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실젖거미아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실젖거미아목은 거미류의 아목으로, 타란툴라, 호주 깔때기 거미, 문 거미 등을 포함한다. 중절거미아목과 유사하게 두 쌍의 서폐와 아래를 향하는 협각을 가지고 있으며, 진거미아목과는 달리 복부 분절이 없고 방적돌기 수가 감소했다. 대부분의 종은 8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며, 강력한 독샘을 가진 협각과 엄니를 사용하여 다른 절지동물, 작은 포유류, 조류, 파충류 등을 사냥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거미가 이 아목에 속하며, 일부 종은 최대 25년까지 생존한다. 2022년 기준, Atypoidea와 Avicularioidea 두 개의 상과에 33개의 과가 속하며, 한국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실젖거미아목 - 타란툴라
타란툴라는 전 세계에 1,000종 이상 분포하며 3~15cm 크기의 대형 거미로, 곤충이나 작은 척추동물을 사냥하고 일부 종은 자극모로 자신을 보호하며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있다. - 원실젖거미아목 - 시드니깔때기그물거미
시드니깔때기그물거미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분포하며 강력한 독을 가진 깔때기거미과의 거미로, 물리면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항독소 개발로 생존율이 높아졌고, 대한민국에서는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원실젖거미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정보 | |
![]() | |
| 학명 | Mygalomorphae |
| 명명자 | Pocock, 1892 |
| 아목 | 후체류아목 |
| 목 | 거미목 |
| 강 | 거미강 |
| 문 | 절지동물문 |
| 계 | 동물계 |
| 하위 분류 | |
| 상과 | 육굴성거미상과 원왕거미상과 |
| 과 | 본문 참조 |
2. 특징
원실젖거미아목에 속하는 거미는 대부분 몸집이 크고 다리가 튼튼한 거미로, 타란툴라, 호주 깔때기 거미, 마우스 거미, 그리고 일반적으로 문 거미라고 불리는 다양한 거미과를 포함한다.[1]
거미의 "원시적" 아목인 중절거미아목과 마찬가지로 두 쌍의 서폐와 아래를 향하는 협각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두 그룹은 한때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다. 이후 모든 거미의 공통 조상이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음(이것을 공유 파생형질이라고 한다)을 알게 되었다. 중절거미아목과 후생거미아목으로 분기된 후, 원실젖거미아목은 이러한 특징을 유지했지만, 후생거미아목의 구성원인 진거미아목은 망상기와 가위처럼 움직이는 엄니를 포함한 새로운 "현대적" 특징으로 진화했다. 중절거미아목은 조상 거미류의 외부 복부 분절을 유지하고 최소 4쌍의 방적돌기를 가지고 있는 반면, 원실젖거미아목은 (다른 후생거미아목과 마찬가지로) 복부 분절이 없고 방적돌기 수가 감소하여 종종 두 쌍만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거미와 마찬가지로, 원실젖거미아목의 대부분의 종은 8개의 눈, 즉 1쌍의 주 눈과 3쌍의 부 눈을 가지고 있다.
협각과 엄니는 크고 강력하며 협각 내부에 완전히 위치하는 충분한 독샘을 가지고 있다.[9] 이러한 무기는 크기와 힘과 결합하여 원실젖거미아목 거미를 강력한 포식자로 만든다. 이 거미 중 많은 종은 다른 큰 절지동물을 죽이는 데 잘 적응되어 있으며 때로는 작은 포유류, 조류, 그리고 파충류도 죽인다. 겉모습과 평판과는 달리 대부분의 원실젖거미아목 거미는 호주 깔때기 거미, 특히 ''Atrax'' 속에 속하는 종을 제외하고는 인간에게 해롭지 않다.
세계에서 가장 큰 거미는 원실젖거미아목에 속하며 - ''Theraphosa blondi''는 몸 길이가 10cm이고 다리 길이가 28cm이다 - 일부 종은 길이가 1mm 미만이다. 원실젖거미아목은 적어도 약간의 점착성 실을 뽑을 수 있으며, 일부는 지름이 거의 1미터에 달하는 정교한 포획 그물을 짓는다.
