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복 (193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동복은 1937년 강원도 원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와 중앙정보부, 남북조절위원회 대변인 등을 역임했다. 1992년 남북고위급회담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훈령을 왜곡했다는 논란에 휩싸였으며, 이후 제15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그는 남북 관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으로 평가받으며, 보국훈장 천수장, 홍조 근정훈장, 황조 근정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지대학교 교수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명지대학교 교수 - 고건
고건은 1961년 고등고시 합격 후 공직에 입문하여 전라남도지사, 여러 부처 장관,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원,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냈으며, 사회통합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반일 감정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대한민국의 반일 감정 - 이기백 (1931년)
대한민국의 육군 대장 출신 군인이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인 이기백은 아웅산 묘역 폭탄 테러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 생존, 평화의 댐 건설을 주도했으나, 금강산댐 과장 보도 논란과 5·18 민주화운동 관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으로 비판받았으며, 군 주요 직책과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거쳐 예편 후 보수 정당에서 정치 활동을 했다. - 대한민국의 공무원 - 노형욱 (공무원)
노형욱은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기획예산처, 국무조정실 등을 거쳐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하고, 현재 경제·국토교통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공무원 - 박명근
박명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 기업인으로, 서울대 정치학과 졸업 후 한국 전쟁에 참전, 공직 생활과 박정희 대통령 비서관을 거쳐 4선 국회의원 및 대한투자신탁 사장을 역임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송덕비가 건립되었다.
이동복 (193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동복 |
출생일 | 1937년 9월 26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강원도 원주 |
거주지 | 서울특별시 |
의원 선수 | 1 |
직업 | 정치인, 공무원, 대학교수, 언론인, 기업인 |
종교 | 천주교(세례명 베드로) |
배우자 | 이상희(2023년 사별) |
자녀 | 이승원, 이계원 |
정당 | 무소속 |
웹사이트 | 없음 |
2. 생애
이동복은 강원도 원주시에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 재학 중 한국일보에 입사하여 기자가 되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후 1971년까지 한국일보 기자로 근무하며 외신부 차장을 역임했다. 1973년 남북조절위원회 남측 부대표였던 한국일보 장기영 사장의 추천으로 남북조절위원회 대변인으로 임명되어 남북대화와 인연을 맺었고, 이후 10년간 남북대화 업무를 담당했다.[1]
1970년대 말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특별보좌관(당시 1급)으로 일하면서 여의도에 대규모 한국 전쟁 기념관 건립을 추진했다.[1] 당시 안기부의 해외 정보망을 통해 수집한 전쟁 관련 자료들은 대부분 육군사관학교 군사(軍史) 자료실에 보관되어 있다.[1]
1988년 13대 총선에서 서초을구에 출마했다가 김덕룡 후보에게 패한 뒤, 김재순 당시 국회의장의 비서실장으로 잠시 자리를 옮겼다가 안기부장 특보를 맡으면서 다시 남북회담 일을 시작했다. 민족통일연구원장, 통일원 차관, 안기부장 특보가 거론되었는데 처음에는 민족통일연구원장으로 내정되었다가 막판에 안기부장 특보로 낙착되었다고 한다. 이때부터 그는 본격적으로 대북정책에 깊이 개입하기 시작했으며, 그의 특보실은 40여 명으로 인원이 확대되어 대북전략의 중추역할을 하게 됐다.[1]
