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어는 만주족의 언어로, 현재는 소멸 위기에 놓여 '극도로 심각'한 언어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 만주 지역과 사할린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 모국어 사용자는 10명 정도로 극소수이다. 17세기 청나라의 공용어였으나, 만주족의 한화(漢化)로 쇠퇴했다. 21세기 들어 인터넷 보급과 함께 부흥 움직임이 나타나 중국에서 만주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헤이룽장 대학에 관련 학과가 설립되었다. 만주 문자를 사용하며, 몽골 문자를 개량하여 만들었다. 문법은 교착어의 특징을 가지며,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 순이다.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 후치사 등으로 나뉜다. 중국어, 한국어, 러시아어 등 주변 언어에 어휘적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과 러시아 지역의 지명에도 만주어의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어 - 만주 문자
만주 문자는 1599년 누르가치가 몽골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 여진 문자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1632년 다하이에 의해 개량되어 만주어 표기에 사용되었고, 시버 문자 등의 파생 문자를 낳았으며, 현재는 유니코드 몽골어 블록에 포함되어 있다. - 퉁구스어족 - 여진어
여진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만주어와 가까운 관계를 가진 언어로, 금나라 시대에 여진 문자가 창제되어 사용되었고 명나라 시대에는 네 가지 방언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현대 언어학자들은 명나라 시대의 사전과 금사의 「금국어해」를 통해 연구하고 있다. - 퉁구스어족 - 윌타어
윌타어는 러시아 사할린 섬의 윌타족이 사용하는 퉁구스어족 언어로, 나나이어와 관련이 깊고 포로나이스크와 발-노글리키 두 방언으로 나뉘며, 키릴 문자와 로마자로 표기되고 교착어적 특징과 SOV형 어순을 가지지만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 모음 조화 언어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모음 조화 언어 - 키르기스어
키르기스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에 속하며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약 49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고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모음 조화와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을 지닌다.
만주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만주어 |
고유 이름 | ᠮᠠᠨᠵᡠ ᡤᡳᠰᡠᠨ |
로마자 표기 | manju gisun |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사용 지역 | 만주 |
민족 | 만주족 |
모어 화자 | 20명 (2007년) |
제2 언어 화자 | 수천 명 |
언어 계통 | 알타이어족 |
어파 | 퉁구스어족 |
어 branch | 남부 |
어군 | 여진어군 |
하위 언어 | 만주-시버어 |
문자 | 만주 문자 |
국가 | 청나라 |
ISO 639-2 | mnc |
ISO 639-3 | mnc |
Glottolog | manc1252 |
Glottolog (세부) | bala1242 jing1263 lali1241 |
조상 언어 | 여진어 |
소멸 여부 | 소멸 위기 1980년대 부활 시도 |
2. 사용 지역과 말하는 인구
만주어는 본래 사할린과 만주족의 원거주지인 중국 만주 지역에서 사용되었다.[156][157][160] 현재 중국에는 약 1000만 명의 만주족이 거주하고 있지만, 이들 중 만주어 구사자는 극소수에 불과하다.[158][161] 만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10명 정도이며, 이들은 주로 삼가자촌(三家子, Ilan Boo-i Gašan/ᡳᠯᠠᠨ
여진족의 후예인 만주족의 언어는 여진어와 매우 가까운 언어였다고 추정된다.
ᠪᠣᠣ ᡳ
ᡤᠠᡧᠠᠨ}}mnc)에 거주하는 고령층이다.[38]
만주어는 소멸 위험도가 가장 높은 "극도로 심각"한 언어로 평가받고 있다.[153] 그러나 21세기에 들어 인터넷 보급과 함께 만주어 회복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에서는 초등 교육이나 성인을 위한 무료 강좌를 통해 수천 명이 만주어를 제2 언어로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4][5] 2011년에는 흑룡강대학에 만주어 관련 학과가 설립되기도 했다.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에 사는 시버족 중 일부는 만주어와 가까운 시버어를 사용한다. 시버어는 음운, 발음, 낱말 등에서 만주어와 차이를 보인다.
3. 역사
17세기에 만주족이 세운 청의 공용어는 만주어였으며, 공식 문서는 만주어 원본에 중국어를 덧붙이는 만한합벽(滿漢合璧) 형식으로 작성되었다. 청나라 초기에는 만주족 지배층은 만주어를, 한족은 한어를 사용했으며, 외교 문서도 만주어로 작성되었다.
|thumb|right|upright=0.9|만주어로 된 중국의 공식 명칭은 오른쪽 단어로 세로로 읽으며, (중앙 국가 = 중국)이다.]]
만주어는 청나라 황실의 주요 언어로 시작했지만, 만주족 관료들이 점점 더 한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언어를 잃어갔다. 만주 정체성을 보존하려던 황실 정부는 만주족 언어 수업과 기병을 위한 시험을 실시하여 언어에 능숙한 사람에게 보상을 제공했다. 중국 고전과 소설이 만주어로 번역되었고, 만주 문학 작품이 축적되었다. 옹정제 (재위 1722–1735)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특별한 장려책이 제공되지 않으면 조상의 언어는 전해지고 습득되지 않을 것이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병 사이에서 언어 사용은 18세기 내내 감소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1776년, 건륭제는 만주족의 본거지인 성경(현재 선양) 출신인 만주족 관료 과이민이 황제가 만주어로 말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13] 19세기에는 심지어 황실조차 언어 유창성을 잃었다. 가경제 (재위 1796–1820)는 그의 관료들이 만주어를 이해하거나 쓰는 데 능숙하지 않다고 불평했다.[12]
19세기 말에 이르러, 이 언어는 쇠퇴하여 성경 장군의 사무실에서조차 중국어가 아닌 만주어로 작성된 문서는 황제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상소문뿐이었다. 같은 기간 동안, 흑룡강성 호란 기병 부대의 기록 보관소는 기병의 1%만이 만주어를 읽을 수 있었고 0.2% 미만이 말할 수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1906–1907년까지 청나라 교육 및 군사 관료들은 학교에서 만주어 교육을 실시하고 병사들의 사격술을 시험하는 관료들이 만주어로 구두 시험을 계속 실시하도록 주장했다.[14]
공식 문서에 대한 언어 사용 또한 청나라 역사 전반에 걸쳐 감소했다. 특히 왕조 초기에, 민감한 정치 및 군사 문제에 대한 일부 문서는 중국어가 아닌 만주어로 제출되었다.[15] 이후, 제국의 일부 기록은 왕조의 마지막 해까지 만주어로 계속 작성되었다.[12] 1912년 청나라가 전복되었고, 대부분의 만주족은 그들의 언어를 말할 수 없게 되었으며, 베이징 방언이 만주어를 대체했다.[16]
만주어 문서는 청나라 시대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방대한 양이 보관되어 있다. 오늘날에도 자금성 내부 건축물에서 만주 문자를 찾아볼 수 있으며, 역사적인 표지판은 한자와 만주어로 함께 표기되어 있다. 만주어는 청나라 군대에서 음성 명령어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1878년까지 사용된 기록이 있다.[12]
중국어와 만주어 병기 비문은 많은 곳에서 발견되었다.[17][18]
== 만주어 연구 ==
장쑤성 출신의 한족 선치량은 만주어 문법에 관한 책을 저술했는데, 여기에는 《청서지남》(청서지남/淸書指南중국어; 《만주 비테 지 난》)과 《대청전서》(대청전서/大淸全書중국어; 《다이칭 구룬-이 유니 비테》)가 포함된다.[19] 그의 아버지는 청나라 해군 장교였고 할아버지는 반군에게 살해되기 전 명나라 관리였다. 선치량은 청나라 군대의 일원으로서 삼번의 난에 맞서 싸우기도 했다. 그는 이후 베이징으로 이주한 후 1677년부터 만주어를 배우기 시작하여 정황만주 기인들로부터 만주어 문법에 관한 책을 저술했다. 그는 백가성과 천자문을 만주어로 번역했으며, 만주어 연구에 25년을 보냈다. 선은 "나는 한족이지만, 평생 만주어를 취미로 삼았다"라고 썼다. 선은 관리가 된 적이 없었기에 직무의 일환으로 만주어를 배울 필요가 없었으므로 자발적으로 연구한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한족은 한족이 아닌 언어를 배우는 데 관심이 없었기에, 왜 선이 그랬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는 만주 문자를 칭찬하며 중국어보다 더 간단하고 명확하다고 말했다.[19]
항저우 출신의 한족인 천명원은 만주족인 우게가 공동 저술한 《청문계몽》(청문계몽/清文啓蒙zh-hant; 《칭 웬 키 멍 비테》)의 편집을 도왔다. 우게는 개인 만주어 수업을 열었고, 그의 친구인 천이 참석했다. 천은 이 책의 인쇄를 주선했다.[20]
== 청나라 시대 ==
장쑤성 출신의 한족 선치량은 만주어 문법서인 《청서지남》(청서지남/淸書指南중국어)과 《대청전서》(대청전서/大淸全書중국어)를 저술했다.[19] 항저우 출신 한족 천명원은 만주족 우게(伍格)와 함께 《청문계몽》(청문계몽/清文啓蒙zh-hant)을 편집했다.[20]
청나라 시대 한림원에서는 한족 관리들에게 만주어를 교육했다.[21] 한족 출신 한림원 졸업생 기윤석은 만주어를 알고 있었고, 군기처 문서고에 보관된 만주어 자료를 번역하고 활용하여 중국 변경 지역에 관한 책을 중국어로 저술했다.[21] 1740년, 한림원은 한족 원매가 만주어 공부에 실패한 것을 이유로 그를 제명했다.[22]
중국 고전과 소설이 만주어로 번역되었고,[27] 만주족과 한족 학자들이 번역 작업에 참여했다.[31] 홍타이지는 중국 서적을 만주어로 번역하게 했다.[29][30]
== 현대 ==
1980년대 이후 만주어 부흥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부흥 운동은 한족 중심의 사회에서 만주족의 정체성을 재건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39][40]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비정부 기구(NGO), 그리고 국제적인 지원을 받아 만주족이 주도적으로 부흥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39][40]
만주족 협회는 홍콩, 중화민국(타이완) 등 전국 각지에서 활동하며, 만주족과 몽골족을 중심으로 사람들과 민족 지도자, 국가 간의 연결 고리 역할을 수행한다.[39]
NGO들은 "만주어 수업"을 통해 만주어 부흥을 지원하고 있으며, 일부 초등학교와 대학교에서는 만주어를 가르치고 있다.[40] 헤이룽장 대학교 만주어 연구 센터는 만주어를 전공 과목으로 지정하여 청나라 시대 문서 기록을 읽는 도구로 교육하고 있다.[41] 2009년 ''월스트리트 저널'' 보도에 따르면, 한 개의 대학교, 한 개의 공립 중학교, 그리고 몇 개의 사립 학교에서 만주어를 선택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었다.[41] 또한, 중국 각지에서 만주어를 가르치는 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하며, 수천 명의 비만주어 화자들이 만주어를 배우는 데 기여하고 있다.[42][43][44][45][46][47]
선양시 만주족 연합회(沈阳市满族联谊会중국어)와 베이징 다싱 위위안 만주족 연합회()는 만주 문화 진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만주 민속과 역사에 관한 책을 출판하고 만주어와 서예 수업을 운영하는 등 지방 정부와 독립적으로 활동한다.[40]
국제 연구와 인터넷 역시 만주어 부흥에 기여하고 있다. 문화 대혁명 이후 개혁으로 국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만주어와 만주족 문화의 쇠퇴가 주목받고 지역 지원을 받게 되었다.[39] 웹사이트를 통해 만주어 수업과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40] 젊은 세대는 인터넷 미디어를 활용하여 만주족의 정체성을 알리고 있다.[39]
사할린에서는 만주어를 복원하여 가르치고 있으나, 로마자를 사용한다.
