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상 (인간 행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 (인간 행동)'은 인간 행동의 비정상성을 정의하고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문서이다. 비정상 행동은 통계적 기준, 사회적 기준, 개인적 고통, 부적응 행동, 이상적인 상태로부터의 일탈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기준은 주관적일 수 있다. 심리학과 정신 의학에서는 정신 질환이나 장애가 주요 기준이 되며, 사회 규범, 문화, 상황, 연령, 성별, 역사적 맥락 등에 따라 정상과 비정상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이상'의 정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논쟁의 대상이며, 4가지 D(일탈, 기능 부전, 고통, 위험)를 사용하여 판단하기도 한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도 '이상'에 대한 인식은 역사적으로 변화해 왔으며,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탈 - 사회화
    사회화는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학습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며, 콜버그, 에릭슨, 미드 등의 이론과 사회적 사전 프로그래밍 가설로 설명되고, 초기 사회화, 이차 사회화, 성별 사회화, 정치 사회화 등 다양한 유형과 계획된 사회화, 자연적 사회화, 긍정적 사회화, 부정적 사회화 등으로 구분되며, 한국 사회는 급격한 사회 변화와 함께 학교 문화, 젠더 사회화 등 새로운 과제를 맞이하고 있다.
  • 일탈 - 모럴 패닉
    모럴 패닉은 특정 대상이나 집단에 대한 대중의 과도한 공포와 불안이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으로, 사회적 불안 증폭, 차별과 혐오 야기, 법적 규제 강화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 이상심리학 - 망상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확고하게 믿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조현병, 망상장애 등에서 나타나며,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이상심리학 - 식사장애
    식사장애는 체중, 체형, 음식 섭취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비정상적인 식사 행동을 보이는 정신 질환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 장애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유전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심각한 합병증과 높은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사회심리학 - 여성에 대한 폭력
    여성에 대한 폭력은 신체적, 성적, 심리적,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는 모든 형태의 폭력으로, 다양한 주체에 의해 자행되며 유엔 등 국제기구는 이를 인권 침해 및 성별 불평등의 결과로 규정하고 근절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포괄적인 정의에 대한 논쟁은 지속되고 있다.
  • 사회심리학 - 공감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심리적 과정으로, 정서적 공감(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공감(관점 이해)으로 나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뇌의 거울 뉴런 시스템에 영향을 받고, 사회적 상호작용, 도덕적 판단, 정신 질환과 관련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동물 연구 및 허구 매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다뤄진다.
이상 (인간 행동)
정의
유형행동
심리
관련 주제심리학
정신 병리학
정신 건강
이상 심리학
신경 다양성
사회적 규범
정상 (통계)
정신 장애
사회 부적응
세부 사항
설명"비정상"은 일반적으로 사회 또는 문화 내에서 규범적인 행동으로 간주되는 것과 크게 벗어나는 행동을 나타낸다.
이러한 행동은 기능 장애, 고통, 예상치 못한 반응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주의 사항행동의 "비정상"은 주관적이며, 특정 맥락과 문화적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개인의 고통, 기능 장애 정도, 사회적 규범과의 일탈 정도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평가 기준
통계적 접근드물거나 통계적으로 비전형적인 행동을 비정상으로 간주한다.
높은 지능 지수 또는 드문 재능과 같은 긍정적인 특성도 통계적으로는 비정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사회적 규범 접근사회적 또는 문화적 규범을 위반하는 행동을 비정상으로 간주한다.
기능적 또는 적응적 접근개인의 일상 생활, 직장, 대인 관계에서 상당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하는 행동을 비정상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행동은 개인의 적응 능력과 전반적인 웰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추가 정보
관련 용어일탈
정신 질환
사회 부적응
참고 자료"DSM-5"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정신 장애를 진단하고 분류하기 위해 정신 건강 전문가가 사용하는 표준 참고 자료이다.
행동 심리학
임상 심리학
기타
관련 연구경미한 코로나19 감염 후 미세 구조적 뇌 이상, 피로 및 인지 기능 장애

2. '이상'의 정의 및 기준

'이상(異常)' 또는 비정상적인 행동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어떤 행동을 이상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기준은 다양하고 때로는 주관적이며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비정상 행동은 "예상치 못하고, 전형적이거나 통상적인 행동과 다르기 때문에 종종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행동"으로 설명될 수 있다.[9]

이상 행동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으로는 다음 다섯 가지가 제시된다.

