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세 헤이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세 헤이시는 헤이노 고레히라를 시조로 하는 무가 씨족으로, 타이라 씨의 일파이다. 타이라노 마사모리 시대에 중앙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하여 타이라노 키요모리 시대에 헤이시 정권을 수립하며 번성했으나, 겐페이 전쟁에서 패배하여 몰락했다. 이후 일부 가문은 살아남거나 헤이케의 후예를 자처하며 명맥을 이었으며, 나가사키 씨, 오다 씨, 고호조 씨 등이 이세 헤이시의 후예를 자처하는 대표적인 가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세 헤이시 - 다이라노 무네모리
    다이라노 무네모리는 헤이안 시대 말기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아들이자 헤이케 정권의 수장으로, 기요모리 사후 헤이시 일문을 이끌었으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패배하여 몰락, 단노우라 전투 후 처형되었으며, 무능하고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헤이케 멸망의 원인으로 평가받는다.
  • 이세 헤이시 - 로노온카타
    로노온카타는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첩인 토키와고젠에게서 태어난 '천하제일의 미녀'로 칭송받던 인물로, 후지와라노 카네마사의 첩이 되어 와곤 연주와 서예에 능통했으나, 헤이케 멸망 후 겐지의 포로가 되었고 역사적 존재 여부에 논란이 있다.
  • 일본의 씨족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 일본의 씨족 - 시마즈씨
    시마즈씨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사쓰마, 오스미, 휴가 지역을 다스린 다이묘 가문으로, 미나모토 씨의 후손이며, 규슈 지역을 장악하고 임진왜란에 참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헤이안 시대 - 교토
    교토는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였던 도시로, 헤이안쿄로 설계되어 전란과 화재를 겪었으나 복구 노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에도 시대에는 문화와 상공업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번영하며 수많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헤이안 시대 - 헤이지의 난
    헤이지의 난은 1160년 일본에서 발생한 내란으로, 후지와라 노 미치노리의 독단적인 정치와 미나모토 씨의 불만, 니조 친정파와 고시라카와 상황의 대립을 배경으로 후지와라 노 노부요리와 미나모토 노 요시토모의 반란으로 시작되었으나 다이라 노 키요모리의 반격으로 헤이케가 권력을 장악하며 겐페이 전쟁과 가마쿠라 시대의 도래에 영향을 미쳤다.
이세 헤이시
개요
가명헤이케 (平家)
본성평씨아손
가조다이라노 다다히라
종류황별
출신지이세
근거지야마시로
주요 인물다이라노 다다모리
다이라노 기요모리
다이라노 시게모리

2. 이세 헤이시의 기원과 초기 발전

이세 헤이시는 간무 헤이씨 헤이노 사다모리의 자손으로, 처음에는 간토 지역에 거주했다.[1] 헤이노 사다모리의 넷째 아들 헤이노 고레히라가 이세국에 기반을 구축하면서 이세 헤이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고레히라는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아래에서 '미치나가 사천왕' 중 한 명으로 불리며 이세 국에 세력을 확장했다. 고레히라의 아들 헤이노 마사노리 대까지는 여러 국의 수령을 맡았으나, 그 후의 세대는 에몬후 등의 무관을 맡은 후 관직 생활의 마지막에 수령이 되는 정도가 되어 차츰 가계가 쇠퇴해갔다.

2. 1. 초기 주요 인물

간무 헤이씨 헤이노 사다모리의 넷째 아들 헤이노 고레히라는 이세국에 기반을 구축하였다. 고레히라는 수령을 역임했고,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밑에서 미나모토노 요리노부 등과 마찬가지로 미치나가 사천왕으로 불렸다. 그의 아들 헤이노 마사노리 대까지는 여러 국의 수령을 맡았다.

3. 타이라노 마사모리 시대: 중앙 진출의 발판

헤이노 마사모리는 이가 국의 소령을 시라카와 상황에게 헌상하고 호쿠멘 부시로 임명되는 등 상황의 총애를 받았다. 1107년(가쇼 2년) 미나모토노 요시이에의 차남으로 이즈모 국에서 난행을 거듭하던 미나모토노 요시치카를 추토하라는 명을 받고 요시치카를 토벌, 그 공으로 탄바노카미에 임명되는 등 상황의 각별한 배려를 받았다.[2] 이로써 마사모리의 가계는 다른 이세 헤이시 계파와 구별되는 군사 권문으로 성장했고, 다른 헤이시 계파들은 마사모리에게 종속되었다.

4. 타이라노 타다모리 시대: 세력 확장과 중앙 정계 진출

다이라노 나리후사는 인근신이 되어 고시라카와 법황을 섬기며 헤이케와 대립했다. 다카시나 에이코(단고노 쓰보네)가 법황의 총애를 받았기 때문에 그 계통은 번성하여, 아들인 다이라노 나리카네는 공경에 올랐고, 노리나리는 후지와라 사네노리의 양자가 되어 도조케야마시나가의 조상이 되었다.