3. 1. 만주어 연구
장쑤성 출신의 한족 선치량은 만주어 문법에 관한 책을 저술했는데, 여기에는 《청서지남》(청서지남/淸書指南중국어; 《만주 비테 지 난》)과 《대청전서》(대청전서/大淸全書중국어; 《다이칭 구룬-이 유니 비테》)가 포함된다.[19] 그의 아버지는 청나라 해군 장교였고 할아버지는 반군에게 살해되기 전 명나라 관리였다. 선치량은 청나라 군대의 일원으로서 삼번의 난에 맞서 싸우기도 했다. 그는 이후 베이징으로 이주한 후 1677년부터 만주어를 배우기 시작하여 정황만주 기인들로부터 만주어 문법에 관한 책을 저술했다. 그는 백가성과 천자문을 만주어로 번역했으며, 만주어 연구에 25년을 보냈다. 선은 "나는 한족이지만, 평생 만주어를 취미로 삼았다"라고 썼다. 선은 관리가 된 적이 없었기에 직무의 일환으로 만주어를 배울 필요가 없었으므로 자발적으로 연구한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한족은 한족이 아닌 언어를 배우는 데 관심이 없었기에, 왜 선이 그랬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는 만주 문자를 칭찬하며 중국어보다 더 간단하고 명확하다고 말했다.[19]
항저우 출신의 한족인 천명원은 만주족인 우게가 공동 저술한 《청문계몽》(청문계몽/清文啓蒙zh-hant; 《칭 웬 키 멍 비테》)의 편집을 도왔다. 우게는 개인 만주어 수업을 열었고, 그의 친구인 천이 참석했다. 천은 이 책의 인쇄를 주선했다.[20]
3. 1. 1. 청나라 시대
장쑤성 출신의 한족 선치량은 만주어 문법서인 《청서지남》(청서지남/淸書指南중국어)과 《대청전서》(대청전서/大淸全書중국어)를 저술했다.[19] 항저우 출신 한족 천명원은 만주족 우게(伍格)와 함께 《청문계몽》(청문계몽/清文啓蒙zh-hant)을 편집했다.[20]
청나라 시대 한림원에서는 한족 관리들에게 만주어를 교육했다.[21] 한족 출신 한림원 졸업생 기윤석은 만주어를 알고 있었고, 군기처 문서고에 보관된 만주어 자료를 번역하고 활용하여 중국 변경 지역에 관한 책을 중국어로 저술했다.[21] 1740년, 한림원은 한족 원매가 만주어 공부에 실패한 것을 이유로 그를 제명했다.[22]
중국 고전과 소설이 만주어로 번역되었고,[27] 만주족과 한족 학자들이 번역 작업에 참여했다.[31] 홍타이지는 중국 서적을 만주어로 번역하게 했다.[29][30]
3. 1. 2. 현대
1980년대 이후 만주어 부흥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부흥 운동은 한족 중심의 사회에서 만주족의 정체성을 재건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39][40]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비정부 기구(NGO), 그리고 국제적인 지원을 받아 만주족이 주도적으로 부흥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39][40]
만주족 협회는 홍콩, 중화민국(타이완) 등 전국 각지에서 활동하며, 만주족과 몽골족을 중심으로 사람들과 민족 지도자, 국가 간의 연결 고리 역할을 수행한다.[39]
NGO들은 "만주어 수업"을 통해 만주어 부흥을 지원하고 있으며, 일부 초등학교와 대학교에서는 만주어를 가르치고 있다.[40] 헤이룽장 대학교 만주어 연구 센터는 만주어를 전공 과목으로 지정하여 청나라 시대 문서 기록을 읽는 도구로 교육하고 있다.[41] 2009년 ''월스트리트 저널'' 보도에 따르면, 한 개의 대학교, 한 개의 공립 중학교, 그리고 몇 개의 사립 학교에서 만주어를 선택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었다.[41] 또한, 중국 각지에서 만주어를 가르치는 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하며, 수천 명의 비만주어 화자들이 만주어를 배우는 데 기여하고 있다.[42][43][44][45][46][47]
선양시 만주족 연합회(沈阳市满族联谊会중국어)와 베이징 다싱 위위안 만주족 연합회()는 만주 문화 진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만주 민속과 역사에 관한 책을 출판하고 만주어와 서예 수업을 운영하는 등 지방 정부와 독립적으로 활동한다.[40]
국제 연구와 인터넷 역시 만주어 부흥에 기여하고 있다. 문화 대혁명 이후 개혁으로 국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만주어와 만주족 문화의 쇠퇴가 주목받고 지역 지원을 받게 되었다.[39] 웹사이트를 통해 만주어 수업과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40] 젊은 세대는 인터넷 미디어를 활용하여 만주족의 정체성을 알리고 있다.[39]
4. 문자 체계
만주어는 몽골 문자를 개량한 만주 문자를 사용한다.[141] 만주 문자는 세로쓰기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제리 노먼은 그의 저서 ''Comprehensive Manchu-English Dictionary'' (2013)에서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오늘날에는 웹 상에서 만주어를 쓸 때 로마자로 갈음하여 쓰기도 한다. 만주어의 조상인 여진어는 거란 대자에서 파생된 여진 문자를 사용했으며, 이는 다시 한자에서 파생되었다. 여진 문자와 만주 문자 사이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한자는 음소 문자로 사용되어 만주어의 한자 표기를 할 수도 있다. 모든 만주어 모음과 자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은 단일 한자로 표시되며, ''i, n, ng'' 및 ''o''로 끝나는 음절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r, k, s, t, p, I, m''으로 끝나는 음절은 두 글자의 소리를 결합하여 표현하는데, 이러한 자음으로 끝나는 만다린 음절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주어 음절 ''am''은 한자 a mù/阿木중국어로, 단어 ''Manchu''는 강희자전에서 mă ā ān zhū wū/瑪阿安諸烏중국어로 표기된다.[141]
만주어의 표기는 몽골 문자를 개량하여 만들어진 만주 문자를 사용한다. 한편 로마자 전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전사법에는 뫼렌도르프식과 중국어 병음식이 있다.
음소 | 뫼렌도르프식 | 중국어 병음식 |
---|---|---|
ū | v | |
[ʃ] | š | x |
[tʃ] | c | q |
[ts] | ts | c |
[dz] | dz | z |
[ʐ] | ž | ŕ |
[y] | ioi | iui |
이중 모음 | ao,eo,io,oo | au,eu,iu,ou |
5. 음운
만주어의 단모음에는 a, e, i, o, u, ū의 여섯 개가 있다.
e는 /ə/중국어 발음이며, /e/중국어가 아니라 /ə/중국어와 같은 소리이다. ū는 보통 /g/, /k/, /h/ 다음에만 나타나며 /ʊ/중국어와 같은 소리였다고 추측된다.[49] ū의 정확한 발음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다. 독일의 중국학자이자 만주학자인 에리히 하우어(Erich Hauer)는 이 모음이 처음에는 전설 원순 모음으로, 중간에서는 후설 평순 모음으로 발음되었다고 주장한다.[50] 윌리엄 오스틴(William Austin)은 이 모음을 중설 원순 모음으로 제안했다.[51] 현대의 시버어에서는 이 모음을 ''u''와 동일하게 발음한다.