# 통계적으로 드문 행동인가 (통계적 기준)

#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는가 (사회적 기준)

# 개인에게 심한 고통을 주는가 (개인적 고통)

#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는가 (부적응 행동)

# 이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났는가 (이상으로부터의 일탈)

이러한 기준 외에도 다음과 같은 주관적인 판단 요소들이 고려될 수 있다.


  • 부적응적이고 기능 장애적인 행동: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개인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거나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행동.[10]
  • 사회 기준 위반: 사회의 관습적인 사회적, 도덕적 규칙을 따르지 않는 행동.[11]
  • 관찰자의 불편함: 특정 행동이 관찰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유발하는 경우.[12]


심리학과 정신 의학 분야에서는 주로 정신 질환 또는 정신 장애 여부를 표준 기준으로 삼으며, 의학적 진단을 통해 행동의 비정상성을 판단한다.

실제로는 여러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다중 기준 접근 방식이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어떤 행동이 개인의 기능을 방해하고(부적응), 사회 규범을 위반하며(사회적 기준), 통계적으로 드물게 나타난다면(통계적 기준)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다. 우울증은 이러한 다중 기준을 적용해볼 수 있는 예시다. 우울증은 이상적인 정신 상태에서의 이탈로 간주되며, 개인의 일상 기능을 방해하고, 심각한 주요 우울 장애는 통계적으로 드물기 때문에 관련 행동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여겨진다.[16]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상 행동을 판단할 때 흔히 '4가지 D' 즉, 일탈(Deviance), 기능 부전(Dysfunction), 고통(Distress), 위험(Danger)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지를 고려한다.[17]

하지만 무엇을 '이상'으로 간주할 것인가는 종종 주관적이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18] 대표적인 예로 동성애는 1974년 이전까지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서 정신 장애로 분류되었으나, 사회적 인식 변화와 미국 정신의학회(APA) 내부의 논의를 거쳐 결국 DSM에서 삭제되었다. 현재 APA와 의료계는 동성애를 정상적인 성적 지향의 하나로 간주하지만, 과거에는 이상으로 여겨졌던 것이다.[19] 이는 사회적 구성과 문화가 정상과 이상을 규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또한, 행동의 '이상'이 반드시 '기능 부전'이나 부정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4가지 D' 중 하나인 '일탈'은 단순히 사회적 또는 문화적 규범에서 벗어난 행동을 의미할 뿐, 그 자체가 반드시 해롭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17] 실제로 일탈은 때때로 긍정적인 결과를 낳기도 한다. 노벨상 수상자, 천재적인 인물, 뛰어난 운동선수, 창의적인 예술가 등 사회에 기여하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의 행동 역시 통계적으로는 '일탈'에 해당할 수 있다.[20]

'이상'이라는 개념 자체가 역사적으로 권력 관계 속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특정 집단이 자신들의 기준을 정상으로 삼고, 이에 맞지 않는 타인을 '이상'으로 규정하며 차별하는 과정에서 생겨났을 수 있다는 것이다. 힘의 관계에서 약한 위치에 있는 대상을 지칭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오늘날 '이상'이라는 단어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 육체의 이상: 기형, , 부상 등. (신체이형장애와는 구분된다.)
  • 정신의 이상: 정신병, 인격 장애 등. (기준의 모호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제조물의 이상: 초기 불량, 고장, 버그, 에러 등.


때로는 열등하거나 부족한 대상에 대한 멸칭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매우 뛰어나거나 경이로운 대상에 대한 외경심을 담아 사용되기도 한다.

