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음의 소득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의 소득세는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사람들에게 정부가 현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빈곤층 소득 보충을 위한 방안으로 논의되어 왔다. 빌프레도 파레토는 시장 경제의 효율성과 소득 분배의 불균형을 지적하며 음의 소득세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고, 밀턴 프리드먼은 1962년 저서 '자유와 자본주의'에서 음의 소득세를 구체적으로 제안하며 미국에서 논의를 촉발했다. 음의 소득세는 기존 복지 프로그램 대체, 행정 비용 절감, 시장 왜곡 방지 등의 장점을 가졌지만, 근로 의욕 감소, 사기 문제, 높은 재정 부담 등의 비판도 제기되었다. 미국에서 시행된 실험에서는 노동 공급 감소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 음의 소득세는 기본소득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한국 사회에서도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득세 -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자산 양도로 발생한 소득 중 과세 대상 소득을 의미하며, 투자 및 자산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자산 종류 및 보유 기간에 따라 과세 방식이 달라진다.
  • 세액공제 - 근로 장려 세제
    근로 장려 세제는 근로를 장려하고 저소득층의 사회 보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부터 근로장려금 제도가 시행되었다.
  • 조세 개혁 - 지공주의
    지공주의는 헨리 조지의 사상을 기반으로 김윤상 교수가 한국에 도입한 토지 소유 제도로, 모든 국민의 평등한 토지권 보장, 토지가치공유제, 그리고 균등한 기회 보장, 이익의 사회 환수, 우선권 인정 취지 부합이라는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토지 사용 우선권 부여를 핵심으로 한다.
  • 조세 개혁 - 토지가치세
    토지가치세는 토지 자체의 가치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토지 투기 억제 및 효율적인 토지 이용 장려 효과가 있어 중농주의 경제학자들과 헨리 조지 등이 옹호했으며 현재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거나 논의되고 있다.
음의 소득세
지도
기본 정보
유형소득세의 변형
정의소득이 특정 기준보다 낮을 때 정부가 지급하는 보조금 또는 현금 지급 방식.
핵심 원리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여 소득 불평등을 줄이는 것.
이론적 배경
제안자밀턴 프리드먼
개념자유지상주의 사상에 기반.
기존 복지 제도의 복잡성과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안.
모든 사람에게 최저 소득을 보장하되,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지급액을 점진적으로 줄이는 방식.
효율성을 높이고 정부의 간섭을 줄이는 데 목표를 둠.
작동 방식
기본 원리소득이 특정 수준 이하인 사람들에게 정부가 일정 금액을 지급.
소득이 증가할수록 지급액은 점차 감소.
주요 구성 요소기본 소득 보장 수준: 정부가 제공하는 최소 소득.
소득 감소율: 소득 증가에 따라 지급액이 감소하는 비율.
특징누진세 성격: 소득이 적은 사람일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음.
기존 복지 제도보다 단순하고 효율적일 수 있음.
소득 기준에 따라 지급액이 결정되므로 수혜 대상이 명확함.
장점
빈곤 감소저소득층의 소득을 보장하여 빈곤을 감소시키는 효과.
최저 소득 보장으로 극심한 빈곤 문제 해결.
효율성 증가기존 복지 제도보다 단순하고 효율적인 전달 체계.
행정 비용 감소 및 전달 오류 최소화.
근로 유인 제공소득 증가에 따라 지급액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므로 근로 의욕 저하를 방지.
근로를 통해 더 많은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구조.
단점
재정 부담 증가저소득층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므로 상당한 재정 부담이 발생할 수 있음.
대규모 재정 투입을 통한 사회 전체적인 비용 증가.
일자리 감소 가능성일각에서는 최소 소득 보장으로 근로 의욕이 저하되어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 제기.
근로 유인 저하로 인해 노동 시장 참여 감소 가능성.
부정 수급 문제소득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부정 수급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소득을 숨기거나 축소하여 지급액을 높이려는 시도 발생 가능성.
다양한 소득세와의 비교
양의 소득세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세금을 부과하는 기존 소득세 제도.
소득이 증가할수록 세금 부담도 증가하는 구조.
기본소득모든 시민에게 조건 없이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
근로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지급.
주요 국가 사례 및 정책
미국1960년대에 밀턴 프리드먼이 처음으로 제안.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가족 지원 계획에 반영되기도 했음.
다양한 실험적 프로그램이 실시되었지만, 전국적인 시행은 이루어지지 않았음.
기타 국가여러 국가에서 유사한 형태의 복지 제도를 실험적으로 운영.
핀란드,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서 기본소득 실험 실시.
한국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기본소득과 유사한 형태의 정책을 제안한 적 있음.
정치권에서 증세 논의와 함께 도입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음.
파이낸셜뉴스에서 프리드먼의 음의 소득세가 조명되기도 함.
관련 연구 및 분석
영향 분석사회적 영향 및 경제적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 진행 중.
빈곤 감소, 소득 불평등 완화, 노동 시장 변화 등에 대한 연구.
평가기존 복지 제도의 대안으로서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우려의 목소리도 있음.
사회적 합의 및 재정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 필요.
재원 마련 및 정책 설계에 대한 논의가 더 필요함.
로마자 표기
음의 소득세eum-ui sodeukse
negative income taxnegative income tax