약 1년 후에 죽는 진거미아목과는 달리, 원실젖거미아목은 최대 25년까지 살 수 있으며 일부는 약 6세가 되어서야 성숙해진다. 원실젖거미아목의 내부 기생충인 Acroceridae과에 속하는 일부 파리는 발달을 시작하여 거미를 섭취하기 전에 최대 10년 동안 서폐에서 휴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1]
1974년 서호주에서 처음 기록된 한 암컷 문 거미는 43년 동안 산 것으로 알려져 있다.[2]
2. 1. 형태
원실젖거미아목에 속하는 거미는 대부분 몸집이 크고 다리가 튼튼하며, 타란툴라, 호주 깔때기 거미, 마우스 거미, 그리고 일반적으로 문 거미라고 불리는 다양한 거미과를 포함한다.[1]중절거미아목과 마찬가지로 두 쌍의 서폐와 아래를 향하는 협각을 가지고 있다. 모든 거미의 공통 조상이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이것을 공유 파생형질이라고 한다), 원실젖거미아목은 이러한 특징을 유지했다. 반면, 후생거미아목의 구성원인 진거미아목은 망상기와 가위처럼 움직이는 엄니를 포함한 새로운 "현대적" 특징으로 진화했다. 중절거미아목은 조상 거미류의 외부 복부 분절을 유지하고 최소 4쌍의 방적돌기를 가지고 있는 반면, 원실젖거미아목은 복부 분절이 없고 방적돌기 수가 감소하여 종종 두 쌍만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거미와 마찬가지로, 원실젖거미아목의 대부분의 종은 8개의 눈, 즉 1쌍의 주 눈과 3쌍의 부 눈을 가지고 있다. 협각과 엄니는 크고 강력하며 협각 내부에 완전히 위치하는 충분한 독샘을 가지고 있다.[9] 이러한 무기는 크기와 힘과 결합하여 원실젖거미아목 거미를 강력한 포식자로 만든다. 이 거미 중 많은 종은 다른 큰 절지동물을 죽이는 데 잘 적응되어 있으며 때로는 작은 포유류, 조류, 그리고 파충류도 죽인다.[1] 겉모습과 평판과는 달리 대부분의 원실젖거미아목 거미는 호주 깔때기 거미, 특히 ''Atrax'' 속에 속하는 종을 제외하고는 인간에게 해롭지 않다.
세계에서 가장 큰 거미는 원실젖거미아목에 속하며 - ''Theraphosa blondi''는 몸 길이가 10cm이고 다리 길이가 28cm이다 - 일부 종은 길이가 1mm 미만이다. 원실젖거미아목은 적어도 약간의 점착성 실을 뽑을 수 있으며, 일부는 지름이 거의 1미터에 달하는 정교한 포획 그물을 짓는다.
진거미아목과는 달리, 원실젖거미아목은 최대 25년까지 살 수 있으며 일부는 약 6세가 되어서야 성숙해진다. 1974년 서호주에서 처음 기록된 한 암컷 문 거미는 43년 동안 산 것으로 알려져 있다.[2]
2. 2. 생태
원실젖거미아목에 속하는 거미는 대부분 몸집이 크고 다리가 튼튼하며, 타란툴라, 호주 깔때기 거미, 마우스 거미, 그리고 일반적으로 문 거미라고 불리는 다양한 거미과를 포함한다.[1] 거미의 "원시적" 아목인 중절거미아목과 마찬가지로 두 쌍의 서폐와 아래를 향하는 협각을 가지고 있다.[1]thumb(Nemesiidae)의 협각]]
협각과 엄니는 크고 강력하며 협각 내부에 완전히 위치하는 충분한 독샘을 가지고 있다.[1] 이 거미 중 많은 종은 다른 큰 절지동물을 죽이는 데 잘 적응되어 있으며 때로는 작은 포유류, 조류, 그리고 파충류도 죽인다.[1] 대부분의 원실젖거미아목 거미는 호주 깔때기 거미, 특히 ''Atrax'' 속에 속하는 종을 제외하고는 인간에게 해롭지 않다.
