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편은 일본어의 음운 변화 현상으로, 헤이안 시대부터 나타났으며 한자음의 영향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음편은 출현 위치와 소리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출현 위치에 따라서는 동사의 활용 어미, 형용사의 연체형·종지형, 형용사의 연용형, 형용사의 '~かった' 등에서 나타난다. 소리 형태에 따라서는 우 음편, 발음편, 이 음편, 촉음편으로 나뉘며, 각 음편은 특정 음운 환경에서 특정한 음운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의 역사 - 중고 일본어
중고 일본어는 794년부터 1185년까지 헤이안 시대에 사용된 일본어의 한 형태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파생되고,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문자 체계로 사용하며, 주어-목적어-서술어 구조의 문법과 다양한 문법 요소, 고유어와 한자어를 어휘로 사용했다. - 일본어의 역사 - 만요가나
만요가나는 7세기경부터 사용된 일본어 표기 방식으로,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일본어를 표기했으며,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역사언어학 - 보상적 장음화
보상적 장음화는 자음 탈락으로 인해 앞선 모음이 장음으로 변하는 음운 현상이다. - 역사언어학 - 언어계통론
언어계통론은 언어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언어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비교언어학, 언어유형론, 분자인류학, 고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협력하여 언어의 계통 분류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 일본어 문법 - 형용동사
형용동사는 일본어 품사 중 하나로, 동사나 i형용사처럼 활용되면서 명사와도 관련 있으며, 일본어 문법과 교육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연구된다. - 일본어 문법 - 일본어 대명사
일본어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 성별, 나이, 사회적 지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형태와 용법이 달라지며, 고유한 뉘앙스와 함축적 의미를 내포하는 다양한 1, 2, 3인칭 대명사와 복수 접미사, 지시 및 의문 대명사가 존재한다.
| 음편 | |
|---|---|
| 개요 | |
| 음편 (音便) | 일본어에서 특정 음절의 발음이 변화하는 현상 |
| 종류 | |
| 촉음편 (促音便) | 'っ'으로 변화하는 현상 예시: 엽서 (はがき, hagaki) → 핫가키 (はがき, hagaki) |
| 발음편 (撥音便) | 'ん'으로 변화하는 현상 예시: 책상 (つくえ, tsukue) → 츤쿠에 (つくえ, tsukue) |
| 이음편 (イ音便) | 'い'로 변화하는 현상 예시: 멀리 (とおく, tooku) → 토오이 (とおく, tooi) |
| 비음편 (鼻音便) | 가나 문자의 ‘ウ’단과 ‘オ’단의 仮名 뒤에 올 때, ‘ウ’와 ‘オ’가 각각 撥音 ‘ン’으로 바뀌는 현상 예시: おはようございます → 오하요-고자이마스 |
| 장음편 (長音便) | 음편의 일종 예시: 그러므로 (されば, sareba) → 사라에 (されば, sarae) |
| 온빈 (音便) | |
| 온빈 (音便) | 한국어에서 체언이나 활용 어미가 결합할 때, 형태음운론적 이유로 음운이 줄거나 바뀔 수 있는 현상 |
| 특징 | |
| 조건 | 모음으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과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될 때 일어난다. 즉, 모음 조화가 지켜지지 않는 경우에 일어난다. |
| 규칙 | ‘아/어’ 탈락: ‘-ᅡ/-ᅥ’가 탈락한다. ‘으’ 탈락: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에 ‘-아/-어’가 결합될 때, ‘ㅡ’가 탈락한다. ‘ㅣ’ 모음 역행 동화: ‘ㅣ’ 모음이 바로 앞 음절의 모음에 영향을 주어 그 모음을 ‘ㅐ’로 바꾼다. ‘거’ 불규칙: ‘-거’가 ‘-ᅡ/-ᅥ’ 앞에서 ‘ㄹ’로 바뀐다. ‘러’ 불규칙: ‘-러’가 ‘-ᅡ/-ᅥ’ 앞에서 ‘ㄹ’로 바뀐다. |
| 예시 | |
| '아/어' 탈락 | 가 + 아 → 가 서 + 아 → 서 |
| '으' 탈락 | 쓰 + 어 → 써 트 + 어 → 터 |
| 'ㅣ' 모음 역행 동화 | 아비 → 애비 어미 → 에미 |
| '거' 불규칙 | 푸르 + 어 → 푸르러 |
| '러' 불규칙 | 이르 + 어 → 이르러 |
2. 역사
헤이안 시대 초기부터 음편화 현상이 나타났다. 일설에 따르면 음편이 발생한 배경에는 대량으로 유입된 한자음의 영향이 크다고 한다.[4]
음편은 5단 동사(4단 동사, 라변 동사, 나변 동사)의 연용형이나 형용사의 어미가 특정 조건에서 변화하는 현상이다.
