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거미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령거미속(Pholcus)은 유령거미과에 속하는 거미의 한 속이다. 긴 다리를 특징으로 하며, 몸길이가 4mm 이상이고 8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슴배는 돔형, 배는 원통형이다. 동굴, 바위 밑, 숲의 관목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대한민국에는 Pholcus acutulus, Pholcus cheongogensis 등 20여 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령거미과 - 집유령거미
집유령거미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인간 거주지 내부를 선호하는 긴 다리의 거미로, 곤충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이며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몸을 흔들고, 거미줄은 상처 치유에 사용되는 등 생의학적으로도 연구된다. - 새실젖거미아목 - 유령거미과
유령거미과는 길고 가느다란 다리와 6~8개의 눈을 가진 거미로, 불규칙한 거미줄을 치고 거꾸로 매달려 생활하며 다른 곤충을 잡아먹고, 전 세계에 약 80속 1000여 종이 분포한다. - 새실젖거미아목 - 유령거미상과
유령거미상과는 유령거미과, 디게티데과, 플렉트레우리데과를 포함하는 유령거미목의 분류군으로, 얇거나 털실 모양의 그물로 사냥하며 몸이 작고 다리가 긴 특징을 가진다.
유령거미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Pholcus |
명명자 | Walckenaer, 1805년 |
종 다양성 | 375 종 |
종 | P. nagasakiensis P. okinawaensis P. phalangioides P. opilionides 그 외 다수 |
생물 분류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 |
강 | 거미강 |
목 | 거미목 |
아목 | 새실젖거미아목 |
상과 | 유령거미상과 |
과 | 유령거미과 |
속 | 유령거미속 |
학명 | Pholcus |
2. 형태
유령거미속은 일반적인 유령거미과와 마찬가지로 매우 길고 가느다란 다리를 가지고 있다.[3] 이 속은 큰 크기(몸길이 4mm 초과), 8개의 눈, 균일하게 돔형인 전체부(중앙 홈이나 구덩이 없음) 및 원통형 후체부(높이보다 김)로 다른 유령거미과 속과 구별된다.[4]
자연 상태에서 ''유령거미''는 동굴, 바위 밑, 숲의 관목, 깊은 석회암 틈새와 같은 환경에 서식한다.[5] ''Pholcus phalangioides''와 같은 종은 건물이나 기타 교란된 서식지에서 서식한다.[5]
Pholcus영어속 거미들은 매우 다양한 지역에 분포한다.
3. 생태
4. 분포
5. 한국의 유령거미
|preview=Page using with unknown parameter "_VALUE_"; use colwidth= to specify column size |ignoreblank=y | class | colwidth | content | gap | rules | small | style }}
- ''Pholcus acutulus'' Paik, 1978 — 대한민국
- ''Pholcus cheongogensis'' Kim & Ye, 2015 — 대한민국
- ''Pholcus chiak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chilgapsanensis'' J. G. Lee & J. H. Lee, 2021 — 대한민국
- ''Pholcus chuncheonensis'' J. G. Lee, Choi & S. K. Kim, 2021 — 대한민국
- ''Pholcus crassus'' Paik, 1978 — 대한민국
- ''Pholcus crypticolenoides'' Kim, Lee & Lee, 2015 — 대한민국
- ''Pholcus deunggolensis'' Kim & Kim, 2016 — 대한민국
- ''Pholcus extumidus'' Paik, 1978 — 대한민국, 일본
- ''Pholcus gaji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gosuensis'' Kim & Lee, 2004 — 대한민국
- ''Pholcus incheonensis'' J. G. Lee & J. H. Lee, 2021 — 대한민국
- ''Pholcus jindongensis'' Seo, 2018 — 대한민국
- ''Pholcus joreongensis'' Seo, 2004 — 대한민국
- ''Pholcus juwang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kwanaksanensis'' Namkung & Kim, 1990 — 대한민국
- ''Pholcus kwangkyosanensis'' Kim & Park, 2009 — 대한민국
- ''Pholcus manueli'' Gertsch, 1937 —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러시아 (극동), 중국,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 도입됨
- ''Pholcus montanus'' Paik, 1978 — 대한민국
