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니버시티 칼리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고등 교육 기관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영국에서는 자체 학위 수여 권한 없이 대학 수준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을 의미했으며, 현재는 독립된 대학 또는 대학 내 칼리지로 전환된 경우가 많다. 호주, 벨기에, 캐나다 등에서도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대학교와 유사하거나, 특정 분야를 다루는 교육 기관, 또는 대학교의 구성 칼리지를 의미한다. 이 외에도 핀란드, 독일, 아일랜드, 말레이시아, 네덜란드, 뉴질랜드, 파키스탄, 필리핀, 스페인,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라는 명칭이 사용되며,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대학 - 의과대학
    의과대학은 의사를 양성하는 고등 교육기관으로, 국가별로 다양한 교육 시스템과 기간을 가지며, 기초 및 임상 의학 교육을 포함한 과정을 거쳐 졸업 후 국가 의료 면허 시험을 통해 의사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 유형별 대학 - 대학원대학
    대학원대학은 학부 과정 없이 대학원 과정만 운영하는 대학으로, 일본 「학교교육법」에 따라 설립되며, 2003년 전문직대학원 설치 인정 이후 일본에서 증가하는 추세이고, 일본 외 프랑스,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각국의 교육 시스템에 맞춰 운영되며, 설립과 운영은 각국의 교육 정책 및 사회적 요구와 관련이 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개요
유형대학의 일부를 구성하는 칼리지 또는 대학과 유사한 고등 교육 기관
설명독립적인 법인으로 존재하거나, 더 큰 대학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음.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학부 및 대학원 학위를 제공할 수 있음.
특정 전문 분야 (예: 의학, 공학) 또는 직업 훈련에 중점을 둘 수 있음.
목적고등 교육 제공.
연구 수행.
지역 사회 봉사.
특징대학과의 연계.
특정 분야에 특화된 교육.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학생 및 교수진.
역사
기원중세 유럽의 대학에서 기원.
옥스퍼드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칼리지 시스템에서 발전.
발전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확산.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 대학 칼리지가 설립됨.
유형
독립 칼리지자체적인 법인으로 운영되며, 학위 수여 권한을 가짐.
대학 칼리지더 큰 대학의 일부로 운영되며, 대학의 학위를 수여함.
전문 칼리지특정 분야 (예: 의학, 법학) 또는 직업 훈련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함.
특징
교육 과정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 제공.
특정 분야에 특화된 전문 과정 제공.
실무 경험을 강조하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
연구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 수행.
연구 중심 대학과의 협력.
지역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학생다양한 학문적 배경과 관심을 가진 학생 모집.
학생 중심의 교육 환경 조성.
학생 지원 프로그램 운영.
교수진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교수진.
학생 교육과 연구에 헌신하는 교수진.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교수진.
예시
영국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킹스 칼리지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아일랜드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유니버시티 칼리지 코크, 골웨이 국립 대학교, 메이누트 국립 대학교
캐나다유니버시티 칼리지 (토론토 대학교)
노르웨이노르웨이 과학 기술 대학교, 오슬로 수도 대학교
스웨덴스톡홀름 대학교, 린셰핑 대학교, 칼스타드 대학교
덴마크코펜하겐 대학교
일본도쿄 여자 대학
참고
관련 용어칼리지, 대학교, 전문대학

2. 각국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영국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역사적으로 대학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지만 자체적인 학위 수여 권한이 없는 교육 기관을 의미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는 의회 보조금을 받는 곳을 의미하기도 했다. 이들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대부분 런던 대학교의 외부 시험을 치르거나, 웨일스 대학교 등의 학위를 받았다. 20세기 이후, 대부분 독립적인 시민 대학교가 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대학교와 유사하지만 완전한 자율성을 갖추지 못한 교육 기관을 지칭한다. 오늘날 존재하는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일반적으로 특정 과목을 다룬다. 대학교와 관련된 일부 기숙 칼리지는 "유니버시티 칼리지"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학생들에게 숙소, 학업 지원, 사교 활동을 제공한다.