1992년 10월 국회에서 '훈령 무시 사건'이 터지고 안기부 특보실이 축소되면서 많은 사람이 그의 정치적 몰락을 점쳤으나, 그는 다시 남북회담 대표로 복귀하였다.[1] 1992년 남북고위급회담의 대변인이었던 그는 이른바 "이동복 훈령 조작 사건"의 주역이었다.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대한 대통령의 지침을 받기 위해 평양의 상황실은 서울로 청훈(請訓)하였는데, 서울로부터 답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동복은 엉뚱한 훈령을 정원식 대표에게 보고했다.[2]
1992년 10월 22일 국회 외무통일위 국정감사에서 이부영 의원(민주)이 폭로한 훈령 무시 사건이 문제가 되었다. 당시 공개된 사건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정부는 그 해 9월 평양에서 열린 제8차 남북총리회담 중 반드시 노부모 고향방문단 교환이 성사되도록 평양에 가 있는 회담 대표단에 ‘동진호 선원 송환 요구’를 철회하라는 전문을 보냈다.[1] 당시 그는 이 훈령을 무시하고 대표단장인 정원식 총리 및 다른 대표들에게 이를 전하지 않았으며 자신이 주도한 협상에서 선원 송환 요구를 끝까지 주장하였고, 회담은 결렬되었다.[1]
1993년 당시 정부 내에서는 고위급회담 대표 선임 과정에서 이 특보를 포함시킬 것인지를 놓고 심각한 토론이 벌어졌다고 한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고위 관리는 “이번 대표단이 약체라는 지적이 있었다. 황 총리는 남북회담이 처음이고 송영대 통일원 차관도 적십자회담 전문이지 정치·군사 쪽은 아무래도 약하다. 그래서 실무진이 이동복 씨를 강력히 밀었고 뭔가 ‘허전하다’고 생각한 황 총리가 이 특보를 회담 대표에 포함시킨 것 같다”라고 밝혔다.[1]
2. 1. 초기 활동
강원도 원주시에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 재학 중 한국일보에 입사하여 기자가 되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후 1971년까지 한국일보 기자로 근무하며 외신부 차장을 역임했다. 1973년 남북조절위원회 남측 부대표였던 한국일보 장기영 사장의 추천으로 남북조절위원회 대변인으로 임명되어 남북대화와 인연을 맺었다. 이후 10년간 남북대화 업무를 담당했다.[1]2. 2. 군사 사료 수집과 전쟁기념관 개관 노력
이동복은 1970년대 말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특별보좌관(당시 1급)으로 일하면서 여의도에 대규모 한국 전쟁 기념관 건립을 추진했다.[1] 당시 안기부의 해외 정보망을 통해 수집한 전쟁 관련 자료들은 대부분 육군사관학교 군사(軍史) 자료실에 보관되어 있다.[1]2. 3. 남북 대화 복귀와 1992년 훈령 왜곡 파동
1988년 13대 총선에서 서초을구에 출마했다가 김덕룡 후보에게 패한 뒤, 김재순 당시 국회의장의 비서실장으로 잠시 자리를 옮겼다가 안기부장 특보를 맡으면서 다시 남북회담 일을 시작했다. 민족통일연구원장, 통일원 차관, 안기부장 특보가 거론됐는데 처음에는 민족통일연구원장으로 내정됐다가 막판에 안기부장 특보로 낙착됐다고 한다. 이때부터 그는 본격적으로 대북정책에 깊이 개입하기 시작했으며, 그의 특보실은 40여 명으로 인원이 확대되어 대북전략의 중추역할을 하게 됐다.[1]1992년 10월 국회에서 터진 ‘훈령 무시 사건’과 그때 단행된 안기부 특보실 축소를 바라보면서 많은 사람이 그의 정치적 몰락을 점쳤으나, 그는 다시 남북회담 대표로 복귀하였다.[1] 1992년 남북고위급회담의 대변인이었던 그는 이른바 "이동복 훈령 조작 사건"의 주역이었다.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대한 대통령의 지침을 받기 위해, 평양의 상황실은 서울로 청훈(請訓)하였는데, 서울로부터 답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동복은 엉뚱한 훈령을 정원식 대표에게 보고했다.[2]
1992년 10월 22일 국회 외무통일위 국정감사에서 이부영 의원(민주)이 폭로한 이른바 훈령 무시 사건이 문제가 되었다. 당시 공개된 사건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정부는 그 해 9월 평양에서 열린 제8차 남북총리회담 중 반드시 노부모 고향방문단 교환이 성사되도록 평양에 가 있는 회담 대표단에 ‘동진호 선원 송환 요구’를 철회하라는 전문을 보냈다.[1] 당시 그는 이 훈령을 무시하고 대표단장인 정원식 총리 및 다른 대표들에게 이를 전하지 않았으며 자신이 주도한 협상에서 선원 송환 요구를 끝까지 주장하였고, 회담은 결렬되었다.[1]
