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라스뮈스 프로그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네덜란드 철학자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의 이름을 딴 유럽 연합(EU)의 학생 교환 프로그램이다. 1987년 시작되어, 유럽 내 대학생들의 교류를 증진하며, 유럽 문예 부흥의 선구자인 에라스뮈스의 생애와 철학을 반영한다. 2007년부터는 평생 학습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운영되었으며, 에라스뮈스 문두스 프로그램을 통해 비유럽 국가 학생들에게도 기회를 확대했다. 2014년부터는 에라스뮈스 플러스로 통합되어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 분야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 현재 전 세계 37개국, 4,000개 이상의 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1987년 이후 약 1,400만 명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교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 연합의 교육 -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ECTS)은 유럽에서 고등 교육의 학점 부여 및 이전을 위해 사용되는 표준 시스템으로, 학생들의 학습 성과와 학습량을 측정하며, 1년 정규 학습 과정은 60 ECTS 학점에 해당한다. - 유럽 연합의 교육 - 볼로냐 과정
볼로냐 과정은 유럽 고등 교육 시스템 통합을 위해 학위 체계를 통일하고 대학 교육의 질을 보증하는 개혁으로, 학사, 석사, 박사 3단계 학위 제도를 도입하여 유럽 내 대학 졸업장의 상호 인정을 가능하게 한다. - 유럽 연합의 문화 정책 - 유로피아나
유로피아나는 유럽 위원회 주도로 시작되어 유럽 전역 기관들의 디지털 문화유산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메타데이터 표준을 사용해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통합하고 전문가 네트워크 운영 및 관련 행사를 개최하며 유로피아나 재단에서 관리한다. - 유럽 연합의 문화 정책 - 유럽 연합의 스포츠 정책
유럽 연합의 스포츠 정책은 스포츠 분야에서 EU의 역할과 관련된 정책 및 활동을 포괄하며, 직접적인 입법 권한은 없지만 회원국 간 협력 지원, 경쟁법, 재정 지원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스포츠의 가치를 옹호하며 발전에 기여한다. -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 에라스무스상
에라스무스상은 유럽 문화에 크게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네덜란드 에라스무스상 재단 이사회가 수상자를 선정하여 매년 시상하며, 상금과 함께 에라스무스의 글귀가 새겨진 장식물이 수여된다. -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 자유의지론
자유의지론은 에라스뮈스가 인간의 자유 의지를 옹호하고 예정론을 반박하며, 자유 의지와 하나님의 은총 간의 협력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저술한 책으로, 종교 개혁 시대의 중요한 논쟁을 촉발하고 가톨릭과 개신교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
에라스뮈스 프로그램 | |
---|---|
개요 | |
유형 | 유럽 연합의 교환 학생 프로그램 |
목표 | 유럽 내 고등 교육의 질을 높이고 회원국 간 협력을 강화 |
대상 | 고등 교육 기관, 학생, 교직원, 훈련 기관, 기업 등 |
참여 국가 | 유럽 연합 회원국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터키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영국 |
역사 | |
시작 년도 | 1987년 |
이전 명칭 | Erasmus (European Region Action Scheme for the Mo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
설립 배경 | 유럽 위원회의 주도로 고등 교육 분야 협력 증진을 위해 설립 |
프로그램 내용 | |
주요 활동 | 학생 및 교직원 교환 공동 학위 프로그램 개발 교육 과정 개선 프로젝트 유럽 차원의 교육 네트워크 구축 |
지원 분야 | 고등 교육 직업 교육 및 훈련 학교 교육 성인 교육 청소년 활동 스포츠 |
예산 | |
총 예산 (2021-2027) | 약 262억 유로 |
특징 | |
장점 | 유럽 내 교환 학생 기회 확대 고등 교육의 질 향상 유럽 통합 증진 |
비판 | 프로그램 참여의 불균형 재정 지원 부족 행정 절차의 복잡성 |
2. 명칭의 기원
프로그램의 명칭은 네덜란드의 철학자이자 인문주의자이며 가톨릭 수도자인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그는 네덜란드 로테르담 출신으로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독일 등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배우고 일하며, 새로운 통찰력을 얻고 지식을 확장시키기 위해 노력하여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함께 르네상스의 양대 천재로 불리기도 한다.