세계에서 가장 큰 거미는 원실젖거미아목에 속하며 - ''Theraphosa blondi''는 몸 길이가 10cm이고 다리 길이가 28cm이다.[1] 일부 종은 길이가 1mm 미만이다.[1] 원실젖거미아목은 적어도 약간의 점착성 실을 뽑을 수 있으며, 일부는 지름이 거의 1미터에 달하는 정교한 포획 그물을 짓는다.[1]
약 1년 후에 죽는 진거미아목과는 달리, 원실젖거미아목은 최대 25년까지 살 수 있으며 일부는 약 6세가 되어서야 성숙해진다. 원실젖거미아목의 내부 기생충인 Acroceridae과에 속하는 일부 파리는 발달을 시작하여 거미를 섭취하기 전에 최대 10년 동안 서폐에서 휴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1] 1974년 서호주에서 처음 기록된 한 암컷 문 거미는 43년 동안 산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원실젖거미아목의 대부분 구성원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지만, 그 분포는 더 북쪽으로, 예를 들어 미국 남부 및 서부 지역까지 확장될 수 있다.[1] 유럽에는 Atypidae과, Nemesiidae, Ctenizidae, Macrothelidae, Theraphosidae, Cyrtaucheniidae과 12종이 분포한다.
현재 분포 범위가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원실젖거미아목은 판게아가 분열되기 전에 전 세계적으로 분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하에 굴을 파고 생활하는 종류가 많다. 덮개거미과 종류는 그 입구에 한쪽으로 열리는 뚜껑을 달아 평소에는 뚜껑을 닫고 있다가 곤충 등이 지나가면 튀어나와 잡아 굴로 끌어들인다. 금거미과에서는 굴 입구에 양쪽으로 열리는 뚜껑을 단다. 깔때기거미과에서는 굴 입구에서 실로 만들어진 원통을 뻗어 이것에 곤충 등이 닿으면 거미는 안쪽에서 물어 끌어들인다. 깔때기거미과 등에서는 굴 입구에서 넓어진 깔때기 모양의 그물을 친다. 반대로, 눈먼거미에서는 굴 입구에 아무것도 만들지 않는다.
지상에 나타나는 종류도 있다. 나무덮개거미속은 덮개거미의 둥지를 단축하여 그대로 나무 껍질 위에 붙인 듯한, 뚜껑이 있는 주머니를 만든다. 깔때기거미과 등에서는 굴이 그다지 땅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낙엽이나 썩은 나무 밑으로 뻗는 정도인 예도 많다.
또한, 유생이 실을 뻗어 나는 (벌루닝) 것도 알려져 있다.
2. 3. 진화
''Megarachne servinei''는 석탄기 후기 (약 3억 5천만 년 전)의 거대한 거미류로 여겨졌지만, 나중에 바다전갈로 밝혀졌다. 가장 오래된 거미류는 프랑스 북동부의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아비쿨라리오이드인 ''Rosamygale grauvogeli''이다. 아직 쥐라기의 거미류는 발견되지 않았다.2005년에 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분기도가 발표된 이후, 2018년에 두 개의 중요한 연구를 통해 과의 수와 그들의 관계 모두 상당한 변화를 겪고 있다. 거미류를 두 개의 상과, Atypoidea와 Avicularioidea로 나누는 것은 많은 연구에서 확립되었다. Atypoidea는 등쪽 등판 형태의 복부 분절의 흔적을 유지하고, Avicularioidea는 이를 가지고 있지 않다. 2012년에서 2017년 사이에 수행된 분자 계통 발생학적 연구는 Avicularioidea 내에서 다소 다른 관계를 발견했다. 일부 과는 단일 계통군이 아닌 것으로 보이며, 향후 더 많은 변화가 있을 수 있다. ''Rosamygale''은 복부 방패가 없고 후방 측면 방적돌기가 잘 분리되어 있다는 점을 근거로 Avicularioidea에 속한다.[3]
거미류는 형태학적으로 보존적인 경향이 있어, 분류학에 사용할 신뢰할 수 있는 형태적 특징을 찾기 어렵다. 거미류는 모두 굴성 생활을 하며 튜브 모양의 거미줄에 살기 때문에, 유사한 선택적 압력을 받으며, 대부분의 종이 유사한 방식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가설이 있다. 또한, 이는 상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아져 형태학에 기반한 분류학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4]
3. 분류
1802년, C. A. 발케네르는 거미류를 별도의 속인 ''Mygale''로 분리하고, 나머지 모든 거미를 ''Aranea''에 남겨 두었다. 1985년, 로버트 레이븐은 형태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원실젖거미아목의 내부 분류를 제안하는 원실젖거미아목의 단행본을 출판했다. Opatova 외 (2020)는 "간단히 말해서, 오늘날의 분류 체계의 상당 부분은 레이븐 (1985)에서 비롯되었다"고 언급했다. 레이븐은 "기가피코목" 및 "하이퍼피코목"과 같은 다양한 복합 계급을 사용했다.