모든 음편이 일제히 시작된 것은 아니며, 음편의 형태, 음형에 따라 출현 시기에 차이가 있지만, 원정기 무렵에는 현재 알려진 대부분의 음편이 갖춰졌다고 여겨진다.
우 음편, 이 음편은 널리 사용되었지만, 발음편, 촉음편은 한문의 훈독이나 한어에서의 사용이 중심이었다. 또한 와카에서는 음편이 사용된 예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3. 출현 위치에 따른 분류
활용 어미가 아닌 어간에서도 음편이 발생하는데, 이는 반드시 후속 음을 필요로 하며 어말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자의 입성 운미, 이른바 "후쿠츠키치"(フクツキチ|후쿠쓰키치일본어)는 한자어에서 뒤에 오는 한자의 머리 음에 따라 촉음화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합창(合唱)"은 "가후(ガフ) + 샤우(シャウ)"가 "갓쇼(ガッショー)"로, "학회(学会)"는 "가쿠(ガク) + 콰이(クヮイ)"가 "캇카이(ガッカイ)"로, "절복(切腹)"은 "세츠(セツ) + 후쿠(フク)"가 "셉푸쿠(セップク)"로, "일체(一体)"는 "이치(イチ) + 타이(タイ)"가 "잇타이(イッタイ)"로 변화한다. 이를 촉음변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3. 1. 활용 어미
5단 동사(4단 동사, 라변 동사, 나변 동사)의 연용형이나 형용사의 어미가 특정 조건에서 변화하는 현상을 음편이라고 한다.3. 1. 1. 동사의 연용형 + 'て', 'た' 등
5단 동사(4단 동사, 라변 동사, 나변 동사)의 연용형에 “‘て’”, “‘た’”, ‘たら’, ‘たり’ 등이 붙을 때 일어나는 변화이다. 용례에서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て’의 경우만 나타낸다.
어간 자음에 따라 발음편, イ음편, 촉음편 중 하나가 일어나며, 방언에 따라 ウ음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음편을 편의상 ‘동사의 접속형’이라고 부른다.
3. 1. 2. 형용사의 연체형·종지형
형용사의 연체형 어미는 원래 '-키', '-시키' 형태였지만, '高き → 高い'(높은), '久しき → 久しい'(오랜)와 같이 '''k''' 음이 탈락하여 이음변화했다. 또한, 종지형은 원래 '-시'였지만, 이후 통사 단순화로 인해 연체형 '-이'와 다르지 않은 형태를 채택하게 되었다.[1]
3. 1. 3. 형용사의 연용형
형용사의 연용형에서도 ‘‡高く → 高う’, ‘‡久しく → 久しう’처럼 '''k'''음을 탈락시키는 형태가 있으며, 이것도 우 음편이라고 불린다. 헤이안 시대 중기 경부터 중앙(교토)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서일본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형태이다.
간토, 도호쿠 등의 방언에서는 본래 이 형태를 사용하지 않지만, 도쿄 야마노테 방언 및 표준어에서는 경어 체계에 있어서 긴키 지방의 강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美しゅうございます’, ‘うれしゅう存じます’와 같이 ‘ございます’, ‘存じます’에 접속할 경우에 한해서 우 음편을 사용한다[5]. ‘辛うじて’, ‘全うする’ 등, 고정된 형태에서 표준어에 들어와 널리 사용되는 어휘도 있다. 그 이외의 표준어에 없는 우 음편에 대해서도 일상생활이나 텔레비전을 통해서 대부분의 일본인에게는 이미 귀에 익은 표현이 되고 있다.
3. 1. 4. 형용사의 '~かった' 등
형용사의 과거 표현 '~かった', 가정 표현 '~かったら', 열거 표현 '~かったり' 등은 촉음편에서 유래한다.