모음 ''e'' (일반적으로 만다린어 [ɤ]중국어와 유사하게 발음)는 niyengniyeri /ɲeŋɲeri/와 같이 ''y'' 뒤에서 /e/로 발음된다. ''n''과 ''y'' 사이에서 ''i''는 두 자음 모두에서 /ɲ/로 흡수된다. 비교적 드물게 사용되는 모음 ''ū''는 일반적으로 후설 모음으로 발견되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전설 모음 ''e''와 함께 나타나기도 했다.
만주어의 이중모음에는 /ai/, /ei/, /oi/, /ui/, /io/, /oo/가 있다. (/oo/는 /o/의 장모음으로도 해석된다.)
모음조화가 존재하지만 엄격한 것은 아니다. 여기서 남성(양성)모음은 격변화시 o와 o가 아닌 모음(a,ū)으로 또다시 나뉜다.
남성모음(1) | a,ū |
---|---|
남성모음(2) | o |
여성모음 | e |
중성모음 | i,u |
만주어는 20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 순음에는 p, b, m, f가 있고, 치음에는 t, d, n, s, r, l이 있으며, 경구개음에는 c, j, ni, š, y가 있고, 연구개음에는 k, g, ng, h가 있다.
순음 | 치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파열음/파찰음 | p b | t d | c j | k g |
비음 | m | n | ni | ng |
마찰음 | f | s | š | h |
R음 | r | |||
설측음 | l | |||
반모음 | w | y |
/p/-/b/ 등의 쌍은 유기음-무기음의 대립( 등)이다. 역사적으로 p로 시작하는 낱말이 흔했으나 대부분 f로 바뀌었다. f로 바뀌지 않고 남아있는 p로 시작하는 낱말들은 의성어(예: pei [분노, 경멸 등으로 침을 뱉는 소리])이거나 외래어다. /s/는 i 앞에서 /ʃ/로 발음된다. /š/는 i 앞에서 권설 마찰음 /ʂ/로 발음된다. ši는 고유 만주어에 없다. /k/, /g/, /h/는 남성모음 /a/, /o/, /ū/ 앞에서는 연구개음, 여성·중성모음 /e/, /u/, /i/ 앞에서는 구개수음으로 발음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만주어는 음소 배열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w 뒤에는 a, e 이외의 모음이 오지 않는다. 차용어를 제외하고 t, d 뒤에 i가 오지 않는다. y 뒤에 모음 i가 오지 않는다. ū는 보통 k, g, h 뒤에만 올 수 있다. r은 어두에 오지 않는다. ng는 음절초에 오지 않는다. 또 어중의 ng는 k, g 앞에만 나타난다. 음절말에 올 수 있는 자음은 v, m, t, n, r, l, s, k, ng이다. 어말에 올 수 있는 자음은 n뿐이다. (외래어 제외) 로마자로 치환시 gg(g가 중복으로 사용)이면 ㄱ발음이 아닌 ㅇ발음으로 변하게 된다.
5. 1. 모음
만주어의 단모음에는 a, e, i, o, u, ū의 여섯 개가 있다.e는 /ə/중국어 발음이며, /e/가 아니라 /ə/중국어와 같은 소리이다. ū는 보통 /g/, /k/, /h/ 다음에만 나타나며 /ʊ/중국어와 같은 소리였다고 추측된다.[49] ū의 정확한 발음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다. 독일의 중국학자이자 만주학자인 에리히 하우어(Erich Hauer)는 이 모음이 처음에는 전설 원순 모음으로, 중간에서는 후설 평순 모음으로 발음되었다고 주장한다.[50] 윌리엄 오스틴(William Austin)은 이 모음을 중설 원순 모음으로 제안했다.[51] 현대의 시버어에서는 이 모음을 ''u''와 동일하게 발음한다.
모음 ''e'' (일반적으로 만다린어 [ɤ]중국어와 유사하게 발음)는 niyengniyeri /ɲeŋɲeri/와 같이 ''y'' 뒤에서 /e/로 발음된다. ''n''과 ''y'' 사이에서 ''i''는 두 자음 모두에서 /ɲ/로 흡수된다. 비교적 드물게 사용되는 모음 ''ū''는 일반적으로 후설 모음으로 발견되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전설 모음 ''e''와 함께 나타나기도 했다.
만주어의 이중모음에는 /ai/, /ei/, /oi/, /ui/, /io/, /oo/가 있다. (/oo/는 /o/의 장모음으로도 해석된다.)
모음조화가 존재하지만 엄격한 것은 아니다. 여기서 남성(양성)모음은 격변화시 o와 o가 아닌 모음(a,ū)으로 또다시 나뉜다.
남성모음(1) | a,ū |
---|---|
남성모음(2) | o |
여성모음 | e |
중성모음 | i,u |
5. 1. 1. 단모음
만주어의 단모음에는 a, e, i, o, u, ū의 여섯 개가 있다.e는 /ə/ 발음이며,/e/중국어가 아니라 /ə/중국어와 같은 소리이다. ū는 보통 /g/, /k/, /h/ 다음에만 나타나며 /ʊ/중국어와 같은 소리였다고 추측된다.[49] ū의 정확한 발음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다. 독일의 중국학자이자 만주학자인 에리히 하우어(Erich Hauer)는 이 모음이 처음에는 전설 원순 모음으로, 중간에서는 후설 평순 모음으로 발음되었다고 주장한다.[50] 윌리엄 오스틴(William Austin)은 이 모음을 중설 원순 모음으로 제안했다.[51] 현대의 시버어에서는 이 모음을 ''u''와 동일하게 발음한다.
모음 ''e'' (일반적으로 만다린어 [ɤ]중국어와 유사하게 발음)는 niyengniyeri /ɲeŋɲeri/와 같이 ''y'' 뒤에서 /e/로 발음된다. ''n''과 ''y'' 사이에서 ''i''는 두 자음 모두에서 /ɲ/로 흡수된다. 비교적 드물게 사용되는 모음 ''ū''는 일반적으로 후설 모음으로 발견되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전설 모음 ''e''와 함께 나타나기도 했다.
5. 1. 2. 이중모음
만주어의 이중모음에는 /ai/, /ei/, /oi/, /ui/, /io/, /oo/가 있다. (/oo/는 /o/의 장모음으로도 해석된다.)[49]총 18개의 이중 모음과 6개의 삼중 모음이 있다. 이중 모음은 ''ai'', ''ao'', ''ei'', ''eo'', ''ia'', ''ie'', ''ii'', ''io'', ''iu'', ''oi'', ''oo'', ''ua'', ''ue'', ''ui'', ''uo'', ''ūa'', ''ūe'', ''ūi'', ''ūo''이다.[49]
이중 모음 ''oo''는 /oː/로 발음되고, 이중 모음 ''eo''는 /ɤo/로 발음된다.[49]
문자 | IPA | 비고 | |
---|---|---|---|
-i 계통 | ai | ||
ei | |||
oi | |||
ui | |||
ūi | |||
-o 계통 | ao | ||
eo | |||
io | |||
oo | oo는 o의 장모음이 아니라 오히려 ao에 가깝게 발음 |
5. 1. 3. 모음조화
만주어에는 모음조화 현상이 존재하지만 엄격하지는 않다. 모음조화는 남성(양성)모음, 여성(음성)모음, 중성모음으로 구분된다.남성 모음 | a, o, ū |
---|---|
여성 모음 | e |
중성 모음 | i, u |
일반적으로 후설 모음과 전설 모음은 한 단어 안에서 함께 나타날 수 없다. 즉, 유일한 전설 모음 ''e''는 규칙적인 후설 모음(''a, o, ū'')과 함께 단어에 나타나지 않는다. 예외는 이중 모음 ''eo''이다.[53] 반대로, 중성 모음 ''i''와 ''u''는 다른 모음과 함께 단어에 자유롭게 나타날 수 있다.
어미의 형태는 모음조화의 규칙에 따라 종종 변한다. 어떤 어미는 단 하나의 형태만 가지고 있으며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예: ''de''). 여기에는 대격, 여격-위격, 교대 탈격의 어미(''be'', ''de'', ''deri''), 미완료 공통 활용 어미(-''me'')와 명사화 접미사 (''-ngge'', ''-ningge'' 및 ''ba'')가 포함된다.[54] 다른 어미는 두 가지 형태(''giyan/giyen'', ''hiyan/hiyen'', ''kiyan/kien'')를 가지며, 그중 하나는 전설 모음 어간에, 다른 하나는 후설 모음 어간에 추가된다. 세 가지 형태(''a/e/o''(예: ''han/hen/hon'') 또는 ''o/ū/u''(예: ''hon/hūn/hun''))를 가진 어미도 있다.[55]
모음조화는 전통적으로 ''주역''의 철학적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전설 모음이 있는 음절은 "음" 음절로, 후설 모음이 있는 음절은 "양" 음절로 묘사되었다. 예를 들어, ''hehe''(여성)와 ''haha''(남성) 또는 ''eme''(어머니)와 ''ama''(아버지)의 차이는 여성의 전설 모음 [e]와 남성의 후설 모음 [a] 사이의 대조를 보여준다.