벨기에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대학교가 아닌 국가 자금 지원 고등 교육 기관을 지칭하며,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수여한다. 네덜란드의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여러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특별 프로그램으로, 미국식 리버럴 아츠 칼리지와 유사하게 광범위한 고등 교육을 제공한다.

캐나다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학위 수여 기관, 대학 수준의 강좌를 제공하는 기관, 또는 대학교의 구성 기관(칼리지)을 의미한다. 정식 대학교 지위는 없지만 학위 수준의 광범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에서 널리 사용된다.

핀란드에서 고전적인 종합대학은 yliopisto|율리오피스토fi라고 불리지만, 일부 특수 대학은 korkeakoulu|코르케아코울루fi라고 불린다. 직업 전문 대학은 ammattikorkeakoulu|암마티코르케아코울루fi라고 불린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국제적이고 학제간 교육을 위한 핵심 기관이다.

아일랜드의 아일랜드 국립 대학교와 벨파스트 퀸즈 대학교는 영국 대학교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아일랜드 공화국 설립 전에 설립되었다.

말레이시아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특정 분야에서 자체적으로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교육 기관을 의미한다.

뉴질랜드의 대부분 대학교는 원래 '유니버시티 칼리지'로 불렸으며, 뉴질랜드 대학교라는 연방 기구의 구성원이었다. 현재 이들은 모두 완전한 독립성을 갖추고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유니버시티 칼리지"라는 용어 대신 "산하 칼리지"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된다.

필리핀에서는 1950년대에 필리핀 대학교에서 학부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교양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유니버시티 칼리지가 개편되었다.

스페인에서 escuela universitaria|에스쿠엘라 우니베르시타리아es는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모두 가르치는 일부 고등 교육 기관에 부여되는 명칭이다.

미국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University College)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데, 평생교육 및 비전통적 학생을 위한 부서,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및 학업 지원 프로그램, 일반 교양 및 1학년 세미나 프로그램 등을 담당하는 부서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2. 1. 영국

영국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라는 용어는 역사적으로 대학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지만 자체적인 학위 수여 권한이 없는 교육 기관을 의미했다. 1889년부터 1919년 대학교 보조금 위원회가 설립될 때까지 대학교와 유니버시티 칼리지에 의회 보조금을 받는 곳을 의미하기도 했다. 이들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대부분 런던 대학교의 외부 시험을 치르거나, 웨일스 대학교, 빅토리아 대학교와 같이 해당 기관의 학위를 받는 경우도 있었다. 뉴캐슬과 던디의 유니버시티 칼리지들은 각각 더럼과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와 연관되어 있었다.

20세기 이후, 대부분의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독립적인 시민 대학교가 되었다. 예를 들어, 노팅엄 대학교, 사우샘프턴 대학교, 엑서터 대학교, 킬 대학교 등이 있다. 킬 대학교는 1949년 노스 스태퍼드셔 유니버시티 칼리지로 설립되어 1962년 왕실 칙허장을 받고 대학교로 전환되었는데, 이는 20세기 전반기에 판유리 대학교가 설립되기 전까지 영국에서 새로운 대학교를 설립하는 데 인정된 방식이었다.

20세기 후반 연방 웨일스 대학교에서는 구성 칼리지들이 "아베리스트위스 유니버시티 칼리지"와 같은 명칭을 사용했지만, 이들은 사실상 독립적인 대학교였다. 1996년 웨일스 대학교는 개편되어 기존 구성원들은 칼리지가 아닌 "구성 기관"이 되었다.

북아일랜드에는 벨파스트 세인트 메리 대학교와 스트라넘리스 유니버시티 칼리지 두 곳이 '유니버시티 칼리지'라는 명칭을 사용하는데, 이들은 자체 학위 수여 권한이 없고 벨파스트 퀸스 대학교와 연관되어 있다.[22]

'유니버시티 칼리지'라는 명칭을 가진 몇몇 영국 기관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UCL)
  • 유니버시티 칼리지 병원
  • 더럼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 울프슨 칼리지, 케임브리지
  • 유니버시티 칼리지 버밍엄