3. 2. 기타 음편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 활용 어미가 아닌 어간에서도 음편이 발생한다. 활용 어미의 음편과 달리, 반드시 후속 음을 필요로 하며, 어말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자의 입성 운미, 이른바 "후쿠츠키치"(フクツキチ|후쿠쓰키치일본어)("フ"는 역사적 가나 표기에만 나타나며, 현대에는 사라진 음이지만, 촉음화된 형태는 남아있다. 촉음화하지 않은 경우는 모두 "합(合) 가후(ガフ) → 가우(ガウ) → 고(ゴー)", "엽(葉) 에후(エフ) → 에우(エウ) → 요(ヨー)", "급(急) 키후(キフ) → 키우(キウ) → 큐(キュー)"처럼 변화했다.)에 대해서, 한자어에서 뒤에 오는 한자의 머리 음에 따라 (フ・ツ・チ|후・쓰・치일본어에 대해서는 뒤에 오는 한자가 カ・サ・タ・ハ행 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단, "フ"에 대해서는 옛날부터 있는 한자어에 한정된다), "ク・キ"에 대해서는 뒤에 오는 한자가 カ행 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단, "キ"에 대해서는 "석鹸(せっけん, 비누)", "적기(敵機, 적기)" 등 소수의 특정 어휘만 해당).) "합창(合唱): 가후(ガフ) + 샤우(シャウ) → 갓쇼(ガッショー)", "학회(学会): 가쿠(ガク) + 콰이(クヮイ) → 캇카이(ガッカイ)", "절복(切腹): 세츠(セツ) + 후쿠(フク) → 셉푸쿠(セップク)", "일체(一体): 이치(イチ) + 타이(タイ) → 잇타이(イッタイ)"처럼 촉음화한다. 이것을 (잘못) 촉음변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4. 소리 형태에 따른 분류 및 용례
음편(音便)은 단어 안에서 1음절이 다른 음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변화 후의 음이 "우", "이", "은", "っ"인 경우 각각 우 음편, 이 음편, 받침 음편, 촉음편이라고 부른다. 음편은 어두에 나타나지 않고, 어중 또는 동사나 형용사의 활용 어미에만 일어난다. 음편화가 일어나도 모라의 길이는 보존된다.[1]
각 음편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 우 음편과 받침 음편은 서로 친화적인 관계이다. 우 음편이 일어나는 환경에서는 받침 음편 형태도 자주 나타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 음편과 촉음편도 서로 친화적이다.
- 우 음편, 받침 음편은 '이 단', '우 단'의 음에서 많이 발생한다. 탁음형(아래 참조)에서는 "미", "비", "무" 등이 특히 많다. '아 단', '에 단', '오 단'의 예도 드물게 있지만, 변칙적이다.
- 이 음편, 촉음편은 주로 '이 단' 음에서 일어난다.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의 어간 안에서도 음편은 많이 발생한다. 활용 어미의 음편과 달리, 이러한 음편은 반드시 뒤따르는 음을 필요로 하며, 어말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4. 1. 우 음편
'ウ' 음으로 변화하는 음편을 '''우 음편'''(ウ音便일본어)이라고 한다. 우 음편화로 생긴 이중모음은 이후 음 변화를 거쳐 현대어에서는 직음화되는 것이 보통이다.[6] 비음(ㅁ, ㄴ)이나 탁음(주로 ㅂ, ㄱ)이 음편화하는 경우, 뒤따르는 소리가 강제적으로 탁음화되기도 한다.4. 1. 1. 탁음형 우 음편
주고쿠 지방, 시코쿠, 규슈 일부 방언에서는 マ행·バ행 5단 동사(4단 동사)의 テ·タ형에 음편 현상이 나타난다.[2][3]- 読み-て(요미테): ヨ'''ミテ''' → ヨ'''ウデ''' → ヨーデ
- 呼び-て(요비테): ヨ'''ビテ''' → ヨ'''ウデ''' → ヨーデ
4. 1. 2. ハ행, カ행 등의 우 음편
후속 음의 탁음화를 동반하지 않는 음편 현상은 산발적으로 몇 가지 예가 나타난다.- 白人(시로히토): 시로우토(シロウト) → 시로토(素人) [9]
- 箒き(하하키): 하우키(ハウキ) → 호키(箒) [9]
방언에서는 서일본 대부분 지역에서 ワ행 5단 동사(ハ행 4단 동사)의 テ·タ형 및 형용사의 연용형에서 ウ음편이 널리 사용된다.