2. 1. 통계적 기준

통계적 기준은 어떤 행동이나 특성이 통계적으로 평균에서 크게 벗어나 드물게 나타날 때 이를 '이상'으로 간주하는 방식이다.[13] 즉, 수량으로 나타낼 수 있는 성질을 가진 집단 내에서 평균값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크거나 작은 값을 가진 경우를 이상으로 보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지능 지수(IQ)를 들 수 있다. 같은 연령 집단 내에서 지능 지수의 평균은 100으로 설정되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100에 가까운 지능 지수를 가진다. 통계적으로 볼 때, 지능 지수 130 이상(상위 2.27%)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지능으로, 70 이하(하위 2.27%)는 비정상적으로 낮은 지능으로 간주될 수 있다. 나머지 약 95%는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드물다는 것이 항상 이상 행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특정 비정상적 행동은 드물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일시적으로 또는 장기간 비정상적 행동을 경험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13] 또한, 모든 특성이 통계적 이상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산의 높이는 정의에 따라 가장 낮은 산이 다수 존재할 수 있어 '이상하게 낮은 산'이라는 개념이 성립하기 어렵지만, 가장 높은 산은 소수이므로 '이상하게 높은 산'은 존재할 수 있다.

실제 심리학이나 정신 의학에서는 통계적 기준 외에도 여러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다중 기준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우울증은 비교적 흔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심각한 주요 우울 장애는 통계적으로 드물며 개인의 일상 기능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상 행동으로 간주된다.[16] 즉, 통계적 희소성, 사회 규범 위반, 기능 부전 등의 기준을 함께 고려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2. 2. 사회적 기준

사회적 기준은 개인이 속한 사회의 관습적인 사회적, 도덕적 규칙을 따르지 않는 행동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기준이다.[11] 이는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으로, 사회의 불문율(규범)로부터 개인의 이탈 또는 일탈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거리에서 옷을 벗고 뛰어다니는 것을 목격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가 옷을 입어야 한다는 사회의 규범을 어겼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사람으로 인식할 것이다.

어떤 행동이 사회 규범에서 벗어났는지 판단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여러 기준을 검토해야 한다.

  • 문화: 한 문화에서는 정상적으로 보이는 것이 다른 문화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보일 수 있다.
  • 상황 및 맥락: 예를 들어, 화장실에 가는 것은 정상적인 인간의 행위이지만, 슈퍼마켓 한가운데서 화장실에 가는 것은 매우 비정상적으로 보일 것이다. 즉, 공공 장소에서 배변하거나 소변을 보는 것은 경범죄 행위로 불법이다.
  • 연령: 세 살짜리 아이는 공공장소에서 옷을 벗어도 괜찮을 수 있지만, 스무 살의 사람은 그렇지 않다.
  • 성별: 여성이 남성의 행동에 반응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 종종 비정상적이거나 사회 규범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 역사적 맥락: 정상적인 행동의 기준은 어떤 사회에서는 때때로 매우 빠르게 변화한다.


사회 규범 위반은 비정상성을 판단하는 여러 기준 중 하나이며, 다른 기준들과 함께 다중 기준 접근 방식에서 고려된다.

2. 3. 개인적 고통 및 부적응

개인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심한 고통이나 괴로움은 이상 행동의 한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는 '개인적 고통(고뇌)'이라는 기준으로, 개인이 느끼는 불편함의 정도가 중요한 판단 요소가 된다.[9]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후 겪는 극심한 슬픔 자체는 정상적인 반응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이 고통이 일상생활을 심각하게 방해하고 장기간 지속된다면 '이상적인 정신 건강'에서 벗어난 상태로 볼 여지가 있다.[15]

부적응적 행동 역시 이상 행동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이다. 이는 개인이 주어진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거나, 일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행동을 의미한다.[10] 부적응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 부적응적이고 기능 장애적인 행동: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상황에 따라 개인이나 타인에게 해롭고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행동이다. 예를 들어, 탈출이 불가능한 상황임에도 계속 탈출을 시도하는 쥐의 행동은 부적응적인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다.[10]
  •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함: 개인이 일상생활의 다양한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리학자들은 개인이 기본적인 생활 유지, 사회적 관계 형성, 직업 활동 등에서 현저한 어려움을 겪을 때 '기능 부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14] 그러나 특정 맥락에서는 기능 부전으로 보일 수 있는 행동이 정상적이거나 영웅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화재 현장에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 자신의 생명을 무릅쓰는 소방관의 행동은 생명의 위험을 감수한다는 점에서 기능 부전으로 해석될 수도 있지만, 소방관이라는 직업적 맥락에서는 적절하고 필요한 행동으로 받아들여진다.[14]