2005년에는 연구 학위 수여 권한 요건이 폐지되면서 여러 유니버시티 칼리지가 대학교가 되었으며, 2012년부터는 대학교 명칭에 필요한 학생 수 요건이 1,000명으로 감소하면서 더 많은 유니버시티 칼리지가 대학교가 될 수 있었다.[19]

2. 2. 호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라는 용어는 대학교와 유사하지만 완전한 자율성을 갖추지 못한 교육 기관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라 트로브 대학교 노던 빅토리아 칼리지가 그러한 칼리지 중 하나였다. 오늘날 존재하는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일반적으로 특정 과목(신학 또는 예술 등)을 다룬다. UNSW@ADFA는 이전에는 University College, ADFA로 알려졌으며, 호주 국방사관학교에서 장교 생도 훈련의 고등 교육 구성 요소를 제공한다. 이는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의 분교이다.

또한, 대학교와 관련된 일부 기숙 칼리지는 "유니버시티 칼리지"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숙사는 호주 대학교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주로 학생들에게 숙소를 제공한다. 또한, 거주자에게 튜터링과 같은 학업 지원과 사교 활동을 제공하기도 한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멜버른은 이전에는 유니버시티 여성 칼리지였으며, 이러한 기숙 칼리지 중 하나이다. 이는 멜버른 대학교와 제휴되어 있다. 2023년 12월, [https://sae.edu.au/university-college/ SAE Institute]는 유니버시티 칼리지로 지정되었다.

2. 3. 벨기에

벨기에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벨기에 공동체 중 하나에 속하며, 대학교가 아닌 국가 자금 지원 고등 교육 기관을 지칭한다. 이들은 학사 학위, 비학사 학사 학위, 학술 석사 학위를 수여하며, 실무 중심적이고 예술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수여하는 학위는 같은 수준이라도 대학교 학위와는 다르다.[1]

네덜란드어 사용 플랑드르 공동체에서는 유니버시티 칼리지를 "호게스콜렌"(Hogescholen)이라 부르고, 프랑스 공동체에서는 "오트 에콜"(Hautes écoles)이라 부른다. 다만, 프랑스 공동체는 입학 학생 선발 권한이 있는 전문 예술 학교인 "오트 에콜"과 "에콜 쉬페리어 데 자르"(Écoles supérieures des arts)를 구분하며, 둘 다 유니버시티 칼리지로 간주된다.[1]

2. 4. 캐나다

캐나다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세 가지 의미를 갖는다. 학위 수여 기관, 대학 수준의 강좌를 제공하는 기관, 또는 토론토 대학교의 유니버시티 칼리지나 로렌시안 대학교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레지던스와 같은 대학교의 구성 기관(칼리지)이다.

"유니버시티 칼리지"라는 명칭은 정식 대학교 지위는 없지만 학위 수준의 광범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에서 널리 사용된다. "대학교"라는 명칭은 캐나다 기업법의 규정에 의해 보호되지만, "칼리지"라는 명칭은 일부 캐나다 주에서만 규제된다.[2] 일부 캐나다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공립 기관이고, 일부는 사립 기관이다. 일부는 정부 기관에 의해 규제되고, 일부는 그렇지 않다. 교육부 장관 협의회는 캐나다 국제 학력 정보 센터(CICIC)를 통해 인증된 기관 목록을 관리한다. 캐나다 대학교 및 칼리지 협회의 회원인 기관은 정식 대학교이다.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또한 캐나다 교육 기관의 이름이기도 하다.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토론토 대학교의 구성 칼리지 이름이다.

온타리오 예술 디자인 대학교는 2002년 온타리오 예술 디자인 대학교법에 따라 대학교로 지정되기 전에는 칼리지였던 역사로 인해 유니버시티 칼리지로 불리기도 한다.