- 言ひ-て(이히테): 이우테(言うて) → 유테
- 早く(하야쿠): 하야우(早う) → 하요
- 久しく(히사시쿠): 히사시우(久しゅう) → 히사슈
또한, '言うて'(이우테)와 같은 현상이 ワ행 5단 동사의 극히 일부에 한해서 표준어에도 정착되어 있다. ワ행 5단 동사의 テ·タ형은 표준어에서 대부분 촉음화 형태를 취하지만, '問う'(토우), '請う'(코우)는 촉음편화('*問って', '*請って')를 보이는 경우가 거의 없다.
- 問ひ-て(토히테): 토우테(問うて) → 토테
- 請ひ-て(코히테): 코우테(請うて) → 코테
- 厭ひ-て(이토히테): 이토우테(厭うて) → 이토테
'言ふ'(이후) → 'イウ'(이우)와 같은 'フ → ウ' 변화는 ハ행전호로 설명 가능하기 때문에 보통 ウ음편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4. 2. 발음편
"ン"음으로 변화하는 음편을 '''발음편'''(撥音便일본어)이라고 한다. 발음편은 어말에 위치하지 않으며 반드시 후속음을 필요로 한다.또한, "ん"이라는 글자가 보급된 것은 근세 이후이므로, 그 이전의 문헌에서 발음편이 나타나는 경우는 "む"라고 표기되거나, 혹은 무시되어 쓰여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ひむかし→ヒンガシ", "ふむた→フンダ", "はへなり→ハベンナリ", "さへきなめり→サンベキナンメリ" 등과 같다.
マ일본어행 음, ナ일본어행 음, バ일본어행 음, ガ일본어행 음처럼 비음이나 탁음이 음편화하는 경우, 후속 음의 강제적인 탁음화를 동반한다.
4. 2. 1. 탁음형 발음편
マ일본어행, バ일본어행의 5단 동사(4단 동사) 및 ナ일본어행 5단 동사(ナ일본어행 변격 동사)에서 '테·타'형이 나올 때, 비음('''マ일본어행'''음, '''ナ일본어행'''음)이나 비음과 친화적인 음('''バ일본어행'''음, '''ガ일본어행'''음)이 음편화하는 경우는 후속음의 강제적인 탁음화를 동반한다[2][3].아래의 문장 중에서는 이러한 타입의 음편을 편의상 “'''탁음형'''”이라고 부르고 있다.
- 読|よ일본어み-て→読|よ일본어んで: ヨ'''ミテ일본어''' → ヨ'''ンデ일본어'''
- 呼|よ일본어び-て→呼|よ일본어んで: ヨ'''ビテ일본어''' → ヨ'''ンデ일본어'''
- 死|し일본어に-て→死|し일본어んで: シ'''ニテ일본어''' → シ'''ンデ일본어'''
또, 예전에는 “†従|したが일본어ひ-て→シタガ'''ンデ일본어'''”와 같은 ハ일본어행 4단의 발음편의 예도 알려지고 있다.
4. 2. 2. 역사상의 ラ행 발음편
역사적으로 ラ행 변격 동사 'あり', 'はべり'나 'あり'에서 유래하는 형용사·형용동사의 カリ활용·ナリ활용 뒤에 조동사 'めり', 'なり', 'べし' 등이 올 때, 발음편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었다. “†侍る-なり → ハベ'''ン'''ナリ”, “†盛りなり → サカ'''ン'''ナリ”, “†しかる-なり → シカ'''ン'''ナリ”, “†さる-べき-なる-めり → サ'''ン'''ベキナ'''ン'''メリ” 등이 그 예이다.또, “†終はり-ぬる → ヲハ'''ン'''ヌル”, “†去り-ぬ → サ'''ン'''ヌ”와 같이 “4단동사+ぬ”의 예도 있었다.
4. 3. 이 음편
표준어에서는 카행, 가행(즉, '키', '기')에서 이음편이 발생한다. 가행의 경우에는 뒤따르는 소리가 탁음으로 변하는 현상이 함께 나타난다.- 츠키타테 → 츠이타테 (衝き-立て→ついたて)
- 츠키타치 → 츠이타치 (月-立ち→朔日)
- 사키타마 → 사이타마 (埼玉)
5단 동사(4단 동사)의 テ(테) · タ(타)형에서 나타나는 것 외에, 형용사의 연체형 · 종지형에도 나타난다.