2. 역사적 배경

국가가 빈곤층의 소득을 보충해야 한다는 견해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세계 기본소득의 역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급여는 다른 소득이 부족한 사람으로 제한되거나 특정 욕구(자녀 수 등)에 따라 조건부로 지급되는 경우 복지로 간주되지만, 다른 소득이 있는 근로자가 계속 보충금을 받는 경우에는 음의 소득세로 간주된다.

소득 재분배는 음의 소득세 또는 기본소득으로 동등하게 표현됨


음의 소득세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빌프레도 파레토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시장 경제의 효율성과 분배 정의를 구분하였다. 파레토는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만, 소득 분배 자체는 최적이 아닐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가 웰빙을 극대화하기를 원한다면, 시장이 생산과 교환을 통제하도록 한 다음 '자유 경쟁의 작동에 따라 수행되는 제2의 분배'에 의해 결과를 수정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3]

아브람 버그슨과 폴 새뮤얼슨은 파레토의 주장을 발전시켰다.[4][5] 그들은 시장 경쟁의 효율성이 사회복지 함수에 반영된 최대 행복에 미치지 못하며, 정부가 '일시불 세금 또는 보조금'을 통해 소득을 이전해야 진정한 최적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3. 이론적 발전

빌프레도 파레토는 분배 효율성과 분배 정의를 구분하고, 시장 경제가 소득 분배 내에서 자원을 최적으로 할당하지만 분배 자체는 최적이 아닐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사회 복지 극대화를 위해 시장의 생산, 교환 통제 후 '자유 경쟁에 따른 2차 분배'로 결과를 수정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3] 그는 직접 이전은 경제적 효율성 감소를 최소화하며, 최저임금과 같이 시장에 대한 정부 개입보다 낫다고 주장했다.

에이브러햄 버그손과 폴 새뮤얼슨은 파레토의 주장을 보다 공식화했다.[4][5] 이들은 시장 경쟁의 최적 효율성이 사회복지 함수에 반영되는 최대 행복에 미치지 못하며, 국가가 '일시금 세금 또는 보조금'(새뮤얼슨의 용어)을 통해 소득을 이전하면 진정한 최적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버그슨/새뮤얼슨 분석에 따르면, 정책은 (i) 공평한 분배로 인한 복지 향상, (ii) 경제적 효율성 손실, (iii) 행정 비용의 세 가지 요소 균형으로 평가된다. 재분배는 평등한 분배의 (비화폐적) 혜택이 경제적 효율성의 금전적 손실로 상쇄될 때까지 추구되어야 한다.

버그슨/새뮤얼슨 이론은 공리주의적 틀에서 전개되었다. 계몽주의 시대에는 소유권, 정당한 소득에서 파생된 도덕적 주장이 중요했으나, 과 공리주의자들은 이를 거부했다.[6]

1971년 제임스 미를리스는 형평과 효율 간 상충관계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시작했다.[7] 에이탄 셰신스키는 미를리스의 연구 결과, 최적 소득세 일정이 저소득에서 음의 세금으로 대략 선형이라고 요약했다.[8]

4. 밀턴 프리드먼의 음의 소득세

밀턴과 로즈 프리드먼은 1962년 저서 ''자유와 자본주의''에서 음의 소득세를 구체적으로 제안하여 미국에서 이 개념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9] 프리드먼은 음의 소득세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장점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1. 개인이 가장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을 지급한다.

2. 소득을 통해 빈곤을 직접적으로 해결한다.

3. 당시 존재하던 모든 지원 프로그램을 대체하고 하나의 보편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4. 행정 비용 감소로 인해 이론적으로 기존 프로그램보다 비용이 낮을 수 있다.