폭넓은 지식과 현명한 통찰력으로 독단주의를 배격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이러한 그의 생애와 철학이 이 프로그램의 취지에 부합한다는 공감대가 작명에 반영되었다.[1]
동시에, 에라스뮈스는 "'''E'''u'''R'''opean Community '''A'''ction '''S'''cheme for the '''M'''o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유럽 공동체 대학생 이동 계획)의 후행 약어이기도 하다.[1] 에라스뮈스는 유럽 전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했으며 유럽 문예 공화국의 선구자였다. 그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전파하는 수단으로 획기적인 기술인 활자를 사용한 최초의 지식인 중 한 명이었고, 인쇄 작업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7]
3. 역사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1987년 유럽 전역의 대학 및 고등 교육 기관 간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시작되었다.[1]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그램은 확장되었으며, 현재는 "에라스뮈스+" (에라스뮈스 플러스)라고 불린다. 에라스뮈스+는 유럽 및 그 외 지역의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 분야에서 초국가적 협력 및 이동성을 위한 EU의 다양한 계획을 결합하고 있다.
프로그램 명칭은 르네상스 시대에 유럽을 여행하며 여러 대학에서 가르치고 연구했던 학자 로테르담의 에라스뮈스에서 유래했다. 또한 "에라스뮈스"는 "'''E'''u'''R'''opean Community '''A'''ction '''S'''cheme for the '''M'''obility of '''U'''niversity '''S'''tudents"의 약어이기도 하다.
1989년 벨기에 겐트에서 열린 평가 회의에서 에라스뮈스 학생 네트워크가 창설되었다.[1] 이 조직은 에라스뮈스 프로그램 및 기타 양자 간 협약을 통해 온 학생들을 지원하고 국제 학생들을 돕기 위해 국가 기관과 협력한다.
2014년,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유럽 공동체 내에서 330만 명 이상의 학생들의 이동성을 증진시켰다. 38개국에서 5,000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1]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1994년 유럽 위원회에서 설립한 소크라테스 프로그램에 통합되었다. 소크라테스 프로그램은 1999년 12월 31일에 종료되었고, 2000년 1월 24일에 소크라테스 II 프로그램으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다시 2007년 1월 1일에 평생 학습 프로그램 2007–2013으로 대체되었다.
2014년부터 2020년까지는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의 첫 번째 자금 지원 주기가 진행되었으며, 현재 2021년부터 2027년까지 두 번째 주기가 진행 중이다. 2021년 현재, 이 프로그램은 직원, 학생, 청소년 및 모든 연령대의 학습자 간의 참여로 주목받았으며, 1,300만 명 이상의 참여자를 유치했다.
3. 1. 1987년 유럽 위원회 제안
1987년 6월에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이 채택될 당시, 유럽 위원회는 6년 동안 시범적인 학생 교환을 지원해 왔다. 1986년 초에 최초의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이 제안되었지만, 당시 회원국들의 반응은 다양했다. 자체적인 상당한 교환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던 국가들(주로 프랑스, 독일, 영국)은 대체로 적대적이었고, 나머지 국가들은 대체로 찬성했다. 회원국과 유럽 위원회 간의 교류가 악화되자, 유럽 위원회는 일부 회원국이 제안한 3개년 예산의 부적절성에 항의하며 1987년 초에 해당 제안을 철회했다.[1]
3. 2. 유럽 사법 재판소의 결정
일부 반대 회원국들은 이러한 단순 다수결 투표 방식을 인정하지 않아, 유럽 사법 재판소에 결정 채택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1] 법원은 채택 과정에 결함이 있다고 판결했지만, 결정의 실질적인 내용은 유지했다.[1] 판례에 따라 수정된 추가 결정이 각료 이사회에 의해 신속하게 채택되었다.[1]
3. 3. 도입과 성장
이 프로그램은 1981년부터 1986년까지 시행된 파일럿 교환 학생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1987-1988학년도 시작 직전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첫해에는 3,244명의 학생이 참여했다.[1] 2006년에는 유럽 학생 인구의 거의 1%인 15만 명이 넘는 학생들이 참여했다. 이 비율은 대학 교사들 사이에서 더 높은데, 에라스뮈스 교사 이동성은 유럽 교사 인구의 1.9%인 20,877명이었다.