- ''Pholcus nodong'' Huber, 2011 — 대한민국
- ''Pholcus okgye'' Huber, 2011 — 대한민국
- ''Pholcus pajuensis'' J. G. Lee, Choi & S. K. Kim, 2021 — 대한민국
- ''Pholcus palgong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parkyeonensis'' Kim & Yoo, 2009 — 대한민국
5. 1. 한국 서식 종 목록
|preview=Page using with unknown parameter "_VALUE_"; use colwidth= to specify column size |ignoreblank=y | class | colwidth | content | gap | rules | small | style }}- ''Pholcus acutulus'' Paik, 1978 — 대한민국
- ''Pholcus cheongogensis'' Kim & Ye, 2015 — 대한민국
- ''Pholcus chiak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chilgapsanensis'' J. G. Lee & J. H. Lee, 2021 — 대한민국
- ''Pholcus chuncheonensis'' J. G. Lee, Choi & S. K. Kim, 2021 — 대한민국
- ''Pholcus crassus'' Paik, 1978 — 대한민국
- ''Pholcus crypticolenoides'' Kim, Lee & Lee, 2015 — 대한민국
- ''Pholcus deunggolensis'' Kim & Kim, 2016 — 대한민국
- ''Pholcus extumidus'' Paik, 1978 — 대한민국, 일본
- ''Pholcus gaji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gosuensis'' Kim & Lee, 2004 — 대한민국
- ''Pholcus incheonensis'' J. G. Lee & J. H. Lee, 2021 — 대한민국
- ''Pholcus jindongensis'' Seo, 2018 — 대한민국
- ''Pholcus joreongensis'' Seo, 2004 — 대한민국
- ''Pholcus juwang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kwanaksanensis'' Namkung & Kim, 1990 — 대한민국
- ''Pholcus kwangkyosanensis'' Kim & Park, 2009 — 대한민국
- ''Pholcus manueli'' Gertsch, 1937 —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러시아 (극동), 중국,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 도입됨
- ''Pholcus montanus'' Paik, 1978 — 대한민국
- ''Pholcus nodong'' Huber, 2011 — 대한민국
- ''Pholcus okgye'' Huber, 2011 — 대한민국
- ''Pholcus pajuensis'' J. G. Lee, Choi & S. K. Kim, 2021 — 대한민국
- ''Pholcus palgong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parkyeonensis'' Kim & Yoo, 2009 — 대한민국
6. 종 목록
- ''Pholcus abstrusu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acutulus'' Paik, 1978 — 대한민국
- ''Pholcus aduncu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afghanus'' Senglet, 2008 — 아프가니스탄
- ''Pholcus agili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alagarkoil'' (Huber, 2011) — 인도
- ''Pholcus alloctospilus'' Zhu & Gong, 1991 — 중국
- ''Pholcus alpinu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alticeps'' Spassky, 1932 — 폴란드 ~ 러시아, 이란
- ''Pholcus amani'' Huber, 2011 — 탄자니아
- ''Pholcus anachoreta'' Dimitrov & Ribera, 2006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ancoralis'' L. Koch, 1865 — 류큐 제도 ~ 하와이, 뉴칼레도니아, 마르키즈 제도, 라파
- ''Pholcus anlong'' Chen, Zhang & Zhu, 2011 — 중국
- ''Pholcus arayat'' Huber, 2011 — 필리핀
- ''Pholcus arcuatilis'' Yao & Li, 2013 — 라오스
- ''Pholcus arkit'' Huber, 2011 — 중앙아시아
- ''Pholcus armeniacus'' Senglet, 1974 — 이란
- ''Pholcus arsacius'' Senglet, 2008 — 이란
- ''Pholcus attuleh'' Huber, 2011 — 카메룬
- ''Pholcus auricularis'' Zhang, Zhang & Liu, 2016 — 중국
- ''Pholcus babao'' Tong & Li, 2010 — 중국