캐나다 온타리오주에는 총 16개의 제휴 및 연합 대학교가 있다.[3]

2. 5. 핀란드

핀란드에서 여러 단과대학을 갖춘 고전적인 종합대학은 yliopisto|율리오피스토fi라고 불린다. 그러나 일부 특수 대학은 korkeakoulu|코르케아코울루fi라고 불리는데, 이는 고전적인 종합대학과는 달리, yliopisto|율리오피스토fi와 동일한 지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한 분야에만 집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헬싱키 연극 아카데미는 단일 "연극 대학"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직업 전문 대학은 ammattikorkeakoulu|암마티코르케아코울루fi라고 불린다. 이러한 혼란의 가능성 때문에 일부 korkeakoulu|코르케아코울루fi는 yliopisto|율리오피스토fi로 이름을 변경하여 yliopisto|율리오피스토fi와 korkeakoulu|코르케아코울루fi라는 용어 간의 구분을 없앴다. 또한, 헬싱키 광역 지역에 위치한 세 개의 korkeakoulu|코르케아코울루fi, 헬싱키 공과대학교, 헬싱키 디자인 예술 대학교 및 헬싱키 경제 대학교는 알토 대학교(Aalto-yliopisto)를 설립하기 위해 합병하기로 결정했다.

2. 6.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국제적이고 학제간 교육을 위한 핵심 기관이다.[4] 독일 최초의 공립 영어 교양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주요 프로젝트이다.[5][6][7] 혁신적인 교육 접근 방식과 수업 설계를 위한 연구소 역할도 한다.[6] 학생들은 240 ECTS 학점으로 구성된 4년제 학사 과정을 이수하며, 이학사 또는 문학사 학위를 취득한다.[8][9]

2. 7. 아일랜드

아일랜드 국립 대학교와 벨파스트 퀸즈 대학교는 영국 대학교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아일랜드 공화국 설립 전인 1908년에 설립되었다. 이 두 대학교는 이전의 아일랜드 퀸즈 대학교에서 뿌리를 두고 있는데, 이 또한 대학교 유형의 시스템이었다. 국립 대학교의 대학교들은 법적 인정을 받기 전 수년 동안 그래왔듯이, 이후 대학교 지위로 격상되었지만, 시스템은 여전히 전반적인 연방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벨파스트 퀸즈 대학교는 처음에는 대학교가 없었으며, 첫 번째 대학교는 1985년 (세인트 메리)에, 두 번째는 1999년 (스트라넘리스)에 설립되었는데, 이 두 기관은 1968년부터 이 대학교와 연관되어 학위를 수여해 왔다.[1]

2. 8. 말레이시아

조호르의 Southern University College


말레이시아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특정 분야에서 자체적으로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교육 기관을 의미한다. 반면 "대학교" 지위를 부여받은 기관은 여러 분야에서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말레이시아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설립 및 관리를 규정하는 법률로는 1971년 대학교 및 유니버시티 칼리지 법, 1976년 마라 기술 대학교 법, 1995년 교육법, 1996년 사립 고등 교육법, 1996년 국립 고등 교육 위원회 법 등이 있다.[10]

2. 9.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여러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특별 프로그램으로, 미국식 리버럴 아츠 칼리지와 유사하게 광범위한 고등 교육을 제공한다. 네덜란드 대학교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한 가지 전공만 공부한다. 최초로 설립된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위트레흐트 유니버시티 칼리지(1998년)였다. 이후 암스테르담, 라이덴(헤이그), 미델부르흐(루즈벨트), 마스트리흐트, 로테르담, 엔스헤데(트웬테), 흐로닝언 (흐로닝언 대학교), 틸부르흐 대학교가 뒤를 이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호게스쿨"과는 다르다.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미국 소규모 리버럴 아츠 칼리지와 유사하게 광범위한 교양 교육, 종종 학제 간 교육을 제공하는 반면, 호게스쿨은 직업 또는 응용 훈련에 중점을 둔 고등 교육 기관이다.

2. 10. 뉴질랜드

대부분의 뉴질랜드 대학교는 원래 '유니버시티 칼리지'로 불렸으며, 뉴질랜드 대학교라는 연방 기구의 구성원이었다. 현재 이들은 모두 완전한 독립성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캔터베리 대학교 칼리지는 현재 캔터베리 대학교가 되었다.

오타고 대학교에는 '유니버시티 칼리지'라고 이름 붙여진 학생 기숙사가 있다.