1987년부터 2006년까지 200만 명이 넘는 학생들이 에라스뮈스 지원금 혜택을 보았으며, 유럽 집행위원회는 2012년까지 총 3백만 명을 목표로 했다. 2004년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아스투리아스 공 국제 협력상을 수상했다.
1987년 6월에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이 채택될 당시, 유럽 위원회는 6년 동안 시범적인 학생 교환을 지원해 왔다. 1986년 초에 최초의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을 제안했지만, 당시 회원국들의 반응은 다양했다. 자체적인 교환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던 국가들(주로 프랑스, 독일, 영국)은 대체로 적대적이었고, 나머지 국가들은 대체로 찬성했다. 회원국과 유럽 위원회 간의 교류가 악화되자, 유럽 위원회는 일부 회원국이 제안한 3개년 예산의 부적절성에 항의하며 1987년 초에 해당 제안을 철회했다.[1]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프로그램은 확장되었으며 현재는 에라스뮈스+, 또는 에라스뮈스 플러스라고 불리며, 유럽 및 그 외 지역의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 분야에서 초국가적 협력 및 이동성을 위한 EU의 다양한 계획을 결합하고 있다.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첫 번째 자금 지원 주기를 마쳤으며, 현재 2021년부터 2027년까지 두 번째 주기에 있다. 2021년 현재, 이 프로그램은 직원, 학생, 청소년 및 모든 연령대의 학습자 간의 참여로 주목받았으며, 1,300만 명 이상의 참여자를 유치했다.
1989년, 에라스뮈스 사무국은 32명의 전 에라스뮈스 학생들을 벨기에 겐트에서 평가 회의에 초대했다. 동료 간 지원 부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되었지만, 이는 에라스뮈스 학생 네트워크 창설의 원동력이 되었다. 이 조직은 에라스뮈스 프로그램 및 기타 양자 간 협약을 통해 온 학생들을 지원하고 국제 학생들을 돕기 위해 국가 기관과 협력한다. 2020년 7월 23일 현재, 에라스뮈스 학생 네트워크는 42개국에 534개의 지역 협회("지부")를 두고 있으며, 유럽 전역에 15,000명 이상의 자원 봉사자가 있다.
2014년, 창설된 지 27년이 지난 이 프로그램은 유럽 공동체 내에서 330만 명 이상의 학생들의 이동성을 증진했다. 38개국에서 5,000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여러 다른 독립적인 프로그램과 함께 1994년 유럽 위원회에서 설립한 소크라테스 프로그램에 통합되었다. 소크라테스 프로그램은 1999년 12월 31일에 종료되었고, 2000년 1월 24일에 소크라테스 II 프로그램으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다시 2007년 1월 1일에 평생 학습 프로그램 2007–2013으로 대체되었다.
3. 4. 평생 학습 프로그램 2007-2013
소크라테스 프로그램을 대체하여 2007년 1월 1일부터 평생 학습 프로그램 2007–2013이 에라스뮈스 프로그램 및 기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반적인 틀 역할을 했다. 1994년 유럽 위원회는 여러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소크라테스 프로그램을 설립했고, 이는 1999년 12월 31일에 종료되었다. 이후 2000년 1월 24일에 소크라테스 II 프로그램으로 대체되었다.[1]
3. 4. 1. 에라스뮈스 문두스
에라스뮈스 문두스는 유럽 교육의 세계화를 지향하는 프로그램으로, 예외적인 경우 비유럽인에게도 열려 있다.[1]
에라스무스 문두스 계획은 에라스무스 계획과 병행하여 유럽 교육의 국제화를 위해 실시되고 있다. 에라스무스 계획은 유럽인만을 대상으로 하지만, 에라스무스 문두스 계획은 유럽 외 지역에도 개방되어 전 세계 대학의 석사 과정 학생 교류 촉진과 국경을 넘는 학습 지원을 목표로 한다.[1]
3. 4. 2. 더 많은 지원을 위한 시민들의 주도 (2014-2020)
2012년 5월 9일, 프라테르니테 2020은 최초의 유럽 시민 발의로 등록되었다.[13] 이는 2014년부터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이나 유럽 자원봉사와 같은 EU 교환 프로그램의 예산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13년 11월 1일까지 100만 명의 서명을 받아야 했으나, EU 전역에서 71,057명의 서명만을 수집하는 데 그쳤다.[14]
3. 4. 3. 에라스뮈스 플러스 (2014-2020)
EU의 프로그램인 에라스뮈스+는 유럽의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를 지원한다. 27개의 EU 회원국과 6개의 비 EU 연관 국가가 참여하며, 55개의 국가 기구가 프로그램 활동의 대부분을 분산 관리한다. 전 세계 다른 국가도 프로그램의 특정 부분에 참여할 수 있다.[15] 프로그램의 관리, 지휘 및 평가는 유럽 위원회(교육, 청소년, 스포츠 및 문화 담당 총국)가 담당하며, 교육, 시청각 및 문화 집행 기구(EACEA)가 이를 지원한다.