- ''Pholcus baguio'' Huber, 2016 — 필리핀
- ''Pholcus bailongensi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bajia'' (Lu, Yao & He, 2022) — 중국
- ''Pholcus baka'' Huber, 2011 — 서, 중앙 아프리카
- ''Pholcus bakweri'' Huber, 2011 — 비오코, 카메룬
- ''Pholcus baldiosensis'' Wunderlich, 1992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bamboutos'' Huber, 2011 — 카메룬
- ''Pholcus bangfai'' Huber, 2011 — 라오스
- ''Pholcus bantouensi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bat'' Lan & Li, 2021 — 중국
- ''Pholcus batepa'' Huber, 2011 — 상투메
- ''Pholcus beijingensis'' Zhu & Song, 1999 — 중국
- ''Pholcus berlandi'' Millot, 1941 — 세네갈
- ''Pholcus bessus'' Zhu & Gong, 1991 — 중국
- ''Pholcus bicornutus'' Simon, 1892 — 필리핀
- ''Pholcus bidentatus'' Zhu et al., 2005 — 중국, 라오스
- ''Pholcus bifidus'' Yao, Pham & Li, 2015 — 베트남
- ''Pholcus bikilai'' Huber, 2011 — 에티오피아
- ''Pholcus bimbache'' Dimitrov & Ribera, 2006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bing''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bolikhamsai'' Huber, 2011 — 라오스
- ''Pholcus bourgini'' Millot, 1941 — 기니
- ''Pholcus brevi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bulacanensis'' Yao & Li, 2017 — 필리핀 (루손)
- ''Pholcus caecus'' Yao, Pham & Li, 2015 — 베트남
- ''Pholcus calcar'' Wunderlich, 1987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calligaster'' Thorell, 1895 — 미얀마, 네팔
- ''Pholcus camba'' Huber, 2011 — 술라웨시
- ''Pholcus caspius'' Senglet, 2008 — 이란
- ''Pholcus ceheng'' Chen, Zhang & Zhu, 2011 — 중국
- ''Pholcus cenranaensis'' Yao & Li, 2016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 ''Pholcus ceylonicus'' O. Pickard-Cambridge, 1869 — 스리랑카, 아마도 말레이시아
- ''Pholcus chang''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changchi'' Yao, Li & Lu, 2022 — 중국
- ''Pholcus chappuisi'' Fage, 1936 — 케냐
- ''Pholcus chattoni'' Millot, 1941 — 기니, 코트디부아르
- ''Pholcus cheaha'' Huber, 2011 — 미국
- ''Pholcus chengde'' Yao, Li & Lu, 2022 — 중국
- ''Pholcus cheongogensis'' Kim & Ye, 2015 — 대한민국
- ''Pholcus chevronus'' Yin, Xu & Bao, 2012 — 중국
- ''Pholcus chiak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chicheng'' Tong & Li, 2010 — 중국
- ''Pholcus chilgapsanensis'' J. G. Lee & J. H. Lee, 2021 — 대한민국
- ''Pholcus choctaw'' Huber, 2011 — 미국
- ''Pholcus chuncheonensis'' J. G. Lee, Choi & S. K. Kim, 2021 — 대한민국
- ''Pholcus circularis'' Kraus, 1960 — 상투메
- ''Pholcus clavatus'' Schenkel, 1936 — 중국
- ''Pholcus clavimaculatus'' Zhu & Song, 1999 — 중국
- ''Pholcus cophenius'' Senglet, 2008 — 아프가니스탄
- ''Pholcus corcho'' Wunderlich, 1987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corniger'' Dimitrov & Ribera, 2006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crassipalpis'' Spassky, 1937 — 불가리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유럽, 코카서스), 터키, 카자흐스탄
- ''Pholcus crassus'' Paik, 1978 — 대한민국
- ''Pholcus creticus'' Senglet, 1971 — 크레테