- 사키테 → 사이테 (咲き-て→咲いて)
- 이소기테 → 이소이데 (急ぎ-て→急いで)
- 타카키 → 타카이 (高き)
- 히사시키 → 히사시이 (久しき)
방언으로는 주부 지방 서쪽의 여러 지역에서 "호카시테 → 호카이테"(捨てて, 버리고)와 같이 サ(사)행 5단 동사의 イ(이)음편을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서일본 각지에서 "세즈테 → 센데 → 세이데"(しないで, 하지 않고)와 같이 부정의 조동사 'ぬ'의 연용형이 발음편을 거쳐 다시 イ(이)음편화하는 경우가 있다.
4. 4. 촉음편
이단 음이 ‘ッ’음(막힌 음)으로 변화하는 음편이다.촉음편은 '''カ행, タ행, ラ행, ハ행''' 음(‘'''キ'''’, ‘'''チ'''’, ‘'''リ'''’, ‘'''ヒ'''’(현대의 ‘'''イ'''’))에 발생하며, 어말에 위치하지 않고, 후속 음은 '''カ행''', '''サ행''', '''タ행''', '''ハ행'''이어야 한다.
'''タ행, ラ행, ハ행''' 5단 동사(4단 동사, ラ행 변격 동사)의 テ·タ형에서 나타난다.
- 打ち-て(우'''치'''테) → 打って(우'''ッ'''테): 치-て → ッ-て
- 言ひ-て(이'''히'''테) → 言って(이'''ッ'''테): 히-て → ッ-て
- 散り-て(치'''리'''테) → 散って(치'''ッ'''테): 리-て → ッ-て
- あり-て(아'''리'''테) → あって(아'''ッ'''테): 리-て → ッ-て
'''カ행''' 5단 동사(4단 동사)의 テ·タ형은 보통 イ음편화하지만, 예외적으로 ‘行く’(가다)만은 촉음화 형태를 취한다.
- 行き-て(이'''키'''테) → 行って(이'''ッ'''테): 키-て → ッ-て
ラ행 변격 동사의 예 ‘あって’(있고), ‘あった’(있었다)에 유연한 것으로 형용동사의 과거 표현 ‘高かった’(높았다) 등의 형태는 ‘あり’에 유래하는 ‘カリ활용’에, ‘タリ (< て-あり)’가 붙어서 촉음편화하고, 그 후 어미인 ‘リ’를 탈락시킨 것이다. 즉, ‘タカカ'''リ'''タリ → タカカ'''ッ'''タリ → タカカッタ’와 같은 변화를 거쳤다고 간주된다.
또, ‘静かだった’(조용했다)와 같은 형용동사의 과거 표현도 유래한다. 다만 이들은 보다 시대가 내려온 이후, ‘静かで+あった’ 혹은 ‘静か+だった’와 같은 일종의 재구성을 거쳤다.
그 외의 전형적인 예로 동사+동사의 합성어에서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 타입에서는 ‘'''シ'''’가 촉음화한 예도 보인다.
이 형태에는 중세 이후에 생긴 비교적 새로운 것이 많다.
- 衝き-立てる(츠'''키'''타테루) → 突っ立てる(츠'''ッ'''타테루): 키-立てる → ッ-立てる
- 掻き-攫ふ(카'''키'''사라후) → かっさらう(카'''ッ'''사라우): 키-攫ふ → ッ-攫ふ
- とり-かへる(토'''리'''카에루) → とっかえる(토'''ッ'''카에루): 리-かへる → ッ-かへる
- 追ひ-払ふ(오'''히'''하라후) → 追っぱらう(오'''ッ'''파라우): 히-払ふ → ッ-払ふ
- 差し-引く(사'''시'''히쿠) → さっ引く(사'''ッ'''피쿠): 시-引く → ッ-引く
참조
[1]
문서
"ウ음편의 예시"
[2]
문서
탁음화
[3]
문서
탁음화의 예외
[4]
문서
음편의 가능성
[5]
문서
간략형
[6]
문서
음변화
[7]
문서
3중 단어
[8]
문서
이음편
[9]
문서
아단의 음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