에라스뮈스+는 교육, 직업 교육, 청소년 및 스포츠 분야의 질과 우수성을 향상시키고, 포용성과 형평성을 지원하며,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초국가적인 학습 이동성 및 조직 간의 협력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모든 분야에서, 평생 학습을 통해 유럽 및 그 외 지역의 참여자의 교육적, 직업적 및 개인적 발전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이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세 가지 핵심 활동을 통해 추진된다.
기타 활동에는 유럽 통합 문제, 예를 들어 EU의 미래 과제와 기회에 대한 교육, 학습, 연구 및 토론을 지원하는 “장 모네” 활동이 포함된다. 프로그램 내에서 자금 지원이 가능한 현재 프로필 및 활동에 대한 전체 정보는 에라스뮈스+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87년에 시작된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원래 유럽 전역의 대학 및 고등 교육 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프로그램은 확장되었으며 현재는 에라스뮈스+ (에라스뮈스 플러스)라고 불리며, 유럽 및 그 외 지역의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 분야에서 초국가적 협력 및 이동성을 위한 EU의 다양한 계획을 결합하고 있다.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첫 번째 자금 지원 주기를 마쳤으며, 현재는 2021년부터 2027년까지 두 번째 주기에 있다. 2021년 현재, 이 프로그램은 직원, 학생, 청소년 및 모든 연령대의 학습자 간의 참여로 주목받았으며, 1,300만 명 이상의 참여자를 유치했다. 이름의 유래는 로테르담의 에라스뮈스로, 그는 르네상스 시대에 유럽을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여러 대학에서 가르치고 연구했던 선구적인 학자이자 영감을 주는 강사였다. 하지만 동시에 "에라스뮈스"라는 단어는 "'''E'''u'''R'''opean Community '''A'''ction '''S'''cheme for the '''M'''obility of '''U'''niversity '''S'''tudents"의 약어이기도 했다.
에라스뮈스+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를 위한 147억유로 규모의 포괄적인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이었다.[15] 평생 학습 프로그램(에라스뮈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코메니우스, 그룬트비), 유스 인 액션 및 5개의 국제 협력 프로그램(에라스뮈스 문두스, 템푸스, 알파, 에듀링크 및 산업 국가와의 협력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에 대한 모든 EU 계획을 통합했다. 에라스뮈스+ 규정[16]은 2013년 12월 11일에 서명되었다.[17]
에라스뮈스+는 학생들이 해외에서 직무 배치를 받고 교사와 교육 직원이 연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포함한 광범위한 활동에 대한 보조금을 제공했다. 프로젝트는 공식 및 비공식 교육의 두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은 세 가지 주요 활동을 포함한다. 에라스뮈스+ 핵심 활동 1은 교사, 교장, 트레이너 및 교육 기관의 다른 직원이 다양한 유럽 국가에서 국제 연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18] 직원 소속 기관은 직원을 해외 연수를 위해 파견하기 위한 보조금을 받기 위해 신청해야 한다.[19]
3. 4. 4. 에라스뮈스 플러스 (2021-2027)
2018년 5월 30일, 유럽 위원회는 2021년부터 2027년까지 300억 유로로 예산을 두 배로 늘리는 차기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에 대한 제안을 채택했다.[25] 최종 프로그램이 채택되기 전, 2019년에서 2024년까지의 유럽 의회 임기 동안 유럽 의회 및 유럽 이사회와 추가 협상이 진행될 예정이었다.[26] 유럽 의회와 유럽 이사회 간의 협약이 채택되었으며, 새로운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새로운 규정 2021/817이 2021년 5월 28일에 공표되었다.[27]
EU는 프로그램의 두 번째 단계에서 "에라스뮈스+"를 더욱 확장하고, 새로운 '녹색' 차원과 강력한 새로운 디지털 교육 구성 요소를 도입하여 이를 풍성하게 만들겠다는 약속을 했다. 새로운 녹색 차원은 기후 변화에 대처하고 건강을 포함한 다른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디지털 교육 부문은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크게 성장한 유럽의 온라인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의 추가적인 횡단 우선순위는 사회적 포용과 다양성에 대한 약속, 민주적 삶, 공동 가치 및 시민 참여에 대한 강력한 참여 촉진이다.
