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트레흐트 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트레흐트 동맹은 1579년 1월 23일, 스페인에 대항하기 위해 홀란트, 젤란트, 위트레흐트, 옴멜란덴 주가 체결한 군사 동맹이다. 이 동맹은 1579년 아라스 동맹에 대한 개신교의 반발로, 개인의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는 관용 칙령의 성격을 띠었다. 이후 여러 지역이 동맹에 참여하여 네덜란드 공화국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1609년 12년 휴전으로 사실상 독립을 인정받았고,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위트레흐트 동맹 | |
---|---|
개요 | |
이름 | 위트레흐트 동맹 |
네덜란드어 | Unie van Utrecht |
유형 | 조약 |
목표 | 네덜란드 북부 지방의 통합 |
배경 | 네덜란드 독립전쟁 중 |
조약 정보 | |
서명일 | 1579년 1월 23일 |
장소 | 위트레흐트 |
발효일 | 1579년 |
참가국 | |
초기 참가국 | 홀란트 젤란트 위트레흐트 흐로닝언 프리슬란트 헬데를란트의 일부 플란데런의 겐트 지역 |
이후 참가국 | 브라반트 마흐트리흐트 레이르담 델프트 발렌시아 브레다 앤트워프 뢰번 림뷔르흐 오마를란덴 데벤터르 캄펀 레이덴 메헬렌 스테인베이크 스히담 하를럼 |
결과 | 네덜란드 공화국의 형성 |
내용 | |
목적 | 공동 방위 및 정치적 협력 |
주요 조항 | 각 지방의 자치권 존중 종교의 자유 (개인의 신앙 선택의 자유) 공동 외교 및 군사 정책 수립 |
영향 | |
정치적 영향 | 네덜란드 공화국의 기반 마련 |
종교적 영향 | 칼뱅주의 확산 종교적 관용 정책의 시작 |
기타 | |
관련 사건 | 스페인의 압제에 대한 저항 |
2. 역사적 배경
네덜란드 독립전쟁 당시 네덜란드는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를 믿었다. 하지만 네덜란드 통치권을 갖고 있던 로마 가톨릭 국가였던 에스파냐 국왕 펠리페 2세가 네덜란드에 가톨릭을 강제로 믿도록 강요한 것이 전쟁의 시발점이었다.
이에 네덜란드의 북부 7주는 1579년 1월 29일 위트레흐트에서 맹약을 맺고, 외국 지배에 대해서 ‘생명·피·물자를 바쳐 권리와 신앙의 자유를 지킴에 있어서 북부 7주는 마치 한 주가 된 것처럼 결합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후 에스파냐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세력과 네덜란드의 개신교인들은 70년간 독립전쟁을 벌였다. 반대로 가톨릭 세력이 강하던 남부의 10개 주는 총독 파르마 공과 타협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북부 7주의 독립의 결속은 강화되고, 남부와의 분리는 확정적이 되었다. 남부의 10개주는 훗날 벨기에 혁명을 통해 벨기에로 독립하게 된다.
2. 1. 초기 동맹들
80년 전쟁(1568–1648) 중 위트레흐트 동맹 조약 서명에 앞서 일련의 동맹, 칙령, 협약이 있었다. 1575년 7월 4일 도르드레흐트 동맹에서 오라녜 공 윌리엄이 스타트호우더로 임명되었고, 홀란트와 제일란트는 협력하기로 결정했다. 이 지역들은 1572년부터 1576년까지 스페인 군대로부터 대체로 자유로웠으며, 칼뱅주의 신앙을 가진 지도자들이 우위를 점했다.[1] 1576년 11월 4일 안트베르펜 약탈은 스페인 군대가 도시를 약탈하고 잿더미로 만들었으며 수천 명의 시민을 살해하면서 네덜란드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1]홀란트 주 의회, 제일란트 주 의회 및 다른 지역(대부분 가톨릭)은 1576년 11월 8일 헨트 화의를 통해 화해했다. 이들은 헨트 화의에서 펠리페 2세 국왕의 개입에 저항하기 위해 협력했지만, 그에게 복종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종교 문제에 대한 최종 해결은 없었다. 당분간 칼뱅주의는 홀란트와 제일란트에서, 가톨릭은 다른 지역에서 주도했지만, 모든 지역에서 종교적 평화를 모색할 것이었다.[1]
그러나 홀란트와 제일란트에서 칼뱅주의자들은 이 합의에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한때 알바로부터 도망친 칼뱅주의 망명자들은 1576년 이후 홀란트와 제일란트 외의 당시 교회와 국왕에게 충실한 지역에서 심각한 종교적 소요를 일으키기도 했다.[1]
