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목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목왕후는 고려 현종의 후궁으로, 본관은 이천 서씨이며, 거란과의 외교 담판으로 유명한 서희의 손녀이다. 1022년 숙비에 책봉되었으며, 흥성궁주로 불렸다. 1057년에 사망했으며, 아들을 두지 않아 능호가 내려지지 않았으나, 문종에 의해 원목왕후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57년 사망 - 교황 빅토르 2세
    교황 빅토르 2세는 1055년부터 1057년까지 재위했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추천으로 교황이 되어 성직 매매 금지, 황제의 대리인 역할, 하인리히 4세의 후견인 역할을 수행하다가 말라리아로 사망했다.
  • 1057년 사망 - 적청
    북송 시대의 장군 적청은 서하와의 전쟁과 농지고의 반란 평정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추밀정사에 올랐으나, 문치주의 사회의 견제 속에서 불우한 말년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민간에서는 무곡성의 화신으로 숭배받는 입지전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고려 현종의 왕비 - 원용왕후
    원용왕후는 고려 현종의 비로, 대종과 선의왕후의 손녀이자 경장태자의 딸이며, 현종과는 근친혼 관계이고, 1013년 비로 책봉되었으나 자녀는 없었다.
  • 고려 현종의 왕비 - 원평왕후
    원평왕후는 안산 김씨로 현종의 왕비이며, 김은부의 딸이자 원성왕후, 원혜왕후의 동생으로, 원혜왕후 사후 입궁하여 왕비가 되었고 효경공주를 낳았으며, 1028년 원평왕후 시호를 받았고 능은 의릉이다.
  • 이천 서씨 - 서정협
    서정협은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시청에서 다양한 보직을 거쳐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 이천 서씨 -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인 서경배는 서성환 창업주의 차남으로, 아모레퍼시픽을 세계적인 뷰티 기업으로 성장시키고 경영 능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으며, 서경배과학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도 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원목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원목왕후
원래 이름원목왕후 서씨 (元穆王后 徐氏)
작위고려 현종의 왕비
별호숙비(淑妃), 흥성궁주(興盛宮主)
출생일미상
사망일1057년 5월 12일 (음력)
배우자현종
자녀없음
아버지서눌
어머니이천군대부인 최씨
가문이천 서씨
시호원목(元穆)
생애
출생998년 고려에서 태어남
사망1057년 6월 16일 (59세) 고려에서 사망
묘소미상
왕비 책봉
책봉 시기1022년 (숙비), 1031년 (왕후, 사후 추증)
현종과의 혼인1022년
사별1031년 (현종 사망)
기타
휘호원목 (元穆; "으뜸이고 웅장함")

2. 생애

삼중대광 내사령 서눌의 딸이자 거란과의 외교 담판으로 유명한 서희의 손녀이다.[13] 1022년(현종 13년) 숙비(淑妃)로 책봉되었으며 흥성궁주(興盛宮主)라는 호를 받았다.[14] 그녀가 왕비가 되면서 아버지 서눌은 높은 관직에 올랐고, 어머니와 계모 역시 작위를 추증받았다.[14][15] 1057년(문종 11년) 음력 5월에 아들 없이 사망하여 능호(陵號) 없이 화장되었으며,[15] 시호는 '''원목왕후'''(元穆王后)이다.[15]

2. 1. 가계와 출신

998년 이천 서씨 가문에서 서눌과 부인 최씨의 딸로 태어났다.[3] 본관은 이천이며, 할아버지는 거란과의 외교 담판으로 유명한 서희이다.[13] 남동생으로 서수가 있었는데, 그의 후손들은 고려 왕실에서 높은 지위를 누렸다.[3]

'''원목왕후 가계'''[10][11]
선대이름
서눌
최씨 (이천군대부인으로 추증[15])
조부서희
조모청주 한씨
증조부서필
증조모평양 황씨
고조부서신일
고조모합천 홍씨



1022년(현종 13년) 숙비(淑妃)에 책봉되었으며, 그 호를 흥성궁주(興盛宮主)라고 하였다.[14] 같은 해 아버지 서눌은 딸이 왕비가 되자 중추사우산기상시, 서경유수판사 등을 역임하였고, 이후 덕종 때에는 문하시중의 자리에 올랐다.[14] 1026년(현종 17년)에는 현종이 원목왕후의 생모 최씨에게 이천군대부인(利川郡大夫人)의 호를, 계모 정씨에게 이천군대군(利川郡大君)의 호를 추증했다.[15]

1057년(문종 11년) 음력 5월에 사망하였다. 당시 조정에서는 그녀가 왕(문종)의 서모(庶母)이기는 하나 아들을 두지 않았다는 이유로 문종에게 상복을 입지 말 것을 건의하였고 문종은 이를 따랐다. 또한 같은 이유로 능호(陵號)가 내려지지 않았고 설날에 제사를 지내지 않게 하였다. 그녀의 시신은 화장되었으며, 시호는 '''원목왕후'''(元穆王后)이다.[15]