2. 11.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는 "유니버시티 칼리지"라는 용어 대신 "산하 칼리지"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된다. 이는 "유니버시티 칼리지"와 상당히 유사하다. 파키스탄 전역의 많은 대학교들이 산하 칼리지를 두고 있다. 펀자브 대학교는 다음과 같은 산하 칼리지를 두고 있다.[1]

산하 칼리지
예술 디자인 칼리지 (PUCAD)
펀자브 대학교 법학 칼리지 (PULC)
헤일리 뱅킹 & 금융 칼리지
헤일리 상업 칼리지 (HCC)
펀자브 대학교 약학 칼리지 (PUCP)
펀자브 대학교 정보 기술 칼리지 (PUCIT)
통계 및 보험 과학 칼리지
공학 및 신흥 컴퓨팅 칼리지
지구 및 환경 과학 칼리지 (CEES)
라호르 대학교 오리엔탈 칼리지 (PUOC)


2. 12. 필리핀

필리핀 대학교에서는 1950년대에 학부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교양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유니버시티 칼리지가 개편되었다. 1959년 당시 문리대학(현재의 예술 및 문학 대학)에서 교양 교육(GE) 프로그램이 도입되었고, 비센테 신코 필리핀 대학교 총장은 이 대학을 학부 과정의 처음 2년 동안 이수해야 하는 핵심 과목을 제공하는 '대학교'로 개편하였다.[11]

2000년, 호세 아부에바 박사(1987년부터 1993년까지 필리핀 대학교 총장)를 비롯한 필리핀 대학교의 퇴직 교육자들은 칼라얀 칼리지를 설립하여 필리핀 대학교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칼라얀 칼리지는 필리핀 대학교와의 양해 각서에 따라 필리핀 대학교의 현직 교수진이 강의를 맡고, 필리핀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GE 프로그램과 성적 평가 시스템을 채택하였다.[12] 이 대학은 학생들이 급변하는 환경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자연 과학, 물리 과학, 사회 과학, 인문학을 포함한 기본적인 지식 분야에서 학생들의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3][34]

2. 13. 스페인

스페인에서 escuela universitaria|에스쿠엘라 우니베르시타리아es는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모두 가르치는 일부 고등 교육 기관에 부여되는 명칭이다. 단과대학과 함께, 이들은 대학교의 교육 과정, 학술, 행정 및 관리 프로세스를 조직하는 기관이다.[13] 이들은 가르치는 대학 연구의 성격과 소속 대학교에 따라 escuela técnica|에스쿠엘라 테크니카es, escuela técnica superior|에스쿠엘라 테크니카 수페리오르es, escuela universitaria politécnica|에스쿠엘라 우니베르시타리아 폴리테크니카es, escuela politécnica superior|에스쿠엘라 폴리테크니카 수페리오르es 또는 escuela universitaria|에스쿠엘라 우니베르시타리아es와 같은 다양한 명칭을 가질 수 있다.

2. 14. 미국

미국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University College)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 평생교육 및 비전통적 학생을 위한 부서: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럿거스 대학교, 덴버 대학교, 라피엣 대학교, 메인 대학교, 시라큐스 대학교, 톨레도 대학교, 버지니아 웨슬리안 대학교 등에서는 평생교육이나 비정규 학생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메릴랜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비전통적인 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독립적인 기관이다.

  •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및 학업 지원 프로그램: 로데아일랜드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 윌밍턴 대학교,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볼 주립 대학교, 오클라호마 대학교 등에서는 모든 신입생을 유니버시티 칼리지 프로그램에 등록시켜 우등생, 징계 학생, 학생 운동 선수, 전공 미정 학생 등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학업 상담, 지원 등을 제공한다. 이 경우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학위를 수여하지 않는다.