5. 2. 자음
만주어는 20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 순음에는 p, b, m, f가 있고, 치음에는 t, d, n, s, r, l이 있으며, 경구개음에는 c, j, ni, š, y가 있고, 연구개음에는 k, g, ng, h가 있다.순음 | 치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파열음/파찰음 | p b | t d | c j | k g |
비음 | m | n | ni | ng |
마찰음 | f | s | š | h |
R음 | r | |||
설측음 | l | |||
반모음 | w | y |
/p/-/b/ 등의 쌍은 유기음-무기음의 대립(- 등)이다. 역사적으로 p로 시작하는 낱말이 흔했으나 대부분 f로 바뀌었다. f로 바뀌지 않고 남아있는 p로 시작하는 낱말들은 의성어(예: pei [분노, 경멸 등으로 침을 뱉는 소리])이거나 외래어다. /s/는 i 앞에서 /ʃ/로 발음된다. /š/는 i 앞에서 권설 마찰음 /ʂ/로 발음된다. ši는 고유 만주어에 없다. /k/, /g/, /h/는 남성모음 /a/, /o/, /ū/ 앞에서는 연구개음, 여성·중성모음 /e/, /u/, /i/ 앞에서는 구개수음으로 발음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5. 3. 음소 배열의 특징
만주어는 음소 배열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w 뒤에는 a, e 이외의 모음이 오지 않는다. 차용어를 제외하고 t, d 뒤에 i가 오지 않는다. y 뒤에 모음 i가 오지 않는다. ū는 보통 k, g, h 뒤에만 올 수 있다. r은 어두에 오지 않는다. ng는 음절초에 오지 않는다. 또 어중의 ng는 k, g 앞에만 나타난다. 음절말에 올 수 있는 자음은 v, m, t, n, r, l, s, k, ng이다. 어말에 올 수 있는 자음은 n뿐이다. (외래어 제외) 로마자로 치환시 gg(g가 중복으로 사용)이면 ㄱ발음이 아닌 ㅇ발음으로 변하게 된다.6. 문법
만주어는 교착어로,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SOV)' 순이다.[62] 수식어는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 명사, 대명사, 수사는 교착적인 어미가 붙어 곡용한다. 성(性)의 개념은 없지만, 성별과 관련된 단어에서 어간 모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예: 아마/amamnc '아버지', 어머/ememnc '어머니')
== 품사 ==
만주어의 품사는 연구자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핵심적인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 후치사의 일곱 가지가 있다. 접속사와 감탄사는 부사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품사로 인정하기도 한다. 관사, 전치사, 관계대명사는 없다. 명사, 대명사, 수사는 교착적인 어미가 붙어 곡용하므로, 이들을 묶어 '체언'이라고 부른다.
6. 1. 품사
만주어의 품사는 연구자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핵심적인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 후치사의 일곱 가지가 있다. 접속사와 간투사는 부사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품사로 인정하기도 한다. 관사, 전치사, 관계대명사는 없다. 명사, 대명사, 수사는 교착적인 어미가 붙어 곡용하므로, 이들을 묶어 '체언'이라고 부른다.6. 2. 명사
6. 2. 1. 격
체언의 곡용은 어간 뒤에 교착적인 어미가 붙어서 표현된다. 체언의 격은 다음과 같다.- '''주격''' 〔말꼬리없음〕 : 절대격이라 불리기도 한다. 문장속에서 주어, 보어, 관형어, 서술어가 될 수 있다.
- '''속격''' -i/-ni : 중세 한국어나 일본어와 사실상 마찬가지로 관형절의 주어가 될 수 있다.
- '''대격''' -be : 인용절의 주어가 될 수 있다.
- '''여위격'''(與位格) -de
- '''구격''' -i/-ni : 속격과 같은 형태인데 속격은 명사에 연결되고 구격은 동사에 연결된다.
- '''탈격'''(奪格) -ci
- '''경유격''' -deri
그 외에 종점격 -tala/-tele/-tolo를 인정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것은 몇몇 단어에 화석화되어 남아 있을 뿐이며 생산성은 없다.
만주어에는 5개의 격이 있으며, 이는 조사로 표시된다.[65] 주격, 대격, 소유격, 여격-처격, 탈격이 있다. 조사는 적용되는 명사와 함께 쓰거나 별도로 쓸 수 있다. 모음 조화 규칙을 따르지 않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후치사도 아니다.
6. 2. 2. 복수 표현
복수형은 명사 어간에 -sa/-se/-so, -si, -ta/-te와 같은 복수 접미사를 붙여서 표현한다. 이 복수 접미사는 많은 경우 유정물 명사에 붙는다.[63]- 접미사 '-sa/se'는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히 직업(''faksi'' “일꾼” – ''faksi'''sa''''' “일꾼들”) 및 국적(''manju'' "만주족" – ''manju'''sa''''' "만주족들")을 나타내는 많은 단어에 사용된다.
- 접미사 '-ta/te'는 주로 특정 연령 또는 세대의 사람과 친척을 나타내는 단어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ama'' "아버지" – ''ama'''ta''''' "아버지들"). 그러나 ''ejen'' "영주" – ''eje'''te''''' "영주들"과 같은 다른 단어도 몇 개 있다. 그러나 접미사 '-sa/se'는 동일한 유형의 의미를 가진 명사에도 사용할 수 있다: ''gege'' "언니" – ''gege'''se''''' "언니들".
- 덜 흔한 접미사 '-si'는 그 유형의 의미를 가진 여러 명사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haha'' “남자” — ''haha'''si''''' “남자들”.
- 몇몇 단어는 접미사 '-ri'를 사용한다: ''mama'' "할머니" – ''mama'''ri''''' "할머니들".
최종 자음 '-n'은 일반적으로 복수 접미사 앞에서 손실된다: ''ahū'''n''''' "형" – ''ahū'''ta''''' "형들".[64] 마지막 '-i'도 ''jui'' "아들" – ''ju'''se''''' "아들들"에서 마찬가지로 손실된다.
무정물 명사의 복수형은 hacin hacin (갖가지)와 같이 명사를 겹쳐서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63]
또한, 복수성은 "모두" 또는 "많은"을 의미하는 몇몇 단어, 예: ''geren'' (''geren''' niyalma'' “모든/많은 남자/사람들”), "종류" 또는 "계급"을 의미하는 단어의 추가(''gurgu '''jergi''''' "다양한 야생 동물", ''baita '''hacin''''' "다양한 사건") 또는 중복(''jalan'' "세대, 세계" – ''jalan '''jalan''''' "세대들, 세계들")을 추가하여 표현할 수 있다.[36]
6. 2. 3. 명사 서술어형
서술어가 명사인 문장에서 과거형이나 연결형(부동사형)을 나타낼 경우에는 뒤에 o-('되다')와 같은 동사를 두고 그것을 활용시킨다.- sin lo i orhoda ''oci'' (신라의 인삼이면)
6. 3. 대명사, 의문사
만주어 인칭 대명사는 포괄성 구분이 있으며, 명사와 동일한 격 어미를 사용하지만 일부 어간이 변경된다.
3인칭 대명사는 인간 지칭에 사용되며, 비인간을 지칭하지 않는다. 비인간을 지칭할 때는 지시 대명사 ''ere'' "이것"과 ''tere'' "저것"을 대신 사용한다.[67] 소유는 인칭 대명사의 소유격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mini boo'' "내 집", ''sini boo'' "너의(단수) 집", ''musei boo'' "우리 집" 등. 영어와 마찬가지로 만주어는 명사로 사용되는 소유 대명사를 위한 특수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접미사 ''-ngge''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miningge'' "내 것", ''gūwaingge'' "다른 사람의 것".
"이것은 누구의 것입니까? – 내 것입니다."
: ''ere uthai we-i jaka – miningge''
다른 동아시아 언어와 마찬가지로, 제국 시대의 교양 있는 만주인들은 특히 1인칭과 2인칭에 대한 인칭 대명사를 피하는 경향이 있었고, 종종 의역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만주 관리들은 황제에게 말할 때 (대명사 ''bi'' "나" 대신) 단어 ''aha'' "노예"를 사용하여 자신을 지칭했으며, 한족 관리들은 ''amban'' "신하"를 사용했다.[68] 황제는 만주 왕자들(''amban''과 ''beile'')에게 말할 때 자신을 ''sitahūn niyalma'' "불쌍한 사람" 또는 ''emteli beye'' "고아"라고 불렀다. 일반적으로 중국어에서 차용어가 사용되었다. 또 다른 대안은 소유격의 인칭 대명사와 단어 ''beye'' "자신"을 결합한 것이다. ''mini beye'' "나" (직역: "나의 자신"), ''sini beye'' "당신(존칭)" (직역: "당신의 자신").[69]
지시 대명사는 근접(가까운) 대상을 나타내는 ''e-''와 ''u-'' 어간과, 원거리(먼) 대상을 나타내는 ''te-''와 ''tu-'' 어간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ere'' "이것", ''enteke'' "이런", ''ubaingge'' "여기에서 온", ''tere'' "저것", ''tenteke'' "저런", ''tubaingge'' "저기에서 온".
지시 대명사 ''ere'' "이것"과 ''tere'' "저것"은 인칭 대명사처럼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그리고 비인간 지칭의 경우 필수적이다). 이들은 ''-se''로 복수를 형성하며, 항상 완전히 규칙적인 방식으로 굴절되는 것은 아니다.
— | 이것 | 저것 | 이것들 | 저것들 |
---|---|---|---|---|
주격 | ere | tere | ese | tese |
소유격 | ere(n)i | terei | esei | tesei |
여격 | e(re)de | te(re)de | esede | tesede |
대격 | erebe | terebe | esebe | tesebe |
탈격 | ereci | tereci | eseci | teseci |
대명사가 속성으로 기능할 때, 격 어미는 대명사 뒤가 아닌 명사 뒤에만 배치된다.[70]
"오늘 왜 여기에서 멈췄습니까?"