레이븐의 분류는 도식적으로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1={{clade
|label1=Tuberculotae
|1={{clade
|label1=Mecicobothrioidina
|1={{clade
|1=Mecicobothriidae
|2=Microstigmatidae
}}
|label2=Orthopalpae
|2={{clade
|label1=Hexatheloidina
|1=Hexathelidae
|label2=Quadrithelina
|2={{clade
|label1=Dipluroida
|1=Dipluridae
|label2=Crassitarsae
|2={{clade
|label1=Nemesioida
|1=Nemesiidae
|label2=Theraphosoidina
|2={{clade
|label1=Superfamily Theraphosoidea
|1={{clade
|1=Theraphosidae
|2=Paratropididae
}}
|label2=Superfamily Barycheloidea
|2=Barychelidae
}}
}}
}}
}}
}}
|label2=Fornicephalae
|2={{clade
|label1=Atypoidina
|1={{clade
|1=Atypidae
|2=Antrodiaetidae
}}
|label2=Rastelloidina
|2={{clade
|label1=Cyrtaucheniina
|1=Cyrtaucheniidae
|label2=Domiothelina
|2={{clade
|label1=Idiopina
|1=Idiopidae
|label2=Ctenizoidina
|2={{clade
|label1=Superfamily Ctenizoidea
|1=Ctenizidae
|label2=Superfamily Migoidea
|2={{clade
|1=Migidae
|2=Actinopodidae
}}
}}
}}
}}
}}
}}
이후의 연구는 주로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에 기반하여 레이븐의 일부 그룹핑을 지지하지 않았다. 특히 그의 Tuberculotae와 Fornicephalae 사이의 주요 구분은 그의 시스템에 상응하는 것이 없는 Atypoidea (레이븐의 Atypoidina에서 확장)와 Avicularioidea 사이의 매우 다른 구분으로 대체되었다. 또 다른 예로, 레이븐이 Mecicobothrioidina ("기가피코목")에 배치한 Mecicobothriidae과 Microstigmatidae는 현재 각각 Atypoidea와 Avicularioidea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 Crassitarsae 및 Domiothelina과 같은 다른 그룹은 더 인식할 수 있으며, 일부 과의 분류 범위 변경을 허용한다.
오파토바 등(Opatova et al., 2020)의 포괄적인 계통 연구를 바탕으로 원실젖거미아목 내 분류군들의 관계가 재구성되었다. Ctenizidae, Cyrtaucheniidae, Dipluridae 및 Nemesiidae 과의 속 구성이 재한정되었다. 5개의 아과가 과의 계급으로 승격되었다: Anamidae, Euagridae, Ischnothelidae, Pycnothelidae 및 Bemmeridae. Entypesidae, Microhexuridae 및 Stasimopidae의 3개의 새로운 과가 생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아과인 Australothelinae가 생성되어 Euagridae 과에 배치되었다.
