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ECTS)은 유럽 연합 및 기타 유럽 국가에서 고등 교육의 학점을 부여하고 이전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시스템이다. ECTS는 학생들의 학습 성과와 학습량을 측정하며, 한 국가에서 취득한 학점을 다른 국가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일반적으로 1년 정규 학습 과정은 60 ECTS 학점에 해당하며, 1 ECTS 학점은 국가별로 25~30시간의 학습 시간을 나타낸다. 한국의 경우 ECTS 학점과 한국 학점 간의 변환 기준은 학교마다 다르며, 2/3, 0.6, 또는 1/2 등의 비율이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 연합의 교육 - 에라스뮈스 프로그램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유럽 연합의 학생 교환 프로그램으로, 유럽 내 대학생 교류를 증진하고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 분야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 - 유럽 연합의 교육 - 볼로냐 과정
볼로냐 과정은 유럽 고등 교육 시스템 통합을 위해 학위 체계를 통일하고 대학 교육의 질을 보증하는 개혁으로, 학사, 석사, 박사 3단계 학위 제도를 도입하여 유럽 내 대학 졸업장의 상호 인정을 가능하게 한다.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 | |
---|---|
개요 | |
명칭 |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 |
로마자 표기 | Yureop Hakjeom Isu Siseutem |
약칭 | ECTS |
목적 | 유럽 고등 교육 기관 간 학점 이수를 위한 표준 |
세부 사항 | |
설명 | 유럽 연합 내 고등 교육 학점을 비교하기 위한 표준 |
관련 정책 | 유럽 연합의 평생 학습 프로그램 |
시행 기관 | 유럽 위원회 |
특징 | 학생 중심 학습 학습 결과 및 학점 기반 투명성 보장 (학습 프로그램, 평가 절차 명시) |
학점 부여 기준 | 60 ECTS 학점 = 1년 (전체 시간 근무) 30 ECTS 학점 = 1 학기 (반년) 일반적으로 학사 학위 = 180 또는 240 ECTS 학점 일반적으로 석사 학위 = 90 또는 120 ECTS 학점 |
등급 체계 | A: 최우수 (상위 10%) B: 우수 (다음 25%) C: 양호 (다음 30%) D: 보통 (다음 25%) E: 하 (다음 10%) FX: 불합격 (약간의 추가 노력 필요) F: 불합격 (상당한 추가 노력 필요) |
역사 | 1989년: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의 일부로 시범 운영 시작 1999년: 볼로냐 프로세스의 핵심 요소로 채택 |
2.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 (ECTS)
유럽 연합(EU) 및 기타 협력 유럽 국가에서 고등 교육 학위 및 기타 학습 구성 요소의 학습 성과와 학습량을 비교 가능하고 투명하게 만들기 위한 표준으로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 ECTS)이 있다.
유럽 연합(EU)과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 회원국 등 유럽 여러 나라는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ECTS)을 통해 고등 교육 학점을 표준화하고 있다. ECTS 학점은 유럽 전역에서 학생들의 학습 성과와 이동성을 쉽게 인정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ECTS는 학생들이 다른 나라에서 학업 기간을 보내고, 해당 학점을 자국 교육 기관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ECTS 학점은 학습자가 정의된 학습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학습량을 나타낸다. 학습 성과는 학습자가 학습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알게 되고, 이해하고, 할 수 있는 것을 명시한다. 학습량은 학습자가 이러한 성과를 달성하는 데 일반적으로 필요한 시간을 의미하며, 강의, 세미나, 프로젝트, 실습, 시험 등 모든 학습 활동을 포함한다.
ECTS는 유럽 고등 교육 지역(EHEA)에서 학습자의 이동성을 높이고, 학습 프로그램의 설계, 제공, 평가를 유연하게 하는 핵심 도구이다. 60 ECTS 학점은 1년 동안의 학습량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정규 학사 학위는 180~240 ECTS 학점, 석사 학위는 90~120 ECTS 학점으로 구성된다. ECTS 사용은 유럽 고등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한다.
3. 현행 체계
일반적으로 1년에 60 ECTS 학점이 부여되며, 국가별로 1 ECTS 학점은 25~30시간의 학습량에 해당한다.[16] 각 나라의 교육 체계와 학점 시스템은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ECTS를 통해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고 있다.
