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망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며, 확고한 믿음을 보이는 특징을 보인다. 칼 야스퍼스는 망상의 주요 기준으로 확실성, 교정 불가능성, 내용의 불가능성 또는 허위성을 제시했다. 망상은 조현병, 망상장애 등 다양한 정신 질환에서 나타나며, 통제 망상, 피해 망상, 과대 망상 등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망상의 원인은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하며, 뇌의 특정 영역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진단은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에는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메타인지 훈련 등이 사용된다. 망상은 폭력, 자해, 자살과 같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한국어에서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상장애 - 망상성 기생충 감염
    망상성 기생충 감염은 기생충, 벌레 등 유기체에 감염되었다고 굳게 믿는 망상 장애로,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뉘며, 모겔론스병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항정신병 약물과 인지 행동 치료로 치료하며, 의료진과의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
  • 망상장애 - 과대망상
    과대망상은 자존감, 권력, 지식, 정체성 등에 대한 과장된 믿음을 특징으로 하는 망상으로, 망상 장애의 한 유형이며 조현병, 양극성 장애 등에서 나타날 수 있고,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자존감을 유지하거나 높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 정신병리학 - 불안
    불안은 미래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고, 불안 장애는 과도한 불안 반응을 특징으로 하며, 치료 방법이 존재한다.
  • 정신병리학 - 불안장애
    불안장애는 뚜렷한 대상 없는 과도한 불안으로 심리적, 행동적 문제를 일으키는 상태를 말하며, 다양한 형태(범불안장애, 특정공포증, 공황 장애 등)로 나타나고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 및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정신증 - 편집증
    편집증은 근거 없는 의심과 불신을 특징으로 하며 타인의 행동을 위협적으로 인식하는 정신 상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여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정신증 - 색정광
    색정광은 타인이 자신을 사랑한다는 망상을 갖는 정신 질환으로, 현실적으로 관계 맺기 어려운 대상에 대한 망상을 가지며, 다른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스토킹 문제를 야기하기도 하고, 항정신병 약물 치료와 심리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망상
질병 정보
이름망상
진료 분야정신과
질병 데이터베이스33439
메시 IDD003702
일반 정보
영어 명칭delusion
어원라틴어 delusio (속이는 것), deludere (조롱하다, 속이다)에서 유래
정의잘못된 믿음을 고수하는 것
관련 질병망상 장애
임상 정보

2. 특징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계속 주장한다. 감정에 기반한 주관적인 확신을 가지고 고집하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자신만의 생각에 빠져 있다.[1]

3. 분류

망상은 그 내용과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고전적으로는 망상의 근거 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일차적 망상''': 전혀 근거가 없는 망상이다. 예를 들어 "나는 나폴레옹의 환생이다", "이웃 사람들이 나를 전파로 공격하고 있다"와 같은 망상이다.
  • '''이차적 망상''': 어떤 경험과 관련이 있는 망상이다. 예를 들어 "내 병은 불치병이다", "모든 불행은 내 탓이다"와 같은 망상이다.


하지만 일차적 망상으로 보이는 망상에도 나름의 이유가 있는 경우가 많아, 진정으로 무의미하고 근거 없는 망상은 드물다. 또한 "내 병은 불치병이다"라는 망상도 우울증으로 인한 비관적인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이해 가능하지만, 건강한 사람이 그런 망상을 가지고 있다면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구분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편견과의 구분도 모호하며, 생각의 근거를 듣고 반증하는 과정을 통해 망상임을 밝혀낼 수 있지만, 문화적 차이에 따라 이 방법이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일차적 망상은 다시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1. 망상 기분: 주변이 어딘가 의미심장하고 불길하게 느껴지는 것으로, 구체적인 판단이 일어나 망상이 된다.

2. 망상 지각: 정상적인 지각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강력한 확신을 가지게 되고, 수정이 불가능해진다.

3. 망상 표상: 터무니없는 이미지를 떠올린다.

4. 망상 각성: 엄청난 것을 감지하지만, 실체는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한다.

5. 망상 사고: 어떤 생각이나 오래된 기억이 갑자기 예상치 못한 의미를 가지고 떠올라 강력한 확신에 이른다.

