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당은 강희제의 아홉 번째 아들로, 강희제 시대에 구사이 베이세에 봉해졌다. 그는 형제들 사이에서 상당한 부와 영향력을 얻었으며, 특히 여덟째 아들 윤사와 사이가 좋았다. 강희제의 사후, 옹정제가 즉위하면서 윤당은 옹정제와 대립하다가 유폐되었고, 패륵 작위를 박탈당한 후 "서스허"로 개명되는 수모를 겪었다. 이후 옹정제에 의해 투옥되어 사망했지만, 건륭제에 의해 사후 복권되어 아이신 교로 씨족으로 복귀되었고, 이름도 윤당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그는 만주어 로마자 표기법 개척자로 여겨지며, 여러 드라마에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희제의 황자 - 옹정제
    옹정제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황위 계승 분쟁 속에서 즉위하여 황권 강화, 재정 개혁,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제 숙청과 사상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강희제의 황자 - 윤상 (청나라)
    윤상은 강희제의 아들이자 옹정제의 측근으로, 옹정제 치세 동안 청나라의 최고 실권자였으며, 옹정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군기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다 45세에 사망했다.
  • 1726년 사망 - 마쓰다이라 지카사다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가)
    마쓰다이라 지카사다는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문 출신으로, 마쓰다이라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상속받아 마쓰다이라 종가의 수장이 되었으며, 1713년 사망 후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토시가 뒤를 이었다.
  • 1726년 사망 - 연갱요
    연갱요는 청나라 초기 옹정제의 총애를 받으며 권세를 누렸으나 오만함으로 옹정제의 분노를 사 자결한 무관으로, 옹정제 즉위 기여, 사천 및 칭하이 반란 진압 등의 공을 세웠으나 권력 남용과 오만함으로 몰락하여 청나라 초기 권력 다툼과 옹정제 통치 스타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1683년 출생 - 조지 2세
    조지 2세는 하노버 왕조의 두 번째 국왕이자 하노버 선제후로서 대브리튼과 아일랜드를 통치하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7년 전쟁을 겪었고, 헨델을 후원했으며, 그의 통치는 영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입헌 군주제의 유지를 특징짓지만 평가가 다양하다.
  • 1683년 출생 - 돈이황귀비
    돈이황귀비는 청나라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정제와 건륭제 시대에 높은 존호를 받았으며, 화빈으로 책봉된 후 황고화귀비로 승격되었고, 건륭제 즉위 후에는 온혜황귀태비로 추존, 86세에 사망하여 돈이황귀비 시호를 받았다.
윤당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이신 교로 윤탕
이칭아이신 교로 인탕, 서스허
출생일1683년 10월 17일
사망일1726년 9월 22일
사망 장소베이징
칭호베이쯔
봉호 시작1709년
봉호 종료1725년
신분황족
가문아이신 교로
가족 관계
아버지강희제
어머니의비 고로로씨
형제항온친왕(동복 형), 직군왕(이복 형), 이밀친왕(이복 형), 옹정제(이복 형), 염친왕(이복 형), 윤지(동복 아우)
친족순치제(할아버지), 뇨뇨(이복 백부), 유헌친왕(이복 중부), 영친왕(이복 숙부), 화석공친왕(이복 숙부)
배우자동고씨
자녀홍정, 홍장, 홍상, 홍광, 홍정, 동희, 사보, 두희신
기타
종교티베트 불교
윤탕의 초상화
윤탕의 초상화

2. 생애

윤당은 강희제의 아들로, 일찍이 '''혁군왕'''(奕郡王)에 책봉되었다. 그는 이복형 윤사와 뜻을 같이하여 훗날 옹정제가 되는 옹친왕과 정치적으로 대립했다. 강희제가 사망하고 옹정제가 즉위하자, 윤당은 불교 승려가 된 형 윤사(법명 공명)와 내통하며 옹정제의 정책에 반대하다가 탄압을 받게 된다. 결국 작위와 황족 신분을 박탈당하고 만주어로 '귀찮다' 혹은 '돼지새끼'라는 모욕적인 의미의 '''서스허'''(ᠰᡝᠰᡝ|서스허mnc)로 강제 개명되는 수모를 겪었으며, 유폐된 후 사망했다. 훗날 건륭제가 즉위한 후에야 이름과 황족의 지위가 회복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황위 계승 분쟁

윤당(아이신 교로)은 강희제의 아홉 번째 아들로, 어머니는 의비 곽락라씨(郭絡羅氏)이다.[1] 그는 강희제가 특별히 총애한 아들은 아니었으나, 형제들 사이에서 상당한 부와 영향력을 쌓았다.[1] 일찍이 '''혁군왕'''(奕郡王)으로 책봉되었고, 강희제 시대에 구사이 베이세(固山貝子)에도 봉해졌다. 그는 사려 깊고 민첩했으며 외국어 구사 능력이 있었고 전차를 설계하기도 했다. 특히 여덟째 형인 윤사와 사이가 가까웠으며 뜻을 같이했다.