:''enenggi ere ba de ainu ebu-mbi''
가장 중요한 의문사는 ''we'' "누구", ''ai'' "무엇", ''ya'' "무엇, 어떤 것"(속격), ''aika'', ''aimaka'', ''yaka'', ''yamaka'' "어떤 종류의", ''aba'', ''aiba'', ''yaba'' "어디", ''eke'' "이 사람은 누구인가?", ''udu'' "얼마나 많은가?", ''ainu'' "어떻게, 왜?". 다음 표는 의문 대명사의 격 변화를 예시로 보여준다.
주격 | we "누구?" | ai "무엇?" | ya "무엇, 어떤 것?" |
---|---|---|---|
소유격 | wei "누구의?" | aini "무엇으로/무엇에 의해?" | – |
여격 | wede "누구에게?" | aide "어디로, 왜, 어떻게?" | ya de "어디로?" |
대격 | webe "누구를?" | aibe "무엇을?" | ya be "무엇, 어떤 것을?" |
탈격 | weci "누구로부터?" | aici "어떤 종류의 …?" | yaci "어디로부터?" |
대명사 ''ai'', ''ya'' 및 ''we''는 관계 대명사로도 사용된다.
가장 중요한 부정 대명사는 ''we we'' "누구든지", ''ai ai'', ''ya ya'' "무엇이든지", ''aika'', ''aimaka'', ''yaka'', ''yamaka'' "무엇이든, 어느 쪽이든(속격)", ''ememu'', ''ememungge'' "많은", ''gūwa'' "다른 누군가", ''eiten'', ''yaya'', ''beri beri'', ''meni meni'', ''meimeni'', ''geren'' "모든", "전부".
6. 3. 1. 인칭 대명사
rowspan="3" |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
단수/단수mnc | 복수/복수mnc | 단수/단수mnc | 복수/복수mnc | 단수/단수mnc | 복수/복수mnc | ||
배타적/배타적mnc | 포괄적/포괄적mnc | ||||||
주격 | bi | be | muse | si | suwe | i | ce |
대격 | mimbe | membe | musebe | simbe | suwembe | imbe | cembe |
소유격 | mini | meni | musei | sini | suweni | ini | ceni |
여격 | minde | mende | musede | sinde | suwende | inde | cende |
탈격 | minci | menci | museci | sinci | suwenci | inci | cenci |
1인칭 복수 제외형은 일반적으로 청자를 제외한 형식이며 포괄형은 청자를 포괄한 꼴이다.[66]
6. 3. 2. 지시 대명사
가리킴대명사에는 가까운곳가리킴과 먼곳가리킴 두 계열이 있다.주격 | 속격 | 대격 | 여위격 | 구격 | 탈격 | 경유격 | |
---|---|---|---|---|---|---|---|
가까운곳가리킴 | ere | erei | ere be | ede,erede | ereni | ereci | ederi |
먼곳가리킴 | tere | terei | tere be | tede,terede | tereni | tereci | tederi |
그 외에도 형용사, 부사를 포괄한 일련의 지시사가 있다.
- 있는 곳 : uba ‘여기’, tuba ‘거기, 저기’
- 형용사 : enteke ‘이러한’, tenteke ‘그러한, 저러한’
- 부사 : uttu ‘이렇게’, tuttu ‘그렇게, 저렇게’
6. 3. 3. 의문사
- 의문 대명사 : we ‘누구’, ya ‘어느것, 누구’, ai ‘무엇’, aiba ‘어디’
- 의문 형용사 : antaka ‘어떠한’, ainara ‘어떠 형편(모양)인가, 어떠한가’, ainaha ainambi의 완료형. ‘어떠한가, 어찌’
- 의문 부사 : ainu ‘어찌’, atanggi ‘언제’, adarame ‘어떻게’
6. 4. 수사
만주어의 수사는 1(emu)부터 10000(tumen)까지 있다.[127] 11 이상은 10진법으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11은 juwan emu, 12는 juwan juwe와 같이 표현한다.[127] 다만, 15는 예외적으로 tofoh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127] 20은 orin, 100은 tanggū, 1000은 minggan, 10000은 tumen으로 표현한다.[127]숫자 | 만주문자 | 로마자 전사 | 한국어 뜻 |
---|---|---|---|
1 | ᠡᠮᡠ | emu | 하나 |
2 | ᠵᡠᠸᡝ | juwe | 둘 |
3 | ᠢᠯᠠᠨ | ilan | 셋 |
4 | ᡨᡠᡳ᠌ᠨ | duin | 넷 |
5 | ᠰᡠᠨᠵᠠ | sunja | 다섯 |
6 | ᠨᠢᡊᡤᡠᠨ | ninggun | 여섯 |
7 | ᠨᠠᡩ᠋ᠠᠨ | nadan | 일곱 |
8 | ᠵᠠᠬᡡᠨ | jakūn | 여덟 |
9 | ᡠᠶᡠᠨ | uyun | 아홉 |
10 | ᠵᡠᠸᠠᠨ | juwan | 열 |
15 | ᠲᠣᠸᠣᡥᠣᠨ | tofohon | 열다섯 |
20 | ᠣᠷᠢᠨ | orin | 스물 |
30 | ᡤᡡᠰᠢᠨ | gūsin | 서른 |
40 | ᡩ᠋ᠠᡥᡳ | dehi | 마흔 |
50 | ᠰᡠᠰᠠᠢ | susai | 쉰 |
60 | ᠨᠢᠨᠵᡠ | ninju | 예순 |
70 | ᠨᠠᡩ᠋ᠠᠨᠵᡠ | nadanju | 일흔 |
80 | ᠵᠠᠬᡡᠨᠵᡠ | jakūnju | 여든 |
90 | ᡠᠶᡠᠨᠵᡠ | uyunju | 아흔 |
100 | ᠲᠠᡊᡤᡡ | tanggū | 백 |
1000 | ᠮᠢᡊᡤᠠᠨ | minggan | 천 |
10000 | ᡨᠣᠮᡝᠨ | tumen | 만 |
순서수사는 수사에 '-ci'를 붙여 만든다. 예를 들어 '첫째'는 emuci이다. 다만, n으로 끝나는 수사는 n을 빼고 '-ci'를 붙인다. 예를 들어, '셋째'는 ilaci이다. (juwanci '열째', tumenci ‘만 번째’는 예외).[129]
분배수사는 접미사 ''-ta/-te/-to''를 사용하여 형성하며, 어간 마지막의 ''-n''이 생략된다.[130] ''emte'' "각각 하나", ''juwete'' "각각 둘", ''ilata'' "각각 셋" 과 같이 사용한다. 분수는 "세 부분 중 하나"를 뜻하는 ilan (ubu) ci emu 와 같이 표현한다.[131] 곱셈 수사는 접미사 ''-rsu''를 사용하거나 "부분"을 뜻하는 ''ubu''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집합 수사는 접미사 ''-nofi''를 사용하여 형성한다.[130] 반복 수사는 대부분 접미사 ''-nggeri'' 또는 ''-geri''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6. 5. 동사
만주어 동사는 수와 인칭 일치를 보이지 않는다.[74] 순수한 동사 어간은 2인칭 단수 및 복수의 명령법 역할을 한다. 그 외에는 동사는 양태와 상을 나타내는 분사, 접속 동사, 동사 어미를 사용한다. 완전상과 불완료 분사가 각각 과거 시제와 현재 시제-미래 시제의 이차적인 의미를 부분적으로 갖게 되었기 때문에, 상의 대조가 어느 정도까지는 시제의 대조 기능을 획득했다고 주장되어 왔다.[75]13개의 기본 동사 형태가 있으며, 그 중 일부는 동사 ''bi'' (이다) 또는 입자 ''akū, i, o,'' 및 ''ni'' (부정, 도구, 의문사)로 추가 수정할 수 있다.
'''활용'''
완료형은 -habi 계열과 -kabi 계열 두 개가 있으며 단어마다 어느 형식을 취하는지 미리 정해져 있다. 양쪽 다 모음조화에 따라 세 가지 이형태를 가진다.
- 비완료 : -mbi
- 완료 : -habi/-hebi/-hobi, -kabi/-kebi/-kobi
지속적인 양상은 접미사 ''-ta/-te/-to'', ''-nja/-nje/-njo'' 또는 ''-ša/-še/-šo''로, 반복적인 양상은 ''-ta/-te''로, 그리고 빈번하거나 강세의 양상은 ''-ca/-ce/-co''로 표현할 수 있다.[119] ''jailambi'' "피하다" – ''jailatambi'' "어디에서나 피하다", ''injembi'' "웃다" – ''injecembi'' "무리의 속에서 끈기 있게 웃다", ''halambi'' "변하다" – ''halanjambi'' "번갈아 하다", ''ibembi'' "나아가다" – ''ibešembi'' "한 걸음씩 나아가다".
'''명령형'''
동사 어간은 그대로 명령형이 된다. 다만 몇몇 동사는 불규칙 동사로 특별한 명령형 어미를 가진다.
- 규칙 동사 : omi- (마시다) ― omi (마셔라), bu- (주다) ― bu (주어라)
- 불규칙 동사 : ji- (오다) ― jio (와라), gai- (가지다) ― gaisu (가져라)
'''관형형(형동사형)'''
관형형(형동사형)은 문말에 와서 종결형으로서도 사용된다. 또 관형형은 명사 상당 어구로서 뒤에 격어미가 붙을 수 있다.
