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척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척봉은 영어로 쿼터스태프(quarterstaff)라고 불리며, 사분제재된 나무로 만들어진 양손으로 사용하는 몽둥이의 일종이다. 잉글랜드에서 널리 사용된 무기로, 로빈 후드 전설에도 등장한다. 길이는 1.8m에서 2.7m 정도였으며, 때리는 공격과 찌르는 공격이 가능했다.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잉글랜드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스포츠로 부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병무기 - 창
창은 긴 자루에 날카로운 촉을 붙인 무기이자 도구로, 구석기 시대부터 현대까지 사냥, 전쟁, 의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신화 속 상징으로도 등장한다. - 장병무기 - 모르겐슈테른 (무기)
모르겐슈테른은 뾰족한 머리가 달린 중세 시대 무기로, 14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되었으며, 플랜지 철퇴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군사용, 농민용, 장식용으로 나뉜다. - 타격무기 - 톤파
톤파는 오키나와 무술에서 유래된 막대기 형태의 무기로, 막기와 치기에 사용되며, 경찰봉으로도 활용되었으나 신축식 경찰봉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 타격무기 - 재목
제재목은 나무를 깎아 만든 건축 자재로, 용도와 규격, 강도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며, 건축 구조재, 가구,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고, 자연적 요인과 가공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방부 처리 등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육척봉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장병 |
사용 | 무기 |
무게 | 가벼움 |
길이 | 1.8m에서 2.7m 사이 |
재료 | 나무 |
특징 | |
설명 | 쿼터스태프는 약 1.8 m에서 2.7 m 길이의 나무 막대기 장병이다. 쿼터스태프는 역사적으로 유럽의 무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쿼터스태프는 무술 훈련에 사용된다. |
육척봉 | |
설명 | 육척봉은 길이가 6척(약 1.8 미터) 되는 장병의 일종이다. 쿼터스태프와 유사한 무기이다. |
길이 | 약 1.8m |
재료 | 나무 |
2. 어원
영어 명칭인 "쿼터스태프(quarterstaff영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quarter"가 봉을 만드는 방식, 즉 나무를 사분(四分)하여 제작하는 방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2] 영국의 장궁은 전통적으로 쿼터로 쪼개진 주목이나 물푸레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장궁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쿼터 스테이브(quarter stave)'는 봉의 형태로 무기로 사용될 수도 있었다.
육척봉은 서양물푸레나무, 참나무, 개암나무, 산사나무 등 다양한 종류의 나무로 만들어졌다. 양쪽 끝이나 한쪽 끝에는 금속 꼬챙이나 덮개를 달아 보강하기도 하였다. 잉글랜드 엘리자베스 시대나 자코비안 시대 문헌에는 육척봉 그림이 더러 수록되어 있다.
잉글랜드 역사에서 육척봉은 흔한 무기였으며, 특히 로빈 후드 전설에서 리틀 존이 사용하는 무기로 잘 알려져 있다.[2] "육척봉"이라는 이름은 16세기 중반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15세기 영어 문헌에는 육척봉을 사용한 전투 기술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5]
쿼터스태프를 잡는 방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16세기에서 18세기 실버[6], 스웨트남[4], 와일드[7]의 저술에 따르면 쿼터스태프는 손잡이 끝에 손을 대고 다른 손은 그 위 30cm에서 45cm 정도 위에 잡는다. 14세기에서 16세기 요하네스 리히테나우어[8]와 파울루스 헥토르 마이어의 저술에 따르면 쿼터스태프는 손잡이 끝에서 손 너비만큼 떨어진 곳에 뒷손을 대고 다른 손은 스태프의 중간까지 잡는다.[9]
[1]
뉴스
Picking the Correct Weapon Size
https://www.martiala[...]
2018-11-10
봉을 잡는 방식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으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제시되었으나 민간 어원일 가능성이 높다.[3]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쿼터"가 봉의 제작 방식을 의미한다는 설명을 뒷받침하며, 1590년에 기록된 초기 용례를 제시한다.[3]
: "올더스게이트를 지나갈 때, 무장한 채로 쿼터 애쉬 스태프(quarter Ashe staffe)를 어깨에 메고."
'giving quarter'(싸움에서 진 자에게 아량을 베푼다)라는 관용구와 연관짓는 설도 존재한다.
3. 설명
육척봉의 길이는 1.8m에서 2.7m 정도였으나, 시대에 따라 변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근세에 사용된 롱 스태프(long staff)는 3.6m 내지 5.4m 정도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육척봉은 점차 짧고 가벼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대나무로 만든 3m 길이의 스태프는 빅토리아 시대에도 더러 사용되었다.
육척봉은 양손으로 잡는 몽둥이의 일종으로, 무게 배분이 균등하여 몽둥이처럼 "때리는" 공격뿐만 아니라 창처럼 "찌르는" 공격도 가능했다. 이 무기를 다루는 무예는 다른 막대기형 무기와 유사하지만, 육척봉은 다른 막대기형 무기의 연습용 무기로 자주 쓰였다. 초식에는 막기, 찌르기, 휘두르기 등이 있었다.
"육척봉"이라는 이름은 16세기 중반에 처음 사용되었다.