개인적 고통과 부적응은 종종 함께 나타난다. 예를 들어, 우울증은 개인이 심한 정서적 고통을 겪게 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정상적인 '기능'을 어렵게 만든다. 우울증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사람이 평생 심각한 주요 우울 장애를 경험하지는 않으므로 통계적으로는 드문 편에 속한다. 이상적인 정신 상태에서의 이탈 및 기능 부전을 동반하기에 우울증 관련 행동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16] 이처럼 개인적 고통과 부적응은 이상 행동을 이해하고 판단하는 데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2. 4. 이상적인 상태로부터의 일탈

비정상성을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로 이상적인 상태로부터의 일탈이 있다. 이는 개인이 보이는 행동이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비정상성을 정의하는 방식이다.[15] 즉, 먼저 '이상적인 정신 건강' 상태를 설정하고, 개인이 이 상태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를 평가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이 기준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우선 '이상적인 정신 건강'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하고 보편적인 정의를 내리기 어렵다는 점이다. 어떤 상태를 이상적으로 볼 것인지는 주관적인 판단에 크게 의존하며, 사회나 문화, 시대적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5]

또한, 거의 모든 사람은 살면서 일시적으로 이상적인 정신 건강 상태에서 벗어나는 경험을 한다. 예를 들어, 가까운 사람을 잃고 슬픔에 잠긴 사람은 한동안 정신적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지만, 이는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여겨지며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분류되지 않는다.[15] 따라서 단순히 이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났다는 사실만으로 비정상성을 규정하기는 어렵다.

'이상'이라는 개념 자체가 역사적으로 권력 관계 속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정 집단이 자신들의 기준을 '정상' 또는 '이상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이에 부합하지 않는 타인을 '이상'으로 분류하며 차별하는 과정에서 생겨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 '이상'이라는 단어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 육체의 이상: 기형, , 부상 등 신체적인 문제를 가리킨다. 다만, 본인이 필요 이상으로 걱정하는 경우는 신체이형장애로 볼 수도 있다.
  • 정신의 이상: 정신병, 인격 장애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신적인 문제에 대한 기준은 여전히 모호하며, 특정 상태를 반드시 '이상'으로 규정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제조물의 이상: 제품의 초기 불량, 고장, 소프트웨어의 버그 등을 뜻한다. 에러도 관련 개념이다.


때로는 열등하거나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대상에 대한 멸칭으로 "이상"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매우 뛰어나거나 경이로운 대상에 대한 외경심을 표현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결국 무엇이 '이상적'이고 무엇이 '이상'인지를 규정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이며, 사회적 합의와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도 '정상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며, 사회적 소수자를 포함한 다양한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3. '이상' 개념의 논쟁점

어떤 행동을 '이상'하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제시되지만, 그 기준 자체는 명확하지 않고 논쟁의 여지가 많다. 대표적으로 통계적으로 드문 행동,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 개인에게 고통을 주는 행동,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게 하는 부적응 행동, 그리고 정신의학에서 정의하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나는 행동 등이 기준으로 사용된다.[9][10][11][13][14][15]