Optova 등(2020)에서 제시하는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원실젖거미아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Atypoidea
|-
|
{| class="wikitable"
|Hexurellidae
|-
|
{| class="wikitable"
|Mecicobothriidae
|-
|
{| class="wikitable"
|Atypidae
|-
|
| Megahexuridae |
| Antrodiaetidae |
|}
|}
|}
|-
|Avicularioidea
|-
|
{| class="wikitable"
|Ischnothelidae
|-
|
{| class="wikitable"
|Microhexuridae
|-
|
{| class="wikitable"
|
| Hexathelidae |
| Euagridae |
|-
|
{| class="wikitable"
|Porrhothelidae
|-
|
{| class="wikitable"
|Macrothelidae
|-
|Bipectina
|-
|
{| class="wikitable"
|Paratropididae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Stasimopidae
|-
|독액 계통
|-
|
| Atracidae |
| Actinopodidae |
|}
|-
|Domiothelina
|-
|
{| class="wikitable"
|Halonoproctidae
|-
|
{| class="wikitable"
|Migidae
|-
|
{| class="wikitable"
|Idiopidae
|-
|
| Ctenizidae |
| Euctenizidae |
|}
|}
|}
|}
|-
|Crassitarsae
|-
|
{| class="wikitable"
|Theraphosoidina
|-
|
{| class="wikitable"
|Bemmeridae
|-
|
| Barychelidae |
| Theraphosidae |
|}
|-
|"Nemesioidina"
|-
|
{| class="wikitable"
|Nemesiidae
|-
|
{| class="wikitable"
|Pycnothelidae
|-
|
{| class="wikitable"
|
| Dipluridae |
| Cyrtaucheniidae |
|-
|
{| class="wikitable"
|Anamidae
|-
|
| Entypesidae |
| Microstigmatidae |
|}
|}
|}
|}
|}
|}
|}
|}
|}
|}
|}
|}
|}
World Spider Catalog 버전 23.5(2022년 8월 8일 기준)에 따르면, 원실젖거미아목에는 다음과 같은 과들이 속한다.[5]
| 과 | 속 | 종 | 일반명 | 예시 |
|---|---|---|---|---|
| Atypoidea | ||||
| Antrodiaetidae | 4 | 37 | 접는 덮개 거미 | Atypoides riversi |
| Atypidae | 3 | 56 | 비전형적인 타란툴라 또는 지갑 거미 | Sphodros rufipes (붉은 다리 지갑 거미) |
| Hexurellidae | 1 | 4 | Hexurella pinea | |
| Mecicobothriidae | 1 | 2 | 드워프 타란툴라 또는 시트 깔때기 거미 | Mecicobothrium thorelli |
| Megahexuridae | 1 | 1 | Megahexura fulva | |
| Avicularioidea | ||||
| Actinopodidae | 3 | 118 | Missulena bradleyi (동부 생쥐 거미) | |
| Anamidae | 10 | 111 | Aname atra | |
| Atracidae | 3 | 36 | 호주 깔때기 거미 | Atrax robustus (시드니 깔때기 거미) |
| Barychelidae | 40 | 282 | 솔 덮개 거미 | Sason sundaicum |
| Bemmeridae | 4 | 47 | Spiroctenus personatus | |
| Ctenizidae | 2 | 5 | 코르크 덮개 거미 | Cteniza sauvagesi |
| Cyrtaucheniidae | 6 | 93 | 웨이퍼 덮개 거미 | Fufius lucasae |
| Dipluridae | 7 | 95 | 커튼 거미 | Diplura lineata |
| Entypesidae | 6 | 42 | Entypesa andohahela | |
| Euagridae | 14 | 87 | Euagrus formosanus | |
| Euctenizidae | 8 | 77 | Aptostichus simus | |
| Halonoproctidae | 6 | 130 | Bothriocyrtum californicum (캘리포니아 덮개 거미) | |
| Hexathelidae | 7 | 45 | (호주) 깔때기 거미 | Hexathele hochstetteri |
| Idiopidae | 23 | 437 | 갑옷 덮개 거미 | Idiosoma nigrum (검은 고랑 덮개 거미) |
| Ischnothelidae | 5 | 26 | Ischnothele caudata | |