1993년 당시 정부 내에서는 고위급회담 대표 선임 과정에서 이 특보를 포함시킬 것인지를 놓고 심각한 토론이 벌어졌다고 한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고위 관리는 “이번 대표단이 약체라는 지적이 있었다. 황 총리는 남북회담이 처음이고 송영대 통일원 차관도 적십자회담 전문이지 정치·군사 쪽은 아무래도 약하다. 그래서 실무진이 이동복 씨를 강력히 밀었고 뭔가 ‘허전하다’고 생각한 황 총리가 이 특보를 회담 대표에 포함시킨 것 같다”라고 밝혔다.[1]
3. 이력
연도 | 직책 |
---|---|
강원도 원주군 | 출생 |
한국일보 기자 | |
한국일보 외신부 차장 | |
1971년∼1972년 | 중앙정보부 남북적십자회담사무국 회담운영부장 |
1972년∼1982년 | 남북조절위원회 대변인 |
1973년∼ | 중앙정보부 남북회담사무국 공보실장 |
1980년 | 남북총리회담 준비회담 대표/대변인 |
1979년∼1980년 | 국가안전기획부(중앙정보부) 남북회담사무국장 |
1980년∼1982년 | 국토통일원 남북대화사무국장 |
1982년 | 이병철 회장 고문 |
1982년∼1988년 | 삼성그룹 재직 |
1988년 ∼1990년 | 국회 근무 |
1991년 -1993년 | 국가안전기획부 부장 제1특별보좌관 (차관급) |
1991년 -1992년 | 국무총리 특별보좌관 (차관급) 겸임 |
1994년 ∼1996년 | 연구소 연구원 |
1996년 ∼2000년 | 제15대 국회의원 [자유민주연합 소속/전국구] |
1998년 ∼1999년 | 자유민주연합 당무위원 |
2000년 ~ 2003년 | 명지대학교 객원교수[3] |
북한민주화포럼 | |
2014년 3월 ~ | 자유민주연구원 명예고문 |
4. 상훈
수여 년도 | 훈장 종류 |
---|---|
1976년 | 보국훈장 천수장 |
1982년 | 홍조근정훈장 |
1992년 | 황조근정훈장 |
5. 평가와 비판
이동복은 지지자보다 반대자가 더 많다. 그에 대한 비판적인 사람들은 주로 북한을 적으로 규정하고 적대적 힘의 우위 노선을 펴는 그의 시각을 문제 삼는다.[1] 한 목사는 이동복이 "남북대화는 화해를 위한 것이 아니라 대북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라고 말했다며, 그가 남북관계의 진전을 가로막는다고 주장했다.[1]
당시 정부 내에서는 그의 행동에 대해 별다른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지만, 재야나 야당 측에서는 그를 '남북대화를 좌초시킨 장본인'으로 비판했다.[1]
5. 1. 훈령 왜곡 파동에 대한 비판
1992년 남북고위급회담 대변인이었던 이동복은 "이동복 훈령 조작 사건"의 주역이었다.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대한 대통령 지침을 받기 위해 평양의 상황실은 서울로 청훈(請訓)하였는데, 서울로부터 답변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동복은 엉뚱한 훈령을 정원식 대표에게 보고했다.[2]1992년 10월 22일 국회 외무통일위 국정감사에서 이부영 의원(민주)이 폭로한 이른바 훈령 무시 사건이 문제가 되었다. 당시 공개된 사건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정부는 그해 9월 평양에서 열린 제8차 남북총리회담 중 노부모 고향방문단 교환이 성사되도록 평양에 가 있는 회담 대표단에 ‘동진호 선원 송환 요구’를 철회하라는 전문을 보냈다.[1] 그러나 이동복은 이 훈령을 무시하고 대표단장인 정원식 총리 및 다른 대표들에게 이를 전하지 않았으며, 자신이 주도한 협상에서 선원 송환 요구를 끝까지 주장하였다.[1] 결국 회담은 결렬되었다.
1993년 당시 정부 내에서는 고위급회담 대표 선임 과정에서 이동복 특보를 포함시킬 것인지를 놓고 심각한 토론이 벌어졌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고위 관리는 “이번 대표단이 약체라는 지적이 있었다. 황 총리는 남북회담이 처음이고 송영대 통일원 차관도 적십자회담 전문이지 정치·군사 쪽은 아무래도 약하다. 그래서 실무진이 이동복 씨를 강력히 밀었고 뭔가 ‘허전하다’고 생각한 황 총리가 이 특보를 회담 대표에 포함시킨 것 같다”라고 밝혔다.[1]
6. 가족 관계
배우자 | 이상희 ( ~ 2023년 5월 14일) |
---|---|
자녀 | 슬하: 이승원, 이계원 |
7. 역대 선거 결과
참조
[1]
뉴스
돌아온 남북회담 '실세'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2016-03-04
[2]
뉴스인용
매도 비둘기도 아닌 무영혼파들
http://h21.hani.co.k[...]
한겨레신문사
2009-05-29
[3]
웹인용
이동복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ttp://www.dblee2000[...]
2008-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