망상 지각 등은 조현병(정신분열병)에서 자주 나타나며, 이차적 망상은 우울증에서 자주 나타난다. 신체화 망상, 과대망상 등이 그 예시이다. 예를 들어 "왠지 속이 불편하다,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도 이상이 없고, 정신과 진료를 권유받아, 그래서 우울증으로 진단받는다"와 같은 경우가 신체화 망상에 해당한다.

3. 1. 유형별 분류

망상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된다.

  • '''기괴한 망상''': 현실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전혀 없고, 같은 문화권의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망상이다.[3] 예를 들어, 장기 이식 없이 내장이 바뀌었다고 믿는 경우가 있다.
  • '''비기괴 망상''': 현실에서 일어날 법하지만 실제로는 거짓인 망상이다.[4] 예를 들어, 경찰에게 감시당하고 있다고 믿는 경우가 있다.
  • '''기분 일치 망상''': 우울증이나 조증과 같은 기분 상태와 일치하는 내용의 망상이다. 예를 들어, 우울증 환자가 TV 앵커가 자신을 싫어한다고 믿는 경우가 있다.
  • '''기분 중립 망상''': 환자의 감정 상태와 관련 없는 망상이다.[5] 예를 들어, 머리 뒤에 팔다리가 자라고 있다고 믿는 경우가 있다.


프랑스 정신의학에서는 "편집성"(paranoïde)과 "편집증성"(paranoïaque) 망상을 구분한다.[6][7]

  • '''편집성 망상''': 체계화되지 않고 혼란스러운 특징을 가지는 망상으로, 주로 조현병에서 나타난다.[8]
  • '''편집증성 망상''': 매우 체계적이고 단일 주제에 초점을 맞춘 망상으로, 편집증적 정신병에서 관찰된다.

3. 2. 주제별 분류


  • 통제 망상: 다른 사람, 집단, 또는 외부의 힘이 자신의 생각, 감정, 충동, 행동을 통제한다는 믿음이다.[5]
  • 피해망상: 자신이 박해받고 있다는 믿음으로, 가장 흔한 망상 유형이다. 해를 입거나 입을 것이며, 박해자가 해를 끼칠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14]
  • 관계망상: 주변의 사소한 말, 사건, 사물이 자신과 특별한 관계가 있다는 믿음이다.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되지만, 과대망상적인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5]
  • 과대망상: 자신이 유명인, 전능한 존재, 또는 매우 강력한 존재라는 환상적인 믿음이다.[12] 망상장애, 조현병, 양극성 장애조증 에피소드에서 나타날 수 있다.
  • 종교적 망상: 자신이 신이거나 신의 대리인이라는 믿음이다.[9][10] 과대망상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 색정 망상: 다른 사람이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믿음이다.[5]
  • 신체 망상: 자신의 신체 기능, 감각, 외모에 이상이 있다는 믿음으로, 질병에 걸렸거나 비정상적이라고 생각한다.[5]
  • 빈곤 망상: 자신이 재정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믿는 망상이다. 국가 지원이 없던 과거에 흔했다.[11]
  • 질투 망상: 배우자나 연인이 바람을 피우고 있다는 증거 없는 믿음이다.[5]
  • 죄책감/죄의 망상: 근거 없는 죄책감이나 죄의식을 느끼는 망상이다.[5]
  • 사고방송: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을 알 수 있다는 믿음이다.[5]
  • 사고 삽입 망상: 다른 사람이 자신의 마음에 생각을 넣는다는 믿음이다.[5]
  • 기타: 절도 망상(물건을 도난당했다는 믿음, 치매에서 흔함), 카프그라 증후군, 피독 망상, 혈통 망상 등이 있다.

4. 원인

망상의 원인을 설명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며, 여러 이론들이 개발되었다.[17][18]