강희제는 본래 둘째 아들 윤잉을 황태자로 삼았으나, 윤잉의 오만하고 폭력적인 행실로 인해 두 차례나 폐위했다.[2] 황태자 자리가 공석이 된 기간 동안, 윤당은 윤사가 황태자 자리를 잇도록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훗날 옹정제가 되는 넷째 형 옹친왕(雍親王) 윤진과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관계가 되었다. 그러나 윤사가 황태자가 되려는 시도는 두 번 모두 성공하지 못했다. 결국 강희제는 후계자를 비밀리에 정하고 자신이 사망한 뒤에야 공개하도록 결정했다.

1722년, 강희제가 사망하고 그의 유언에 따라 넷째 아들인 옹친왕 윤진이 황위를 계승하여 옹정제로 즉위했다. 옹정제는 즉위 후 휘를 피한다는 이유로, 자신의 이름에 포함된 '인(胤)' 자와 같은 항렬자인 형제들의 이름에서 '인(胤)' 자를 모두 '윤(允)' 자로 바꾸도록 명령했다. 이에 따라 윤당(胤禟)의 이름도 윤당(允禟)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옹정제는 윤당을 서녕의 군사 주둔지로 보내 군무에 종사하게 했으며, 그곳에서 자신의 측근인 장군 연갱요의 엄격한 감독을 받도록 조치했다.[1]

2. 2. 옹정제와의 갈등 및 유폐

강희제 사후 옹정제가 즉위하자, 윤당은 다른 형제들과 함께 휘를 피하기 위해 이름의 '인(胤)' 자를 '윤(允)' 자로 바꾸어야 했다.[1] 옹정제 즉위 원년(1722년), 윤당은 서녕의 군사 주둔지로 보내져 장군 년경요의 감독 하에 놓이게 되었다.[1] 그러나 그는 불교 승려로 출가한 이복 형 윤사와 계속 내통하며 옹정제의 정책을 방해하려 했다.

옹정 3년(1725년), 옹정제는 군량 횡령 및 불손한 행동 등을 구실로 윤당의 패륵(貝勒, 일부 자료에서는 固山貝子) 작위를 박탈하고 아이신 교로 씨족에서 제명했다.[1] 더 나아가 옹정제는 윤당의 이름을 서스허(ᠰᡝᠰᡥᡝ|서스허mnc)로 강제로 바꾸게 했는데, 이는 만주어로 "귀찮다" 또는 "혐오스럽다"[1] (일부 해석으로는 "돼지새끼")라는 모욕적인 뜻을 담고 있었다. 그의 여덟 아들 역시 푸시훈(Fusihiūn),[3] 파추훈(Facuhūn),[4] 우비야다(Ubiyada),[5] 에이메데(Eimede),[6] 하이라칸(Hairakan),[7] 둥키(Dungki),[8] 두시히옌(Dusihiyen),[9] 에이훈(Eihun)[10] 등으로 이름을 바꾸도록 강요받았다.[11]

윤당은 옹정제에게 불교 사찰에서 승려로 여생을 보내게 해달라고 간청했으나 거절당했다고 전해진다.[12] 결국 그는 보정에 유폐되었고, 이듬해(1726년) "원인 불명의 복통"으로 급사했다.[13] 그러나 당시 정황상 옹정제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된다.[13]

훗날 건륭제가 즉위한 후인 1778년, 윤당은 사후 복권되어 아이신 교로 씨족의 지위를 회복하고 이름도 '윤당'으로 되돌려졌다.[14] 그의 자손들 역시 황족으로 복권되었다.

2. 3. 사후 복권

1778년, 옹정제의 뒤를 이어 즉위한 건륭제는 윤당을 사후 복권시켰다.[14] 윤당은 아이신 교로 씨족으로 복귀되었으며, 그의 이름은 'ᠰᡝᠰᡥᡝ|세세mnc'에서 다시 '윤당'으로 변경되었다.[14] 또한 그의 자손들도 황족으로 대우받게 되었다.

3. "서스허"의 의미

옹정제는 자신에게 반대한 이복동생 윤당을 종인부에 유폐시키고 이름을 만주어로 '서스허'(ᠰᡝᠰᡝ|서스허mnc)로 바꾸었다. 이 '서스허'라는 이름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는 중국어로 "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13] 이는 잘못된 해석이라는 주장이 있다. 현재 랴오닝성 박물관에 소장된 만주어 문서 《흑도당》(黑图档)에 따르면, 원래 만주어 단어 '서스허'(ᠰᡝᠰᡝ|서스허mnc)는 "떨다" 또는 "귀찮은 사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15][11]

4. 업적

윤당은 만주어로마자 표기법 개척자로 여겨진다. 그는 포르투갈 선교사 조안네스 무라오(穆景遠)와 교류하며 라틴 문자로 쓰인 문학을 소개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이를 통해 윤당은 1723년경 기본 만주어 로마자 표기법을 확립했는데, 이는 그 자신과 윤사의 다른 지지자들 사이의 비밀 통신 코드였다고 한다.[16]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의 묄렌도르프 시스템이 종종 최초의 만주어 음역 시스템으로 여겨지지만, 윤당의 시스템은 묄렌도르프의 시스템보다 150년 이상 앞선다.[16] 또한 그는 외국어를 구사했고, 전차를 설계하기도 했다.