- ''Pholcus crypticolenoides'' Kim, Lee & Lee, 2015 — 대한민국
- ''Pholcus crypticolens'' Bösenberg & Strand, 1906 — 일본
- ''Pholcus cuneatu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curvus'' Zhang, Zhang & Liu, 2016 — 중국
- ''Pholcus dade'' Huber, 2011 — 미국
- ''Pholcus dali'' Zhang & Zhu, 2009 — 중국
- ''Pholcus datan'' Tong & Li, 2010 — 중국
- ''Pholcus datong'' (Yao, Li & Lu, 2022) — 중국
- ''Pholcus debilis'' (Thorell, 1899) — 비오코, 카메룬
- ''Pholcus decoru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dentatus'' Wunderlich, 1995 — 마데이라
- ''Pholcus deunggolensis'' Kim & Kim, 2016 — 대한민국
- ''Pholcus dieban''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difengensis'' Yao & Li, 2016 — 중국
- ''Pholcus dixie'' Huber, 2011 — 미국
- ''Pholcus djelalabad'' Senglet, 2008 — 아프가니스탄, 인도
- ''Pholcus dongxue'' Yao & Li, 2017 — 태국
- ''Pholcus doucki'' Huber, 2011 — 기니
- ''Pholcus duan'' Yao & Li, 2017 — 태국
- ''Pholcus dungara'' Huber, 2001 — 퀸즐랜드
- ''Pholcus edentatus'' Campos & Wunderlich, 1995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elymaeus'' Senglet, 2008 — 이란
- ''Pholcus exilis'' Tong & Li, 2010 — 중국
- ''Pholcus extumidus'' Paik, 1978 — 대한민국, 일본
- ''Pholcus fagei'' (Kratochvíl, 1940) — 케냐
- ''Pholcus faveauxi'' (Lawrence, 1967) — 콩고
- ''Pholcus fengcheng'' Zhang & Zhu, 2009 — 중국
- ''Pholcus fengning'' (Yao, Li & Lu, 2022) — 중국
- ''Pholcus foliaceus'' Peng & Zhang, 2013 — 중국
- ''Pholcus fragillimus'' Strand, 1907 — 스리랑카, 인도 ~ 일본
- ''Pholcus fuerteventurensis'' Wunderlich, 1992 — 카나리아 제도, 모로코
- ''Pholcus gaizhou'' Yao & Li, 2021 — 중국
- ''Pholcus gaji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ganziensi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gaoi'' Song & Ren, 1994 — 중국
- ''Pholcus genuiformis'' Wunderlich, 1995 — 알제리
- ''Pholcus gomerae'' Wunderlich, 1980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gonggarensis'' Yao & Li, 2016 — 중국
- ''Pholcus gosuensis'' Kim & Lee, 2004 — 대한민국
- ''Pholcus gracillimus'' Thorell, 1890 —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수마트라, 자바
- ''Pholcus guadarfia'' Dimitrov & Ribera, 2007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guangling'' (Yao, Li & Lu, 2022) — 중국
- ''Pholcus guani'' Song & Ren, 1994 — 중국
- ''Pholcus guanshui'' Yao & Li, 2021 — 중국
- ''Pholcus gui'' Zhu & Song, 1999 — 중국
- ''Pholcus guineensis'' Millot, 1941 — 기니, 시에라리온
- ''Pholcus hamaensis'' Yao & Li, 2016 — 중국
- ''Pholcus hamatus'' Tong & Ji, 2010 — 중국
- ''Pholcus hamuchal'' Yao & Li, 2020 — 파키스탄
- ''Pholcus harveyi'' Zhang & Zhu, 2009 — 중국
- ''Pholcus helenae'' Wunderlich, 1987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henanensis'' Zhu & Mao, 1983 — 중국
- ''Pholcus hieroglyphicus'' Pavesi, 1883 — 에리트레아
- ''Pholcus higoensis'' Irie & Ono, 2008 — 일본
- ''Pholcus hinsonensis'' Yao & Li, 2016 — 태국
- ''Pholcus hochiminhi'' Yao, Pham & Li, 2015 — 베트남