  • 생물학적 요인: 뇌 기능 장애, 특히 높은 도파민 수치는 뇌 기능 장애의 징후로 간주되며, 이는 망상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정 망상을 유지하는 데 도파민이 필요한지 여부는 정신분열증이 도파민 정신병과 관련이 있는지 규명하기 위해 시작된 망상 장애(정신병 증후군)에 대한 예비 연구에서 조사되었다.[22] 연구 결과는 긍정적이었는데, 질투와 박해 망상은 도파민 대사체인 HVA와 호모바닐릴알코올의 수치가 달랐으며(유전적 요인일 가능성이 있음), 이는 잠정적인 결과로만 간주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더 큰 모집단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를 요구했다. 유전적인 요인으로는 망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가까운 친척은 망상 특성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 심리적 요인: 인지 처리 과정의 왜곡, 즉 망상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삶을 설명하는 왜곡된 방식에서 비롯될 수 있다. 기능 장애 인지 처리라고도 한다. 또 다른 이론은 동기 부여 또는 방어적 망상이다. 이 이론은 일부 소인이 있는 사람들이 삶에 대처하고 높은 자존감을 유지하는 것이 상당한 어려움이 될 때 망상 장애가 시작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경우, 그 사람은 긍정적인 자아상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개인적인 어려움의 원인으로 다른 사람들을 본다.[19]
  • 환경적 요인: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의 예로는 이민,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그리고 심지어 매일의 작은 어려움의 축적까지도 포함된다.[20]
  • 기타: 청력 또는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망상의 발생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인은 뇌 기능 장애와 기질 및 성격의 배경적 영향이다.[21]

성격의 영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말해졌다. "야스퍼스는 질병 자체로 인해 미묘한 성격 변화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망상적 직관이 발생하는 망상적 분위기가 조성된다고 생각했다."[26]

문화적 요인은 "망상의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7] 예를 들어, 죄책감과 처벌에 대한 망상은 오스트리아와 같은 서구 기독교 국가에서 흔하지만, 박해 망상이 더 흔한 파키스탄에서는 그렇지 않다.[28] 마찬가지로, 일련의 사례 연구에서 도파민 작용제인 l-dopa로 치료받는 오스트리아의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죄책감과 처벌에 대한 망상이 발견되었다.[29]

5. 병태 생리

망상의 발생에는 뇌 기능 장애와 기질 및 성격의 영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21]

높은 도파민 수치는 뇌 기능 장애의 징후로 여겨진다. 특정 망상 유지에 도파민이 필요한지는 정신분열증과 도파민 정신병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에서 조사되었다.[22] 연구 결과, 질투와 박해 망상은 도파민 대사체인 HVA와 호모바닐릴알코올 수치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유전적 요인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는 잠정적인 결과이며, 더 큰 모집단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령[23][24]과 성별도 영향을 미치며, 일부 증후군의 경우 평생 동안 HVA 수치가 변할 가능성이 높다.[25]

야스퍼스는 질병 자체로 인한 미묘한 성격 변화가 망상적 직관을 유발하는 망상적 분위기를 조성한다고 보았다.[26] 문화적 요인 또한 망상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7] 예를 들어, 죄책감과 처벌 망상은 서구 기독교 국가에서 흔하지만, 파키스탄에서는 박해 망상이 더 흔하다.[28]

망상의 이원적 모델은 망상 발생에 신념 형성 및 평가 시스템 모두의 기능 장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신념 평가 시스템 기능 장애는 우측 전전두엽 피질에 국한되며, 신경영상 연구에서 이 영역의 비정상적 활성화 및 부피 감소가 관찰된다. 이 영역의 병변은 "결론에 너무 서두르기"와 관련되며, 뇌졸중 후 망상과 관련이 있고, 저대사는 꼬리핵 뇌졸중으로 인한 망상과 관련이 있다.

이상한 중요성 부여 모델은 망상이 무관한 자극에 과도한 중요성을 부여하는 결과라고 제안한다. 망상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중요성 네트워크 관련 영역의 회색질 감소가 나타나며, 중요성 처리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은 정신병 장애에 널리 관여한다.

특정 뇌 영역은 특정 유형의 망상과 관련이 있다. 해마와 해마곁이랑 부피는 알츠하이머병의 편집증적 망상과 관련이 있으며, 카프그라 증후군은 후두측두엽 손상과 관련되어 얼굴에 대한 정상적인 감정이나 기억을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것과 관련 있을 수 있다.[30]

정신분열증에서 중뇌변연계 도파민 신경 과활동은 망상, 환각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울증이나 섬망 동반 망상에도 도파민 차단제인 항정신병약이 효과가 있어, 이러한 질환에서도 도파민 신경계 과활동이 관여한다고 추측된다.