4. 참여
현재 전 세계 37개국에 걸쳐 4,000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이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1987년 프로그램 시작 이래 2013년까지 300만 명의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2012~2013년에만 27만 명이 참여했다. 가장 인기 있는 목적지는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순이다.[29] 2012년 유럽 졸업생 중 5%가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에 참여했다.[30]
에라스뮈스+는 EU의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 지원 프로그램으로, 27개 EU 회원국과 6개의 비 EU 연관 국가가 참여한다. 프로그램 관리, 지휘 및 평가는 유럽 위원회 (교육, 청소년, 스포츠 및 문화 담당 총국)가 담당하며, 교육, 시청각 및 문화 집행 기구(EACEA)가 지원한다. 에라스뮈스+는 교육, 직업 교육, 청소년 및 스포츠 분야의 질과 우수성을 향상시키고, 포용성과 형평성을 지원하며,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초국가적인 학습 이동성 및 조직 간의 협력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87년 시작된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유럽 전역의 대학 및 고등 교육 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그램은 확장되어 현재는 에라스뮈스+로 불리며, 유럽 및 그 외 지역의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 분야에서 초국가적 협력 및 이동성을 위한 EU의 다양한 계획을 결합하고 있다. 2021년 현재, 이 프로그램은 1,300만 명 이상의 참여자를 유치했다.
1989년, 에라스뮈스 사무국은 벨기에 겐트에서 평가 회의를 열고 32명의 전 에라스뮈스 학생들을 초대했다. 이 회의에서 동료 간 지원 부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되었고, 이는 에라스뮈스 학생 네트워크 창설의 원동력이 되었다. 이 조직은 에라스뮈스 프로그램 및 기타 양자 간 협약을 통해 온 학생들을 지원하고 국제 학생들을 돕기 위해 국가 기관과 협력한다. 2020년 7월 23일 현재, 에라스뮈스 학생 네트워크는 42개국에 534개의 지역 협회를 두고 있으며, 유럽 전역에 15,000명 이상의 자원 봉사자가 있다.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고등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교육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이점을 기관에 가져다준다. 국제 협력 전문화, 학문적 관계 강화, 연구 협력 촉진, 비공식적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국경을 넘어 우정을 쌓도록 돕는다. 이 프로그램은 참여 국가에게 '소프트 파워'와 외교적 가치를 제공하는 소중한 원천이 되었다.[39]
하지만 프로그램 선정과 참가자의 대표성과 관련된 문제들도 제기되어 왔다. 일부 연구에서는 사회 경제적 배경, 학습 수준 또는 학업 성취도에 따른 프로그램의 포괄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31][32][33]
4. 1. 참여 조건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과거에는 고등 교육 기관에서 적어도 1년 이상을 마쳐야 했지만, 현재는 중등 교육 기관의 학생들도 지원할 수 있다.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다른 유럽 국가에서 적어도 3개월 이상을 공부하거나, 한 학년에 적어도 2개월 이상의 연수를 마쳐야 한다. 전자의 경우 '''학업을 위한 학생 이동'''(SMS)이라고 하며, 후자의 경우 '''배치를 위한 학생 이동'''(SMP)이라고 한다.[35][36]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학생이 대학에 파견되기 전에 동의한 기간만큼 지낸 경우 다른 대학에서 보낸 기간이 본적 대학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보증한다. 또한 학생들은 추가적인 수업료를 내지 않으며, 타지 생활에 필요한 돈을 지원받기 위해 에라스뮈스 장학 제도에 지원할 수 있다. 장애가 있는 학생들 또한 추가적인 장학 제도에 지원할 수 있다.스위스는 대중 투표 이후 2015년부터 에라스뮈스 프로그램 참여가 중단되었다. 이 때문에 스위스 학생들은 해당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없게 되었고, 유럽 학생들은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스위스 대학에서 수학할 수 없게 되었다.[37]
비용을 줄이고 이동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학생은 유럽 위원회가 지원하는 숙소 네트워크인 CasaSwap, FlatClub, Erasmusinn, Eurasmus,[38] Erasmate 또는 Student Mundial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들은 학생과 젊은이들이 국내 및 국제적으로 숙소를 임대, 전대, 제공 및 교환할 수 있는 무료 웹사이트이다. 파생된 이점으로 학생들은 해외에 가기 전과 후에 서로 지식과 팁을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다.
