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행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행관은 대승불교의 교리 중 하나로, 대비바사론과 구사론, 그리고 선바라밀차제법문에서 제시되는 수행법이다. 육행관은 무간도와 해탈도로 구분되며, 무간도에서는 추(麤), 고(苦), 장(障)의 세 가지 관법을 통해 번뇌를 끊는 과정을, 해탈도에서는 정(靜), 묘(妙), 리(離)의 세 가지 관법을 통해 번뇌에서 벗어나 상위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9지의 수혹을 끊는 데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혹 - 구생기
  • 수혹 - 백이십팔근본번뇌
    백이십팔근본번뇌는 불교에서 인간의 심리적 고통의 근원을 128가지로 분석한 개념으로, 128사(使)와 128혹(惑)을 포함하며 수행을 통해 조복하고 단멸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진다.
  • 불교 수행 - 만다라
    만다라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우주와 인간의 내면을 상징하는 기하학적 도형으로, 명상, 의식,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불교 수행 - 사향사과
    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경전에서 영적 성취 수준에 따라 불교 수행자를 수다원, 일래자, 불환자, 아라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용어이며, 수행과 결과에 따라 8가지 종류로 세분화된다.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육행관
육행관
유형불교 용어
의미수행자가 마음을 안정시키고 지혜를 얻기 위해 실천해야 할 여섯 가지 수행법
육행계(戒)
정(定)
혜(慧)
사(捨)
원(願)
념(念)
상세 내용
계(戒)계율을 지켜 도덕적인 생활을 하는 것
정(定)선정을 통해 마음을 집중하고 고요하게 유지하는 것
혜(慧)지혜를 개발하여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보는 것
사(捨)집착을 버리고 모든 것을 놓아주는 것
원(願)보리심을 일으켜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서원을 세우는 것
념(念)바른 마음챙김으로 현재의 순간을 깨어있게 알아차리는 것

2. 대비바사론과 구사론의 6행관

2. 1. 무간도

적정(寂靜)하지 않다는 뜻의 '''추'''(麤)는 '''비적정'''(非寂靜)을 의미한다. 또한 자지(自地)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下地)의 온갖 유루법은 커다란 노력(大劬勞)으로만 극복할 수 있다고 관찰한다.

미묘(美妙)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고'''(苦)는 '''비미묘'''(非美妙)를 뜻한다. 이는 (美)하거나 묘(妙)하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자지(自地)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下地)의 추중(麤重), 즉 자지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의 온갖 번뇌, 즉 자지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의 유루법(有漏法), 또는 '자지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의 온갖 번뇌 또는 유루법의 거칠고 무거움'이 위해(違害), 즉 거스름[違]이나 해로움[害]을 일으킨다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출리(出離)가 아님을 의미하는 '''장'''(障)은 '''비출리'''(非出離)를 뜻한다. 또한 자지(自地)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下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이 능히 마치 감옥의 두터운 벽처럼 자지(自地)를 벗어나는 것을 능히 장애한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下地)의 유루법이 자지(自地)를 벗어나는 것을 방해한다고 관찰한다.

2. 1. 1. 추행상(麤行相)

'''추'''(麤)는 '''비적정'''(非寂靜) 즉 적정(寂靜)하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자지(自地)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下地)의 온갖 유루법은 커다란 노력(大劬勞)으로만 극복할 수 있다고 관찰한다.

2. 1. 2. 고행상(苦行相)

'''고'''(苦)는 '''비미묘'''(非美妙), 즉 미묘(美妙)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美)하거나 묘(妙)하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자지(自地)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下地)의 추중(麤重), 즉 자지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의 온갖 번뇌, 즉 자지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의 유루법(有漏法), 또는 '자지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의 온갖 번뇌 또는 유루법의 거칠고 무거움'이 위해(違害), 즉 거스름[違]이나 해로움[害]을 일으킨다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2. 1. 3. 장행상(障行相)

'''장'''(障)은 '''비출리'''(非出離) 즉 출리(出離)가 아님을 의미한다. 또한 자지(自地)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下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이 능히 마치 감옥의 두터운 벽처럼 자지(自地)를 벗어나는 것을 능히 장애한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下地)의 유루법이 자지(自地)를 벗어나는 것을 방해한다고 관찰한다.

2. 2. 해탈도

'''정'''(靜)은 '''적정'''(寂靜)함을 뜻한다. 또한 상지(上地)의 유루법은 커다란 노력(大劬勞)으로 성취할 수 있다고 관찰한다.

'''묘'''(妙)는 '''미묘'''(美妙)함, 즉 (美)하고 묘(妙)함을 뜻한다. 또한 상지(上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이 위해(違害) 즉 거스름[違]이나 해로움[害]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리'''(離)는 '''출리'''(出離)를 뜻하며, 또한 상지(上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이 마치 감옥의 두터운 벽과 같은 자지(自地)를 벗어나는 것을 능히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

2. 2. 1. 정행상(靜行相)

'''정'''(靜)은 '''적정'''(寂靜)함을 뜻한다. 또한 상지(上地)의 유루법은 커다란 노력(大劬勞)으로 성취할 수 있다고 관찰한다.

2. 2. 2. 묘행상(妙行相)

'''묘'''(妙)는 '''미묘'''(美妙)함, 즉 (美)하고 묘(妙)함을 뜻한다. 또한 상지(上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이 위해(違害) 즉 거스름[違]이나 해로움[害]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2. 2. 3. 리행상(離行相)

:'''리'''(離)는 '''출리'''(出離)를 뜻하며, 또한 상지(上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이 마치 감옥의 두터운 벽과 같은 자지(自地)를 벗어나는 것을 능히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

3. 선바라밀차제법문의 6행관

3. 1. 무간도

번뇌를 끊는 과정을 의미한다.

3. 1. 1. 염고관(厭苦觀)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1. 2. 염추관(厭麤觀)

}}}}}} 추가해] 주세요.}}

|크기 = 왼쪽

}}

3. 1. 3. 염장관(厭障觀)

(내용 없음)

3. 2. 해탈도

번뇌에서 벗어나 상위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흔승관(忻勝觀)'''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흔묘관(忻妙觀)'''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흔출관(忻出觀)'''

내용이 부족하여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3. 2. 1. 흔승관(忻勝觀)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2. 2. 흔묘관(忻妙觀)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2. 3. 흔출관(忻出觀)

내용이 부족하여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4. 9지의 수혹과 6행관

6행관은 9지(九地)의 수혹(修惑)을 끊는 데 사용된다.

참조

[1] 구글 검색 "麤苦障" https://www.google.c[...] 2013-05-28
[2] 구글 검색 "麤苦障" https://www.google.c[...] 2013-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