| Macrothelidae | 2 | 47 | Macrothele calpeiana (스페인 깔때기 거미) | |
| Microhexuridae | 1 | 2 | Microhexura montivaga (가문비나무-전나무 이끼 거미) | |
| Microstigmatidae | 11 | 38 | Envia garciai | |
| Migidae | 11 | 103 | 나무 덮개 거미 | Calathotarsus simoni |
| Nemesiidae | 10 | 148 | Amblyocarenum nuragicus | |
| Paratropididae | 4 | 16 | 다리털 없는 거미 | Paratropis tuxtlensis |
| Porrhothelidae | 1 | 5 | Porrhothele antipodiana (검은 터널웹 거미) | |
| Pycnothelidae | 15 | 137 | Stanwellia hoggi | |
| Rhytidicolidae | 2 | 14 | ||
| Stasimopidae | 1 | 47 | Stasimopus mandelai | |
| Theraphosidae | 156 | 1039 | 타란툴라 | Theraphosa blondi (골리앗 버드이터) |
과거에는 거미목을 3개로 나누어 이 군을 원유형류[12]라고 칭했다. 갈래거미아목과 거미하목 사이에 위치하며, 그 중간적인 진화 과정의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부류는 조상적인 형질을 많이 가진 갈래거미아목과 거미하목의 양쪽에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위턱의 가동 방향, 두 쌍의 서폐 등의 특징은 갈래거미아목과, 배 뒤쪽 끝에 있는 실젖이나 촉지 기부가 넓어져 아래턱이 된 것 등은 거미하목과의 공통점이다. 촉지 기관은 단순하며, 갈래거미아목이 더 복잡하다. 실젖이 보통 두 쌍인 것은 갈래거미아목과 거미하목과 다르다.[11] 실에 관해서는 갈래거미아목이 극히 한정적으로밖에 사용하지 않는 데 반해, 훨씬 많은 양을 사용하며, 잘 발달한 거미줄을 치는 것조차 있다. 실샘의 수는 많지 않고, 실샘도 1종밖에 가지지 않는 것도 있지만, 많은 수는 2종을 가진다.[13]
분지학적 분석에서는, 이 부류는 거미목의 계통수에서 갈래거미아목 다음으로 분기하여 단계통군을 이룬다고 여겨진다. 다만, 하목 내부의 계통 관계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다.[14]
오노 편저(2009)에서는 다음과 같은 체계를 제시한다.
거미목(Araneae)
- 거미아목(Opisthothelae)
- * 둥글이거미하목(Mygalomorphae)
- ** Fornicephalae
지그미과(Atypidae):지그미
와스레나그모과(Calommatidae):와스레나그모
카네코토타테그모과(Antrodiaetidae)
모사토타테그모과(Cyrtaucheniidae)
카와리토타테그모과(Idiopidae)
토타테그모과(Ctenizidae)
야노테그모과(Actinopodidae)
아고마르토타테그모과(Migidae)
Halonoproctidae
* Cyclocosmia
** C. truncata
- ** Tuberculotae
이보나가조우고구모과(Mecicobothriidae)
비키몬조우고구모과(Microstigmatidae)
조우고구모과(Hexathelidae)
혼조우고구모과(Dipluridae)
이보부토구모과(Nemesiidae)
히라아고츠치구모과(Barychelidae)
헤리카타지그모과(Paratropididae)
오오츠치구모과(Theraphosidae)
3. 1. 계통
오파토바 등(Opatova et al., 2020)의 포괄적인 계통 연구를 바탕으로 원실젖거미아목 내 분류군들의 관계가 재구성되었다. Ctenizidae, Cyrtaucheniidae, Dipluridae 및 Nemesiidae 과의 속 구성이 재한정되었다. 5개의 아과가 과의 계급으로 승격되었다: Anamidae, Euagridae, Ischnothelidae, Pycnothelidae 및 Bemmeridae. Entypesidae, Microhexuridae 및 Stasimopidae의 3개의 새로운 과가 생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아과인 Australothelinae가 생성되어 Euagridae 과에 배치되었다.Optova 등(2020)에서 제시하는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원실젖거미아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Atypoidea
|-
|
{| class="wikitable"
|Hexurellidae
|-
|
{| class="wikitable"
|Mecicobothriidae
|-
|
{| class="wikitable"
|Atypidae
|-
|
| Megahexuridae |
| Antrodiaetidae |
|}
|}
|}
|-
|Avicularioidea
|-
|
{| class="wikitable"
|Ischnothelidae
|-
|
{| class="wikitable"
|Microhexuridae