3. 1. 유럽 국가별 학점 시스템
유럽 연합(EU) 및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 회원국을 포함한 유럽 여러 국가에서는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ECTS)을 사용하여 고등 교육 학점을 표준화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1년에 60 ECTS 학점이 부여되며, 1 ECTS 학점은 국가별로 25~30시간의 학습량에 해당한다.[16]
국가 | 연도별 학점 | 학점별 시간 | 학점 이름 | 비고 |
---|---|---|---|---|
유럽 연합(EU) | 60 | 25-30[16] | ECTS 학점 | |
오스트리아 | 60 | 25 | ECTS (ECTS-Punktede, ECTS credits) | 유럽 연합 회원국 |
벨기에 | 60 | 25-30 | ECTS (studiepuntennl, ECTS) | 유럽 연합 회원국 |
불가리아 | 60 | 25-30 | кредитиbg | 유럽 연합 회원국 |
크로아티아 | 60 | 25-30 | ECTS bodovihr | 유럽 연합 회원국 |
키프로스 | 60 | 30 | ECTS | 유럽 연합 회원국 |
체코 | 60 | ~26 | kreditycs | 유럽 연합 회원국 |
덴마크 | 60 | ~28 | ECTS-point | 유럽 연합 회원국 |
잉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 120 | 10 | Credits (Open University – points). 2 영국 학점 = 1 ECTS 학점[17][18] | 비 EU, 비 EFTA 회원국 |
에스토니아 | 60 | 26 | ainepunktet (EAP). (euroopa ainepunktet라고도 함) | 유럽 연합 회원국 |
핀란드 | 60 | 27 | opintopistefi (op) / studiepoängsv | 유럽 연합 회원국 |
프랑스 | 60 | 29 | crédits ECTS프랑스어 | 유럽 연합 회원국 |
독일 | 60 | 25-30 | ECTS, Leistungspunktede (LP), Kreditpunktede (KP), Credit Points (CP) or Credits | 유럽 연합 회원국 |
그리스 | 60 | 30 | ECTS, Credit Points (CP), Μονάδες Φόρτου Εργασίαςel (Διδακτικές Μονάδεςel - Δ.Μ) or Credits | 유럽 연합 회원국 |
헝가리 | 60 | 30 | kredit(pont)hu | 유럽 연합 회원국 |
아일랜드 | 60 | ECTS | 유럽 연합 회원국 | |
이탈리아 | 60 | 25 | crediti formativi universitari (CFU) | 유럽 연합 회원국 |
라트비아 | 60 | 30 | ECTS kredītpunktslv (1.5 "Latvian" credit points - kredītpunktslv (KP))[19][20] | 유럽 연합 회원국 |
리투아니아 | 60 | ~28 | kreditailt; ECTS kreditailt | 유럽 연합 회원국 |
룩셈부르크 | 60 | ECTS | 유럽 연합 회원국 | |
몰타 | 60 | 25 | ECTS-credits | 유럽 연합 회원국 |
네덜란드 | 60 | 28 | studiepuntennl (ECTS or EC) | 유럽 연합 회원국 |
폴란드 | 60 | 25-30 | punkty ECTSpl, eceteesy | 유럽 연합 회원국 |
포르투갈 | 60 | 28 | créditospt | 유럽 연합 회원국 |
루마니아 | 60 | 30 | creditero (SECTS) | 유럽 연합 회원국 |
스코틀랜드 | 120 | 10[21] | SCQF credit points (2 SCQF points = 1 ECTS point[22]) | 비 EU, 비 EFTA 회원국 |
슬로바키아 | 60 | 25 | kreditysk | 유럽 연합 회원국 |
슬로베니아 | 60 | kreditne točkesl | 유럽 연합 회원국 | |
스페인 | 60 | 25-30 | créditos ECTSes | 유럽 연합 회원국 |
스웨덴 | 60 | 26.667 | högskolepoängsv (2007년 7월부터 사용) | 유럽 연합 회원국 |
아이슬란드 | 60 | 25-30 | einingar (units) |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 회원국 |
리히텐슈타인 | 60 |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 회원국 | ||
노르웨이 | 60 | 25-30 | studiepoengno |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 회원국 |
스위스 | 60 | 30 | ECTS-credits |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 회원국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60 | 25 | ECTS bodovibs | 비 EU, 비 EFTA 회원국 |
마케도니아 | 60 | кредитиmk (ECTS) | 비 EU, 비 EFTA 회원국 | |
몬테네그로 | 60 | ECTS-krediti | 비 EU, 비 EFTA 회원국 | |
세르비아 | 60 | 30 | ЕСПБ бодовиsr / | 비 EU, 비 EFTA 회원국 |
터키 | 60 | 25-30 | AKTStr - kreditr[23] | 비 EU, 비 EFTA 회원국 |
우크라이나 | 60 | 30 | кредитиuk | 비 EU, 비 EFTA 회원국 |
조지아 | 60 | 30 | კრედიტებიka (kreditebika) | 비 EU, 비 EFTA 회원국 |
4. 한국 학점으로의 변환
ECTS와 한국 학점 변환은 학교마다 기준이 다르지만, 대부분 2/3, 0.6, 1/2 중 하나의 기준을 적용하여 환산한다.[24][25][26][27][28][29]
이탈리아 등 유럽은 1년에 60 ECTS를 이수해야 하며, 3년 동안 총 180 ECTS를 획득해야 학사 학위를 받을 수 있다. 한국은 보통 1년에 35학점, 4년 동안 총 140학점을 이수해야 학사 학위를 받는다. 학사 학위 기준으로 보면 한국 1학점은 1.3 ECTS에 해당한다. 하지만 교환 학생의 경우, 1학점이 1.7 ECTS로 적용되기도 한다.