6. 진단

망상은 정신 질환 진단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정신 상태 검사정신 상태 검사는 환자의 전반적인 정신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다음 항목들을 포함한다.[41]


  • 외모
  • 기분
  • 행동
  • 사고 내용
  • 지남력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인식)
  • 주의력
  • 통찰력 (자신의 상태에 대한 이해)
  • 판단력
  • 기억력

진단 기준카를 야스퍼스는 1913년 저서 ''일반 정신병리학''에서 망상으로 간주될 수 있는 신념의 네 가지 주요 기준을 제시했다.[43]

  • 확실성: 절대적인 확신을 가지고 믿는다.
  • 교정 불가능성: 반박하는 설득력 있는 주장이나 반대 증거로 바꿀 수 없다.
  • 내용의 불가능성 또는 허위성: 믿기 어렵거나 기이하거나 명백히 거짓이다.[44]
  • 이해 불가능성: 심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45]


DSM-5에서는 처음 세 가지 기준을 망상 정의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비판망상의 정의와 진단 기준은 여러 측면에서 비판받아 왔다.

  • 문화적 차이: 특정 문화나 종교에서는 일반적인 신념이 다른 문화에서는 망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진실과 거짓의 판단 문제: 어떤 망상은 시간이 지나 사실로 밝혀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망상형 질투 환자의 의심이 사실로 드러나는 경우가 있다.[34]
  • 주관적인 해석의 개입 가능성: 망상 진단은 의사의 주관적인 판단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마사 미첼 효과는 이러한 문제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35]


이러한 비판들은 망상 진단이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임을 시사한다. 앤서니 데이비드는 "망상에 대한 받아들여지는(accepted) 것이 아니라 받아들일 수 있는(acceptable) 정의는 없다"고 지적했다.[38]

7. 치료

항정신병 약물(항정신병약)은 망상 및 기타 양성 정신병 증상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메타 분석(메타분석)에 따르면 중간 정도의 효과를 보인다.[48] 인지 행동 치료(인지행동치료)(CBT)는 메타 분석 결과 대조군에 비해 망상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9] 43건의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메타인지 훈련(메타인지 훈련)(MCT)은 대조군에 비해 중간에서 큰 효과 크기로 망상을 감소시킨다.[50]

8. 망상의 폐해

망상은 현실에 대한 적대감이나 공격성을 유발하여 폭력이나 범죄 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 망상을 인정하지 않는 타인에게 공격적으로 대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주위에서 보면 이상행동을 하므로, 주변 사람들이 멀리하거나 고립시키고, 심하면 공격받을 위험도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사회에서 일탈하는 것은 본인과 주변 사람 모두에게 큰 피해를 준다. 또한 망상이 회복된 후 사회 복귀에도 어려움을 남길 수 있다.[1]

“나는 하늘을 날 수 있다”와 같은 망상에 빠져 추락하거나, “머리 속에 심어진 장치를 꺼낸다”며 머리를 자해하는 등 스스로를 다치게 할 위험도 있다. 심하면 자살로 이어질 수도 있다.[1]

9. 한국 사회와 망상

한국어에서 "망상"은 불교 용어, 일반 용어, 의학 용어 등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의미로는 "있을 수 없는 일을 마구 상상하는 것" 또는 "음란한 생각에 잠기는 것"을 뜻하며, 긍정적인 의미의 "공상"과 대비된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상대 진영의 주장을 비판하거나 폄하하기 위해 "망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참조