5. 최저임금법이나 관세와 같이 시장을 왜곡하지 않는다.[9]

프리드먼은 1968년 인터뷰에서 음의 소득세 작동 방식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소득이 4,000달러인 4인 가구 A와 소득이 2,000달러인 4인 가구 B를 예로 들어, 손익분기점 소득이 3,000달러이고 음의 소득세율이 50%라면, 가구 A는 1,000달러의 세금을 내고 가구 B는 500달러를 받게 된다. 즉, 소득이 0달러인 가구는 1,500달러를 받는다. 프리드먼은 음의 소득세가 100% 실효 한계세율을 가진 보장소득 프로그램과 달리 근로 동기를 유지한다고 주장했다.[10]

프리드먼은 1966년 논문에서 음의 소득세가 제한된 정부와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는 자신의 철학과 더 부합한다고 언급했다.[11] 그는 우파의 반대 이유로 빈곤층의 근로 의욕 감소 우려와 정치적 부담 증가 가능성을 제시했다.[11]

프리드먼 부부는 1980년 저서와 텔레비전 시리즈 ''선택의 자유''를 통해 음의 소득세 개념을 더 널리 알렸다.

4. 1. 프리드먼의 제안에 대한 좌우 진영의 반응

밀턴 프리드먼이 제안한 음의 소득세는 좌우 양 진영에서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11] 좌파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이를 복지 국가 확대와 관련된 주장으로 연결 짓기도 했다. 반면 우파는 빈곤층의 근로 의욕 저하와 정치적 부담 증가를 우려하며 대체로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11]

폴 새뮤얼슨은 ''뉴스위크''에서 음의 소득세를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아이디어"라고 평가했으며, 1,200명이 넘는 학계 경제학자들이 이를 지지하는 서명에 동참했다.[14] 그러나 프리드먼은 이 서명 운동이 새로운 조치를 기존 프로그램의 보완책이 아닌 대체책으로 명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서명을 보류했다.[14]

5. 보편적 기본소득과의 비교

음의 소득세는 보편적 기본소득(UBI)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둘 다 동일한 소득 이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19][20] 예를 들어 정부가 특정 금액을 모든 국민에게 지급하고, 그 금액을 초과하는 소득에 대해서는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은 동일한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두 제도는 정부 비용, 지급 시기, 납세자의 심리적 인식 등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다.[19][20]

밀턴 프리드먼은 그의 저서 《자유와 자본주의》에서 음의 소득세의 다섯 가지 이점을 제시했는데, 그중 하나가 보편적 기본소득과 유사하게 모든 국민에게 기본적인 소득을 보장한다는 점이었다.[9]

음의 소득세와 보편적 기본소득은 둘 다 저소득층에게 소득을 보전해 준다는 공통점이 있다. 역사적으로 국가가 빈곤층의 소득을 보충해야 한다는 견해는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이러한 소득 보전은 다른 소득이 없는 사람에게만 제한되거나 특정 조건(예: 자녀 수)에 따라 지급될 경우 수혜라고 불린다. 하지만, 다른 소득이 있는 근로자도 보조금을 계속 받는 경우에는 음의 소득세라고 한다.[12]

음의 소득세는 경제적 효율성과 분배적 정의라는 상반된 주장에 따라 지원 수준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프리드먼의 음의 소득세는 다른 혜택이 대부분 중단된다는 제약 때문에 이러한 조정 기능이 부족하다. 따라서 임금 보조금이 프리드먼의 구체적인 음의 소득세보다 일반적인 음의 소득세를 더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12]

6. 음의 소득세 실험과 결과

미국에서는 1968년부터 1982년까지 음의 소득세(Negative Income Tax, NIT) 실험이 진행되어 노동 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실험에는 1984년 가치로 환산하여 2.25억달러가 투입되었다.[15]

실험은 다음 지역에서 이루어졌다.[15]

지역기간가구 수보장 수준 (빈곤선 기준)세율
뉴저지주 (도시)1968년-1972년1,3570.5배 - 1.25배0.3 - 0.7
아이오와주캐롤라이나주 (농촌)1969년-1973년8090.5배 - 1.0배0.3 - 0.7
인디애나주 게리1971년-1974년1,7800.75배 - 1.0배0.4 - 0.6
시애틀-덴버1971년-1982년4,8000.95배 - 1.4배일정하지 않음



가장 큰 규모로 진행된 시애틀-덴버 실험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실험 설계, 분석 방법, 운영 방식의 차이로 인해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15]