ECTS 학점은 1학점 당 25-30시간의 수업을 요구한다. 한국은 15-16주 수업을 기준으로, 자연과학대의 경우 이론 수업 2학점에 30시간, 실험 수업 1학점에 30시간을 배정한다. 학점 당 15-30시간을 요구하며, 이론과 실험 수업을 합쳐 3학점 60시간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이 경우 학점 당 20시간이 된다.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14조에 따르면 학점 당 최소 15시간 이상 이수해야 한다. 한국 학점을 20시간으로 가정하고 ECTS와 비교하면, 60시간에 한국은 3학점을, 유럽은 2 ECTS를 취득하므로, 한국 1학점은 0.67 ECTS가 된다. 유럽은 3년 안에 학사 학위를 취득해야 하므로, 4년제인 한국보다 수업 시수가 많다.
인문, 사회과학의 경우 학점 당 15시간, 주당 3시간씩 총 45시간 3학점 수업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60시간 동안 한국은 4학점을 이수할 수 있지만, 유럽은 2 ECTS만 이수 가능하여 한국 1학점이 0.5 ECTS가 된다.
시간 기준으로 보면 유럽은 학사 학위 취득에 4,500~5,400시간(180 x 25 또는 180 x 30)이 필요하다. 한국은 1,820~2,987시간(15주 시간표, 중간/기말고사 2주 제외, 주 2시간 2학점 수업: 140 x 1 x 13 = 1,820시간. 16주 시간표, 주 4시간 3학점 수업: 140 x 1.3 x 16 = 2,912시간, 또는 4 x 16 x (140 / 3) = 2,987시간)이 필요하다. 한국은 수업 시수에 시험 기간이 포함되지만, 유럽은 별도이다. 또한 한국은 첫 주에 오리엔테이션만 하는 경우도 있다. 결론적으로 유럽의 학사 졸업 필요 수업 시간은 한국의 1.5~3배 수준이다.
4. 1. 한국 대학별 ECTS 학점 변환 기준
ECTS와 한국 학점의 변환은 학교마다 기준이 다르나, 대부분 2/3, 0.6, 1/2 중 하나의 기준을 적용해서 환산한다.[24][25][26][27][28][29]이탈리아 등 유럽의 경우 1년에 60 ECTS씩 3년 동안 180 ECTS를 획득해야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한국은 일반적으로 1년에 35학점씩 4년 동안 140학점을 취득해야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학사 학위 기준으로 본다면 한국 1학점 당 1.3 ECTS이다. 반면 1년 동안의 교환 학생의 경우, 1학점이 1.7 ECTS이다.
ECTS는 학점 당 25-30시간의 수업을 요구한다. 한국의 경우 15-16주 수업에, 자연과학대의 경우 이론 수업 2학점에 30시간, 실험 수업 1학점에 30시간의 수업을 한다. 학점 당 15-30시간을 요구한다. 이론 수업과 실험 수업을 합쳐서 3학점 60시간으로 진행하기도 하며, 이 경우 학점 당 20시간이다.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14조에 따라 학점당 필요한 이수시간은 매 학기 최소 15시간 이상이다. 한국을 학점 당 20시간으로 보고, ECTS와 시간 기준으로 비교해 보면, 60시간 동안 2 ECTS를 딸 수 있는데 한국은 3학점을 딸 수 있으므로 오히려 1학점이 0.67 ECTS가 되어야 한다. 유럽은 3년 안에 학사 학위를 따야 하므로, 대학을 4년 다니는 한국에 비해 수업 시수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인문학, 사회과학의 경우, 학점 당 15시간씩, 일주일에 3시간씩 45시간, 3학점 수업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60시간 동안 4학점이나 이수가 가능하여 60시간 동안 2 ECTS 밖에 못 따는 유럽과 비교하여, 1학점이 0.5 ECTS 밖에 안 된다.