헨트 화의의 합의는 1577년 1월 6일 최초의 브뤼셀 동맹에서 확인되었는데, 이로써 지역들은 새로운 총독 돈 후안에게 화의를 인정하도록 강요하려 했다. 스페인 군대는 이 나라를 떠나야 했고, 지역들은 칼뱅주의자들의 바람과는 달리 가톨릭을 유지하는 데 힘쓸 것이었다. 총독은 마침내 1577년 2월 12일 영원 칙령에 서명하여 동의했고, 그 후 스페인 군대는 주로 항상 왕당파였던 룩셈부르크 공국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 그 달, 오라녜 공 윌리엄은 이미 겔레르에게 "홀란트와 제일란트, 그리고 일부 주요 영주 및 귀족과 은밀하게 굳건한 동맹을 맺으라"고 촉구했다. 화의를 깨는 것보다, 공은 '추가적인 동맹'에서 두 번째 방어선을 구축하고 싶어했다. 위트레흐트 동맹의 개념은 이미 겔레르에 대한 이 제안에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가톨릭이었던 겔레르는 그것에 별다른 의미를 두지 않았다. 겔레르는 국왕과의 화해 가능성에 대해 완고한 칼뱅주의 홀란트에 의존하고 싶어하지 않았다.[1]
2. 2. 칼뱅주의 확산과 종교 갈등
네덜란드 독립전쟁 당시 네덜란드는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칼뱅주의)를 주로 믿었다. 그러나 네덜란드 통치권을 갖고 있던 로마 가톨릭 국가 에스파냐의 국왕 펠리페 2세는 네덜란드에 가톨릭을 강요했다. 홀란트와 제일란트의 칼뱅주의자들은 헨트 화의에 거의 주목하지 않았고, 알바에게서 도망친 칼뱅주의 망명자들은 1576년 이후 홀란트와 제일란트 외의 지역에서 심각한 종교적 소요를 일으켰다.3. 위트레흐트 동맹 체결 (1579년)
네덜란드 독립전쟁은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를 믿던 네덜란드가, 가톨릭 국가였던 에스파냐 국왕 펠리페 2세로부터 가톨릭을 강요받으면서 시작되었다.
이에 네덜란드 북부 7주는 1579년 1월 29일 위트레흐트에서 맹약을 맺고, 외국 지배에 맞서 ‘생명·피·물자를 바쳐 권리와 신앙의 자유를 지키며, 북부 7주는 마치 한 주처럼 결합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후 스페인을 중심으로 한 가톨릭 세력과 네덜란드의 개신교인들은 70년간 독립전쟁을 벌였다. 반면 가톨릭 세력이 강했던 남부 10개 주는 총독 파르마 공과 타협하여 북부와의 분리가 확정되었다.
80년 전쟁(1568–1648) 중 위트레흐트 동맹 조약 서명에 앞서 1575년 도르드레흐트 동맹에서 오라녜 공 윌리엄이 스타트호우더로 임명되고 홀란트와 제일란트가 협력하기로 하는 등 일련의 동맹, 칙령, 협약이 있었다. 1576년 안트베르펜 약탈은 스페인 군대가 도시를 약탈하면서 네덜란드에 큰 파장을 일으켰고, 홀란트 주 의회, 제일란트 주 의회 및 다른 지역은 1576년 헨트 화의를 통해 화해했다. 이들은 헨트 화의에서 펠리페 2세의 개입에 저항하기 위해 협력했지만, 그에게 복종할 것을 선언했다.
1579년 1월 23일, 홀란트, 젤란트, 위트레흐트(일부 제외), 흐로닝언의 주(도시 제외)가 아라스 동맹에 대한 개신교 주의 반발로 위트레흐트 조약을 체결했다. 아라스 동맹은 남부 두 주와 한 도시가 로마 가톨릭 스페인을 지지한다고 선언한 조약이었다.
1579년 이후 겐트, 프리슬란트의 도시들, 휠더른의 세 지역(네이메헌 구획, 벨루베 구획, 주트펜 백작령)이 조약에 서명했다. 1579년 여름 아머스포르트, 이프르, 안트베르펜, 브레다, 브뤼셀이 참여했고, 1580년 2월 리에르, 브뤼헤와 주변 지역도 서명했다. 흐로닝언 시는 프리슬란트 총독의 영향으로 조약에 서명했고, 오버휠더른은 서명하지 않았다. 1580년 4월 오버레이설과 드렌터가 서명했다.
right
위트레흐트 동맹 이후에도 연합주는 스페인의 지배를 인정했지만, 동맹은 주와 영주 사이의 관계 악화에 기여했으며, 1581년 연합주는 퇴위 조서에서 국왕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3. 1. 동맹의 내용
1579년 1월 23일 체결된 위트레흐트 동맹은 각 주의 자치권을 인정하고, 신앙의 자유를 원칙으로 천명하였다.[4] 이는 완전한 개인적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는 최초의 무제한적인 관용 칙령 중 하나였다. 로마 가톨릭교회로 남기를 원하는 주와 도시도 동맹에 가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4. 결과 및 의의
위트레흐트 동맹은 1609년 12년 휴전으로 사실상 네덜란드의 독립을 인정받는 기초가 되었고,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을 통해 네덜란드는 신생 국가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1] 또한, 훗날 네덜란드 공화국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
많은 사람들은 위트레흐트 동맹을 네덜란드가 단일 국가로 시작된 시점으로 보지만, 엄밀히 말하면 몇 년 후 형성될 네덜란드 공화국의 기초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주는 2세기 후 바타비아 공화국 시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단일 국가가 되었다.