4. 2. 에라스뮈스 경험
에라스뮈스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은 다른 유럽 국가에서 최소 3개월간 공부하거나(학업을 위한 학생 이동, SMS), 최소 2개월에서 최대 1년간 인턴십(배치를 위한 학생 이동, SMP)을 수행한다.[35][36]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사전에 합의된 조건을 준수하면 해외 체류 기간을 귀국 후 소속 대학에서 인정받도록 보장한다. 스위스는 대중 투표 이후 2015년부터 프로그램 참여가 중단되어, 스위스 학생들은 지원할 수 없고 유럽 학생들은 스위스 대학에서 수학할 수 없게 되었다.[37]주요 특징은 방문 대학에 추가 등록금을 내지 않는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해외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에라스뮈스 보조금을 신청할 수 있고, 장애 학생은 특별 비용을 위한 추가 보조금을 신청할 수 있다. 비용 절감과 이동성 향상을 위해 많은 학생들은 CasaSwap, FlatClub, Erasmusinn, Eurasmus,[38] Erasmate, Student Mundial과 같은 숙소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고등 교육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교육, 사회, 문화,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 국제 협력 전문화, 학문적 유대 강화, 연구 협력 촉진, 비공식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국경을 넘어선 우정을 쌓게 돕는다. 또한 참여 국가들에게 소프트 파워 및 외교적 가치의 원천이 된다.[39]
외부 평가와 참가자들의 개인적 경험에 따르면, "에라스뮈스 경험"은 지식과 능력 향상뿐 아니라 개인적, 직업적 측면에서 삶을 변화시키는 경험을 제공한다. 많은 고등 교육 학생들에게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다른 나라에서 생활하고 공부하는 첫 경험이며, 학업 및 실무 교육 외에도 교류 국가 학습, 이해 증진, 사교, 다른 문화 경험, 자아 발견의 기회를 제공한다.
4. 2. 1. 문화적 현상
많은 유럽 학생들은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을 통해 처음으로 다른 나라에서 생활하며 공부하는 경험을 쌓는다. 따라서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사회적인 현상으로 떠올랐고 유럽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져 스페니쉬 아파트먼트와 같은 영화와 에라스뮈스 24 7이라는 다큐멘터리가 만들어지기도 했다.[40]일부 정치학자들은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이 범유럽주의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다. 독일의 정치학자 슈테판 볼프는 25년 뒤에는 에라스뮈스 세대가 유럽을 이끌 것이며, 현재의 사회화와는 다를 것이라고 보았다. 많은 고등 교육 학생들에게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다른 나라에서 생활하고 공부하는 첫 경험이다. 학업이나 실무 교육과 더불어, 이 프로그램은 교류 국가에 대한 학습과 이해를 증진시키며, "에라스뮈스" 경험은 학습의 시간일 뿐만 아니라 사교하고 다른 문화를 경험하며 자아 발견을 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에라스뮈스 경험을 탐구하는 책과 영화에 영감을 주며 현대 문화 현상으로 부상했다. 프랑스-스페인 영화 ''유로 트립''(2002)의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은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영화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데이비드 미첼의 1997년 소설 《슬레이드 하우스》에서 신입생 샐리 팀스에게 중요한 경험이 "에라스뮈스" 파티에서 일어난다.
