 개칭되었다.[13]

2. 3. 후한 ~ 남북조 시대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10월, 조조서주 일대에서 활약하던 여포의 군대를 격파한 뒤 서주, 청주 일대에서 행정구역 개편이 실시되었다. 이때 낭야군과 동해군에서 성양군이 복구되면서 동무현, 거현, 고막현, 제현 등이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또한 동관현이 동관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크게 축소되었다. 조위 때 동관군이 폐지되면서 동관군으로 분리된 지역이 내속되었지만 289년(서진 무제 태강 10년)에 동완군이 복구되면서 군역이 다시 축소되었다. 서진 대에는 9현 29,500호를 거느렸다. 영가의 난 이후 석륵에게 함락되었다. 그러나 군의 주민들이 남하하여 회남 지방에 정착하면서 이들이 정착한 곳에 낭야군이 교치되었다. 이후 오군의 해우현과 곡아현 일대에서 교치되었다. 이렇게 교치된 낭야군은 남낭야군 문서를 참조할 것.[23][24]

후한~남북조 시대 낭야군 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개양현開陽縣린이시 란산구 전석양두촌(前石梁頭村) 일대?
임기현臨沂縣린이시 란산구 임기장(臨沂庄)
양도현陽都縣린이시 이난현 남 팽가장촌(彭家庄村) 일대
증현繒縣린이시 창산현 증성후하서촌(鄫城后河西村) 일대
즉구현卽丘縣린이시 허둥구 우왕성촌(禹王城村)
화현華縣린이시 페이현 고성리촌(古城里村) 북
비현費縣린이시 페이현 영국장촌(寧國庄村) 서비성(西费城)
동안현東安縣린이시 이수이현 후성자촌(后城子村)297년(진 혜제 원강 7년) 폐지되었다.
몽음현蒙陰縣린이시 멍인현 대성자촌(大城子村) → 린이시 멍인현 전성자촌(前城子村)265년(서진 무제 태시 원년) 이후 치소가 옮겨졌다.



동진 말엽, 비수 대전에서 승리한 남조가 회수 이북의 서주를 수복하면서 낭야군은 남조가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명제 시기 송나라가 북위의 침공으로 회수 이북의 모든 땅을 상실하면서 군 전역이 북위로 편입되었고, 남조의 낭야군은 롄윈강시 일대로 옮겨졌다. 송말의 낭야군은 2현 1,818호 8,243명을 거느렸으며 서주의 치소까지 육로로 400리, 건강까지 수로로 1,500리, 육로로 1,100리였다고 한다.[25]

유송 낭야군 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민정비고
비현費縣미상령(令)
즉구현即丘縣



동관군이 통폐합되어 '''동관낭야이군(東莞琅邪二郡)'''이 만들어졌다. 이 군은 구산성(朐山城, 현 롄윈강시 하이저우구 서남 홍문촌(洪門村) 일대)에 치소를 두었고 낭야, 동완 지역의 유랑민들을 정착시켜 즉구현(卽丘縣), 남동관현(南東莞縣), 북동완현(北東莞縣)의 3개 현을 통치했다. 482년(남제 고제 건원 4년) 청주자사의 치소가 구산성으로 옮겨지자 청주의 중심지가 되었다.[26]

북위의 낭야군은 본래 서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529년(북위 효장제 영안 2년) 북서주(北徐州)가 분리되자 북서주로 편입되었다. 북위 때 낭야군은 2현 9,774호 23,744명을 거느렸다.[27]

북위 낭야군 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즉구현即丘縣린이시 란산구 서 고성촌(古城村)군의 중심지이자 북서주의 중심지였다. 469년(북위 헌문제 황흥 3년) 치소가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현내에 증성(繒城), 임기성(臨沂城), 즉구성(即丘城), 노국산묘(魯國山廟), 왕휴징의 무덤(王休徵冢)이 있었다.
비현費縣린이시 란산구 방성진(方城鎭)457년(유송 명제 대명 원년) 치소가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현내에 비성(費城)이 있었다. 543년(동위 효정제 무정 원년) 치소가 지금의 린이시 페이현 설장(薛庄)으로 옮겨졌다.