|-
|
{| class="wikitable"
|
| Hexathelidae |
| Euagridae |
|-
|
{| class="wikitable"
|Porrhothelidae
|-
|
{| class="wikitable"
|Macrothelidae
|-
|Bipectina
|-
|
{| class="wikitable"
|Paratropididae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Stasimopidae
|-
|독액 계통
|-
|
| Atracidae |
| Actinopodidae |
|}
|-
|Domiothelina
|-
|
{| class="wikitable"
|Halonoproctidae
|-
|
{| class="wikitable"
|Migidae
|-
|
{| class="wikitable"
|Idiopidae
|-
|
| Ctenizidae |
| Euctenizidae |
|}
|}
|}
|}
|-
|Crassitarsae
|-
|
{| class="wikitable"
|Theraphosoidina
|-
|
{| class="wikitable"
|Bemmeridae
|-
|
| Barychelidae |
| Theraphosidae |
|}
|-
|"Nemesioidina"
|-
|
{| class="wikitable"
|Nemesiidae
|-
|
{| class="wikitable"
|Pycnothelidae
|-
|
{| class="wikitable"
|
| Dipluridae |
| Cyrtaucheniidae |
|-
|
{| class="wikitable"
|Anamidae
|-
|
| Entypesidae |
| Microstigmatidae |
|}
|}
|}
|}
|}
|}
|}
|}
|}
|}
|}
|}
|}
과거에는 거미목을 3개로 나누어 이 군을 원유형류[12]라고 칭했다. 갈래거미아목과 거미하목 사이에 위치하며, 그 중간적인 진화 과정의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부류는 조상적인 형질을 많이 가진 갈래거미류와 보통 거미류의 양쪽에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위턱의 가동 방향, 두 쌍의 서폐 등의 특징은 갈래거미류와, 배 뒤쪽 끝에 있는 실젖이나 촉지 기부가 넓어져 아래턱이 된 것 등은 보통 거미류와의 공통점이다. 촉지 기관은 단순하며, 이것은 갈래거미류가 더 복잡하다. 실젖이 보통 두 쌍인 것은 갈래거미와 다르다.[11] 실에 관해서는 갈래거미류가 극히 한정적으로밖에 사용하지 않는 데 반해, 훨씬 많은 양을 사용하며, 잘 발달한 거미줄을 치는 것조차 있다. 실샘의 수는 많지 않고, 실샘도 1종밖에 가지지 않는 것도 있지만, 많은 수는 2종을 가진다.[13]
분지학적 분석에서는, 이 부류는 거미목의 계통수에서 갈래거미 다음으로 분기하여 단계통군을 이룬다고 여겨진다. 다만, 하목 내부의 계통 관계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다.[14]
3. 2. 과 목록
World Spider Catalog 버전 23.5(2022년 8월 8일 기준)에 따르면, 원실젖거미아목에는 다음과 같은 과들이 속한다.[5]| 과 | 속 | 종 | 일반명 | 예시 |
|---|---|---|---|---|
| Atypoidea | ||||
| Antrodiaetidae | 4 | 37 | 접는 덮개 거미 | Atypoides riversi |
| Atypidae | 3 | 56 | 비전형적인 타란툴라 또는 지갑 거미 | Sphodros rufipes (붉은 다리 지갑 거미) |
| Hexurellidae | 1 | 4 | Hexurella pinea | |
| Mecicobothriidae | 1 | 2 | 드워프 타란툴라 또는 시트 깔때기 거미 | Mecicobothrium thorelli |
| Megahexuridae | 1 | 1 | Megahexura fulva | |
| Avicularioidea | ||||
| Actinopodidae | 3 | 118 | Missulena bradleyi (동부 생쥐 거미) | |
| Anamidae | 10 | 111 | Aname atra | |
| Atracidae | 3 | 36 | 호주 깔때기 거미 | Atrax robustus (시드니 깔때기 거미) |
| Barychelidae | 40 | 282 | 솔 덮개 거미 | Sason sundaicum |
| Bemmeridae | 4 | 47 | Spiroctenus personatus | |
| Ctenizidae | 2 | 5 | 코르크 덮개 거미 | Cteniza sauvagesi |
| Cyrtaucheniidae | 6 | 93 | 웨이퍼 덮개 거미 | Fufius lucasae |
| Dipluridae | 7 | 95 | 커튼 거미 | Diplura lineata |
| Entypesidae | 6 | 42 | Entypesa andohahela | |
| Euagridae | 14 | 87 | Euagrus formosanus | |
| Euctenizidae | 8 | 77 | Aptostichus simus | |