하지만 이러한 기준들은 상당 부분 주관적이다. 예를 들어,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을 '이상'으로 볼 수 있지만[11], 무엇이 '규범'인지는 문화, 시대적 배경, 상황, 연령, 성별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13] 또한, 개인의 행동이 관찰자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기준[12] 역시 매우 주관적일 수 있다. '이상적인 정신 건강'에서 벗어난 상태[15]나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14] 역시 무엇이 '이상적'이고 '제대로'인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이상'을 정의하는 기준이 모호하고 상대적이기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무엇이 이상 행동인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7] 이상 행동을 진단할 때 흔히 '4가지 D'(일탈, 기능 부전, 고통, 위험)를 고려하기도 하지만[17], 어떤 행동을 '이상'으로 명명하는 것 자체가 주관적이며 시대와 사회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18] 실제로 과거에는 정신 장애로 분류되었던 동성애가 현재는 정상적인 성적 지향의 하나로 인정받는 것처럼[19], '이상'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결국 '이상'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객관적인 사실을 기술하는 것을 넘어, 특정 사회나 문화의 가치 판단이 반영된 사회적 구성물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18] 때로는 '이상'이라는 단어가 특정 집단이나 개인을 멸칭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반대로 매우 뛰어난 능력이나 성취에 대한 경외심을 표현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3. 1. '이상'과 기능 부전

행동이 '이상'하다고 해서 반드시 기능 부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17] 예를 들어, 이상 행동을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로 '일탈'이 있는데, 이는 관찰된 행동이 사회적 또는 문화적 규범과 일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17] 그러나 어떤 행동이 규범에서 벗어난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기능 부전이거나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은 아니다. 단순히 사회적 또는 문화적 맥락에서 통계적으로 드물게 관찰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실제로, 일탈은 종종 긍정적일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노벨상 수상자, 천재, 프로 운동선수, 매우 창의적인 사람들과 같은 개인들에게서 이러한 긍정적 일탈을 흔히 볼 수 있다.[20] 이들의 행동은 통계적으로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기능 부전과는 거리가 멀다.

3. 2. '이상'의 역사적, 문화적 상대성

무엇이 '이상' 행동으로 간주되는지는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특정 행동이 통계적으로 드물거나([13]),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거나([11]), 개인에게 고통을 주거나,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게 할 때([10]) 이상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이러한 기준 자체, 특히 사회적 규범은 상대적이다.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을 이상으로 판단할 때는 다음과 같은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13]

  • 문화: 한 문화에서는 정상적인 행동이 다른 문화에서는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
  • 상황과 맥락: 특정 상황에서는 용인되는 행동도 다른 맥락에서는 이상하게 여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는 것은 정상이지만, 상점 한가운데서 하는 것은 그렇지 않다.
  • 시대 (역사적 맥락): 특정 시대에 정상으로 받아들여지던 행동이 시간이 흐르면서 이상 행동으로 간주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한다. 정상적인 행동의 기준은 사회에 따라 빠르게 변하기도 한다.
  • 연령 및 성별: 특정 연령이나 성별에 기대되는 행동 규범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


이처럼 '이상'의 정의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무엇이 이상 행동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17] 이상 행동을 명명하는 것은 종종 주관적이며, 무엇이 이상으로 간주되는지는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18]

대표적인 예로 동성애에 대한 인식을 들 수 있다. 1974년 이전까지 미국 정신의학회(APA)는 동성애를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서 정신 장애로 분류했다. 그러나 성소수자 인권 운동과 학계의 논의를 거치면서 이러한 분류는 삭제되었고, 현재 APA를 비롯한 의학계에서는 동성애를 정상적인 성적 지향의 하나로 간주한다.[19] 이는 과거에 이상으로 여겨졌던 것이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정상의 범주로 포함된 사례를 보여준다. 결국, 특정 행동을 '이상'으로 규정하는 것은 사회적 구성 과정의 영향을 받으며, 문화적 배경이 중요한 결정 요인이 된다.[18]

또한, 사회 규범에서의 '일탈'이 반드시 부정적이거나 기능 장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17] 노벨상 수상자, 천재, 뛰어난 운동선수나 예술가처럼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일탈도 존재한다.[20] 이는 '이상'에 대한 평가 역시 사회적 가치 판단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4. '이상'과 관련된 용어 (일본어)

일본어에는 '이상(異常)'과 '이장(異状)'이라는 두 단어가 있으며, 발음(いじょう)이 같고 의미도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다. 두 단어 사이에는 대략적인 용법 구분이 존재하지만,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오타나 변환 실수가 자주 발생한다.