  • 일반 교양 및 1학년 세미나 프로그램: 애팔래치아 주립 대학교에서는 일반 교양 및 1학년 세미나 프로그램을 유니버시티 칼리지라고 부른다.[24]

3. 현대적 의의와 전망

유니버시티 칼리지는 전통적인 대학교육의 틀을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고등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학문 간 융합, 평생 교육, 직업 교육 등 현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학부 교육 혁신, 평생 교육 활성화 등의 맥락에서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개념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윤석열 정부의 교육 정책 기조인 '대학 자율화'와 맞물려, 다양한 형태의 유니버시티 칼리지가 등장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참조

[1] 간행물 L'enseignement à Bruxelles : une gestion de crise complexe http://www.briobruss[...] Brussels Studies Institute 2013-08
[2] 웹사이트 Canada Corporations Regulations http://laws.justice.[...] Queen's Press in Right of Canada 2017-06-29
[3] 웹사이트 Affiliated and Federated Universities as Sources of University Differentiation https://heqco.ca/wp-[...] 2015
[4] 웹사이트 University College Freiburg at Albert Ludwigs Universität {{!}} Arizona International https://internationa[...] 2024-06-16
[5] 웹사이트 Auf Probleme in der heutigen Welt reagieren https://www.diepress[...] 2024-06-16
[6] 간행물 University College Freiburg: Toward a New Unity of Research and Teaching in Academia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US 2024-06-16
[7] 웹사이트 Die ersten 50 Absolventen des University College Freiburg haben ihren Abschluss gemacht https://www.badische[...] 2024-06-16
[8] 웹사이트 Curriculum https://www.ucf.uni-[...] 2020-08-24
[9] 웹사이트 Liberal Arts and Sciences (BA/BSc) at University College Freiburg https://www2.daad.de[...] 2024-06-16
[10] 웹사이트 Malaysia Higher Education System http://www.rihed.sea[...] 2010-11-30
[11] 웹사이트 How to get a virtual UP education - Philstar.com http://www.philstar.[...] 2018-04-29
[12] 웹사이트 Kalayaan College http://www.kalayaan.[...] 2023-04-08
[13] 웹사이트 Universia España http://pre.universia[...] 2015-03-30
[14] 웹사이트 Teaching and Higher Education Act 1998 http://www.legislati[...]
[15] 웹사이트 New regulatory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consultation https://www.gov.uk/g[...] 2015-09-13
[16] 뉴스 "Private college challenged over 'university' label"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6-07
[17] 웹사이트 Looking back and looking forward https://www.open.ac.[...] 2015-09-13
[18]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SYSTEM IN ENGLAND, THE UK http://www.euroeduca[...]
[19] 뉴스 'New' universities for England https://www.bbc.com/[...] 2012-11-27
[20] 웹사이트 Recognised UK degrees – GOV.UK https://www.gov.uk/g[...]
[21] 웹사이트 CLASS IV. https://api.parliame[...] 1889-08-16
[22] 웹사이트 The Education (Listed Bodies) (England) Order 2013 http://www.legislati[...]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2015-11-23
[23] 웹사이트 Welcome to University College http://universitycol[...]
[24] 웹사이트 Welcome to University College http://universitycol[...] 2022-02-14
[25] 웹사이트 Teaching and Higher Education Act 1998 http://www.legislati[...] 2022-02-14
[26] 뉴스 "Private college challenged over 'university' label"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6-07
[27] 웹사이트 Looking back and looking forward https://www.open.ac.[...] 2015-09-13
[28]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SYSTEM IN ENGLAND, THE UK http://www.euroeduca[...] 2022-02-14
[29] 웹사이트 Recognised UK degrees - GOV.UK https://www.gov.uk/g[...] 2022-02-14
[30] 웹사이트 The Education (Listed Bodies) (England) Order 2013 http://www.legislati[...]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2015-11-23
[31] 웹사이트 Canada Corporations Regulations http://laws.justice.[...] Queen's Press in Right of Canada 2017-06-29
[32] 웹사이트 Affiliated and Federated Universities as Sources of University Differentiation https://heqco.ca/wp-[...] 2022-02-14
[33] 웹사이트 How to get a virtual UP education - Philstar.com http://www.philstar.[...] 2018-04-29
[34] 웹사이트 http://www.kalayaan.edu.ph/ http://www.kalayaan.[...] 2022-02-14
[35] 간행물 L'enseignement à Bruxelles : une gestion de crise complexe http://www.briobruss[...] Brussels Studies Institute 2013-08
[36] 웹사이트 Malaysia Higher Education System http://www.rihed.sea[...] 2010-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