[1] OEtymD delusion
[2] 웹사이트 Delusions in the DSM 5 http://imperfectcogn[...] 2013-06-07
[3]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4] 서적 Bedside Psychiatry https://books.google[...] Jaypee Brothers Medical Publishers
[5] 백과사전 Delusions http://www.minddisor[...] Advameg.com 2018-04-22
[6] 백과사전 Paranoïa (histoire du concept) https://www.universa[...]
[7] 서적 Approche psychanalytique des troubles psychiques Dunod 2019
[8] 백과사전 Paranoïde https://www.larousse[...]
[9] 웹사이트 Religious delusions are common symptoms of schizophrenia. http://www.sciforums[...] 2011-04-17
[10] 웹사이트 Religious delusion http://www.sanp.ch/p[...] 2011-04-17
[11] 서적 Assessment i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in Search of the Whole Person Nelson Thornes Ltd
[12]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3] 학술지 Theories of delusional disorders. An update and review 2007-03
[14] 서적 Paranoia: The Psychology of Persecutory Delusions. PsychoIogy Press 2004
[1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6]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7] 학술지 Understanding delusions 2009-01
[18] 서적 Delusions: Understanding the Un-understandabl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7-25
[19] 웹사이트 Delusional Disorder http://www.minddisor[...] 2010-08-06
[20] 학술지 Life hassles and delusional ideation: Scoping the potential role of cognitive and affective mediators 2016-12
[21] 서적 Symptoms in the mind: an introduction to descriptive psychopathology W. B. Saunders
[22] 학술지 Delusional disorder: molecular genetic evidence for dopamine psychosis 2002-06
[23] 학술지 Pretreatment plasma HVA predicts neuroleptic response in manic psychosis 1998-02
[24] 학술지 Age at onset of delusional disorder is dependent on the delusional theme 1998-02
[25] 학술지 Family functioning and parent general health in families of adolesc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1998-02
[26] 서적 Symptoms in the mind: an introduction to descriptive psychopathology W. B. Saunders
[27] 학술지 Assessment of psychopathology across and within cultures: issues and findings 2003-07
[28] 학술지 Comparison of delusions among schizophrenics in Austria and in Pakistan
[29] 학술지 The balance of biogenic amines as condition for normal behaviour
[30] 서적 Genomics, Circuits, and Pathways in Clinical Neuropsychiatry Elsevier Science
[31] 학술지 The context of delusional experiences in the daily lif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2001-04
[32] 학술지 On defining delusions
[33] 서적 Pathologies of belief Blackwell
[34] 학술지 The phenomenology of abnormal belief http://muse.jhu.edu/[...]
[35] 서적 Delusional Beliefs Wiley Interscience
[36] 논문 Use of fiction in therapy
[37] 서적 Red Orc's Rage Tor Books 1991
[38] 논문 On the impossibility of defining delusions
[39] 논문 There and Back Again: Joseph Pierre, M.D. https://www.psychiat[...]
[40] 논문 Faith or delusion? At the crossroads of religion and psychosis 2001-05-01
[41] 웹사이트 Diagnostic Test List for Delusions http://www.wrongdiag[...] 2010-08-06
[42] 논문 Cultural Invariance and the Diagnosis of Delusion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43] 서적 Allgemeine Psychopathologie: Ein Leitfaden für Studierende, Ärzte und Psychologen J. Springer
[44] 서적 # 추정
[45] 논문 Delusion: what did Jaspers really say? https://pubmed.ncbi.[...] 1991-11-01
[46] 웹사이트 Terms in the Field of Psychiatry and Neurology http://www.abess.com[...] 2010-08-06
[47] 서적 Natural Selection and Social Theory: Selected Papers of Robert Triver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8] 논문 Comparativ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32 oral antipsychotics for the acute treatment of adults with multi-episode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19-09-01
[49] 논문 Corrigendum: Does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psychosis (CBTp) show a sustainable effect on delusions? A meta-analysis 2019-08-28
[50] 논문 Immediate and Sustained Outcomes and Moderators Associated With Metacognitive Training for Psych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2-03-01
[51] 서적 Critical Psychiatry: The Limits of Madness Springer 2006
[52] 서적 Models of mental health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015-12-01
[53] 웹사이트 妄想 https://bsd.neuroinf[...] 脳科学辞典編集委員会 2014-06-10
[54] 서적 #추정 2022-09-04 #페이지 번호 확인일
[55] 뉴스 妄想を持つ人との付き合い方:困っている人々を助けるために https://news.yahoo.c[...] ヤフー株式会社 2017-07-11
[56] 서적 #추정 2022-09-04 #페이지 번호 확인일
[57] 웹사이트 神経症(5) ~こころがもたらすからだの病気~ < 2005年3月号 https://www.japa.org[...] 特定非営利活動法人日本成人病予防協会 (JAPA) 2019-08-29
[58] 웹사이트 幻覚・妄想の具体例および統合失調症について https://meiekisakome[...] 名駅さこうメンタルクリニック 2017-09-12
[59] 서적 When someone you love has a mental illness 여름언덕 2009
[60] 서적 When someone you love has a mental illness 여름언덕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