'이상(異常)'은 주로 보통과 다른 상태나 모습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이상하다"와 같은 형용동사나 "이상 사태", "이상 기상" 같은 복합어 형태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정상'의 반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 '이장(異状)'은 보통과 다른 상태뿐만 아니라, 사물 안에 있는 구체적인 문제점이나 다른 부분을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 '이장'은 형용동사로는 쓰이지 않지만, '이장 1개', '이장 2개'처럼 셀 수 있는 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상(異常)'과 차이가 있다.

4. 1. 이상(異常)

'이상(異常)'은 보통과 다른 상태나 모습을 나타내는 말이다. 주로 "이상하다", "이상한"과 같이 형용사처럼 쓰이거나, "이상 사태", "이상 기상"처럼 다른 단어와 합쳐져 복합어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정상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4. 2. 이장(異状)

일본어에서 '이장(異状)'은 '이상(異常)'과 발음(いじょう)이 같고 의미도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다.[1] '이장'은 단순히 '보통과 다른 상태'를 의미하는 것 외에도, '사물 안에 있는 보통과 다른 부분'이라는 구체적인 의미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어떤 물체나 시스템 내부에서 발견되는 결함이나 문제점을 지칭할 때 '이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장 1개', '이장 2개'와 같이 셀 수 있는 명사로 쓰인다. 이는 '이상하다'와 같이 형용동사로 주로 쓰이는 '이상(異常)'과는 구분되는 특징이다.[1]

일본의 사전인 다이지린 제2판에서는 '이장(異状)'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http://dictionary.goo.ne.jp/leaf/jn/9153/m0u/%E7%95%B0%E5%B8%B8/ 다이지린 '이장(異状)' 항목]

5. 한국 사회에서의 '이상'

'이상'(異常) 또는 비정상적인 행동을 판단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통계적으로 평균에서 크게 벗어나거나[13], 사회적으로 합의된 규범을 따르지 않거나[11], 개인에게 심한 고통을 주거나,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행동[10], 또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나는 행동 등이 비정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비정상 행동은 "예상치 못하고, 전형적이거나 통상적인 행동과 다르기 때문에 종종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행동"으로 정의되기도 한다.[9]

특히 사회의 기준을 위반하는 행동[11]이나 다른 사람에게 불편함을 주는 행동[12] 등은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크다. 심리학이나 정신 의학과 같은 전문 분야에서는 주로 정신 질환이나 정신 장애 여부를 의학적 진단을 통해 판단하며, 이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다.

실제로는 어느 한 가지 기준만으로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여러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어떤 행동이 개인의 일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고[14], 사회 규범을 위반하며[11], 통계적으로도 드물게 나타난다면[13]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이상'이라는 개념은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되고 논의되며, 특히 정신 건강, 사회 규범, 통계적 특이성 등과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5. 1. 정신 건강

정신 건강의 관점에서 '이상' 또는 비정상으로 간주되는 행동이나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심리학과 정신 의학에서는 주로 정신 질환이나 정신 장애 여부를 의학적 진단에 근거하여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비정상 행동은 "예상치 못하고, 전형적이거나 통상적인 행동과 다르기 때문에 종종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행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9] 비정상 행동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은 통계적 기준, 사회적 기준, 개인적 고통, 부적응 행동, 이상으로부터의 일탈 등 다섯 가지가 있다.