4. 1. 타이라노 타다모리 계보

다이라노 이에히로와 그의 아들은 스토쿠 상황의 가신이었으며, 호겐의 난에서도 체포될 때까지 상황을 따랐다. 전쟁 후, 이에히로는 유배되었고, 그의 아들들은 처형되었다.[1]

5. 타이라노 키요모리 시대: 헤이시 정권 수립과 몰락

헤이노 마사모리가 인친신으로 영달하면서 다른 헤이씨 여러 유파와 선을 긋게 되었다. 마사모리의 손자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권세를 잡자, 키요모리 일족인 "헤이케 일문"은 조정의 중추에서 고관이 되었고, 재지의 이세 헤이씨 서류의 많은 수는 헤이케의 무사단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그 결속은 한 덩어리가 아니었고, 헤이노 나리후사처럼 반 헤이케 음모에 참가하는 자도 있었고, 헤이케 가신이 된 여러 헤이씨도 지쇼·쥬에이의 난에서 가마쿠라 막부 측에 붙는 자도 있었다. 헤이케 멸망 후에도 이세·이가에서는 미카 히라씨의 난 등 이세 헤이씨 계열의 반란이 잇따랐다. 단노우라 전투에서 헤이케 종가가 멸망하자, 가신이 되었던 이세 헤이씨 여러 유파의 대부분은 몰락했다. 한편 헤이케 측에 붙지 않았던 여러 유파는 존속했고, 헤이케 후예를 자처하는 무가도 존재한다.

5. 1. 타이라노 키요모리 계보

6. 겐페이 전쟁 이후의 이세 헤이시

간무 헤이씨 헤이노 사다모리의 자손인 이세 헤이시 가문은 헤이케의 가신이 되면서 대부분 몰락했다. 그러나 헤이케 측에 붙지 않았던 여러 가문은 존속했으며, 헤이케의 후예를 자처하는 무가도 있었다. 일부는 지쇼·쥬에이의 난에서 가마쿠라 막부 측에 가담하기도 했다. 헤이케 몰락 후에도 이세, 이가 지역에서는 미카 히라씨의 난 등 이세 헤이시 계열의 반란이 이어졌다.

7. 이세 헤이시의 후예를 자처하는 가문

헤이케 멸망 이후, 여러 가문이 이세 헤이시의 후예를 자처했다. 나가사키 씨, 오다 씨, 소 씨 등이 대표적이다.

7. 1. 주요 가문

무로마치 시대만도코로 집사를 세습한 이세 씨는 다이라노 스에히라의 후예를 칭하고 있다. 이세 씨에서는 간토의 센고쿠 다이묘가 된 고호조 씨가 나왔다.

  • 나가사키 씨
  • 오다 씨
  • 소 씨
  • 세키 씨
  • 고베 씨
  • 기타 씨
  • 이케 씨
  • 오노 씨
  • 이세 씨
  • 고호조 씨
  • 핫토리 씨
  • 토자와 씨
  • 이나토미 씨

8. 이세 헤이시 주요 인물 계보

간무 헤이씨 헤이노 사다모리의 자손으로, 사다모리의 넷째 아들 헤이노 고레히라가 이세국에 기반을 구축했다. 헤이노 마사모리가 인친신으로 영달하면서 다른 헤이씨들과 구별되게 되었다. 마사모리의 손자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권세를 잡자, 키요모리 일족은 조정의 고위 관직을 차지했다. 단노우라 전투에서 헤이케 종가가 멸망하자, 이세 헤이씨 가문 대부분은 몰락했다. 그러나 헤이케 편에 서지 않은 일부 가문은 살아남았고, 헤이케의 후예를 자처하는 무가도 있었다. 무로마치 시대 만도코로 집사를 세습한 이세 씨는 다이라노 스에히라의 후예를 칭했으며, 이세 씨에서 간토의 센고쿠 다이묘가 된 고호조 씨가 나왔다.

8. 1. 주요 인물 계보 1 (타이라노 마사히라 ~ 타이라노 타카오)

平維衡
正度
正済
維盛
貞季
季衡
貞衡
正衡
貞弘
正家
貞度
範季
兼季
盛康
貞清
正盛
正弘
資盛
盛房
季房
国兼
盛兼
盛国
清綱
忠盛
忠正
家弘
敦盛
業房
季宗
家貞
国盛[2]
信兼
盛俊
清盛
家盛
経盛
教盛
頼盛
忠度
長盛
頼弘
光弘
有盛
業兼
教成
宗清
家継
貞能
兼隆
盛嗣
重盛
基盛
宗盛
知盛
重衡
知度
清房
徳子
盛子
完子
御子姫君
廊御方
維盛
資盛
清経
有盛
師盛
忠房
宗実
行盛
清宗
能宗
知章
知忠
知宗
中納言局
六代(高清)
親真
源智
重尚
助国


8. 2. 주요 인물 계보 2 (타이라노 츠네모리, 타이라노 노리모리, 타이라노 요리모리)

다이라노 타다모리
다이라노 키요모리
다이라노 츠네모리다이라노 노리모리다이라노 요리모리
다이라노 츠네마사다이라노 미치히라다이라노 요리키요
다이라노 츠네토시다이라노 야스노리
다이라노 아츠모리다이라노 토시모리
다이라노 미치모리다이라노 사다나리
다이라노 노리츠네다이라노 야스후사
다이라노 나리모리다이라노 미츠히로
충쾌교성
다이라노 노리코
다이라노 야스모리
다이라노 타메모리
다이라노 나카모리
다이라노 토모시게
다이라노 야스나리
다이라노 미츠모리
정편


참조

[1] 논문 崇徳院逃避行の供人、平家弘・光弘父子 : 『保元物語』形成の一背景 https://repo.lib.tok[...]
[2] 문서 小野氏の祖・小野国盛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