:'''1. 비완료 관형형'''
종결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1인칭 주어 평서문에서는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며, 2인칭 주어 의문문에서는 청자의 의향을 묻고, 3인칭 주어 문장에서는 추측을 나타낸다. 모음조화에 따라 세 가지 이형태를 가진다.
- -ra/-re/-ro
:'''2. 완료 관형형'''
종결형에서와 마찬가지로 -ha 계열과 -ka 계열이 있어 단어마다 어느 형태를 취하는지 미리 정해져 있다. 둘다 모음조화에 따라 세 가지 이형태를 가진다.
- -ha/-he/-ho/-ka/-ke/-ko
'''연결형(부동사형)'''
만주어 연결형(부동사형)은 한국어, 일본어, 몽골어 등 다른 교착어와 마찬가지로 그 종류가 많다.
- -me ‘-며, -어’, -fi ‘-고’, -hai/-hei/-hoi ‘-다가’, -ci ‘-으면’, -cibe ‘-어도’, -tala/-tele/-tolo ‘-을 때까지’, -nggala/-nggele/-nggolo ‘-기 전에’ 등
또 관형형(비완료 -ra/-re/-ro, 완료 -ha/-he/-ho-ka/-ke/-ko) 뒤에 여위격 -de가 와서 ‘-을 때’와 같이 연결형처럼 쓰이거나 관형형 다음에 여러 가지 후치사가 와서 연결형처럼 쓰이기도 한다.
6. 5. 1. 활용
완료형은 -habi 계열과 -kabi 계열 두 개가 있으며 단어마다 어느 형식을 취하는지 미리 정해져 있다. 양쪽 다 모음조화에 따라 세 가지 이형태를 가진다.- 비완료 : -mbi
- 완료 : -habi/-hebi/-hobi, -kabi/-kebi/-kobi
지속적인 양상은 접미사 ''-ta/-te/-to'', ''-nja/-nje/-njo'' 또는 ''-ša/-še/-šo''로, 반복적인 양상은 ''-ta/-te''로, 그리고 빈번하거나 강세의 양상은 ''-ca/-ce/-co''로 표현할 수 있다.[119] ''jailambi'' "피하다" – ''jailatambi'' "어디에서나 피하다", ''injembi'' "웃다" – ''injecembi'' "무리의 속에서 끈기 있게 웃다", ''halambi'' "변하다" – ''halanjambi'' "번갈아 하다", ''ibembi'' "나아가다" – ''ibešembi'' "한 걸음씩 나아가다".
6. 5. 2. 명령형
동사 어간은 그대로 명령형이 된다. 다만 몇몇 동사는 불규칙 동사로 특별한 명령형 어미를 가진다.- 규칙 동사 : omi- (마시다) ― omi (마셔라), bu- (주다) ― bu (주어라)
- 불규칙 동사 : ji- (오다) ― jio (와라), gai- (가지다) ― gaisu (가져라)
6. 5. 3. 관형형(형동사형)
관형형(형동사형)은 문말에 와서 종결형으로서도 사용된다. 또 관형형은 명사 상당 어구로서 뒤에 격어미가 붙을 수 있다.:'''1. 비완료 관형형'''
종결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1인칭 주어 평서문에서는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며, 2인칭 주어 의문문에서는 청자의 의향을 묻고, 3인칭 주어 문장에서는 추측을 나타낸다. 모음조화에 따라 세 가지 이형태를 가진다.
- -ra/-re/-ro
:'''2. 완료 관형형'''
종결형에서와 마찬가지로 -ha 계열과 -ka 계열이 있어 단어마다 어느 형태를 취하는지 미리 정해져 있다. 둘다 모음조화에 따라 세 가지 이형태를 가진다.
- -ha/-he/-ho/-ka/-ke/-ko
6. 5. 4. 연결형(부동사형)
만주어 연결형(부동사형)은 한국어, 일본어, 몽골어 등 다른 교착어와 마찬가지로 그 종류가 많다.- -me ‘-며, -어’, -fi ‘-고’, -hai/-hei/-hoi ‘-다가’, -ci ‘-으면’, -cibe ‘-어도’, -tala/-tele/-tolo ‘-을 때까지’, -nggala/-nggele/-nggolo ‘-기 전에’ 등
또 관형형(비완료 -ra/-re/-ro, 완료 -ha/-he/-ho-ka/-ke/-ko) 뒤에 여위격 -de가 와서 ‘-을 때’와 같이 연결형처럼 쓰이거나 관형형 다음에 여러 가지 후치사가 와서 연결형처럼 쓰이기도 한다.
6. 6. 형용사
만주어 형용사는 한국어와 달리 활용이 없는 불변화사(不變化詞)로 분류된다.[71]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있으며 관형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뒤에 격어미가 와서 명사처럼 쓰이기도 한다. 이렇게 볼 때 만주어 형용사는 명사에 가까우며 서구 언어에서 말하는 Nomen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서술어가 형용사인 문장에서 과거형이나 연결형(부동사형)을 나타낼 경우에는 뒤에 bi- ‘있다’, o- ‘되다’와 같은 동사를 두고 그것을 활용시킨다.
- amba b''ihe'' ‘컸다’
만주어의 형용사는 문법적 속성 면에서 명사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많은 학자들은 형용사가 별도의 품사가 아니라고 주장해왔다.[71] 형용사는 단순히 품질의 의미를 가진 특수한 유형의 명사로 간주될 수 있다.
형용사는 속성으로 명사 앞에 위치하며, 격 어미가 붙지 않는다.
- sain niyalma 좋은 사람 "좋은 사람"
술어로는 절의 끝에 위치한다.
- niyalma sain 사람 좋다 "그 사람은 좋다."
형용사 자체는 비교를 굴절 범주로 갖지 않는다. 대신 비교는 비교 대상 명사에 탈격을 굴절시켜 형성한다.
- morin indahūn ci amba 말 개 ABL 크다 "말이 개보다 크다."
복합 동사 형태는 ''bimbi'', ''bi'' "있다, 존재하다, 남아있다", ''ombi'' "되다, (그렇게) 되다, 가능하다", ''sembi'' "말하다, 이야기하다, 생각하다", ''acambi'' "적합하다", ''mutembi'' "할 수 있다", 그리고 ''hamimbi'' "접근하다, 가깝다"와 같은 보조 동사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6. 7. 물음꼴
만주어에서 의문형은 기본적으로 어미 '-o'를 붙여서 만든다.[115] 예를 들어 'hehe'(여자)는 'hehe''o''(여자인가)', 'bi'(있다)는 'bi''o''(있는가)'와 같이 사용된다. 다만,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에서는 의문 어미를 붙이지 않는다.[115] 예를 들어 'sini hala ai'(네 성씨는 무엇인가)와 같이 사용된다.일부 단어는 불규칙 의문형을 가진다. 예를 들어 'akū'(없다)는 'akūn'(없는가)와 같이 사용된다.[115]
의문사 '-o'는 진술문을 예/아니오 질문으로 바꾸기 위해 동사 형태에 추가될 수 있다.[115] 이 의문사는 연결사 ''bi-'', '-mbi'로 끝나는 불완료 지시법과 '-ra/re-/ro'와 '-ha/he/ho'의 불완료 및 완료 분사에 추가되어 각각 ''-bio'', ''-mbio'', ''-rao/-reo/-roo'', ''-hao/-heo/-hoo''의 시퀀스를 형성한다.[115] 이 시퀀스에서 '-o'는 /u/로 발음된다.[115] 예를 들면, ''Minde bu'''reo'''?''(저에게 주시겠습니까?), ''Si terebe tuwa'''hao'''? Tuwaha.''(그를 보셨습니까? – 네.), S''i cai omi'''hao'''?''(차를 마셨습니까?)와 같다.[115]
'-o'는 부정사 'waka'에도 추가될 수 있다. ''Manju bithe hūlambi waka'''o'''?''(만주어를 공부하지 않으십니까?)와 같이 사용된다.[115]
'-rao/-reo/-roo'의 불완료 의문형은 나이가 많거나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명령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tereo?''(앉으세요!)와 같이 사용된다.[116]
보편적인 의문사는 '-ni'이다.[106] 이 의문사는 동사 형태에 추가되어 '-o'와 같은 방식으로 예/아니오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106] 그러나 부정사 뒤에서는 '-n'으로 축약된다.[106] ''si sabu-rakū-'''n'''?''(보지 않으셨습니까?), ''suwe sambio sarkūn''(이것을 아십니까, 아니면 모르십니까?), ''si sembi akūn?''(드십니까, 아니면 안 드십니까?)와 같이 사용된다.[106] 또한, 'sain'(좋은, 잘)과 'yargiyan'(진실한, 진짜, 진실, 현실)은 특별한 의문형 'saiyūn'과 'yargiyūn'을 가졌다.[106] ''si saiyūn?''(어떻게 지내십니까?), ''yargiyūn?''(사실입니까?)와 같이 사용된다.[106]
'-ni'는 의문사 의문문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명사와 형용사에도 추가될 수 있다.[117] (''ere ai turgun ni''(이것의 이유는 무엇입니까?)와 같이 사용된다).[117] 일반적으로 문장의 끝에 위치한다. ''ainu urunakū aisi be hendumbi'''ni''''(왜 우리가 반드시 이익에 대해 이야기해야 합니까?)와 같이 사용된다.[117]
'nio' 조합은 부정을 사용하여 수사 의문문을 형성할 수 있다. ''ere sain akū nio''(그것이 아름답지 않습니까?)와 같이 사용된다.