시간 기준으로 계산하면 유럽은 3년 동안 학사 학위 취득을 위해 4,500 ~ 5,400 시간의 수업을 들어야 한다.(180 x 25 = 4,500 또는 180 x 30 = 5,400) 반면에 한국은 1,820 ~ 2,987 시간을 들어야 학사 학위를 딸 수 있다.(15주 시간표에 중간고사, 기말고사 2주를 빼고 매주 2시간씩 수업하는 2학점짜리 수업의 경우 140 x 1 x 13 = 1,820 시간. 16주 시간표에 매주 4시간씩 수업하는 3학점짜리 수업의 경우 140 x 1.3 x 16 = 2,912 또는 좀 더 정확하게 4 x 16 x (140 / 3) = 2,987 시간). 한국은 수업 시수에 중간고사, 기말고사 등 수업이 아닌 것들도 들어가지만, 유럽에서는 시험 시간을 수업 시간과 별도로 계산한다. 거기다가 한국은 첫주는 수업 변경 가능 기간이라 오리엔테이션만 하고 수업은 안 하는 경우도 많다. 한국은 4년제 대학교이고, 유럽은 3년제 대학교이지만, 실제 학사 졸업에 필요한 수업 시간은 유럽이 한국의 1.5배에서 3배 정도로, 더 많다.
변환 기준 | 학교 | 비고 |
---|---|---|
2/3 기준 (3 ECTS = 2학점, 1학점 = 1.5 ECTS) | 건국대 | 1:1에서 3:2로 변경[24] |
0.6 기준 (10 ECTS = 6학점, 1학점 = 1.7 ECTS) | 서울대,[25] 가천대[26] | |
1/2 기준 (2 ECTS = 1학점, 1학점 = 2 ECTS) | 연세대,[27] 성균관대,[28] 한양대 | 2/3에서 1/2로 변경[29] |
4. 2. 학점 변환 시 고려 사항
ECTS와 한국 학점의 변환은 학교마다 기준이 다르나, 대부분 2/3, 0.6, 1/2, 셋 중에 하나의 기준을 적용해서 환산한다.[24][25][26][27][28][29]이탈리아 등 유럽의 경우 1년에 60 ECTS씩 3년 동안 180 ECTS를 획득해야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한국은 일반적으로 1년에 35학점씩 4년 동안 140학점을 취득해야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학사 학위 기준으로 본다면 한국 1학점 당 1.3 ECTS가 된다. 반면 1년 동안의 교환 학생의 경우, 1학점이 1.7 ECTS가 된다.
ECTS의 경우 학점 당 25-30시간의 수업을 요구한다. 한국의 경우 15-16주 수업에, 자연과학대의 경우 이론 수업 2학점에 30시간, 실험 수업 1학점에 30시간의 수업을 한다. 학점 당 15-30시간을 요구한다. 이론 수업과 실험 수업을 합쳐서 3학점 60시간으로 진행하기도 하며, 이 경우 학점 당 20시간이다.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14조에 따라 학점당 필요한 이수시간은 매 학기 최소 15시간 이상이다. 한국을 학점 당 20시간으로 보고, ECTS와 시간 기준으로 비교해 보면, 60시간 동안 2 ECTS를 딸 수 있는데 한국은 3학점을 딸 수 있으므로 오히려 1학점이 0.67 ECTS가 되어야 한다. 유럽은 3년 안에 학사 학위를 따야 하므로, 대학을 4년 다니는 한국에 비해 수업 시수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인문학, 사회과학의 경우, 학점 당 15시간씩, 일주일에 3시간씩 45시간, 3학점 수업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60시간 동안 4학점이나 이수가 가능하여 60시간 동안 2 ECTS 밖에 못 따는 유럽과 비교하여, 1학점이 0.5 ECTS 밖에 안 된다.