2. 2. 입궁과 후궁 생활

삼중대광 내사령을 지낸 서눌과 그의 부인 최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이천이다. 그녀는 거란과의 외교 담판으로 유명한 서희의 손녀이다.[13]

1022년(현종 13년)에 입궁하여 '''숙비'''(淑妃)로 책봉되었고, 흥성궁(興盛宮)에 거처하며 '''흥성궁주'''(興盛宮主)라는 호를 받았다.[4] 같은 해, 그녀의 아버지 서눌은 딸이 숙비가 되자 중추사우산기상시, 서경유수판사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이후 덕종 재위 시기에는 문하시중의 자리에 올랐다.[14][5]

1026년(현종 17년), 현종은 그녀의 생모인 최씨에게 '이천군대부인'(利川郡大夫人)의 작위를, 계모인 정씨에게는 '이천군대군'(利川郡大君)의 작위를 추증하였다.[15][6]

2. 3. 현종 사후와 죽음

현종이 1031년에 사망한 후에도 26년을 더 살다가, 1057년(문종 11년) 음력 5월에 사망하였다.[15][7] 당시 조정에서는 원목왕후가 문종의 서모(庶母)이고 아들을 두지 않았다는 이유로 문종에게 상복(喪服)을 입지 말라고 간하여 문종이 이를 따랐다.[15][8] 같은 이유로 능호(陵號)가 내려지지 않았으며, 설날에 지내는 제사 대상에서도 제외되었다.[15] 시신은 화장되었으나[15] 묘의 위치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9] 사후 문종의 명에 따라 '''원목왕후'''(元穆王后)라는 시호를 받았다.[15][9]

3. 가족 관계

원목왕후는 이천 서씨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는 서눌이며 할아버지는 외교관으로 유명한 서희이다. 고려 현종과 혼인하였으나 자녀는 없었다.

3. 1. 친가

wikitext

관계이름생몰년비고
증조부서필(徐弼)901년 ~ 965년종1품 삼중대광 태사 내사령(三重大匡太師內史令)
증조모평양 황씨(平壤黃氏)? ~ ?
조부서희(徐熙)942년 ~ 998년종1품 내의령(內議令)
조모청주 한씨(淸州韓氏)947년 ~ ?한식(韓湜)의 딸
아버지서눌(徐訥)972년 ~ 1043년종1품 문하시중(門下侍中)
어머니인천 궁주 최씨(仁川宮主崔氏)974년 ~ ?최유일(崔有一)의 딸
동생서수(徐琇)996년 ~ ?종1품 문하시중, 희양대군(希陽大君) 봉작
조카서장기(徐長己)1024년 ~ ?정4품 병부시랑(兵部侍郞)
조카서준방(徐俊邦)? ~ ?정3품 형부상서(刑部尙書), 평당 서씨(平當徐氏) 시조


3. 2. 시가


  • 시부 : 추존 안종(安宗, ? ~996[16])
  • 시모 : 효숙왕태후(孝肅王太后, ?~992)
  • 남편 : 제8대 현종(顯宗, 992~1031 재위: 1009~1031)
  • * 자녀는 없었다.

참조

[1] 웹사이트 ko:무혈 영토확장 '서희'의 가문...사슴 보은 입은 서신일家 http://www.joongboo.[...] 2015-04-27
[2] 서적 ko:이야기 고려왕조실록 (상) https://books.google[...] Taoreum 2009
[3] 웹사이트 ko:이천의 인물 https://www.icheon.g[...]
[4] 서적 ko:고려사 - 열정과 자존의 오백년 - Volume 1 https://books.google[...] Deullyeok 2014
[5] 웹사이트 ko:서눌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http://db.history.go[...]
[6] 서적 ko:이야기 고려왕조실록 (상) https://books.google[...] Taoreum 2009
[7] 간행물 "《''[[Goryeosa]]''》Vol.8 〈Biographies〉Vol.8 – 5th month 11th year of Munjong - 정해(丁亥) 기사"
[8] 서적 韓國女性關係資料集: 中世篇(中)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85
[9] 서적 ko:북타임스 고려왕비열전 19. 정종과 용신 왕후 한씨 https://books.google[...] Goldstar Publishing House 2016
[10] 문서 "이천서씨족보 利川徐氏族譜, 甲권"
[11] 문서 "이천서씨족보 利川徐氏族譜, 2권"
[12] 간행물 《고려사》 권8 〈세가〉 권8 - 문종 11년 5월 정해(丁亥) 기사
[13]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원목왕후〉항목 https://terms.naver.[...]
[14] 웹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서눌〉항목 http://100.naver.com[...]
[15] 간행물 《고려사》 권88 〈열전〉 권1 후비 열전 - 현종 후비 원목왕후 서씨
[16] 문서 현화사비에 의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