2. 4. 수당 시대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낭야군은 기주로 개칭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기주는 다시 낭야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당시 낭야군은 임기, 비, 전여, 신태, 기수, 동안, 거의 7개 현을 관할했다.[18]

621년(무덕 4년), 서원랑이 에 멸망하면서 낭야군은 당의 기주가 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기주는 낭야군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758년(건원 원년), 낭야군은 기주로 개칭되면서 낭야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19]

3. 속현 목록

전한신(新)
동무(東武)상선(祥善)
제(諸)제병(諸幷)
고막(姑幕)계목(季睦)
임원(臨原)전이정(塡夷亭)
거(柜)폐동(祓同)
부(邞)순덕(純德)
고우(皐虞)영려(盈廬)
고산(故山)영구(令丘)
위기(魏其)청천(靑泉)
패(椑)식명(識命)
즉래(卽來)성목(盛睦)
무향(武鄕)순리(順理)
사망(駟望)영향(泠鄕)
안구(安丘)영향(寧鄕)
고릉(高陵)포륙(蒲陸)
임안(臨安)성신(誠信)



후한은 성양경왕 신앙의 영향으로 행정 구역이 크게 개편되었다. 성양경왕의 신탁에 따라 군 치소를 동해군 개양현(지금의 린이시 일대)으로 옮겼고, 동해군과 현을 교체했다. 건무 연간에 성양국이 낭야군에 통합되었다. 낙양에서 동쪽으로 1,500리 떨어져 있었으며, 13개 성, 20,804호, 570,967명을 거느렸다.[22]

후한 낭야국 개편
전한후한
성양군거현, 동안현, 양도현낭야국거현, 동안현, 양도현
낭야군동무현, 낭야현, 동관현, 서해현, 제현, 고막현, 공유현동무현, 낭야현, 동관현, 서해현, 제현, 고막현
동해군개양현, 임기현, 즉구현, 증현개양현, 임기현, 즉구현, 증현
담현, 난릉현, 척현, 구현, 양비현, 창필현, 승현, 음평현, 이성현, 합향현, 주기현, 후구현동해군담현, 난릉현, 척현, 구현, 양비현, 창려현, 승현, 음평현, 이성현, 합향현, 축기현, 후구현, 공유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개양현開陽縣린이시 란산구 전석양두촌(前石梁頭村) 일대?80년(건초 5년)에 본군으로 옮겼다.
동무현東武縣르자오시 주청시
낭야현琅邪縣칭다오시 황다오구 낭야진(琅邪鎭)
동완현東莞縣린이시 이수이현운정(郓亭), 비향(邳鄕), 공래산(公來山)이 있다.
서해현西海縣전한대 곤산후국(昆山侯國)을 폐하고 해곡현을 서해현으로 고쳤다.
제현諸縣린이시 이수이현 지구진(枳溝鎭)
거현莒縣르자오시 쥐현철광, 쟁영곡(峥嵘谷)이 있다.
동안현東安縣린이시 이수이현 후성자촌(后城子村)
양도현陽都縣린이시 이난현 남 팽가장촌(彭家庄村) 일대
임기현臨沂縣린이시 란산구 임기장(臨沂庄)총정(叢亭)이 있다.
즉구후국卽丘候國린이시 허둥구 우왕성촌(禹王城村)춘추시대에는 주구(祝丘)라고 했다.
증후국繒候國린이시 창산현 증성후하서촌(鄫城后河西村) 일대개정(概亭)이 있다.
고막현姑幕縣웨이팡시 안추시 석부자진(石埠子鎭)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조조서주에서 여포를 격파하고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낭야군은 크게 축소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9현 29,500호를 거느렸으나, 영가의 난 이후 석륵에게 함락되었다. 낭야군 주민들은 남쪽으로 이주하여 회남 지방에 정착, 오군 해우현과 곡아현 일대에 낭야군을 다시 설치했다.( 남낭야군 참조)[23][24]