시간 기준으로 계산하면 유럽은 3년 동안 학사 학위 취득을 위해 4,500 ~ 5,400 시간의 수업을 들어야 한다.(180 x 25 = 4,500 또는 180 x 30 = 5,400) 반면에 한국은 1,820 ~ 2,987 시간을 들어야 학사 학위를 딸 수 있다.(15주 시간표에 중간고사, 기말고사 2주를 빼고 매주 2시간씩 수업하는 2학점짜리 수업의 경우 140 x 1 x 13 = 1,820 시간. 16주 시간표에 매주 4시간씩 수업하는 3학점짜리 수업의 경우 140 x 1.3 x 16 = 2,912 또는 좀 더 정확하게 4 x 16 x (140 / 3) = 2,987 시간. 한국은 수업 시수에 중간고사, 기말고사 등 수업이 아닌 것들도 들어가지만, 유럽에서는 시험 시간은 수업 시간과 별도로 계산한다. 거기다가 한국은 첫주는 수업 변경 가능 기간이라 오리엔테이션만 하고 수업은 안 하는 경우도 많다.) 한국은 4년제 대학교이고, 유럽은 3년제 대학교이지만, 실제 학사 졸업에 필요한 수업 시간은 유럽이 한국의 1.5배에서 3배 정도로, 더 많다.
변환 기준 | 학교 |
---|---|
2/3 기준 (3 ECTS = 2학점, 1학점 = 1.5 ECTS) | 건국대학교(1:1에서 3:2로 변경)[24] |
0.6 기준 (10 ECTS = 6학점, 1학점 = 1.7 ECTS) | 서울대학교[25], 가천대학교[26] |
1/2 기준 (2 ECTS = 1학점, 1학점 = 2 ECTS) | 연세대학교[27], 성균관대학교[28], 한양대학교(2/3에서 1/2로 변경)[29] |
참조
[1]
웹사이트
ECTS Users' Guide
https://education.ec[...]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
웹사이트
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 (ECTS) - Education and training - European Commission
http://ec.europa.eu/[...]
[3]
웹사이트
ECTS User's guide
https://education.ec[...]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5
[4]
문서
[5]
웹사이트
Article 8 - Order of 22 January 2014 establishing the national framework for courses leading to the award of national bachelor's, professional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https://www.legifran[...]
2014-01-22
[6]
웹사이트
Credit point system
http://www.aic.lv/po[...]
2015-11-27
[7]
웹사이트
Law of Higher education (in Latvian)
http://likumi.lv/doc[...]
2015-11-27
[8]
웹사이트
Norway's education system
https://studyinnorwa[...]
Study in Norway
[9]
웹사이트
Richtlinien des Hochschulrates für die koordinierte Erneuerung der Lehre an den universitären Hochschulen der Schweiz im Rahmen des Bologna-Prozesses
https://www.admin.ch[...]
2018-11-12
[10]
웹사이트
Erasmus Mundus credits
http://www.aqs.salfo[...]
University of Salford
2012-05-20
[11]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credit framework for England: guidance on academic credit arrangements in higher education in England
https://www.qaa.ac.u[...]
Quality Assurance Agency
2019-05-01
[12]
웹사이트
SCQF Credit Points
https://scqf.org.uk/[...]
Scottish Credit and Qualification Framework
2018-12-05
[13]
웹사이트
ECTS and Course Load - Yükseköğretim Kurulu
http://www.yok.gov.t[...]
2016-11-04
[14]
웹인용
ECTS Users’ Guide
https://ec.europa.eu[...]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8-03-17
[15]
웹인용
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 (ECTS) - Education and training - European Commission
http://ec.europa.eu/[...]
[16]
문서
[17]
웹인용
Erasmus Mundus credits
http://www.aqs.salfo[...]
University of Salford
2012-05-20
[18]
웹인용
Higher education credit framework for England: guidance on academic credit arrangements in higher education in England
http://www.qaa.ac.uk[...]
Quality Assurance Agency
2018-03-17
[19]
웹인용
Credit point system
http://www.aic.lv/po[...]
2015-11-27
[20]
웹인용
Law of Higher education (in Latvian)
http://likumi.lv/doc[...]
2015-11-27
[21]
웹인용
SCQF Credit Points
http://scqf.org.uk/t[...]
2015-01-15
[2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cqf.org.uk/w[...]
2016-01-08
[23]
웹인용
ECTS and Course Load - Yükseköğretim Kurulu
http://www.yok.gov.t[...]
2018-03-17
[24]
웹사이트
https://kugad.konkuk[...]
[25]
웹사이트
https://econ.snu.ac.[...]
[26]
웹사이트
https://www.gachon.a[...]
[27]
웹사이트
https://ycms.yonsei.[...]
[28]
웹사이트
https://www.skku.edu[...]
[29]
웹사이트
https://oia.hanya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