| Halonoproctidae | 6 | 130 | Bothriocyrtum californicum (캘리포니아 덮개 거미) | |
| Hexathelidae | 7 | 45 | (호주) 깔때기 거미 | Hexathele hochstetteri |
| Idiopidae | 23 | 437 | 갑옷 덮개 거미 | Idiosoma nigrum (검은 고랑 덮개 거미) |
| Ischnothelidae | 5 | 26 | Ischnothele caudata | |
| Macrothelidae | 2 | 47 | Macrothele calpeiana (스페인 깔때기 거미) | |
| Microhexuridae | 1 | 2 | Microhexura montivaga (가문비나무-전나무 이끼 거미) | |
| Microstigmatidae | 11 | 38 | Envia garciai | |
| Migidae | 11 | 103 | 나무 덮개 거미 | Calathotarsus simoni |
| Nemesiidae | 10 | 148 | Amblyocarenum nuragicus | |
| Paratropididae | 4 | 16 | 다리털 없는 거미 | Paratropis tuxtlensis |
| Porrhothelidae | 1 | 5 | Porrhothele antipodiana (검은 터널웹 거미) | |
| Pycnothelidae | 15 | 137 | Stanwellia hoggi | |
| Rhytidicolidae | 2 | 14 | ||
| Stasimopidae | 1 | 47 | Stasimopus mandelai | |
| Theraphosidae | 156 | 1039 | 타란툴라 | Theraphosa blondi (골리앗 버드이터) |
과거에는 거미목을 3개로 나누어 이 군을 원유형류[12]라고 칭했다. 갈래거미아목과 거미하목 사이에 위치하며, 그 중간적인 진화 과정의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부류는 조상적인 형질을 많이 가진 갈래거미아목과 거미하목의 양쪽에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위턱의 가동 방향, 두 쌍의 서폐 등의 특징은 갈래거미아목과, 배 뒤쪽 끝에 있는 실젖이나 촉지 기부가 넓어져 아래턱이 된 것 등은 거미하목과의 공통점이다.[11] 촉지 기관은 단순하며, 갈래거미아목이 더 복잡하다. 실젖이 보통 두 쌍인 것은 갈래거미아목과 거미하목과 다르다.[11]
분지학적 분석에서는, 이 부류는 거미목의 계통수에서 갈래거미아목 다음으로 분기하여 단계통군을 이룬다고 여겨진다. 다만, 하목 내부의 계통 관계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다.[14]
4. 인간과의 관계
원실젖거미아목에 속하는 거미과는 타란툴라로 불리며,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독거미라고도 불리지만, 많은 종의 독은 강하지 않다. 그러나 일부 종은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깔때기거미과의 시드니깔때기거미속 등이 독거미로 유명하다.
5. 한국의 원실젖거미아목
6. 더 보기
참조
[1]
서적
Ecophysiology of Spider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24-11-14
[2]
뉴스
World's oldest spider dies aged 43 in Western Australia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8-04-29
[3]
논문
The fossil record of spiders revisited: Implications for calibrating trees and evidence for a major faunal turnover since the Mesozoic
https://onlinelibrar[...]
[4]
논문
A total evidence assessment of the phylogeny of North American euctenizine trapdoor spiders (Araneae, Mygalomorphae, Cyrtaucheniidae) using Bayesian inference
http://www.sciencedi[...]
2006-10-01
[5]
간행물
Currently valid spider genera and species
https://www.wsc.nmbe[...]
Natural History Museum Bern
2022-08-08
[6]
문서
"Order Araneae Clerck, 1757. In: Zhang, Z.-Q. (Ed.)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Magnolia Press
2011
[7]
문서
クモ目の科の分類表
東海大学出版会
2009
[8]
문서
第1章 系統と分類
東京大学出版会
2000
[9]
문서
2009
[10]
문서
2009
[11]
문서
1886
[12]
문서
1960
[13]
문서
2009
[14]
문서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