- ''Pholcus hoyo'' Huber, 2011 — 콩고
- ''Pholcus huailai'' Yao, Li & Lu, 2022 — 중국
- ''Pholcus huapingensi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huberi'' Zhang & Zhu, 2009 — 중국
- ''Pholcus hunyuan'' (Yao, Li & Lu, 2022) — 중국
- ''Pholcus huoxiaerensis'' Yao & Li, 2016 — 중국
- ''Pholcus hyrcanus'' Senglet, 1974 — 이란
- ''Pholcus hytaspus'' Senglet, 2008 — 이란
- ''Pholcus imbricatus''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incheonensis'' J. G. Lee & J. H. Lee, 2021 — 대한민국
- ''Pholcus intricatus'' Dimitrov & Ribera, 2003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jaegeri'' Huber, 2011 — 라오스
- ''Pholcus jiaotu''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jiguanshan'' Yao & Li, 2021 — 중국
- ''Pholcus jindongensis'' Seo, 2018 — 대한민국
- ''Pholcus jingnan'' Yao & Li, 2020 — 중국
- ''Pholcus jingyangensis'' Yao & Li, 2016 — 중국
- ''Pholcus jinniu'' Tong & Li, 2010 — 중국
- ''Pholcus jinwum'' Huber, 2001 — 퀸즐랜드
- ''Pholcus jiulong'' Tong & Li, 2010 — 중국
- ''Pholcus jiuwei'' Tong & Ji, 2010 — 중국 중국
- ''Pholcus jixianensis'' Zhu & Yu, 1983 — 중국
- ''Pholcus joreongensis'' Seo, 2004 — 대한민국
- ''Pholcus jusahi'' Huber, 2011 — 미국
- ''Pholcus juwangensis'' Seo, 2014 — 대한민국
- ''Pholcus kaebyaiensis'' Yao & Li, 2016 — 태국
- ''Pholcus kakum'' Huber, 2009 — 가나, 코트디부아르, 기니, 콩고
- ''Pholcus kalam'' Yao & Li, 2020 — 파키스탄
- ''Pholcus kamkaly'' Huber, 2011 — 카자흐스탄
- ''Pholcus kandahar'' Senglet, 2008 — 아프가니스탄
- ''Pholcus kangding'' Zhang & Zhu, 2009 — 중국
- ''Pholcus kapuri'' Tikader, 1977 — 안다만 제도
- ''Pholcus karawari'' Huber, 2011 — 뉴기니
- ''Pholcus kawit'' Huber, 2016 — 필리핀
- ''Pholcus kihansi'' Huber, 2011 — 탄자니아
- ''Pholcus kimi'' Song & Zhu, 1994 — 중국, 라오스
- ''Pholcus kindia'' Huber, 2011 — 기니
- ''Pholcus kingi'' Huber, 2011 — 미국
- ''Pholcus knoeseli'' Wunderlich, 1992 — 카나리아 제도
- ''Pholcus koah'' Huber, 2001 — 퀸즐랜드
- ''Pholcus koasati'' Huber, 2011 — 미국
- ''Pholcus kohi'' Huber, 2011 —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수마트라
- ''Pholcus krachensis'' Yao & Li, 2016 — 태국
- ''Pholcus kribi'' Huber, 2011 — 카메룬
- ''Pholcus kuaile'' (Yao, Li & Lu, 2022) — 중국
- ''Pholcus kui'' Yao & Li, 2012 — 중국
- ''Pholcus kunming'' Zhang & Zhu, 2009 — 중국
- ''Pholcus kwamgumi'' Huber, 2011 — 케냐, 탄자니아
- ''Pholcus kwanaksanensis'' Namkung & Kim, 1990 — 대한민국
- ''Pholcus kwangkyosanensis'' Kim & Park, 2009 — 대한민국
- ''Pholcus kyondo'' Huber, 2011 — 콩고
참조
[1] 웹사이트 Gen. Pholcus Walckenaer, 1805 http://www.wsc.nmbe.[...] World Spider Catalog 2021-10-18
[2] 웹사이트 Species Pholcus phalangioides - Longbodied Cellar Spider https://bugguide.net[...] 2022-09-16
[3] 웹사이트 araneae - Key to families https://araneae.nmbe[...] 2022-08-08
[4] 웹사이트 araneae - Pholcidae https://araneae.nmbe[...] 2022-08-08
[5] 웹사이트 Genus Pholcus https://bugguide.net[...] 2022-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