파키스탄 소설가 님라 아흐메드의 소설 《Jannat K Patte》(《천국의 잎》)는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주인공 하야가 에라스뮈스 문두스를 통해 터키의 사반지 대학교에 가서 그녀의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한다.[41]
아일랜드 작가 샐리 루니의 소설 《노멀 피플》(2020)과 그 텔레비전 각색에서 마리안은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을 통해 스웨덴으로 간다.
5. 각국의 대응
6. 관련 계획
참조
[1]
웹사이트
What's in a name? History of the Erasmus Programme
http://ec.europa.eu/[...]
[2]
문서
Council decision, OJ L 166, 25 June 1987
[3]
웹사이트
EUR-Lex – 31987D0327 – DE – EUR-Lex
http://eur-lex.europ[...]
2017-10-17
[4]
웹사이트
Erasmus+ Programme Guide - Erasmus+
https://erasmus-plus[...]
2024-12-14
[5]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olding an ECHE – 2021–2027
https://erasmus-plus[...]
[6]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teaching staff)
https://erasmus-plus[...]
[7]
서적
Erasmus and the Age of Reformation
http://www.gutenberg[...]
Phaidon Press, Ltd
1924
[8]
웹사이트
35 years of Erasmus - and ECF's role in establishing it
https://culturalfoun[...]
2024-12-14
[9]
웹사이트
Sofia Corradi, "Mamma Erasmus"
https://web.archive.[...]
2019-09-17
[10]
문서
L'impact du Comité Adonnino (1984–1986): Rapprocher les Communautés Européennes des Citoyens, Nathalie Tousignant, Etudes Internationales, vol. 36, 1 maart 2005, Erudit
[11]
문서
Session du Conseil Européen, Milan 28 et 29 juin 1985, Conclusions des Sessions du Conseil Européen (1975–1990), 240–245.
[12]
웹사이트
Ec.europa.eu
http://ec.europa.eu/[...]
[13]
웹사이트
Open initiatives – European Citizens' Initiative – European Commission
http://ec.europa.eu/[...]
[14]
웹사이트
European Citizens Initiatives – one year of challenges
http://www.europeanp[...]
EuropeanPublicAffairs.eu
2014-08-20
[15]
웹사이트
Green light for Erasmus+: More than 4 million to get EU grants for skills and employability
http://europa.eu/rap[...]
2014-12-30
[16]
웹사이트
Regulation (EU) No 1288/201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1 December 2013 establishing 'Erasmus+': the Union programme for education, training, youth and sport and repealing Decisions No 1719/2006/EC, No 1720/2006/EC and No 1298/2008/EC Text with EEA relevance
http://new.eur-lex.e[...]
[17]
웹사이트
Procedure File: 2011/0371(COD) – Legislative Observatory – European Parliament
http://www.europarl.[...]
[18]
웹사이트
How to read the Programme Guide
https://ec.europa.eu[...]
2019-12-05
[19]
웹사이트
Erasmus Plus Funding for Teacher Training Courses {{!}} Erasmus+ KA1
http://www.erasmustr[...]
2017-11-04
[20]
웹사이트
Kazakh universities take part in European projects: Erasmus+ Projects Fair opened at the Eurasian National University
https://eeas.europa.[...]
[21]
웹사이트
The Erasmus Programme
https://researchbrie[...]
2021-01-06
[22]
웹사이트
Prime minister denies threat to Erasmus scheme
https://www.universi[...]
[23]
뉴스
UK students lose Erasmus membership in Brexit deal
https://www.theguard[...]
2020-12-27
[24]
웹사이트
Cheaper and more global' Brexit Britain hailed as new scheme trounces EU's Erasmus
https://www.express.[...]
2022-01-08
[25]
웹사이트
Commission adopts proposal for the next Erasmus programme 2021–2027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8-05-30
[26]
웹사이트
Erasmus+ 2021–2027: Budget tripled for the 2021–2027 period
https://www.european[...]