동진 말, 비수 대전에서 승리한 남조가 회수 이북 서주를 수복하면서 낭야군은 남조의 차지가 되었다. 그러나 명제 시기 북위 침공으로 회수 이북 모든 땅을 상실하면서 군 전역이 북위에 편입되었고, 남조의 낭야군은 롄윈강시 일대로 옮겨졌다. 송 말 낭야군은 2현 1,818호 8,243명을 거느렸다.[25]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민정비고
비현費縣미상령(令)
즉구현即丘縣



동관군과 낭야군이 합쳐져 '''동관낭야이군(東莞琅邪二郡)'''이 되었다. 이 군은 구산성(朐山城, 현재의 롄윈강시 하이저우구 서남 홍문촌(洪門村) 일대)에 치소를 두었고, 낭야, 동완 지역 유랑민들을 정착시켰다. 482년(남제 고제 건원 4년) 청주자사 치소가 구산성으로 옮겨지면서 청주 중심지가 되었다.[26]

북위 낭야군은 본래 서주 속군이었으나, 529년(북위 효장제 영안 2년) 북서주(北徐州)가 분리되면서 북서주로 편입되었다. 북위 때 낭야군은 2현 9,774호 23,744명을 거느렸다.[27]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즉구현即丘縣린이시 란산구 서 고성촌(古城村)군 중심지이자 북서주 중심지였다. 469년(북위 헌문제 황흥 3년) 치소가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비현費縣린이시 란산구 방성진(方城鎭)457년(유송 명제 대명 원년) 치소가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543년(동위 효정제 무정 원년) 치소가 현재의 린이시 페이현 설장(薛庄)으로 옮겨졌다.


3. 1. 전한

진(秦)은 군의 이름을 전이(塡夷)로 바꾸고, 다음 현의 이름을 아래와 같이 변경했다.

전한신(新)
동무(東武)상선(祥善)
제(諸)제병(諸幷)
고막(姑幕)계목(季睦)
임원(臨原)전이정(塡夷亭)
거(柜)폐동(祓同)
부(邞)순덕(純德)
고우(皐虞)영려(盈廬)
고산(故山)영구(令丘)
위기(魏其)청천(靑泉)
패(椑)식명(識命)
즉래(卽來)성목(盛睦)
무향(武鄕)순리(順理)
사망(駟望)영향(泠鄕)
안구(安丘)영향(寧鄕)
고릉(高陵)포륙(蒲陸)
임안(臨安)성신(誠信)


3. 2. 후한

여타 청주의 군현들과 마찬가지로, 이 지방에 널리 퍼진 성양경왕 신앙의 영향을 받아 행정 구역이 대대적으로 개편되었다. 성양경왕의 신탁을 받아 치소가 동해군에 속했던 개양현, 즉 지금의 린이시 일대로 옮겨졌고 동해군과 몇 개 현이 맞바뀌었다. 또한 건무 연간에 성양국이 본군에 통폐합되었다. 낙양에서 동으로 1,500리 거리에 있으며 13성 20,804호 570,967명을 거느렸다.[22]

후한대 낭야국 개편
전한후한
성양군거현, 동안현, 양도현낭야국거현, 동안현, 양도현
낭야군동무현, 낭야현, 동관현, 서해현, 제현, 고막현, 공유현동무현, 낭야현, 동관현, 서해현, 제현, 고막현
동해군개양현, 임기현, 즉구현, 증현개양현, 임기현, 즉구현, 증현
담현, 난릉현, 척현, 구현, 양비현, 창필현, 승현, 음평현, 이성현, 합향현, 주기현, 후구현동해군담현, 난릉현, 척현, 구현, 양비현, 창려현, 승현, 음평현, 이성현, 합향현, 축기현, 후구현, 공유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개양현開陽縣린이시 란산구 전석양두촌(前石梁頭村) 일대?80년(건초 5년)에 본군으로 옮겼다.
동무현東武縣르자오시 주청시
낭야현琅邪縣칭다오시 황다오구 낭야진(琅邪鎭)
동완현東莞縣린이시 이수이현운정(郓亭), 비향(邳鄕), 공래산(公來山)이 있다.
서해현西海縣전한대 곤산후국(昆山侯國)을 폐하고 해곡현을 서해현으로 고쳤다.
제현諸縣린이시 이수이현 지구진(枳溝鎭)
거현莒縣르자오시 쥐현철광, 쟁영곡(峥嵘谷)이 있다.
동안현東安縣린이시 이수이현 후성자촌(后城子村)
양도현陽都縣린이시 이난현 남 팽가장촌(彭家庄村) 일대
임기현臨沂縣린이시 란산구 임기장(臨沂庄)총정(叢亭)이 있다.
즉구후국卽丘候國린이시 허둥구 우왕성촌(禹王城村)춘추시대에는 주구(祝丘)라고 했다.
증후국繒候國린이시 창산현 증성후하서촌(鄫城后河西村) 일대개정(概亭)이 있다.
고막현姑幕縣웨이팡시 안추시 석부자진(石埠子鎭)