실험 결과, 음의 소득세는 노동 공급을 다소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남편은 노동 시간을 약 2주(정규직 기준), 아내와 미혼 여성 가장은 3주, 청소년은 4주 줄였다.[15] 이는 백분율로는 5~25%, 고용률로는 1~10% 감소에 해당한다.[15]

그러나 청년층의 경우, 노동 공급 감소가 학교 출석률 증가로 상쇄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학교 교육을 마칠 가능성은 뉴저지에서 5%, 시애틀-덴버에서 11% 증가했다.[16]

시애틀-덴버 실험에서는 음의 소득세 지급이 가구 소득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두 부모 가구에 2700USD를 지급했을 때, 가구 소득은 900USD만 증가했다. 이는 음의 소득세의 효과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17]

7. 비판 및 한계

음의 소득세는 사기 행위를 막기 위한 보고 및 감독이 필요하며, 이는 행정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음의 소득세 제도하에서는 사기 행위로 얻는 금전적 이득이 커져 사기 유인이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러한 사기 행위 단속 비용이 기존 복지 제도의 행정 비용 절감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18]

또한, 음의 소득세는 근로 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받는다. 음의 소득세 수혜자는 일을 하지 않아도 정부로부터 최저 소득을 보장받기 때문에, 굳이 힘들게 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1968년 미국에서 시행된 연구는 이러한 근로 유인 감소 효과를 검증하려 했으나, 기존 복지 제도와 혜택 수준이 비슷하여 분석에 어려움을 겪었다.[21]

폴 새뮤얼슨은 자신의 경제학 강의에서 음의 소득세가 소득 부족으로 인한 빈곤에는 효과적이지만, 다른 요인으로 인한 빈곤에는 효과가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노동 의욕 및 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소득 보장 계획이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고, 정확한 소득 신고를 파악하는 것도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언급했다.

참조

[1] 웹사이트 #262: Turn A Crutch Into A Ladder http://judgejamesgra[...] 2004-02-26
[1] 서적 2 Paragraphs 4 Liberty: Solutions That Are Practical, Effective, Responsible, Libertarian PageTurner: Press & Media 2023-10
[1] 서적
[2] 저널 The Negative Income Tax and the Evolution of U.S. Welfare Policy 2003-08-01
[3] 서적 Manuale di Economia Politica con una Introduzione alla Scienza Sociale 1906
[3] 서적 Manuel d'Économie Politique 1909
[4] 서적 The Foundations of Welfare Economics 1942
[5] 서적 Foundations of Economic Analysis 1947
[6] 웹사이트 Property Rights in the History of Economic Thought: From Locke to J.S. Mill https://econpapers.r[...] 2003
[7] 서적 An Exploration in the Theory of Optimum Income Taxation 1971
[8] 서적 The Optimal Linear Income Tax 1972
[9] 서적 Capitalism and Freedom 1961
[10] Youtube Milton Friedman - The Negative Income Tax https://www.youtube.[...] 2021-04-30
[11] 서적 The Case for Negative Income Tax: A View from the Right 1966
[12] 저널 Is There a Consensus Among Economists in the 1990s? http://www.weber.edu[...]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1992-05
[13] 뉴스 Eduardo Suplicy's Interview With Milton Friedman http://www.usbig.net[...] 2000-06
[14] 웹사이트 Emergence and Defeat of Nixon's Family Assistance Plan https://usbig.net/pa[...] 2004
[15] 저널 A Comparison of the Labor Supply Findings from the Four Negative Income Tax Experiments https://www.jstor.or[...] 1985
[16] 웹사이트 Paying everyone enough to escape poverty is doable https://www.vox.com/[...] 2014-07-23
[17] 서적 Lessons from the income maintenance experiments Federal Reserve Bank of Boston 1986
[18] 서적 Lessons from the income maintenance experiments Federal Reserve Bank of Boston 1986
[19] 저널 The Relative Cost of a Universal Basic Income and a Negative Income Tax https://njfac.org/wp[...] 2006-12
[20] 웹사이트 "Universal Basic Income" is Just a Negative Income Tax with a Leaky Bucket https://www.niskanen[...] 2016-06-09
[21] 웹사이트 Negative Income Tax https://www.econlib.[...] Library of Economics and Liberty 2008-10-06
[22] 서적 Free to Choose: A Personal Statement Harcourt Trade Publishers
[23] 서적 希望を捨てる勇気-停滞と成長の経済学 https://www.worldcat[...] ダイヤモンド社
[24] 뉴스 https://www.fnnew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