2019-06-24
[27]
웹사이트
EUR-Lex – 32021R0817 – EN – EUR-Lex
https://eur-lex.euro[...]
2022-01-16
[28]
웹사이트
Spain: The most popular Erasmus destination
https://web.archive.[...]
2021-07-23
[29]
웹사이트
Press release—Another record-breaking year for Erasmus
http://europa.eu/rap[...]
[30]
웹사이트
Erasmus students as a proportion of graduates in 2012, page 35
http://ec.europa.eu/[...]
[31]
논문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Erasmus Students: A Trend Towards Wider Inclusion?
http://orca.cf.ac.uk[...]
2008-02-12
[32]
논문
Grade uncertainty and the adverse selection of Erasmus students: a Spanish experience
http://www.jcer.net/[...]
2016-05-05
[33]
논문
Who Studies Abroad? Evidence from France and Italy
2008-08-20
[34]
논문
Articulation of an Erasmus+ project for senior university students. HUMAN REVIEW. International Humanities Review / Revista Internacional De Humanidades, 14(6), 1–11. https://doi.org/10.37467/revhuman.v11.4169
[35]
웹사이트
Erasmus+ | Outgoing | International Office | TU Chemnitz
https://www.tu-chemn[...]
2019-08-02
[36]
웹사이트
What administration do I have to do before departure? – ISBI
https://web.archive.[...]
2019-08-02
[37]
웹사이트
Swiss students out of Erasmus program starting in 2015
http://www.gazzettad[...]
2014-12-30
[38]
웹사이트
Student rooms and accommodation, internships and erasmus guides.
https://web.archive.[...]
2014-12-30
[39]
웹사이트
What is the real impact of the Erasmus programme on university students?
https://theconversat[...]
2024-03-10
[40]
웹사이트
Erasmus 24_7 Official Website
http://erasmus247.co[...]
[41]
웹사이트
Online novels by Nimra Ahmed
http://www.urdunovel[...]
[42]
뉴스
Cafébabel. About us.
https://cafebabel.co[...]
Cafébabel
2020-06-25
[43]
뉴스
Cafébabel, the first European media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5-09-24
[44]
뉴스
Quietly sprouting: A European identity
https://www.nytimes.[...]
2019-01-24
[45]
논문
What should we Expect of ‘Erasmus Generations’
[46]
논문
The Making of a Success Story: the Creation of the programme in the Historical Context.
[47]
웹사이트
Europe's 'soft power': EU Commissioner Tibor Navracsics on European identity
https://www.france24[...]
2019-05-13
[48]
서적
Student mobility in higher education Erasmus and Erasmus plus
Laboratorio di educazione permanente, Dipartimento di scienze della formazione, Università degli Studi Statale Roma tre
[49]
웹사이트
In the spotlight: Erasmus+ brings people together
https://ec.europa.eu[...]
2019-05-13
[50]
서적
The Erasmus impact study: effects of mobility on the skills and employability of students and the internationalis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ttp://ec.europa.eu/[...]
European Union
[51]
뉴스
Umberto Eco: 'It's culture, not war, that cements European identity'
https://www.theguard[...]
[52]
뉴스
'You Wouldn't Exist Without Europe': The Erasmus Baby Phenomenon
https://universityti[...]
[53]
간행물
What Should we Expect of 'Erasmus Generations'?
https://www.research[...]
[54]
간행물
Cross-border mobility and European identity: The effectiveness of intergroup contact during the ERASMUS year abroad
http://journals.sage[...]
2010
[55]
간행물
Why Educational Exchange Programmes Miss Their Mark: Cross-Border Mobility, Education and European Identity*: Why educational exchange programmes miss their mark
https://onlinelibrar[...]
2012
[56]
간행물
Rethinking the 'Erasmus Effect' on European Identity: Rethinking the 'Erasmus effect' on European identity
https://onlinelibrar[...]
2015
[57]
서적
Balancing student mobility rights and national higher education : autonomy in the European Union
https://www.worldcat[...]
2017
[58]
서적
指導者はこうして育つ フランスの高等教育 グラン・ゼコール
吉田書店
[59]
웹사이트
New Turing scheme to support thousands of students to study and work abroad
https://www.gov.uk/g[...]
2021-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