20세기 초까지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위트레흐트 동맹이 "북부 주"의 "칼뱅주의 동맹"으로 의도되었고 "남부에서 분리되었다"고 믿었다.[5] 그러나 플랑드르 연구원 레오 델포스는 위트레흐트 동맹이 1576년 겐트 화의를 유지하려 했으며 네덜란드의 모든 주를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겐트 화의와 위트레흐트 동맹은 칼뱅주의가 지배하는 홀란트주와 제일란트주, 그리고 가톨릭이 지배하는 다른 '15개' 주 사이의 조약이었다. 알렉산데르 파르네세조차 위트레흐트 동맹이 칼뱅주의 기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부인했다.
4. 1. 네덜란드 독립과 국제적 인정
위트레흐트 동맹은 1609년 12년 휴전으로 사실상 네덜란드의 독립을 인정받는 기초가 되었다. 12년 휴전은 80년 전쟁의 일시 중단을 의미했으며, 네덜란드는 영토를 포기하지 않고 스페인 식민지와 무역 제국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지 않는 조건으로 사실상 독립을 인정받았다. 이는 네덜란드에게 "놀라운 승리"였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에 의해 네덜란드는 신생 국가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1]4. 2. 네덜란드 공화국의 기틀 마련
위트레흐트 동맹은 훗날 네덜란드 공화국(일곱 개의 연합 주)의 기초가 되었다.[5] 연합주는 1581년 퇴위 조서에서 국왕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4. 3. 현대적 해석
많은 사람들이 위트레흐트 동맹을 네덜란드가 단일 국가로 시작된 시점으로 본다. 이는 전적으로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위트레흐트 동맹은 몇 년 후에 형성될 네덜란드 공화국 (일곱 개의 연합 주)의 기초를 마련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일곱 개의 주는 2세기 후 바타비아 공화국 시대에 이르러서야 단일 국가가 되었다.20세기 초까지 P. L. 뮬러(1867)와 앙리 피렌(1911)과 같은 대부분의 네덜란드 및 벨기에 역사학자들은 위트레흐트 동맹이 원래 일반 연합(겐트 화의 및 브뤼셀 동맹)에서 분리된 "일곱" "북부 주"의 "칼뱅주의 동맹"으로 의도되었고 "남부에서 분리되었다"고 믿었다.[5] 그러나 플랑드르 연구원 레오 델포스는 1929년부터 이 견해에 대해 더 자세히 조사하고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했다. 그는 위트레흐트 동맹이 실제로 1576년 겐트 화의 / 일반 연합을 유지하려 했으며 지리적으로 북부에만 국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네덜란드의 모든 주를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결론지었다. 사실, 겐트 화의와 위트레흐트 동맹은 두 당사자 간의 조약이었다. 즉, 칼뱅주의가 지배하는 홀란트주와 제일란트주, 그리고 가톨릭이 지배하는 다른 '15개' 주 사이의 조약이었다. 위트레흐트 동맹의 숙적인 알렉산데르 파르네세(파르마)조차 1579년 1월 27일 아르투아주 의회에 보낸 편지에서 새로 설립된 위트레흐트 동맹이 칼뱅주의 기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부인했다. 파르마의 1580년대 군사 정복과 반란 지역의 정치적 발전을 통해서, 실제로 점차 '북부 칼뱅주의 동맹'이 되었지만, 분명히 그런 식으로 시작된 것은 아니었다.
5.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의 관점 (별도 항목으로 분리하지 않음)
위트레흐트 동맹은 완전한 개인적 종교의 자유를 허용했으며, 최초의 무제한적인 관용 칙령 중 하나였다.[4] 추가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로 남기를 원하는 주와 도시도 동맹에 가입할 수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e Unie van Atrecht (1579)
https://historiek.ne[...]
2018-01-06
[2]
서적
Algemene Geschiedenis der Nederlanden
W. de Haan N.V.
[3]
서적
The revolt of the Netherlands, 1555–1609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Books
[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Netherlands
http://www.historywo[...]
[5]
간행물
Delfos (Dr. L.). ''Die Anfänge der Utrechter Union, 1577–1587. Ein Beitrag zur Geschichte der niederländischen Erhebung, insbesondere zu deren Verfassungsgeschichte'' (review)
https://www.persee.f[...]
1944
[6]
웹사이트
ユトレヒト同盟
https://www.y-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