"쿼터(quarter)"는 제작 방식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 봉은 사분제재된 경목으로 만들어졌다(일반적으로 제재된 목재나 나뭇가지로 만든 품질이 낮은 봉과는 대조적으로).[2] 영국의 장궁은 전통적으로 쿼터로 쪼개진 주목이나 물푸레나무로 만들어졌다. 장궁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쿼터 스테이브(quarter stave)'는 봉의 형태로 무기로 사용될 수도 있었다.
이 이름이 봉을 잡는 방식, 즉 오른손으로 하단에서 4분의 1 지점을 잡는 것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제시되었다.[3] 이러한 해석은 19세기 매뉴얼에서 그러한 자세를 낳았을 수 있지만, 아마도 민간 어원에 의해 생겨났을 것이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쿼터"가 봉의 제작 방식을 의미한다는 설명을 뒷받침하며, 1590년에 기록된 초기 용례를 지적한다. "올더스게이트를 지나갈 때, 무장한 채로 쿼터 애쉬 스태프(quarter Ashe staffe)를 어깨에 메고."
조지 실버는 1599년과 1605년에 두 권의 책을 저술한 영국의 검객으로, 봉술에 대한 긴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육척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짧은 봉"("긴 봉"에 반대되는)이라고 불렀다. 조셉 스웨트넘은 1615년에 저술하면서 7or 길이의 "육척봉"과 11or 길이의 "긴 봉"을 구분했다.[4]
4. 역사
조지 실버(1599)는 짧은 육척봉 격투 기술을 설명하고 다른 장병기와 양손 검의 사용이 동일한 방법에 기반한다고 말한다. 이 주제에 대한 후대 작가로는 조셉 스웨트남, 재커리 와일드, 그리고 도널드 맥베인이 있었다. 조지 실버,[6] 조셉 스웨트남,[4] 와일드[7] 모두 육척봉이 모든 손 무기 중 최고는 아니더라도 가장 훌륭한 무기 중 하나라는 데 동의했다.
16세기 동안 육척봉은 런던 방어 마스터들이 선호하는 무기였다. 리처드 피크는 1625년에, 재커리 와일드는 1711년에 육척봉을 영국을 대표하는 무기로 언급했다. 18세기에는 검투사들의 상금 경기에서 육척봉이 사용되기도 했다.
19세기 후반에는 일부 런던 펜싱 학교와 알더숏 군사 훈련 학교에서 스포츠로 부활하기도 했다. 이 스타일에 대한 작품은 토마스 맥카시와 앨런슨-윈과 필립스-울리에 의해 출판되었다. 19세기 후반 스타일을 기반으로 한 비공식적인 전통은 20세기 초중반까지 영국에서 지속되었으며, 특히 군사 및 펜싱 전시회와 보이스카우트 운동과 관련이 있었다.
르네상스 시대의 독일 검술 학교에서도 스태프를 이용한 전투 기술이 존재했다. 16세기 중반 무술 편람에서 파울루스 헥토르 마이어는 르네상스 시대의 독일 검술 학교에서 스태프로 싸우는 기술을 자세히 설명한다.
5. 전투 기술
이 중에서 낮은 방어 자세가 중심적인 방어 자세로 간주된다. 타격은 주로 직접적으로 또는 각도로 아래로 가해졌다. 다리에 가해지는 타격의 방어는 공격 선에서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스태프의 한쪽 끝을 땅에 꽂고 타격을 받을 위험이 있는 앞손을 놓아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찌르기("다트"라고 와일드는 칭함)는 종종 앞손을 놓고 펜싱 런지처럼 앞다리로 한 발 내딛으면서 뒷손을 최대한 뻗어 수행되었다. 더 긴 찌르기는 뒷다리로 완전히 앞으로 내딛으면서 뒷손을 함께 움직여서 가해졌다. 타격을 가할 때 뒷다리와 발이 원을 그리며 움직여 앞발과 무기의 끝이 대략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권장되었다. 뒷다리를 돌리는 동작은 방어에도 적용되었다. 세 명의 저자 중에서 스웨트남은 특이하게 타격보다 찌르기를 선호한다고 권장한다. 실버와 와일드는 타격과 찌르기를 동등하게 유효한 공격으로 묘사한다.[10][11][7]
참조
[2]
웹사이트
quarterstaff
http://www.etymonlin[...]
2010-10-25
[3]
간행물
quarterstaff(weapon)
http://www.britannic[...]
2010-12-06
[4]
서적
The Schoole of the Noble and Worthy Science of Defence
Nicholas Okre
1617
[5]
웹사이트
Cotton Titus
http://www.mymartial[...]
2011-07-27
[6]
서적
Bref Instructions Upon my Paradoxes of Defence
1605
[7]
서적
The English Master of Defence or, the Gentleman's A-la-mode Accomplish
http://www.the-exile[...]
John White
1711
[8]
웹사이트
Dobringer Manuscript
http://www.thearma.o[...]
TheArma.org
[9]
웹사이트
Mair Manual
http://www.thearma.o[...]
The Arma.org
[10]
웹사이트
Paradoxes of Defence, by George Silver (1599)
http://www.pbm.com/~[...]
2018-10-15
[11]
웹사이트
Joseph Swetnam -- Part One
http://www.thearma.o[...]
2018-10-15
[12]
웹사이트
The Merry Adventures of Robin Hood - Robin Hood and Tinker
https://americanlite[...]
2018-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