세부적인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 '''통계적 희소성''': 통계적으로 드문 행동은 비정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어떤 특정 비정상 행동은 드물지만, 개인이 살면서 어떤 형태로든 장기간 비정상적 행동을 보이는 것 자체가 아주 드문 일은 아니다.[13]
  • '''사회 규범으로부터의 일탈''': 사회의 암묵적인 규칙(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이다. 예를 들어 공공장소에서 옷을 벗는 행동은 사회 규범 위반으로 비정상적으로 여겨진다. 다만, 어떤 행동이 규범에서 벗어났는지 판단할 때는 문화, 상황과 맥락, 연령, 성별, 시대적 배경(역사적 맥락)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부적응적이고 기능 장애적인 행동''':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개인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거나 일상적인 기능 수행에 어려움을 겪게 하는 행동이다.[10] 예를 들어, 탈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계속 탈출을 시도하는 행동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사회의 기준을 위반하는 행동[11]이나 관찰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행동[12] 역시 비정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함''': 일상생활의 요구에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 비정상성을 장애로 분류하는 기준이 된다.[14] 하지만 '적절한 기능'의 기준은 모호할 수 있으며,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현장에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는 소방관의 행동은 다른 상황에서는 병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소방관의 역할이라는 맥락에서는 비정상으로 보지 않는다.
  • '''이상적인 정신 건강으로부터의 일탈''': 개인의 행동이 정신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로 비정상성을 정의한다.[15] 그러나 '이상적인 정신 건강'의 기준 역시 명확하지 않으며, 누구나 일시적으로는 이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까운 사람을 잃고 슬픔을 느끼는 것은 예상되는 반응이므로 비정상적인 상태로 정의되지 않는다.


실제로는 여러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다중 기준 접근 방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어떤 행동이 개인의 기능을 방해하고, 사회 규범을 위반하며, 통계적으로 드물게 나타난다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다. 우울증은 이러한 다중 기준 접근 방식으로 평가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이다. 우울증은 이상적인 정신 상태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며, 개인의 정상적인 생활 기능을 방해하고, 비교적 흔한 정신 장애이지만 주요 우울 장애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는 통계적으로 드물기 때문에 비정상 행동으로 분류될 수 있다.[16]

역사적으로 '이상'이라는 개념 자체가 처음부터 존재했던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신화 등에서 혼돈스러운 상태가 묘사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초기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었을 수 있다. 이후 사회적으로 우열이나 윤리적 관념이 퍼져나가면서, 권력적으로 우위에 있는 자가 타인에 대해 갖는 차별적 의식에서 '이상'이라는 개념이 생겨났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신적 측면에서 이상으로 여겨지는 상태로는 정신병, 인격 장애 등이 언급되지만, 그 기준은 여전히 모호하며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5. 2. 사회적 규범과 다양성

비정상 행동을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는 사회적 기준이다.[9] 개인이 속한 사회의 관습적인 사회적, 도덕적 규칙을 따르지 않을 때 그 행동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11] 또한, 어떤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준다면 비정상적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있다.[12]

그러나 무엇이 '정상'이고 '비정상'인지를 가르는 사회 규범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이라도, 그것이 비정상적인지는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사회 규범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에 따라 상대적이다.

  • '''문화''': 한 문화에서는 정상적인 행동이 다른 문화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보일 수 있다.
  • '''상황과 맥락''': 특정 상황에서는 용인되는 행동도 다른 상황에서는 매우 비정상적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실 사용은 정상이지만, 공공장소에서의 배변 행위는 비정상적일 뿐 아니라 불법이다.
  • '''연령''': 특정 연령대에서는 용납되는 행동이 다른 연령대에서는 비정상적으로 여겨질 수 있다. (예: 유아의 공공장소 탈의)
  • '''성별''':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성별 역할에서 벗어나는 행동은 비정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 '''역사적 맥락''': 정상적인 행동의 기준은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실제로 '이상'으로 간주되던 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동성애가 있다. 1974년 이전까지 미국 정신의학회(APA)는 동성애를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서 정신 장애로 분류했다. 그러나 활동가들의 노력과 학계의 논의를 거쳐 DSM에서 삭제되었고, 현재 APA와 의료계는 동성애를 정상적인 성적 지향의 하나로 간주한다.[19] 이는 사회적 구성과 문화가 정상과 이상을 규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무엇이 이상 행동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17], 이상으로 간주되는 것이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18] 이상 행동을 판단할 때 흔히 '4가지 D'(일탈 Deviance, 기능 부전 Dysfunction, 고통 Distress, 위험 Danger)를 고려하는데[17], 이 중 '일탈'은 사회적 또는 문화적 규범과의 불일치를 의미한다.[17] 하지만 이것이 반드시 기능 부전이나 바람직하지 않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 중에는 노벨상 수상자, 천재, 뛰어난 운동선수, 창의적인 예술가들처럼 오히려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경우도 많다.[20] 이는 사회적 일탈이 개인의 특별함이나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이상'이라는 단어는 일상에서 단순히 열등하거나 부족하다는 의미의 멸칭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매우 뛰어나거나 경이로운 대상에 대한 감탄의 표현으로 쓰이기도 한다.