3. 3. 위진 ~ 남북조 시대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조조서주에서 여포를 격파하고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낭야군은 크게 축소되었다. 서진대에는 9현 29,500호를 거느렸으나, 영가의 난 이후 석륵에게 함락되었다. 낭야군 주민들은 남쪽으로 이주하여 회남지방에 정착하였고, 이들이 정착한 곳에 낭야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오군의 해우현과 곡아현 일대에 설치된 낭야군은 남낭야군을 참조한다.[23][24]

동진 말, 비수 대전에서 승리한 남조가 회수 이북의 서주를 수복하면서 낭야군은 남조의 차지가 되었다. 그러나 명제 시기 북위의 침공으로 회수 이북의 모든 땅을 상실하면서 군 전역이 북위로 편입되었고, 남조의 낭야군은 롄윈강시 일대로 옮겨졌다. 송 말의 낭야군은 2현 1,818호 8,243명을 거느렸다.[25]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민정비고
비현費縣미상령(令)
즉구현即丘縣



동관군이 낭야군과 합쳐져 '''동관낭야이군(東莞琅邪二郡)'''이 되었다. 이 군은 구산성(朐山城, 현재의 롄윈강시 하이저우구 서남 홍문촌(洪門村) 일대)에 치소를 두었고, 낭야, 동완 지역의 유랑민들을 정착시켰다. 482년(남제 고제 건원 4년)에는 청주자사의 치소가 구산성으로 옮겨지면서 청주의 중심지가 되었다.[26]

북위의 낭야군은 본래 서주의 속군이었으나, 529년(북위 효장제 영안 2년) 북서주(北徐州)가 분리되면서 북서주로 편입되었다. 북위 때 낭야군은 2현 9,774호 23,744명을 거느렸다.[27]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즉구현即丘縣린이시 란산구 서 고성촌(古城村)군의 중심지이자 북서주의 중심지였다. 469년(북위 헌문제 황흥 3년) 치소가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비현費縣린이시 란산구 방성진(方城鎭)457년(유송 명제 대명 원년) 치소가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543년(동위 효정제 무정 원년) 치소가 현재의 린이시 페이현 설장(薛庄)으로 옮겨졌다.


참조

[1] 논문 The hybrid origin of the dragon-wrapped column in Han dynasty China 2023
[2] 서적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3] 서적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4]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5]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6]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7]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8]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9] 서적 Book of Wei https://zh.wikisourc[...]
[10] 서적 Book of Sui https://zh.wikisourc[...]
[11]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12]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13]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14] 서적 後漢書
[15] 서적 晋書
[16] 서적 宋書
[17] 서적 魏書
[18] 서적 隋書
[19] 서적 旧唐書
[20] 문서 琅은 瑯, 邪는 耶, 琊, 瑘로도 쓴다. 이 항목에서는 표기를 琅邪로 통일한다.
[21] 문서 한서 주석의 원문은 동남이나 서북의 잘못으로 보인다.
[22]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3]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24]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5]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6] 서적 남제서 https://zh.wikisourc[...]
[27]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