5. 가족 관계


  • '''부황''' : 강희제
  • '''친모''' : 의비 곽락라씨
  • * '''형''' : 화석항온친왕(和碩恒溫親王) 윤기(允祺)
  • * '''동생''' : 윤자(胤禌)

  • '''정실'''
  • * 적복진(嫡福晉) 동악씨
  • ** 넷째 딸 (1705년 9월 12일 – 1726년 12월 또는 1727년 1월) : 1721년 조세양(趙世揚)과 혼인

  • '''측실'''
  • * 완안씨
  • ** 첫째 딸 (1701년 12월 10일 – 1725년 8월 16일) : 1718년 8월 또는 9월 오이라트 초락사(綽絡斯) 가문의 세보텅왕부(色卜騰旺布)와 혼인
  • ** 셋째 딸 (군군(郡君), 1704년 7월 14일 – 1727년 2월 또는 3월) : 1720년 3월 또는 4월 만주족 예헤 나라 씨족의 영복(永福)과 혼인
  • ** 다섯째 아들 홍정(弘鼎, 1711년 12월 19일 – 1782년 11월 28일)
  • * 조가씨
  • ** 둘째 딸 (1703년 1월 20일 – 1741년 5월 또는 6월) : 1719년 6월 또는 7월 바린 보르지기트 가문의 간부(侃布)와 혼인
  • ** 다섯째 딸 (1706년 8월 21일 – 1742년 10월 6일) : 1739년 8월 또는 9월 세보텅(色卜騰)과 혼인
  • ** 셋째 아들 홍상(弘相, 1710년 2월 20일 – 1739년 4월 21일)
  • * 유씨
  • ** 첫째 아들 홍정(弘晸, 1706년 12월 12일 – 1787년 12월 26일)
  • ** 둘째 아들 홍장(弘暲, 1709년 3월 29일 – 1756년 7월 4일)
  • * 낭씨
  • ** 넷째 아들 홍광(弘曠, 1711년 12월 15일 – 1737년 2월 20일)
  • * 진씨
  • ** 여섯째 딸 (1719년 7월 8일 – 1767년 12월 10일)
  • * 주씨(朱氏)
  • ** 여섯째 아들 동희(棟喜, 1719년 7월 24일 – 1791년 1월 19일)
  • * 주씨(周氏)
  • ** 일곱째 아들 사보(四保, 1719년 10월 22일 – 1771년 4월 12일)
  • ** 여덟째 아들 두석흠(都錫欣, 1720년 12월 3일 – 1775년 10월 25일)

6. 대중문화 속 윤당

배우작품명연도
장웨이청나라 흥망사1988
묘해중옹정왕조1999
마문룡2011
한동보보경심2011
주재효2013
황덕빈금옥만당2014


참조

[1] 웹사이트 揭秘康熙所有兒子們的下場 (Revealing The Ending Of All Of Kangxi's Sons) http://big5.xinhuane[...] Huasheng Online (華聲在線) 2014-07-29
[2] 웹사이트 揭秘康熙所有兒子們的下場_圖片頻道_新華網 http://big5.xinhuane[...]
[3] 문서 humble
[4] 문서 rebel or unworthy
[5] 문서 hateful
[6] 문서 tyrannical, oppressive to others
[7] 문서 pitiful
[8] 문서 lazy
[9] 문서 silly
[10] 문서 daft, dumb
[11] 웹사이트 《从沈阳故宫满语文档再释阿其那与塞思黑》 http://www.cnki.com.[...]
[12] 웹사이트 弒兄屠弟狠絕懲貪:為何雍正一朝無官不清 (Massacring Brothers And Harshly Punishing Corrupt Officers: Why All Of Yongzheng's Court Officers Are Incorruptible) http://news.sina.com[...] 2014-07-29
[13] 웹사이트 康熙大帝17個兒子的生死命運 (The Fate Of Kangxi Emperor's 17 Sons) http://big5.cri.cn/g[...] Chinese Radio International 2014-07-28
[14] 웹사이트 【如是觀史】 阿其那與塞斯黑 (Looking At History: Akina and Seshe) http://www.merit-tim[...] 2014-07-28
[15] 서적 Qingshi Manyu Cidian (清史满语辞典) Shanghai Guji Chubanshe (上海古籍出版社)
[16] 웹사이트 允禟、穆景遠的滿文十九字頭解讀 (Deciphering Yuntang, Mourão's Manchurian 19 Letters) https://sites.google[...] 2014-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