5. 3. 통계적 특이성과 사회적 의미

통계적으로 드문 행동이나 특성을 비정상 행동이라고 보는 관점이 있다.[13] 어떤 행동이 평균에서 크게 벗어나 통계적으로 희소할 때 '이상'하다고 간주하는 것이다.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특정 행동이 통계적으로 드문 경우, 이를 비정상적이라고 분류할 수 있다.[13] 하지만 모든 통계적 희소성이 반드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능 지수(IQ)의 경우, 특정 연령 집단 내에서 평균 지능 지수는 100으로 설정된다. 대부분의 사람(약 95%)은 지능 지수 70에서 130 사이에 분포하며, 이 범위는 정상적인 지적 능력으로 간주된다. 지능 지수 130 이상은 통계적으로 상위 약 2.27%에 해당하며 '이상하게' 높은 지능으로, 70 이하는 하위 약 2.27%로 '이상하게' 낮은 지능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처럼 통계적 기준은 양 극단의 특성을 모두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 '이상'이라는 단어는 때때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특정 기준에 미치지 못하거나 열등하다고 여겨지는 대상에 대한 멸칭으로 쓰이는 경우가 그것이다. 이는 비정상 행동이 "예상치 못하고, 전형적이거나 통상적인 행동과 다르기 때문에 종종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행동"이라는 정의와 관련될 수 있다.[9]

그러나 반대로, 매우 뛰어나거나 특별한 능력, 업적을 가진 인물이나 사물에 대해 감탄이나 외경심을 담아 '이상'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는 통계적 특이성이 반드시 결함이나 부정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긍정적인 가치를 지닐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이상'하다는 평가는 사용되는 맥락과 사회적 인식에 따라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참조

[1] 서적 Psychology: Core Concepts Pearson
[2] 논문 Microstructural brain abnormalities, fatigue, and cognitive dysfunction after mild COVID-19 2024-01-19
[3] 문서 A Cross-sectional Study in Iranian Population
[4] 웹사이트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Abnormal Behavior http://www.csun.edu/[...] 2014-09-30
[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linical Psychology American Cancer Society
[6] 서적 Abnormal Psychology and Modern Life (13th ed) Allyn & Bacon
[7] 웹사이트 The Medical Model http://www.simplypsy[...] 2014
[8] 웹사이트 About DSM-5 and Development https://www.psychiat[...] 2021-06-04
[9] 서적 Essentials of Abnormal Psychology Cengage Learning
[10] 논문 Medical paradigms for the study of problem behaviour: a critical review 2003-05-02
[11] 서적 First Responder's Guide to Abnormal Psychology Springer, Boston, MA 2007
[12] 서적 Abnormal Psychology
[13] 웹사이트 Mental Illness in America https://www.nimh.nih[...]
[14] 웹사이트 Abnormal Psychology https://www.simplyps[...] 2018-04-07
[15] 웹사이트 Complicated Grief Needs Specific Treatment https://web.archive.[...] 2007-08-30
[16] 웹사이트 How prevalent is mental illness in the USA http://www.medicalne[...]
[17] 웹사이트 THE FOUR Ds- ABNORMAL BEHAVIORS OR PSYCHOPATHOLOGIES?: The Mental Health Series 2 https://medium.com/@[...] 2024-06-22
[18] 웹사이트 Being Labeled "Abnormal" Is Ignorant, Wrong, and Unfair https://www.psycholo[...] 2024-11-25
[19] 논문 Homosexuality and scientific evidence: On suspect anecdotes, antiquated data, and broad generalizations 2015-11
[20] 논문 Positive Deviance: A Classificatory Model 199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