6. 8. 부정형식
동사 부정형은 관형형(-ra/-re/-ro, -ha/-he/-ho, -ka/-ke/-ko)과 akūmnc ‘없다’가 융합된 -rakū(비완료), -hakū/-hekū, -kakū/-kekū(완료)가 쓰인다. 다만 bimnc ‘있다’의 부정형은 akūmnc ‘없다’이다.- taci-mnc ‘배우다’ ― taci''rakū''mnc ‘배우지 않는다’, ji-mnc ‘오다’ ― ji''hekū''mnc ‘오지 않았다’
형용사 부정형은 akūmnc를 뒤에 둔다.
- golminmnc ‘길다’ ― golmin ''akū''mnc ‘길지 않다’
명사 부정형은 wakamnc ‘아니다’를 뒤에 둔다.
- agemnc ‘형’ ― age ''waka''mnc ‘형이 아니다’
고레로바에 따르면, 유한 동사 형태나 분사구문은 특별한 부정형을 갖지 않으며, 분사만 부정형을 갖는다. 동사나 분사구문을 부정해야 하는 경우, 이를 대신하여 분사를 사용해야 한다.[110] 분사는 "아니다"라는 뜻의 단어 ''akū''와 결합하여 부정문을 만든다. 예를 들어, 문자 그대로 "나는 X를 하지 않는다"와 같이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묄렌도르프(1892)는 ''akū'' "아니다"를 사용하여 직설법 형태를 부정하는 예시를 제시한다: ''bi gisurembi akū'' "나는 말하지 않는다".[106]
6. 9. 후치사
후치사는 어떤 단어 뒤에 와서 갖가지 문법적 의미를 덧붙이는 부속어이다. 다만 어느 단어를 후치사로 보느냐 하는 문제는 연구자마다 다를 수 있다.[136]격 후치사는 명사 격형태 뒤에 와서 격처럼 쓰이는 후치사이다. dele ‘위에’, gese ‘같이’ 등이 있다.[136]
- gala''i dele'' ‘ 손 위에’
연결 후치사는 동사 뒤에 와서 연결형처럼 쓰이는 후치사이다. manggi ‘-은 후에’, fonde ‘-을 때에’, onggolo ‘-기 전에’ 등이 있다.[136]
- tušan ci naka''ha manggi'' ‘관직을 그만둔 후에’
문말에 놓이는 후치사는 서술어 뒤에 와서 갖가지 양태적인 의미를 덧붙인다. inu ‘-니라’, dere ‘-리라’ 등이 있다.[136]
- sahaliyan ula (oci) heilung giyang ''inu'' ‘사할랸 울라는 흑룡강이니라’
일부 후치사, 예를 들어 ''baru'' "…으로"는 다른 단어에서 파생되지 않았지만, 다른 후치사들은 원래 특정 격의 명사(예: ''da'''de''''' "…에 더하여", 문자 그대로 "…의 기초에서")와 연결 동사(''daha'''me''''' "…에 따라", 문자 그대로 "따라서")와 같은 다른 품사의 활용형이다.[136] ''dele'' "…의 위에", "최상"과 같은 일부는 단순히 명사와 동일하다. 각 후치사는 특정 명사 격을 지배하며, 대부분은 ''baru'' "…으로", ''dergi'' "위에", ''sasa'' "…와 함께"와 같은 속격을 지배하고, 두 개의 더 작은 그룹은 여격(예: ''isitala'' "…까지")과 탈격(예: ''amala'' "…뒤에")을 지배한다.[136] ''Jaka'' '…와 함께'는 주격을 취한다. 후치사는 장소(''dergi'' "위에"), 시간(''amari'' "…후에"), 공동격 의미(''emgi'' "…와 함께"), 인과 관계(''jalinde'' "…를 위해"), 유사성(''gele'' "…와 같은") 또는 제한(단지 ''teile'' "…만", 속격을 지배, 예를 들어 ''damu ilan sarhan’'''i''' '''teile''' ilan boo de tehe'' "세 집에는 세 명의 여자만 살았다", 문자 그대로 "세 여자의 …만 …")을 표현할 수 있다.[136] 후치사는 분사를 지배할 수 있으며, 분사는 동명사의 의미를 가지며, 후치사 자체는 접속사와 유사한 기능을 획득한다(''sain ehe be tuwa'''ha''' '''manggi''''' "…을 본 후에", ''manggi'' "…와 함께, …을 향하여"에서 유래).[136]
7. 다른 언어에 끼친 영향
7. 1. 중국어
청나라 통치를 거치면서 북경어와 동북 방언에 만주어 어휘가 유입되었다.- 사치마(薩其馬)는 둥베이 지방 과자의 한 가지로, "사치마sacima(ᠰᠠᠴᡳᠮᠠ)"(달콤한 과자의 일종)에서 유래했다.
- 라라구(蝲蝲蛄)는 땅강아지를 뜻하는 속어로, "라구lagu(ᠯᠠᡤᡠ)"에서 왔다.
- 우라(烏拉)는 방한화의 일종으로, "굴하gūlha(ᡤᡡᠯᡥᠠ)"에서 유래했다.
- 한(犴)은 낙타사슴을 뜻하며, "칸다한kandahan(ᡴᠠᠨᡩᠠᡥᠠᠨ)"에서 왔다.
- 하라(哈喇)는 구어에서 기름기 있는 것이 상했다는 의미로, "하르har(ᡥᠠᡵ)"(톡 쏘는 냄새가 나는, 악취가 나는)에서 유래했다.
7. 2. 한국어
야레는 잉엇과의 민물고기이다. '야루(yaru, 야루/ᡟᠠᡵᡠmnc)'에서 유래하였다.8. 만주어에서 유래된 지명
8. 1. 중국
중국에는 만주어에서 유래된 지명이 많이 남아있다. 연길시(延吉市)는 '연기가 피어오르다'라는 뜻의 만주어를 옮긴 것이다. 훈춘시(珲春市)는 huncun(눈썰매)을 뜻한다. 목단강(牡丹江)은 '구불구불한 강'이라는 뜻이며, 장백산(長白山, 백두산의 중국식 표기)은 golmin šanggyian alin(길고 하얀 산)을 뜻한다. 길림(吉林)은 jilin ula 또는 bira (강가)를, 해란강(海蘭江)은 hailan ula 또는 bira (느릅나무 강)을 뜻한다. 송화강(松花江)은 sunggari ula 또는 bira (하얀 강)을, 하얼빈(哈爾濱)은 물고기 그물을 햇볕에 말리는 곳을 뜻한다. 금나라의 발상지인 아성(阿城)은 arecuka(상서롭다)의 줄임말이다. 두만강(豆滿江)은 tumen secin(만(萬) 개의 수원(水原))을 뜻한다.8. 2. 러시아
만주어는 사할린과 우수리스크 지명의 어원이 되었다. 사할린섬은 "sahaliyan ula angga hada"(검은 강 어귀 봉우리)에서 유래되었고, 우수리스크는 "juru hoton(두 도시)"의 뜻을 차용하였다.참조
[1]
웹사이트
Manchu Ethnologue
https://web.archive.[...]
2016-12-17
[2]
Ethnologue
mnc
[3]
뉴스
抢救满语振兴满族文化
http://news.takungpa[...]
2015-04-26
[4]
웹사이트
Manchu Classes in Remin University (Simplified Chinese)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Jinbiao's 10-year Manchu Dreams
https://web.archive.[...]
[6]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Publishing
2015-04-11
[7]
서적
Rethinking East Asian Languages, Vernaculars, and Literacies, 1000–1919
https://books.google[...]
BRILL
2014-08-21
[8]
서적
Empire at the Margins: Culture, Ethnicity, and Frontier in Early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01-19
[9]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0]
학술지
Reinventing China: Imperial Qing Ideology and the Rise of Modern Chinese National Identit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web.archive.[...]
Sage Publications
2006-01
[11]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서적
Manchus &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3]
웹사이트
Manchu Rule over China and the Attrition of the Manchu Language
http://lacito.vjf.cn[...]
[14]
문서
Rhoads (2000), p. 95.
[15]
뉴스
Manchu Language Lives Mostly in Archives
https://www.nytimes.[...]
2007-03-17
[16]
서적
Books in Numbers: Seventy-fifth Anniversary of the Harvard-Yenching Library : Conference Papers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7
[17]
서적
Peking: Temples and City Life, 1400–19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18]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7
[19]
서적
Treasures of the Yenching: Seventy-fifth Anniversary of the Harvard-Yenching Library : Exhibition Catalogu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3
[20]
서적
Treasures of the Yenching: Seventy-fifth Anniversary of the Harvard-Yenching Library : Exhibition Catalogu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3
[21]
학술지
The Literati rewriting of China in The QianLong-Jiaqing Transition
https://www.academia[...]
the Society for Qing Studies an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12
[22]
학술지
Empire and the Circulation of Frontier Intelligence Qing Conceptions of the Ottomans
https://www.academia[...]
The Harvard-Yenching Institute
2010
[23]
학술지
Empire and the Circulation of Frontier Intelligence Qing Conceptions of the Ottomans
https://www.academia[...]
The Harvard-Yenching Institute
2010
[24]
학술지
Empire and the Circulation of Frontier Intelligence Qing Conceptions of the Otomans
https://www.academia[...]
The Harvard-Yenching Institute
2010
[25]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7
[26]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7
[27]
서적
Printing and Book Culture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28]
서적
Books in Numbers: Seventy-fifth Anniversary of the Harvard-Yenching Library : Conference Papers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7
[29]
서적
The Chinese System of Public Education, Issue 64
https://books.google[...]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15
[30]
서적
Contributions to Education, Issue 64
https://books.google[...]
Bureau of Education,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15
[31]
서적
The Emperor's New Mathematics: Western Learning and Imperial Authority During the Kangxi Reign (1662–1722)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2]
서적
Printing and Book Culture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33]
서적
Chinese Lexicography :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Chinese Lexicography :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5]
간행물
Considerations on the languag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nese and European governments
https://books.google[...]
1844-06
[36]
서적
Manchu Grammar
Brill
[37]
서적
История золотой империи (The History of the Jin (Jurchen) Dynasty)
http://www.vostlit.i[...]
Russian Academy of Sciences, Siberian Branch
[38]
뉴스
Chinese Village Struggles to Save Dying Languag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08-08
[39]
학술지
Identity reproducers beyond the grassroots: The middle class in the Manchu revival since 1980s
[40]
학술지
Facing the Decline of Minority Languages: The New Patterns of Education of Mongols and Manchus
[41]
뉴스
In China, the Forgotten Manchu Seek to Rekindle Their Glory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09-10-05
[42]
웹사이트
China Nationality Newspaper: the Rescue of Manchu Language (simplified Chinese)
https://web.archive.[...]
2012-11-10
[43]
웹사이트
iFeng: Jin Biao's 10-Year Dream of Manchu Language (traditional Chinese)
https://archive.toda[...]
2012-11-10
[44]
웹사이트
Shenyang Daily: Young Man Teaches Manchu For Free To Rescue the Language (simplified Chinese)
https://web.archive.[...]
2012-11-10
[45]
웹사이트
Beijing Evening News: the Worry of Manchu language (simplified Chinese)
https://web.archive.[...]
2019-08-08
[46]
웹사이트
Northeastern News: Don't let Manchu language and scripts become a sealed book (simplified Chinese)
https://web.archive.[...]
2012-11-10
[47]
웹사이트
Beijing Evening News: 1980s Generation's Rescue Plan of Manchu Language (simplified Chinese)
https://web.archive.[...]
2019-08-08
[48]
논문
Reading Jakdan's Poetry: An Exploration of Literary Manchu Phonology
Harvard, RSEA
[49]
서적
A Manchu Grammar: With Analysed Texts
https://archive.org/[...]
Printed at th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50]
문서
Li (2000), p. 17.
[51]
서적
The Phonemics and Morphophonemes of Manchu
Indiana University Publications
[52]
문서
Gorelova (2002: 99–102) and references therein.
[53]
서적
Manchu Grammar
https://books.google[...]
Brill
2002-01-01
[54]
문서
Gorelova (2002: 94)
[55]
문서
Haenisch 1986, 33f.
[56]
서적
A Manchu Grammar: With Analysed Texts
https://archive.org/[...]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57]
서적
Manchu Grammar, Part 8
https://books.google[...]
Brill
[58]
서적
Cahiers de linguistique: Asie orientale
https://books.google[...]
E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Centre de recherches linguistiques sur l'Asie orientale
[59]
서적
Archives polonaises d'etudes orientales
https://books.google[...]
Państwowe Wydawn. Naukowe.
[60]
서적
Rocznik orientalistyczny
https://books.google[...]
[61]
서적
Miscellaneous Knowledge of Manchu [满语杂识]
Xueyuan Press
[62]
문서
Gorelova 2002, 125.
[63]
문서
Gorelova 2002: 134–140
[64]
문서
Gorelova (2002: 112)
[65]
서적
Manchu grammar
Brill
[66]
웹사이트
Manchu Studies Group lesson 6 – noun cases
https://www.manchust[...]
[67]
문서
Gorelova 2002, 214f.; Haenisch 1986, 42f.; vgl. Manfred Reichardt, Shuxin Reichardt: Grammatik des modernen Chinesisch. Leipzig: Verlag Enzyklopädie, 1990, ISBN 3-324-00332-6, S. 26; Gregor Kneussel: Grammatik des modernen Chinesisch / Xiàndài Hànyǔ yǔfǎ «现代汉语语法». Beijing: Verlag für fremdsprachige Literatur / Wàiwén chūbǎnshè 外文出版社, 2005, ISBN 7-119-04262-9, S. 45.
[68]
문서
Haenisch 1986, 43
[69]
문서
Gorelova, 227f.
[70]
문서
Gorelova 2002, 218.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Der Numerus im Manschu
[75]
서적
[76]
서적
A grammatical sketch of Manchu
University of California Library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Möllendorff 1892
[107]
서적
Haenisch 1986
[107]
서적
Möllendorff 1892
[108]
서적
Gorelova 2002
[108]
서적
Haenisch 1986
[108]
서적
Möllendorff 1892
[109]
서적
Gorelova 2002
[110]
서적
Gorelova 2002
[110]
서적
Haenisch 1986
[111]
서적
Gorelova 2002
[112]
서적
Gorelova 2002
[113]
서적
Gorelova 2002
[113]
서적
Möllendorff 1892
[114]
서적
Gorelova 2002
[115]
서적
Gorelova 2002
[115]
서적
Haenisch 1986
[116]
서적
Gorelova 2002
[117]
서적
Gorelova 2002
[118]
서적
Gorelova 2002
[118]
서적
Haenisch 1986
[119]
서적
Gorelova 2002
[119]
서적
Haenisch 1986
[120]
서적
Gorelova 2002
[121]
서적
Gorelova 2002
[122]
서적
Gorelova 2002
[123]
서적
Gorelova 2002
[123]
서적
Haenisch 1986
[124]
서적
Gorelova 2002
[124]
서적
Haenisch 1986
[125]
서적
Gorelova 2002
[125]
서적
Haenisch 1986
[126]
서적
Haenisch 1986
[127]
서적
Möllendorff 1892
[127]
서적
Gorelova 2002
[128]
서적
Möllendorff 1892
[128]
서적
Gorelova 2002
[128]
서적
Haenisch 1986
[129]
서적
Gorelova 2002
[129]
서적
Haenisch 1986
[130]
서적
Gorelova 2002
[130]
서적
Haenisch 1986
[131]
서적
Haenisch 1986
[132]
서적
Grammatik des modernen Chinesisch
Verlag Enzyklopädie
[132]
서적
Grammatik des modernen Chinesisch / Xiàndài Hànyǔ yǔfǎ
Verlag für fremdsprachige Literatur / Wàiwén chūbǎnshè
[133]
서적
Gorelova 2002
[134]
서적
Gorelova 2002
[135]
서적
Gorelova 2002
[136]
서적
Gorelova 2002
[137]
서적
Möllendorff
[138]
서적
Li 2000
[139]
서적
Asiatic journal and monthly miscellany
https://books.google[...]
Wm. H. Allen & Co.
1837-05-01
[141]
서적
Asiatic journal and monthly miscellany
https://books.google[...]
Wm. H. Allen & Co.
1837-05-01
[142]
서적
Translation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with introductory notes on Manchu Literature: (translated by A. Wylie.)
https://books.google[...]
Mission Press
[143]
서적
Translation (by A. Wylie)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by Woo Kĭh Show-ping, revised and ed. by Ching Ming-yuen Pei-ho) with intr. notes on Manch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144]
서적
A Grammar of the Mongol Language
Frederick Ungar Publishing Co
1963-01-01
[145]
ECCP
Dahai
[146]
서적
Manchu: a textbook for reading documen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03-25
[147]
서적
Manchu: A Textbook for Reading Documents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Natl Foreign Lg Resource Ctr
2012-03-01
[148]
서적
Translations from the Manchu: with the original texts, prefaced by an essay on the language
https://archive.org/[...]
Press of S.W. Williams
[149]
뉴스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5-10-27
[150]
뉴스
抢救满语振兴满族文化
http://news.takungpa[...]
2015-04-26
[151]
웹사이트
Manchu Classes in Remin University (Simplified Chinese)
https://web.archive.[...]
[152]
웹사이트
Jinbiao's 10-year Manchu Dreams
https://web.archive.[...]
[153]
문서
現在の中国で識別されている「満族」のうち、満洲語を母語として話す(または話していた)ことが確認されているのは黒竜江省の農村部に分布するごく少数である。それ以外、特に都市部に居住する「満族」は中国語を母語としている。満洲語と満洲文字は清朝の第一公用語で行政言語であり清朝は満洲族に対し満洲語の学習をたびたび奨励したが、書記言語は公用文として使用されたものの、音声言語の使用は次第にすたれた。最後の皇帝であった愛新覚羅溥儀は幼少時にイクタン(伊克坦 (繙譯進士))という教師から満洲語を学んだが、習得できたのは、宮中儀礼の際、平伏しご機嫌伺いをした満洲人大臣に対し発する「イリ」(「ili」、立つを意味する「ilimbi」の命令形)のみだった。
[154]
뉴스
絵画・映像・音楽で魅せる世界 「アルル。」で金大偉さんの展示
https://www.townnews[...]
2019-03-07
[155]
서적
Essays on the sources for Chinese history
https://hdl.handle.n[...]
Canberra :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156]
웹인용
China News (originally Beijing Morning Post): Manchu Classes in Remin University (Simplified Chinese)
http://www.chinanews[...]
2017-10-08
[157]
웹인용
Phoenix Television: Jinbiao's 10-year Manchu Dreams
http://news.ifeng.co[...]
2017-10-08
[158]
뉴스인용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5-10-27
[159]
서적
Die nationalen Minderheiten in China
Verlag für fremdsprachige Literatur
1990-01-01
[160]
웹인용
Saving endangered Manchu (Simplified Chinese)
http://www.manchus.c[...]
2017-10-08
[161]
서적
Маньчжурский язык
Индри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